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options
autho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21-03-12 23:30:42 +0000 |
---|---|---|
committe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21-03-12 23:30:42 +0000 |
commit | 0c4f41d2d7d60b48d60d5c43d11efd0ac2559eab (patch) | |
tree | af0dcadba965a377b4c73b008da29d25dca5c981 /Master/texmf-dist/doc/latex | |
parent | 1693549f9000660a7545f69e6296e37daea79429 (diff) |
kotex-oblivoir (9mar21)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58310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latex')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 7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 2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mathleading-doc.pdf | bin | 0 -> 95320 bytes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mathleading-doc.tex | 174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chaptertoc-doc.pdf | bin | 0 -> 80946 bytes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chaptertoc-doc.tex | 137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 bin | 230610 -> 242033 bytes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 113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test.tex | 5 |
9 files changed, 433 insertions, 5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index 3d3363ec93c..7260a32e8cb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 -1,3 +1,10 @@ +2021-03-03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 Version 3.0 + + * fixed several bugs. + * oblivoir has now obchaptertoc and ob-mathleading sub packages. + 2020-03-20 Kangsoo Kim <karnes at ktug.org> Version 2.2.1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index a91b290d9e9..ac0485cf9d7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 -1,4 +1,4 @@ -kotex-oblivoir, v2.2 +kotex-oblivoir, v3.0 ==================== Introduction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mathleading-doc.pdf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mathleading-doc.pdf Binary files differ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0..ef86c8a924b --- /dev/null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mathleading-doc.pdf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mathleading-doc.tex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mathleading-doc.tex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0..47f8b06dbce --- /dev/null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mathleading-doc.tex @@ -0,0 +1,174 @@ +% +% arara: xelatex + +\documentclass[a4paper,amsmath]{oblivoir} + +\usepackage{fapapersize} +\usefapapersize{*,*,1in,*,1in,*} + +\setmainfont{Crimson Pro} +\setsansfont{Open Sans} +\setmonofont{Roboto Mono} +\setkomainfont[Noto Serif CJK KR]()( Bold) +\setkosansfont[Noto Sans CJK KR]()( Bold) + +\usepackage[default=false,exception={vmatrix}]{ob-mathleading} +\usepackage{mathtools} + +\newcommand\pkg[1]{\textsf{#1}} + +\usepackage{tcolorbox} +\tcbuselibrary{listings,breakable} + +\begin{document} + +\title{ob-mathleading} +\author{Nova de Hi} +\date{2018/12/25, v0.0.1} + +\maketitle + +\begin{abstract} +\pkg{amsmath} 패키지의 여러 줄 수식 환경의 행 간격을 본문의 행 간격과는 무관하게 일정하게 +고정하거나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키지이다. 본문 행 간격의 기본값이 $1$이 아닌 +한국어 문서에서 활용할 목적으로 제작하였다. +\end{abstract} + +\tableofcontents* + +\section{목적과 기능} + +\pkg{amsmath}의 여러 줄 수식을 \pkg{oblivoir}에서 쓸 적에 한글 문서의 기본 행간의 영향을 받아 +수식의 행간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줄 수식 환경에 대하여 기본 행간격을 주는 것이 +이 패키지의 목적이다. + +본문의 문단과 별행 수식 사이의 간격과 같은 것은 이 패키지가 제어하지 아니하며 ``여러 줄 수식''에 대해서만 +효과가 있다. + +이 패키지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pkg{oblivoir} 문서를 작성한 결과와 이 패키지를 사용한 결과를 비교하여 보아라. +\[ + \begin{bmatrix} a & b & c \\ p & q & f \\ g & j & i \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0 & 1\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ast\! \\ 0 & 1 & \ast\! \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0 & 1 \\ 0 & 0 \end{bmatrix},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begin{obMathLeading} +\[ + \begin{bmatrix} a & b & c \\ p & q & f \\ g & j & i \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0 & 1\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ast\! \\ 0 & 1 & \ast\! \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0 & 1 \\ 0 & 0 \end{bmatrix},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end{obMathLeading} + +\section{사용법} + +\subsection{기본적인 사용법} + +문서의 preamble에 패키지의 사용을 선언한다. + +\begin{tcblisting}{listing only} + \usepackage{ob-mathleading} +\end{tcblisting} + +``적절한'' 행간격을 얻기 위해서는 이렇게 선언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패키지의 수식 행간격 기본값은 $1$이다. + +\subsection{명령과 환경} + +일관성있는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수식 행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부득이하게 특정 부분이나 특정 수식에 대해서만 행간을 늘리거나 줄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패키지는 이럴 경우에 대응하기 위하여 하나의 명령(선언)과 하나의 환경을 제공한다. + +\begin{tcblisting}{listing only} + \obmathleading{<value>} +\end{tcblisting} + +\verb|<value>|에는 stretch 값을 \verb|1.2|, \verb|2|와 같이 준다. 이 선언 이후에는 수식 행간격이 변경되며 이 변경은 지역적(\emph{local})이므로 +현재의 범위(scope) 내에서 유효하다. + +\begin{tcblisting}{listing only} + \begin{obMathLeading}[<value>] + ... + \end{obMathLeading} +\end{tcblisting} + +\verb|obMathLeading| 환경은 이 환경 안에 오는 수식에만 영향을 끼친다. 옵션 인자가 주어지지 않으면 +기본값인 $1$이 사용되며 옵션 인자가 주어지면 그것을 stretch로 사용하여 행간격을 조절한다. +환경 안에는 \pkg{amsmath}의 여러 줄 수식 환경이 올 수 있다. + +\subsection{패키지 옵션} + +\subsubsection{옵션 \texttt{mathleading}} + +문서 전체에 걸쳐 수식 행간격을 임의로 조절하고자 한다면 +\begin{tcblisting}{listing only} + \usepackage[mathleading=<value>]{ob-mathleading} +\end{tcblisting} +\noindent 와 같이 지정한다. \verb|<value>|에는 stretch 값이 온다. 패키지의 기본값은 \verb|1|이다. + +\subsubsection{옵션 \texttt{exception}} + +이 패키지가 영향을 미치는 \pkg{amsmath}의 수식 환경의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 +\begin{quote} +\begin{ttfamily} + array, matrix, pmatrix, bmatrix, Bmatrix, vmatrix, Vmatrix, + cases, align, aligned, alignat, alignedat, gather, gathered, + split, multline, xalignat, xxalignat +\end{ttfamily} +\end{quote} + +이 가운데 행간 조절 적용을 배제하고자 하는 환경의 이름을 쉼표로 분리하고 중괄호로 묶어서 열거할 수 있다. + +\begin{tcblisting}{listing only} + \usepackage[exception={cases,vmatrix}]{ob-mathleading} +\end{tcblisting} + +다만 이 경우에 \texttt{align, alignat, xalignat, xxalignat}는 모두 동일한 +것으로 취급되며 \texttt{align}만을 대표 이름으로 다룬다. \texttt{align}과 \texttt{aligned}는 +서로 다른 환경이므로 별도로 취급된다. + +다음 보기는 \verb|exception={vmatrix}| 옵션을 준 상태의 예시이다. + +\begin{tcblisting}{listing above text} +\begin{obMathLeading} +\[ + \begin{bmatrix} a & b & c \\ p & q & f \\ g & j & i \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0 & 1\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ast\! \\ 0 & 1 & \ast\! \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0 & 1 \\ 0 & 0 \end{bmatrix}, + \begin{v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vmatrix} +\] +\end{obMathLeading} +\end{tcblisting} + +\subsubsection{옵션 \texttt{default}} + +일반적인 상황은 아니겠지만 수식 행간격을 조절하는 이 패키지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단지 명령과 환경, \verb|\obmathleading|이나 +\verb|obMathLeading|만을 활용하고자 한다면 +\begin{tcblisting}{listing only} + \usepackage[default=false]{ob-mathleading} +\end{tcblisting} +이와 같이 \verb|[default=false]|를 옵션으로 줄 수 있다. 패키지의 기본값은 \verb|true|이다. + +\subsubsection{옵션 \texttt{noallowdisplaybreaks}} + +이 패키지는 \verb|\allowdisplaybreaks|를 실행해준다. 이 기능을 억제하고자 한다면 +패키지 옵션으로 \verb|[noallowdisplaybreaks]|를 선언한다. 마지막의 \verb|s|를 빠뜨리지 않도록 +유의하라. + +\section{적용 범위} + +이 패키지는 (이름에 나타난 바와 같이) \pkg{oblivoir}를 위하여 작성되기는 하였지만 \pkg{oblivoir} 클래스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른 클래스의 문서에서도 동작할 것이다. + +\pkg{amsmath}는 필수적이며 \pkg{etoolbox}를 로드한다. + +\section{감사의 말} + +테스트 문서와 예제 소스를 제공하신 ktug 게시판의 Progress 님, 패키지 제작의 동기를 제공하신 조인성 교수께 감사드린다. + + +\end{document}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chaptertoc-doc.pdf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chaptertoc-doc.pdf Binary files differ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0..a63f3f15d39 --- /dev/null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chaptertoc-doc.pdf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chaptertoc-doc.tex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chaptertoc-doc.tex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0..f4ae7bd7fe5 --- /dev/null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chaptertoc-doc.tex @@ -0,0 +1,137 @@ +\documentclass[a4paper,oneside]{oblivoir} + +\usepackage{fapapersize} +\usefapapersize{*,*,30mm,50mm,35mm,*} + +\setmainfont{TeX Gyre Pagella} +\setkomainfont(Noto Serif CJK KR) +\setkosansfont(Noto Sans CJK KR Light)(Noto Sans CJK KR Medium) + +\usepackage{obchaptertoc} + +\ExplSyntaxOn + +\renewcommand*\sideparform{\raggedright} +\sideparmargin{right} +\NewDocumentCommand \pkgcmd { m } +{ + \cs{#1} + \sidepar{\cs{#1}} +} + +\ExplSyntaxOff + +\makeatletter +\makechapterstyle{thisdoc}{% + \chapterstyle{section} + \renewcommand\clearforchapter{\par} + \setlength\beforechapskip{2\onelineskip} +% \setlength\midchapskip{10pt} + \setlength\afterchapskip{1.33\onelineskip} + \renewcommand*\chaptitlefont{\sffamily\LARGE} + \renewcommand*\chapnamefont{\sffamily\large} + \renewcommand*\chapnumfont{\sffamily\Large} + \renewcommand*\pre@chapter{} + \renewcommand*\post@chapter{} + \renewcommand*\memendofchapterhook{\chaptertoc}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thechapter} +} + +\chapterstyle{thisdoc} + +\begin{document} + +\calccentering{\unitlength} + +\title{chapter toc for oblivoir} +\author{Nova de Hi} +\date{2020/09/02 \quad v2.0} +\begin{adjustwidth}{\unitlength}{-\unitlength} +\maketitle +\end{adjustwidth} + +\section{개요} +chaptertoc에 대해서는 게시판의 이곳저곳에 이런저런 솔루션들이 있습니다. 패키지도 많고요. memoir 관련해서 yihoze께서 (언젠지 기억나지 않지만) chaptertoc를 위한 외부 파일 기법으로 제안하셨던 것도 있었던 기억이 나네요. + +그런데 뭔가 oblivoir에서 깔끔하게 동작하지 않든가, 손봐야 하는 곳이 너무 많든가 하더라고요. 작년 memoir 스터디그룹에서 이 문제를 다루었는데, 그 때 토론한 내용을 바탕으로 패키지로 만들었습니다. 다른 추가적인 것 없이 오로지 oblivoir와 memoir 명령만으로 chaptertoc를 만들도록 했습니다. + +사용설명서를 만들기 귀찮기 때문에... 복잡한 패키지도 아니고 해서, 사용법을 여기에 간단히 기록해둡니다. + +\section{옵션} + +[v2.0] 다음 옵션을 줄 수 있습니다. +\begin{verbatim} +\usepackage[level=part]{obchaptertoc} +\end{document} +\end{verbatim} + +level로 제공할 수 있는 값은 \verb|book|, \verb|part|이고, 기본값은 \verb|chapter|입니다. +아무 것도 주지 않으면 이 값이 \verb|chapter|인 것과 같습니다. + +이를 통하여 parttoc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컨대, +\begin{verbatim} +\usepackage[level=part]{obchaptertoc} +\chaptertocmaxlevel{chapter} +\renewcommand\chaptertocfont{\normalfont\normalsize\selectfont} +\renewcommand\printparttitle[1]{#1\par\vspace{40pt}\chaptertoc} +\end{verbatim} +이것은 가장 간단한 parttoc를 위한 코드입니다. + +참고로, 이 패키지는 part에는 parttoc를 붙이고 chapter에 또다시 chaptertoc를 붙이는 +(비상식적인) 상황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비록 parttoc를 작성하더라도 +식자 명령은 여전히 \cs{chaptertoc}입니다. 다른 설정 명령도 마찬가지입니다. + +\section{명령} + +\subsection{\cs{chaptertoc} 명령} + +명령이 주어진 위치에 현재 chapter의 chaptertoc를 식자합니다. 보통은 장 타이틀이 끝나고 본문이 시작하기 전에 위치할 테니까 \cs{memendofchapterhook}에 넣어두어도 됩니다. + +\subsection{\cs{ChapterTOCafterskiptrue}\texttt{|false}} + +디폴트는 true입니다. 이 값이 참이면 \cs{chaptertoc}를 식자하고 \cs{par}해줍니다. 그런데 framed 환경에 넣는다든가 장식을 하려 할 때 마지막에 한 줄이 생기는 것을 회피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cs{ChapterTOCafterskipfalse}로 지정합니다. + +\subsection{\cs{chaptertocmaxlevel}} + +chaptertoc를 어느 수준까지 만들 것인가 지정합니다. 인자로 section, subsection 등 장절 명령의 이름을 적어줄 수 있고, depth 카운터를 나타내는 숫자를 적어도 됩니다. 디폴트는 subsection까지를 chaptertoc로 만드는 것입니다. + +\section{포매팅} + +\subsection{\cs{ChapterTOCFormat} 명령} + +chaptertoc의 모든 포매팅 설정은 memoir의 \verb|\cft...| 명령으로 합니다. 그러나 이 명령을 재정의하는 코드를 그냥 preamble에 넣으면 그것은 문서 전체의 toc에 해당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chaptertoc를 위한 cft 설정 명령들을 \cs{ChapterTOCFormat} 명령의 인자로 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begin{verbatim} +\ChapterTOCFormat{% + \renewcommand\cftsectionfont{\sffamily\small} + \setlength{\cftsectionnumwidth}{3em} +} +\end{verbatim} +이런 식으로 모든 chaptertoc용 cft 설정 명령들을 여기에 모아서 지정하면 됩니다. + +\subsection{\cs{chaptertocfont}} + +위에 보인 바와 같이 chaptertoc 내의 section, subsection등의 폰트를 다 renewcommand할 수 있지만, 가끔 chaptertoc 전체의 폰트를 지정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것은 \cs{chaptertocfont}라는 매크로를 재정의하면 됩니다. \cs{cftsectionfont} 등이 우선이고 이렇게 개별적으로 폰트를 지정하지 않았다면 \cs{chaptertocfont}의 설정을 따릅니다. 기본값은 \verb|\rmfamily\normalsize|입니다. + +\subsection{\cs{TOCFormatsameas}} + +그런데 이런 식으로 설정하다보면 section에 대해서 한 설정을 subsection에 대해서도 일일이 해주어야 하는 것이 귀찮을 수 있습니다. \cs{TOCFormatsameas} 명령은 3개의 인자를 취하는데, \verb|#1|은 설정하고자 하는 section level 이름, \verb|#2|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section level 이름, \verb|#3|은 동일하게 변경하고자 하는 매크로의 끝이름입니다. 다음 예는, +\begin{verbatim} +\TOCFormatsamsas{subsection}{section}{dotsep,presnum} +\end{verbatim} +이것은 \cs{cftsubsectiondotsep}을 \cs{cftsectiondotsep}과 같게 하고, \cs{cftsubsectionpresnum}을 \cs{cftsectionpresnum}과 동일하게 설정하라는 의미입니다. 마지막 인자는 필요한 것을 더 추가할 수 있습니다. + + +\section{기타} + +스타일 파일과 테스트 파일을 함께 묶어 올립니다. 테스트 파일 test.tex을 보시면 어떻게 사용하는지 한눈에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 패키지는 오로지 oblivoir만을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 다른 클래스가 로드되면 에러를 보이면서 멈춥니다. 심지어 memoir와도 함께 쓰지 못합니다. + +후의 수정을 쉽게 하기 위해 답글로 파일을 업로드하겠습니다. + +사실 이 스타일 파일은 앞서 <문장강화> 소스를 올릴 적에 간략히 작성했던 것을 버그를 고치고 기능을 보충한 것입니다. + +version 2.0은 KTUG 게시판에 parttoc에 대한 질문이 올라온 것을 보고 확장하였습니다. + + + +\end{document} +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Binary files differindex 7b1184120f0..78aa2ff2c65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index adcec4cc165..ed7d01c6e1a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 -95,16 +95,16 @@ \begin{document} -\title{초간단 \obclass{} v2.2 사용법} +\title{초간단 \obclass{} v3.0 사용법} -\date{2020년 2월} +\date{2021년 3월} \author{x-ob-liv-oir } \maketitle \begin{abstract} -\obclass{} 클래스 2.0 버전은 그 동안 별도의 브랜치로 개발되어 오던 +\obclass{} 클래스 3.0 버전은 그 동안 별도의 브랜치로 개발되어 오던 \xobclass와 \obclass를 통합하여 완전히 동일한 클래스가 되었다. 이 문서는 \obclass{} 즉 \xobclass를 사용하는 방법을 간략히 기술한다. @@ -796,6 +796,9 @@ fontspec 설명서와 \xetexko, \luatexko\ 설명서를 참고하라. \subsection{기정의 폰트 세트} +기정의 글꼴 옵션은 \texttt{[nanum]}과 \texttt{[hcr]}이 있다. 나눔 글꼴과 함초롬 글꼴 +자체는 자신이 스스로 설치하여야 한다. + 클래스 옵션으로 \texttt{[nanum]}을 지정하면 본문이 나눔명조와 나눔고딕으로 식자된다.\footnote{% \XeTeX 이나 \LuaTeX 에서는 은 바탕을 기본 글꼴로 하고 있다. \hologo{pdfTeX}을 위한 kotex-utf의 경우는 여전히 nanumtype1이다.} @@ -810,6 +813,15 @@ kotex-utf의 경우는 여전히 nanumtype1이다.} 그밖의 폰트에서 옛한글을 처리하게 하려면(예를 들어 Malgun Gothic, UnBatang 등) feature 추가 옵션으로 \texttt{[Script=Hangul]}을 지정할 수 있다.} +문서의 Preamble에 \verb|\setkomainfont| 명령을 쓴 적이 없고 \texttt{[hcr]}이나 \texttt{[nanum]} 클래스 옵션도 부여하지 않는다면 문서는 은 글꼴로 식자한다. oblivoir는 +은 글꼴의 자간과 어간을 조금 조절하는 것을 기본값으로 한다. 만약 은 글꼴에 아무런 +조작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쓰고 싶다면 \verb|\setkomainfont| 등의 명령으로 은 글꼴을 +지정하라. + +은 글꼴을 기본 글꼴로서 다루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TeX\,Live에 포함되어 배포되기 +때문에 별도의 폰트 설치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며, 이 글꼴은 한글 \LaTeX 의 발전사와 +깊이 연관되어 있는 중요한 글꼴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 %클래스 옵션 \texttt{[unfonts]}는 은 바탕, 은 돋움, 은 타자, 은 그래픽을 이용하여 본문 글꼴을 식자하게 한다. %\texttt{[gremph]}일 때 바탕글꼴의 이탤릭이 은 그래픽으로 찍힌다. 또한 이 옵션은 \texttt{[Script=Hangul]}을 %자동으로 추가하여 옛한글을 은 바탕으로 잘 처리할 수 있게 하였다. 은 글꼴을 옵션으로 주지 않고 \cs{setkomainfont} 명령으로 주려면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HCR 글꼴과 달리 자동으로 폰트 이름을 보고 \texttt{[Script=Hangul]}을 삽입하지 않으므로 feature 옵션에 지정한다. base name을 ``UnBatang''으로 하고 확장자를 잇대어 쓰도록 @@ -1434,6 +1446,98 @@ oblivoir가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페이지 스타일로 \texttt{hangul} \pagestyle{hangul} \end{boxedverbatim} +\subsection{crop mark: K style} + +출판 현장에서 oblivoir를 이용하여 단행본을 제작하려 할 적에 \textsf{memoir}의 +기본 crop mark가 너무 길어서 불평하는 경우가 있었다. 우리나라의 출판 현장에 +알맞도록 조금 짧은 crop mark를 다음 명령으로 그릴 수 있게 하였다. +\begin{boxedverbatim} +\trimKmark +\end{boxedverbatim} + +\subsection{chaptertoc} + +\marginpar{v3.0} +chaptertoc란 장 표제면에 그 chapter에 해당하는 절(section) 이하의 목록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 목적을 위한 별도의 패키지가 있고 oblivoir에서 해당 패키지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oblivoir v3.0은 \textsf{obchaptertoc}라는 부수 +패키지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textsf{memoir}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다른 패키지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chaptertoc를 제작하게 한 것이다. +이 기능은 오직 \verb|\chapter|보다 높은 수준의 문서구분명령에서만 동작하며 +\verb|\section| 이하 수준의 명령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verb|[chapter]| 옵션이 +주어진 경우에 유효하다고 하겠다. + +\begin{boxedverbatim} +\usepackage{obchaptertoc} +%% +\chaptertoc +\end{boxedverbatim} + +이 패키지는 원래 독자적으로 개발되었던 것으로 안내 문서를 따로 가지고 있다(한국어). +문서를 읽으려면 +\begin{verbatim} +# texdoc obchaptertoc +\end{verbatim} + +\subsection{mathleading} + +oblivoir는 한국어 문서에 대하여 기본 행간을 넓혀서 조판하기 때문에 여러 줄 수식의 경우에도 +그 영향을 받아서 행간격이 늘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textsf{amsmath}의 여러 줄 수식에 대하여 이 문제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textsf{ob-mathleading} +패키지를 포함하였다. 따로 문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라. + +\begin{boxedverbatim} +\usepackage{ob-mathleading} +\end{boxedverbatim} + +문서를 읽으려면, +\begin{verbatim} +# texdoc ob-mathleading +\end{verbatim} + +\subsection{\cs{ReleaseMacro} 명령} + +여러 \LaTeX\ 패키지를 로드하여 쓰다 보면 어떤 명령이 이미 정의되었다는 에러를 +만날 때가 있다. 이럴 때는 해당 패키지를 로딩하기 전에 +\begin{boxedverbatim} +\ReleaseMacro{\XeTeX,\XeLaTeX} +\end{boxedverbatim} +과 같이 선언하여 이미 정의된 매크로를 무력화하는 시도를 해볼 수 있다. +이 명령은 preamble에서만 쓰게 되어 있다. + + +\subsection{oblivoirlist} + +나열 환경의 아이템 간 간격을 제어하기 위하여 \verb|\oblivoirlist|와 +\verb|\oblivoirlists| 명령을 마련하였다. \verb|\oblivoirlists|는 +해당 선언 이후 모든 나열환경을 \verb|\oblivoirlist| 간격으로 만든다. + +\begin{itemize}\oblivoirlist +\item 배 +\item 사과 +\item 복숭아 +\end{itemize} + +다음 보기와 비교하여 보아라. + +\begin{itemize} +\item 배 +\item 사과 +\item 복숭아 +\end{itemize} + +\textsf{memoir}의 \verb|\firmlist|와 \verb|\tightlist|는 여전히 동작한다. + +\subsection{sidefootnote와 footnotesinmargin} + +\footnotesinmargin +oblivoir 2.0까지 \verb|\footnotesinmargin|이 동작하지 않던 문제를 고쳤다.\footnote{이 각주는 마진에 놓인다.} + +\verb|\sidefootnote|에서 발생하던 문제점도 해결하였다.\sidefootnote{이 각주는 사이드 풋노트이다.} + +\footnotesatfoot +\textsf{memoir} 설명서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동작한다.\footnote{상세한 것은 memoir manual을 볼 것.} + \section{HTML 제작} \textsf{lwarp}를 이용하여 HTML을 제작하려면 문서에 \textsf{lwarp} @@ -1620,6 +1724,9 @@ Lua\TeX 과 \XeTeX 이라는 유니코드 텍 엔진의 등장은, 이러한 모 \section{변경 이력} +2021년의 3.0 버전은 상당히 많은 버그와 의도와 다른 동작을 수정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였다. + 2020년의 2.2 버전은 그 동안 알려진 몇 가지 버그를 수정하고 약간의 기능을 추가하는 데 그쳤다.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test.tex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test.tex index 58952054f1c..41b45aab741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test.tex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test.tex @@ -19,7 +19,8 @@ %% public domain. %% -\documentclass[demo,chapter,openany,amsmath,gremph,lwarp]{oblivoir} +%\documentclass[demo,chapter,openany,amsmath,gremph,lwarp]{oblivoir} +\documentclass[demo,chapter,openany,amsmath,gremph]{oblivoir} %%% amsmath 옵션은 amsmath, amssymb 패키지를 로드해준다.. %% display overfullrule @@ -29,6 +30,8 @@ \usepackage{fapapersize} \usefapapersize{220mm,276mm,20mm,80mm,30mm,35mm} +\usepackage{ob-mathleading} + % 폰트 설정 \ifPDFTeX \usepackage{mathpaz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