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Master/texmf-dist/doc/xe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autho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13-12-06 22:14:43 +0000
committe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13-12-06 22:14:43 +0000
commit8c3bc9ab96e351e1189f16dacc40c2dcc678b70a (patch)
tree8f2ecb70b7a51c2f696da5060963dd40638bf869 /Master/texmf-dist/doc/xetex
parent7e784ae2dff9b04aa5830bc1c60753ad9beee4b9 (diff)
xetexko (6dec13)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32344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xetex')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23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96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bin287841 -> 223347 bytes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217
4 files changed, 189 insertions, 147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index 8937d083ca1..e0797371d48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1,12 +1,27 @@
+2013-12-06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2.2
+
+ * xetexko-space.sty: \latinhyphens is now the default
+ * xetexko-hanging.sty: \hangingpunctuations is not needed any more
+ * xetexko-space.sty: assign missing kana chars including U+30FC to
+ smallkana class
+ * xetexko-space.sty: assign compatibility jamo chars to hangulsyllable
+ class
+ * xetexko-space.sty: new macros \everyhangul and \everyhanja
+ * xetexko-space.sty: same stretch/shrink value for inter-hangul and
+ inter-hanja skip
+ * xetexko-font.sty xetexko-space.sty: new font option `charraise'
+ * xetexko-space.sty: \fallbackhanjafont as a final fallback font
+ * xetexko-josa.sty: fix a bug regarding non-BMP chars
+
2013-07-03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Version 2.1
* xetexko.sty: move Hangul caption setting to AtBeginDocument
-
- * xetexko-space.sty, xetexko-doc.tex: new macro
- \disablejamoautojosa, needed for teckit mapping of Jamos.
-
+ * xetexko-space.sty: new macro \disablejamoautojosa, needed for teckit
+ mapping of Jamos.
* xetexko-vertical.sty: \verticaltypesetting for plain tex was
missing.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index a8b0b584f33..fa5b1067e5f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1,5 +1,5 @@
-XeTeX-ko Package version 2.1 (2013/07/03)
+XeTeX-ko Package version 2.2 (2013/12/06)
=========================================
XeTeX-ko is a macro package for Xe(La)TeX which supports typesetting
@@ -24,9 +24,9 @@ See each file for details.
Author
------
Please report any errors or suggestions to
-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or leave messages in the issue tracker at:
- <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 <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Files
@@ -34,51 +34,51 @@ Files
### TeXinputs
- xetexko.sty -> tex/xetex/xetexko/
- xetexko-font.sty -> tex/xetex/xetexko/
- xetexko-hanging.sty -> tex/xetex/xetexko/
- xetexko-josa.sty -> tex/xetex/xetexko/
- xetexko-space.sty -> tex/xetex/xetexko/
- xetexko-vertical.sty -> tex/xetex/xetexko/
- hanja_hangul.tab -> tex/xetex/xetexko/
- hanjacom_hangul.tab -> tex/xetex/xetexko/
- hanjaexa_hangul.tab -> tex/xetex/xetexko/
+ xetexko.sty -> tex/xetex/xetexko/
+ xetexko-font.sty -> tex/xetex/xetexko/
+ xetexko-hanging.sty -> tex/xetex/xetexko/
+ xetexko-josa.sty -> tex/xetex/xetexko/
+ xetexko-space.sty -> tex/xetex/xetexko/
+ xetexko-vertical.sty -> tex/xetex/xetexko/
+ hanja_hangul.tab -> tex/xetex/xetexko/
+ hanjacom_hangul.tab -> tex/xetex/xetexko/
+ hanjaexa_hangul.tab -> tex/xetex/xetexko/
### Documents
- xetexko-doc.pdf -> doc/xetex/xetexko/
- xetexko-doc.tex -> doc/xetex/xetexko/
- README (this file) -> doc/xetex/xetexko/
- ChangeLog -> doc/xetex/xetexko/
+ xetexko-doc.pdf -> doc/xetex/xetexko/
+ xetexko-doc.tex -> doc/xetex/xetexko/
+ README (this file) -> doc/xetex/xetexko/
+ ChangeLog -> doc/xetex/xetexko/
Loading
-------
If you are a LaTeX user, declaring
- \usepackage{xetexko}
+ \usepackage{xetexko}
or
- \usepackage{kotex}
+ \usepackage{kotex}
is sufficient to load the package, which will load fontspec package
as well. Notice that kotex.sty is a file provided by cjk-ko package.
Under plain TeX:
- \input xetexko.sty
+ \input xetexko.sty
Package Options
---------------
- [hangul]
-Load Hangul captions. Besides, this option also adjusts interword
-and interline spacing.
+ [hangul]
+Load Hangul captions. Besides, this option also adjusts interline
+spacing.
- [hanja]
+ [hanja]
Load Hanja captions. Also adjusts spacing as [hangul] option does.
- [unfonts]
+ [unfonts]
Load font setting predefined for Un TrueType fonts available at
http://kldp.net/projects/unfonts/.
@@ -86,44 +86,46 @@ http://kldp.net/projects/unfonts/.
Hangul Font Commands
--------------------
- \setmainhangulfont
- \setsanshangulfont
- \setmonohangulfont
+ \setmainhangulfont
+ \setsanshangulfont
+ \setmonohangulfont
Same as \setmainfont et. al. provided by fontspec package, except that
these affect only Hangul characters and related symbols.
- \setmainhanjafont
- \setsanshanjafont
- \setmonohanjafont
+ \setmainhanjafont
+ \setsanshanjafont
+ \setmonohanjafont
Same as \setmainfont et. al., except that these affect only Hanja
characters.
In like manner, these commands are available as well:
- \hangulfontspec
- \hanjafontspec
- \newhangulfontfamily
- \newhanjafontfamily
- \addhangulfontfeature
- \addhanjafontfeature
+ \hangulfontspec
+ \hanjafontspec
+ \newhangulfontfamily
+ \newhanjafontfamily
+ \addhangulfontfeature
+ \addhanjafontfeature
+
+If \fallbackhanjafont is defined, it is used as a final fallback font.
Hangul Font Options
-------------------
- [hu=<dimen>]
+ [hu=<dimen>]
Set spacing between Hangul and Latin characters.
- [interhchar=<dimen>]
+ [interhchar=<dimen>]
Set spacing between Hangul characters.
- [lowerperiod=<dimen>]
+ [lowerperiod=<dimen>]
Lower latin fullstop after Hangul character.
- [quoteraise=<dimen>]
+ [quoteraise=<dimen>]
Raise latin quotation marks.
- [postmathskip=<dimen>]
+ [postmathskip=<dimen>]
Set spacing after inline math and before Hangul.
See xetexko-doc.pdf for more options.
@@ -132,21 +134,21 @@ See xetexko-doc.pdf for more options.
Other User Commands
-------------------
- \dotemph{...}
+ \dotemph{...}
Emphasise Hangul or Hanja by putting dot above.
- \begin{vertical}{<dimen>}
- \end{vertical}
+ \begin{vertical}{<dimen>}
+ \end{vertical}
This environment makes a vbox vertically typeset. <dimen> is an
argument required to indicate the box height. For vertical typesetting
of entire document, use the command \verticaltypesetting instead.
- \은 \는 \이 \가 \을 \를 \와 \과 \로 \으로 \라 \이라
+ \은 \는 \이 \가 \을 \를 \와 \과 \로 \으로 \라 \이라
Commands for automatic Josa selection. Unlike those of cjk-ko
package, these commands work correctly even after Hangul or Hanja.
- \jaso \gana \ojaso \ogana \pjaso \pgana \onum \pnum \oeng
- \peng \hnum \Hnum \hroman \hRoman \hNum \hanjanum
+ \jaso \gana \ojaso \ogana \pjaso \pgana \onum \pnum \oeng
+ \peng \hnum \Hnum \hroman \hRoman \hNum \hanjanum
Hangul counters provided by cjk-ko package.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index 824848268fa..d15e0d938e6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index 1886d9df545..09eed9fcb6f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5,59 +5,72 @@
%%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documentclass[a4paper]{article}
-\usepackage{typearea}
+\usepackage[hmargin=3.8cm]{geometry}
\usepackage[hangul]{xetexko}
-%\usepackage{xetexko-hanging}
-\setmainhangulfont[Ligatures=TeX,quoteraise=.1em]{NanumMyeongjo}
-\setmainhanjafont[Path,BoldFont=*Bold]{UnBatang}
-\setsanshangulfont[Ligatures=TeX]{NanumGothic}
-\usepackage{metalogo,xcolor,ulem}
+\setmainhangulfont[Ligatures=TeX]{KoPubBatang_Pro}
+\setsanshangulfont[Ligatures=TeX]{KoPubDotum_Pro}
+\usepackage{xetexko-hanging}
+\usepackage{hologo,xcolor,ulem}
\usepackage[bookmarksnumbered]{hyperref}
-\def\dotemphraise{0.2em}
\edef\verbatim{\unexpanded\expandafter{\verbatim
- \linespread{1.1}\selectfont\color{blue!50!black}}}
-\def\logoko{\textsf{k}\kern-.1em\textit{o}}
+ \linespread{1.1}\selectfont }}
+\def\logoko{\textsf{k}\kern-.2ex\textit{o}}
+\def\XeTeX{\hologo{XeTeX}}
\def\xetexko{\XeTeX\kern-.1ex -\logoko}
-\def\kotex{\logoko\kern-.1ex .\kern-.1667em \TeX}
-\pdfstringdefDisableCommands{\def\XeTeX{XeTeX}\def\xetexko{XeTeX-ko}}
+\def\kotex{\logoko\kern-.1ex .\kern-.1667em \hologo{TeX}}
+\pdfstringdefDisableCommands{\def\xetexko{XeTeX-ko}}
\renewcommand*\descriptionlabel[1]{\hspace\labelsep\ttfamily\bfseries
\color{blue!50!black}#1}
-\def\grayhrule{\color{white!80!black}\hrule height2pt\color{black}}
-\def\grayvrule{\color{white!80!black}\vrule width2pt\color{black}}
+\def\grayhrule{{\color{white!80!black}\hrule height2pt}}
+\def\grayvrule{{\color{white!80!black}\vrule width 2pt}}
\newenvironment{plaintex}
- {\par\medskip\leavevmode\hbox\bgroup\grayvrule\kern1em
- \vbox\bgroup\hsize=\dimexpr\textwidth-12pt\relax\small
- }{\egroup\egroup\par\medskip}
+ {\setbox0=\vbox\bgroup\hsize=\dimexpr\textwidth-12pt\relax\kern10pt\par\small}
+ {\par\vskip-\lastskip\kern10pt\egroup \par\medskip\par
+ \dimen0=\dimexpr\pagegoal-\pagetotal\relax
+ \ifdim\ht0<\dimen0
+ \hbox{\grayvrule\kern10pt\box0}%
+ \else
+ \lineskip=0pt \splittopskip=10pt
+ \setbox2=\vsplit0 to\dimen0
+ \ifvoid2 \else\hbox{\grayvrule\kern10pt\box2}\fi
+ \ifvoid0 \else\hbox{\grayvrule\kern10pt\box0}\fi
+ \fi \par\medskip\par }
\newenvironment{example}
- {\leavevmode\hbox\bgroup\grayvrule
+ {\hbox\bgroup\grayvrule
\vbox\bgroup\hsize\dimexpr\textwidth-4pt\relax
\grayhrule\kern1em\leftskip1em\rightskip1em
}{\par\kern1em\grayhrule\egroup\grayvrule\egroup}
-\def\cs#1{\texttt{\color{blue!50!black}\textbackslash #1}}
+\def\cs#1{\texttt{\textbackslash #1}}
\def\hemph#1{\textsf{\bfseries #1}}
+\def\hparen#1{{\small\hangulparens(#1)}}
+\def\hparens#1{\leavevmode\unskip---{\small #1}---\ignorespaces}
\parindent0pt
-
\begin{document}
\title{\xetexko\ 간단 매뉴얼}
\author{Dohyun Kim \normalsize <\texttt{nomos at ktug org}>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date{Version 2.1\quad\today}
+\date{Version 2.2\quad\today}
\maketitle
\begin{quote}\small
- For summary introduction in English,
+ For a summary introduction in English,
please see \verb+README+ file in this package.
주요 변경 사항
\begin{itemize}\itemsep=0pt
- \item 플레인텍에서 xetexko.tex이 아니라 xetexko.sty를 불러야 한다.
- \item 은글꼴을 자동으로 부르지 않는다. \verb+[unfonts]+ 옵션이 없으면
- 사용자가 한글 글꼴을 지시해야 할 수 있다.
- \item CJK 기호문자를 한글글꼴에서 찾아 식자하는 것이 기본값이 되었다.
- 과거에는 한자글꼴에서 찾았다.
- \item \verb|interpunctskern| 글꼴 옵션을 없애고
- \verb|quoteraise|를 추가했다.
+ \item 플레인텍에서 xetexko.tex이 아니라 xetexko.sty를 불러야 한다.
+ \item \verb+[unfonts]+ 옵션이 없으면 은글꼴을 자동으로 부르지 않는다.
+ \item CJK 기호문자를 \hparen{한자가 아니라} 한글 글꼴에서 찾는 것이
+ 기본값이 되었다.
+ \item \verb|interpunctskern| 글꼴 옵션을 없애고 \verb|quoteraise|를
+ 추가했다.
+ \item[2.2]---
+ \item 글꼴 옵션 \verb|charraise|를 추가했다.
+ \item \verb|\fallbackhanjafont| 명령을 인식한다.
+ \item \verb|\everyhangul|, \verb|\everyhanja| 명령이 추가되었다.
+ \item 하이픈 문자를 \hparen{직전 글꼴이 아니라} 라틴 글꼴에서 찾는
+ 것이 기본값이 되었다.
\end{itemize}
\end{quote}
@@ -90,7 +103,7 @@ EUC-KR이나 CP949 입력도 지원하는데, 다음과 같은 선언이 있으
\xetexko\ 로드하기: \cs{usepackage\{xetexko\}}.
이 명령은 fontspec 및 xunicode 패키지도 불러온다.
-종전과 달리 \hemph{xltxtra 패키지를 함께 부르지 않음}을 주의할 것.
+종전과 달리 xltxtra 패키지를 함께 부르지 않음을 주의할 것.
\begin{plaintex}
플레인텍이라면 \verb|\input xetexko.sty| 명령으로 로드한다.
@@ -105,22 +118,20 @@ EUC-KR이나 CP949 입력도 지원하는데, 다음과 같은 선언이 있으
절 제목 이하에는 한자 표제가 붙지 않고 숫자로만 표현된다.
한글이 주된 언어라고 인식하여 줄간격 조정도 수행한다.
\item[ unfonts ] 은글꼴을 불러온다. \hemph{이 옵션이 없으면
- 사용자가 한글 글꼴을 지정해야} 할 수 있다.\footnote{\texttt{[unfonts]}
- 옵션이 없더라도 \texttt{\string\setmainfont}로 지시한 글꼴에
- 한글 글리프가 들어있으면 따로 한글 글꼴을 지정한 필요가 없다.}
+ 사용자가 한글 글꼴을 지정해야} 할 수 있다.
\end{description}
\section{글꼴 명령}
\begin{verbatim}
\setmainfont [Ligatures=TeX]{Linux Libertine}
- \setmainhangulfont[Ligatures=TeX]{나눔명조}
- \setmainhanjafont [Ligatures=TeX]{은 바탕}
+ \setmainhangulfont[Ligatures=TeX]{NanumMyeongjo}
+ \setmainhanjafont [Ligatures=TeX]{UnBatang}
\end{verbatim}
각 명령의 의미는 이름이 뜻하는 그대로이며, fontspec 매뉴얼에 따라
-설정한다. 한글폰트를 지정하지 않더라도 경고만 내보낼 뿐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한자폰트를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한글폰트가 적용된다.
+설정한다. 한글폰트를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영문폰트가 한글에도 사용된다.
+한자폰트를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한글폰트가 한자에도 적용된다.
+
마찬가지로 다음 명령들도 제공한다.
\begin{verbatim}
\setsansfont \setsanshangulfont \setsanshanjafont
@@ -137,17 +148,17 @@ EUC-KR이나 CP949 입력도 지원하는데, 다음과 같은 선언이 있으
\end{plaintex}
\begin{verbatim}
- \hangulfontspec[Ligatures=TeX]{나눔고딕}
+ \hangulfontspec[Ligatures=TeX]{NanumGothic}
\hanjafontspec [Ligatures=TeX]{UnGungseo}
\end{verbatim}
임시로 사용할 한글·한자 글꼴을 지시한다.
\cs{adhochangulfont}와 \cs{adhochanjafont}는 이들 명령의 다른 이름이다.
\begin{verbatim}
- \newhangulfontfamily\secthangul[Ligatures=TeX]{나눔고딕}
- \newhanjafontfamily \secthanja [Ligatures=TeX]{UnGungseo}
- \newhangulfontface \secthangul[Ligatures=TeX]{나눔고딕Bold}
- \newhanjafontface \secthanja [Ligatures=TeX]{UnDotumBold}
+ \newhangulfontfamily\myhangul[Ligatures=TeX]{NanumGothic}
+ \newhanjafontfamily \myhanja [Ligatures=TeX]{UnGungseo}
+ \newhangulfontface \myhangul[Ligatures=TeX]{NanumGothic Bold}
+ \newhanjafontface \myhanja [Ligatures=TeX]{UnDotumBold}
\end{verbatim}
fontspec 패키지의 \verb+\newfontfamily+ \verb+\newfontface+ 명령을
수정한 것이다.
@@ -157,32 +168,37 @@ fontspec 패키지의 \verb+\newfontfamily+ \verb+\newfontface+ 명령을
\addhanjafontfeature {Color=00FF00}
\end{verbatim}
fontspec의 \verb+\addfontfeature+ 명령을 구현한 것이다.
-\cs{addhangulfontfeatures}와\\ \cs{addhanjafontfeatures}는
-이들 명령의 다른 이름이다.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smallskip
참고로, 한자와 한글을 같은 글꼴로 식자하고 싶을 때 글꼴 설정을
번거롭게 두 번 할 필요 없이 한글 글꼴만 설정한 뒤 간단히
\cs{hanjabyhangulfont}를 선언하면 된다.
+한편 버전 2.2부터는 \cs{fallbackhanjafont}를 정의해두면
+\hemph{한자 글꼴에도 없는 한자}를
+이 글꼴에서 찾아 식자한다. \verb|\newfontfamily| 명령으로 정의한다.
+
+
\section{기호 글꼴 명령}
라틴 문자나 CJK 기호를 어떤 폰트로 식자할 것인가를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
\begin{verbatim}
\xetexkofontregime[quotes=latin, puncts=prevfont]{hangul}
\end{verbatim}
모든 라틴 문자와 CJK 기호들을 원칙적으로 한글 폰트로 식자하되,
-따옴표는 라틴 폰트로 찍고 마침표 따위는 직전 문자의 폰트를 따라간다는 의미이다.
+따옴표는 라틴 폰트로 찍고 마침표 따위는 현재 폰트를 따라간다는 의미이다.
옵션은 생략할 수 있다.
명령의 인자에는 latin, hangul, hanja, prevfont 중 하나가 올 수 있어서
각각 라틴 폰트, 한글 폰트, 한자 폰트로 식자하라는 뜻이며
-마지막의 prevfont는 직전 문자의 폰트를 그대로 이어받도록 지시한다.
+마지막의 prevfont는 \hemph{현재 활성화된 폰트를 그대로 받도록} 지시한다.
+현재 폰트가 직전 문자의 폰트가 아닐 수 있음에 주의할 것.
옵션 키의 종류와 의미는 다음과 같으며 각 키 값은 인자와 마찬가지로
latin, hangul, hanja, prevfont 가운데 하나를 허용한다.
-\begin{description}\itemsep0pt
+\begin{description}\itemsep0pt\hangulparens
\item[alphs] 라틴 알파벳 및 아래에 해당하지 않는 모든 라틴 문자
-\item[nums] 라틴 숫자(수식 제외)
+\item[nums] 라틴 숫자 \hparen{수식 제외}
\item[parens] 라틴 괄호, 중괄호, 대괄호, 꺽쇠
\item[quotes] accent grave, apostrophy 및 이들의 리거쳐
\item[colons] 라틴 콜론, 세미콜론, endash, emdash
@@ -191,12 +207,13 @@ latin, hangul, hanja, prevfont 가운데 하나를 허용한다.
\item[cjksymbols] CJK 구두점, 괄호 및 상징기호
\end{description}
-기본값은 다음 명령을 준 것과 동일하다. \hemph{CJK 기호가 한글폰트로 식자되게
-기본값이 변경되었음}에 유의할 것.
+기본값은 다음 명령을 준 것과 동일하다. \hemph{CJK 기호가 한글폰트}로,
+\hemph{하이픈은 라틴폰트}로
+식자되게 기본값이 변경되었음에 유의할 것.
\begin{verbatim}
- \xetexkofontregime [
- puncts=prevfont, hyphens=prevfont, colons=prevfont, cjksymbols=hangul
- ]{latin}
+ \xetexkofontregime
+ [ puncts=prevfont, colons=prevfont, cjksymbols=hangul ]
+ {latin}
\end{verbatim}
\begin{plaintex}
@@ -220,7 +237,7 @@ latin, hangul, hanja, prevfont 가운데 하나를 허용한다.
\section{간격 조정}
한글 관련 미세 간격 조정은 다음과 같이 폰트 옵션으로 지시한다.
\begin{verbatim}
- \setsanshangulfont[interhchar=-.04em]{나눔고딕}
+ \setsanshangulfont[interhchar=-.04em]{NanumGothic}
\end{verbatim}
이 때 나눔고딕 글꼴에만 한글 마이너스 자간이 작동한다.
\dotemph{고정폭 글꼴을 제외한} 한글·한자 글꼴
@@ -228,45 +245,50 @@ latin, hangul, hanja, prevfont 가운데 하나를 허용한다.
허용되는 옵션은 다음과 같다. 각 항목의 길이값은 기본값을 뜻한다.
\begin{description}\itemsep0pt
\item[hu]
-영문자와 한글 사이 간격. 영문 괄호와 한글 사이 간격은 그 두 배이다. 0.06em.
+ 영문자와 한글 사이 간격. 영문 괄호와 한글 사이 간격은 그 두 배이다. 0.06em.
\item[interhchar]
-한글 자간.\footnote{한자 자간 옵션은 제공하지 않는다.
- 혹시 한자 자간을 조절하고 싶다면
- \texttt{\string\XKinterhanjabreak}을 재정의하라.
- 참고로 한글 자간을 조절하는 저수준 명령은
- \texttt{\string\XKinterhangulbreak} 이다.}
-0pt.
+ {\addhangulfontfeature{interhchar=0.3em} 한글 자간.}%
+ \footnote{한자 자간 옵션은 제공하지 않는다.
+ 혹시 한자 자간을 조절하고 싶다면 \cs{XKinterhanjabreak}을 재정의하라.
+ 참고로 한글 자간을 조절하는 저수준 명령은 \cs{XKinterhangulbreak} 이다.}
+ 0pt.
+\item[charraise] 버전 2.2의 새로운 옵션으로
+ 글자의 \hemph{\addhangulfontfeature{charraise=.5ex}수직 위치}를 조절한다.
+ 다른 글꼴 관련 효과와 충돌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0pt.
\item[lowerperiod]
-CJK 문자 직후의 마침표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정도. 0pt.
+ CJK 문자 직후의 마침표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 {\addhangulfontfeature{lowerperiod=.5ex}정도. 0pt.}
\item[lowerquestion]
-CJK 문자 직후의 물음표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정도. 0pt.
+ CJK 문자 직후의 물음표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정도. 0pt.
\item[lowerexclamation]
-CJK 문자 직후의 느낌표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정도. 0pt.
+ CJK 문자 직후의 느낌표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정도. 0pt.
\item[lowercomma]
-CJK 문자 직후의 쉼표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정도. 0pt.
+ CJK 문자 직후의 쉼표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정도. 0pt.
\item[preperiodkern]
-CJK 문자 직후의 마침표 앞에 들어가는 간격. 0pt.
+ {\addhangulfontfeature{preperiodkern=1ex}CJK 문자 직후의 마침표 앞에
+ 들어가는 간격. 0pt.}
\item[postperiodkern]
-CJK 문자 직후의 마침표 뒤에 들어가는 간격. 0pt.
+ {\addhangulfontfeature{postperiodkern=1ex}CJK 문자 직후의 마침표 뒤에
+ 들어가는 간격. 0pt.}
\item[prequestionkern]
-CJK 문자 직후의 물음표 앞에 들어가는 간격. 0pt.
+ CJK 문자 직후의 물음표 앞에 들어가는 간격. 0pt.
\item[postquestionkern]
-CJK 문자 직후의 물음표 뒤에 들어가는 간격. 0pt.
+ CJK 문자 직후의 물음표 뒤에 들어가는 간격. 0pt.
\item[preexclamationkern]
-CJK 문자 직후의 느낌표 앞에 들어가는 간격. 0pt.
+ CJK 문자 직후의 느낌표 앞에 들어가는 간격. 0pt.
\item[postexclamationkern]
-CJK 문자 직후의 느낌표 뒤에 들어가는 간격. 0pt.
+ CJK 문자 직후의 느낌표 뒤에 들어가는 간격. 0pt.
\item[precommakern]
-CJK 문자 직후의 쉼표 앞에 들어가는 간격. 0pt.
+ CJK 문자 직후의 쉼표 앞에 들어가는 간격. 0pt.
\item[postcommakern]
-CJK 문자 직후의 쉼표 뒤에 들어가는 간격. 0pt.
+ CJK 문자 직후의 쉼표 뒤에 들어가는 간격. 0pt.
\item[quoteraise]
-영문 인용부호{\small(grave accent나 apostrophe로 입력하는 것을 말함)}를
-위로 끌어올리는 정도. 0pt.
+ 영문 인용부호\hparens{아스키문자로 입력하는 것을 말함}를
+ 위로 끌어올리는 정도. 0pt.
\item[quotewidth]
-영문 인용부호의 폭. 기본값은 natural width.
+ 영문 인용부호의 폭. 기본값은 natural width.
\item[postmathskip]
-수식과 CJK 문자 사이의 간격. 기본값은 위 hu 값의 두 배.
+ 수식과 CJK 문자 사이의 간격. 기본값은 위 hu 값의 두 배.
\end{description}
\begin{plaintex}
@@ -274,6 +296,7 @@ CJK 문자 직후의 쉼표 뒤에 들어가는 간격. 0pt.
\begin{verbatim}
\def\xetexkohu{0.06em }
\def\xetexkointerhchar{-0.04em }
+ \def\xetexkocharraise{-0.1ex }
\def\xetexkolowerperiod{0.15ex }
\def\xetexkolowerquestion{0.15ex }
\def\xetexkolowerexclamation{0.15ex }
@@ -294,13 +317,20 @@ CJK 문자 직후의 쉼표 뒤에 들어가는 간격. 0pt.
\section{그밖의 명령들}
\begin{description}
+ \item[\cs{everyhangul}, \cs{everyhanja}]
+ 한글 또는 한자에 대해 글자마다 지시한 명령을 수행한다. 예컨대
+ \verb|\everyhangul{\fbox{#1}}| 명령은 모든
+ {\everyhangul{\fbox{#1}}\fboxsep=0.4pt 한글 주위에 박스}를
+ 두른다. 2.2 버전의 새로운 명령. 다른 글꼴 옵션과 충돌할 수 있으므로
+ 주의를 요한다.
+
\item[\cs{disablekoreanfonts}]
한글폰트를 따로 설정하지 않고 영문 폰트를 따라간다.
이 때 \verb|\setmainfont| 따위가 한글과 한자에도 적용된다.
\item[\cs{disableautojosa}]
혹시 있을지 모를 예기치 못한 기능간 충돌에 대비하여 자동조사 기능을
-끄는 명령을 제공하고 있다.
+끄는 명령을 제공한다.
\item[\cs{disablejamoautojosa}]
옛한글 자모에 한해서 자동조사 기능을 끈다.
@@ -314,7 +344,7 @@ CJK 문자 직후의 쉼표 뒤에 들어가는 간격. 0pt.
버전 2.1에서 새롭게 추가된 명령이다.
\item[\cs{disablecjksymbolspacing}]
-CJK 구두점이나 괄호의 폭을 0.5em으로 강제설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CJK 구두점의 폭을 0.5em으로 강제설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xetexko는 낡은 고정폭 한글 폰트들을 고려하여 이 기능을 구현하였으나
현대적인 한글 폰트는 이러한 과잉친절이 오히려 성가실 경우가 있다.
@@ -381,6 +411,7 @@ CJK 구두점이나 괄호의 폭을 0.5em으로 강제설정하는 것을 방
\hfil\begin{vertical}{16em}
\hangulfontspec[Vertical=RotatedGlyphs]{Adobe Myungjo Std}
\hangulmarks \hanjabyhangulfont \parindent-1em\leftskip1em
+ \disablecjksymbolspacing
\noindent 님의 침묵 {\small(The Silent Beloved)}
\smallbreak
\hfil\hfil 한 용 운\hfil
@@ -401,7 +432,7 @@ CJK 구두점이나 괄호의 폭을 0.5em으로 강제설정하는 것을 방
역시 고급 오픈타입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폰트가 이를 지원해야 한다.
\begin{verbatim}
- \setmainhangulfont[ Vertical=RotatedGlyphs ]{Adobe 명조 Std}
+ \setmainhangulfont[ Vertical=RotatedGlyphs ]{Adobe Myungjo Std}
\end{verbatim}
문서 전체를 세로쓰기할 때 \cs{verticaltypesetting}을 선언하면
면주는 그대로 두고 본문만 세로쓰기한다.\footnote{당연히 면주의 글꼴은
@@ -412,11 +443,11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보통 그 뒤에 세로쓰기에 사용할 글꼴 명령이 온다.
\begin{verbatim}
\begin{vertical}{12em}
- \hangulfontspec[ Vertical=RotatedGlyphs ]{Adobe 명조 Std}
+ \hangulfontspec[ Vertical=RotatedGlyphs ]{Adobe Myungjo Std}
세로쓰기로 식자할 부분
\end{vertical}
\end{verbatim}
-만일 세로쓰기의 EM 박스 크기가 가로쓰기와 다르다면
+만일 세로쓰기의 em 박스 크기가 가로쓰기와 다르다면
\cs{verticalem=1.05em}과 같은 선언을 미리 해두는 것이 좋다.
혹시 세로로 식자되지 않는 라틴문자 부분이 있다면
@@ -427,9 +458,9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begin{plaintex}
플레인텍이라면,
\begin{verbatim}
- \vertical{16em}\hangulfont="Adobe 명조 Std:vertical"
- 세로쓰기로 식자할 부분
- \endvertical
+ \vertical{16em}\hangulfont="Adobe Myungjo Std:vertical"
+ 세로쓰기로 식자할 부분
+ \endvertical
\end{verbatim}
\end{plaintex}
@@ -437,7 +468,7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begin{figure}
\begin{example}
- \setmainhanjafont{STFangsong}\chinese
+ \hanjafontspec{STFangsong}\chinese
子曰:「學而時習之,不亦說乎?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
有子曰:「其為人也孝弟,而好犯上者,鮮矣!不好犯上,而好作亂者,未之有也!君子務本,本立而道生;孝弟也者,其為仁之本歟?」
@@ -465,10 +496,8 @@ Tchinese도 제공하는데 중국어 번체 글꼴을 사용한다면 이 환
마침표, 쉼표, 인용부호를 판면 바깥에 식자하여 행 끝에 매달리게 만든다.
\begin{verbatim}
\usepackage{xetexko-hanging}
- \hangingpunctuation
\end{verbatim}
-\cs{hangingpunctuation} 명령은 글꼴 설정이 완료된 이후에 내려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cs{hangingpunctuation} 명령은 버전 2.2 이후 불필요해졌다.
%\begin{figure}
%\Large
@@ -489,7 +518,7 @@ Tchinese도 제공하는데 중국어 번체 글꼴을 사용한다면 이 환
%\end{figure}
\section{수식 한글}
-수식 모드에서도 한글을 {\small(hbox로 감싸지 않고)}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수식 모드에서도 한글을 \hparens{hbox로 감싸지 않고} 직접 입력할 수 있다.
\begin{quote}
\verb|$가^{나^다}$|\quad$\Rightarrow\quad가^{나^다}$
\end{quote}
@@ -548,16 +577,12 @@ Tchinese도 제공하는데 중국어 번체 글꼴을 사용한다면 이 환
\section{밑줄긋기}
\LaTeX에서는 \uline{ulem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만으로 자동 지원된다.
\begin{plaintex}
-플레인텍에서는 패키지 로드 후 사용자가 \verb|\xetexkoulemsupport|
+플레인텍에서는 패키지 로드 후 사용자가 \cs{xetexkoulemsupport}
명령을 내려주어야 한다.
\end{plaintex}
\section{hyperref}
hyperref 패키지는 \verb+[unicode]+ 옵션 없이 쓴다.
-
-\begin{flushright}
- \fboxsep=-\fboxrule
- \fbox{\vbox to1em{\hbox to1em{\hss}\vss}}
-\end{flushright}
+\hfill \fboxsep=-\fboxrule \fbox{\vbox to1em{\hbox to1em{\hss}\vss}}
\end{doc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