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23
1 files changed, 14 insertions, 9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index 616c9fcc5bc..37e1e49f7fa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70,7 +70,7 @@
\title{\xetexko\ 간단 매뉴얼}
\author{Dohyun Kim \normalsize <\texttt{nomos at ktug org}>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date{Version 3.2\quad 2021/04/08}
+\date{Version 3.3\quad 2021/04/20}
\maketitle
\begin{quote}\small
@@ -490,10 +490,10 @@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주어야 한
간단한 일본어, 중국어 문단 정도를 식자하는 데도 이 환경을 이용할 수 있으나
각 언어의 전용 패키지들에 비해 기능이 많이 모자란다.\footnote{%
- 그러나 \texttt{japanese}, \texttt{chinese} 환경이 여전히 제공된다.
- 특히 중국어 간체를 식자할 때는 \texttt{chinese}를 명시적으로 이용하는 게 좋다.
- \texttt{Schinese} 환경은 \texttt{chinese}의 다른 이름이다.
- \texttt{Tchinese}도 호환성을 위해 남겨두었다. }
+ 그러나 \texttt{japanese}, \texttt{Schinese}, \texttt{Tchinese} 환경이 여전히 제공된다.
+ \texttt{chinese}는 \texttt{Schinese}의 다른 이름이다.
+ 특히 중국어 폰트를 사용할 때는 \texttt{Schinese}나 \texttt{Tchinese}를 명시하는 게 좋다.
+ }
\begin{plaintex}
플레인텍에서는 다음 방식으로 사용한다.
@@ -673,11 +673,11 @@ microtype 패키지의 protrusion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따위를 사용한다.
\section{밑줄긋기}
-\uwave{ulem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만으로 자동 지원된다.
+\LaTeX 에서는 \uwave{ulem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만으로 자동 지원된다.
+
+\cs{xetexkoulemsupport} 명령이 \vernote{3.3}3.3 버전부터 부활하였으므로
+플레인텍에서는 이 명령을 명시해야 할 경우가 있을 것이다.
-3.0 버전부터는\vernote{3.0} \cs{xetexkoulemsupport} 선언이
-불필요하게 되었다. 이 명령은 호환성을 위해 남겨두었으나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
%\hfill \fboxsep=-\fboxrule \fbox{\vbox to1em{\hbox to1em{\hss}\vss}}
@@ -687,6 +687,11 @@ microtype 패키지의 protrusion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begin{small}\linespread{1.2}\selectfont
\begin{description}\itemsep=0pt
+ \item[v3.3] 2021-04-20
+ \begin{itemize}
+ \item \cs{xetexkoulemsupport} 명령 부활
+ \item `㉾' 등 한글기호를 \verb=cjksymbols=에 할당
+ \end{itemize}
\item[v3.2] 2021-04-08
\begin{itemize}
\item 매달린 구두점이 기본값으로 따옴표에는 작동하지 않고 마침표^^b7쉼표에만 작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