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options
autho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22-03-01 21:47:59 +0000 |
---|---|---|
committe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22-03-01 21:47:59 +0000 |
commit | cd83186b6a2e004ec7ca663b8ee2013ffdfbf78e (patch) | |
tree | 0c3191f6b88f1bb59fa3fc7b277879ee59b11add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 | |
parent | 31afaba5f0ee1bebaaf3baf38155c765a19a025e (diff) |
kotex-oblivoir (1mar22)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62314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 17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 11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 bin | 247256 -> 256845 bytes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 161 |
4 files changed, 132 insertions, 57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index e259523d9f9..b723bbdfd32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 -1,16 +1,11 @@ -2021-09-21 Kangsoo Kim <modviv2k15@gmail.com> +2022-03-01 Kangsoo Kim - Version 3.0.2 - - * fix the conflicts with lwarp - -2021-03-15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 Version 3.0.1 - - * changed Unfont usage. + Version 3.1 + + * update fapapersize.sty + * add oblivoir-misc.sty -2021-03-03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2021-03-03 Kangsoo Kim Version 3.0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index 429d4b646d7..0a1edaa49f5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 -1,5 +1,10 @@ -kotex-oblivoir, v3.0.2 -====================== +kotex-oblivoir +==================== + +Current State +------------- + +* 2022/03/01, uploaded to CTAN. Introduction ------------ @@ -19,7 +24,7 @@ Dependencies kotex-oblivoir depends on the following packages to function: * memoir: base class -* ko.TeX: Korean typesetting +* ko.TeX: Korean typesetting packages Usage -----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Binary files differindex ec1eeb63be9..fc2916f03fe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index 30cd92bd486..f48873d430c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 -19,13 +19,20 @@ % lwarp ]{oblivoir} +\usepackage{xcolor} + \usepackage{fapapersize} \usefapapersize{*,*,30mm,*,35mm,*} +\definefageometry{default}{30mm,*,35mm,*}[\nopagecolor] +\definefageometry{test}{15mm,25mm,35mm,*}[\pagecolor{cyan!15}] \usepackage{kotex-logo} \hypersetup{colorlinks,linkcolor=blue} +\usepackage{afterpage} +\usepackage{oblivoir-misc} + %%% ifpxltex can be installed from KTUG Private Repository. not included in TeX Live \usepackage{ifpxltex} @@ -96,9 +103,9 @@ \begin{document} -\title{초간단 \obclass{} v3.0.1 사용법} +\title{초간단 \obclass{} v3.1 사용법} -\date{2021년 3월} +\date{2022년 3월} \author{x-ob-liv-oir } @@ -1214,6 +1221,8 @@ ExternalLocation으로 호출할 수 있을 것이다. 리눅스에서는 모르 % 참고로, bnm, cnm 등의 \obclass{} \oblivoirquote{괄호 명령}에도 별표(*)를 붙여 앞뒤 간격을 % 줄여줄 수 있다. |\ccnm{테스트}|, |\ccnm*{테스트}|. +\clearpage + \section{그밖의 사항들} \subsection{판면 설정을 위한 fapapersize} @@ -1254,8 +1263,54 @@ oblivoir에서 제공된다. \item [newmum] 신국판. (154mm$\times$225mm). 여백 25mm. \item [1in] \hologo{plainTeX}에서처럼 1in 오프셋을 설정한 판면. 여백 1in. \item [dbl4x6] 4$\times$6 배판. (190mm$\times$260mm). 여백 30mm. +\item [a4] \texttt{a4paper} 용지에 \texttt{[1in]} 옵션과 같은 여백. \end{description} +\bigskip + +\marginpar{v3.1} +\texttt{geometry} 패키지의 \cs{newgeometry}, \cs{restoregeometry} 명령과 유사하게 +문서의 중간에 페이지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명령이 있다.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 +\begin{description} +\item [\cs{definefageometry}] 페이지 레이아웃을 정의하고 저장한다. +\begin{verbatim} +\definefageometry{default}{20mm,*,25mm,*} +\end{verbatim} +첫 번째 인자는 이 페이지 레이아웃의 unique한 이름으로서 letter로 이루어진다. + +두 번째 mandatory 인자는 \verb|\fapapersize| 명령에서 +페이지 사이즈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네 개의 길이를 쉼표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 +이 명령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begin{verbatim} +\definefageometry{default}[before]{<layout>}[after] +\end{verbatim} +여기 before와 after 위치에는 레이아웃을 바꾸기 전과 후에 실행할 +토큰을 둘 수 있다. + +\item[\cs{selectfagemetry}] 정의된 페이지 레이아웃을 적용한다. +레이아웃 변경의 효과는 반드시 새로운 페이지가 시작되어야 나타나기 때문에 +\cs{newpage} 또는 \cs{clearpage}를 직접 지정하여야 하나, +이 명령에 별표를 붙이면 페이지 레이아웃을 정의하기 전에 \cs{clearpage}를 +실행한다. +페이지 레이아웃이 define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 +\end{description} + +다음 한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바꾸어본다. 다음과 같이 정의한 레이아웃이다 +\begin{verbatim} +\definefageometry{test}{15mm,25mm,35mm,*}[\pagecolor{cyan!15}] +\end{verbatim} + +\bigskip + +\cs{evenmarginsameasodd}는 짝수쪽의 마진을 홀수쪽 마진과 +동일하게 설정하라는 명령이다. 페이지 레이아웃 디자인시에 필요할 수 +있어서 별도로 정의해두었다. + +\selectfageometry*{test} + \subsection{enumerate} enumerate 패키지의 enumerate 아이템 항목 머리 설정은 @@ -1329,6 +1384,8 @@ png, jpg, pdf 그림을 잘 불러온다. %즉 \obclass가 알맞게 이 패키 \hfill “소절 \myREF{sec:font}{sec:폰트}\를 보라.” \end{minipage} +\selectfageometry*{default} + \subsection{문장부호} 이 패키지가 제공하는 문장부호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1457,46 +1514,6 @@ oblivoir가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페이지 스타일로 \texttt{hangul} \trimKmark \end{boxedverbatim} -\subsection{chaptertoc} - -\marginpar{v3.0} -chaptertoc란 장 표제면에 그 chapter에 해당하는 절(section) 이하의 목록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 목적을 위한 별도의 패키지가 있고 oblivoir에서 해당 패키지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oblivoir v3.0은 \textsf{obchaptertoc}라는 부수 -패키지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textsf{memoir}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다른 패키지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chaptertoc를 제작하게 한 것이다. -이 기능은 오직 \verb|\chapter|보다 높은 수준의 문서구분명령에서만 동작하며 -\verb|\section| 이하 수준의 명령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verb|[chapter]| 옵션이 -주어진 경우에 유효하다고 하겠다. - -\begin{boxedverbatim} -\usepackage{obchaptertoc} -%% -\chaptertoc -\end{boxedverbatim} - -이 패키지는 원래 독자적으로 개발되었던 것으로 안내 문서를 따로 가지고 있다(한국어). -문서를 읽으려면 -\begin{verbatim} -# texdoc obchaptertoc -\end{verbatim} - -\subsection{mathleading} - -oblivoir는 한국어 문서에 대하여 기본 행간을 넓혀서 조판하기 때문에 여러 줄 수식의 경우에도 -그 영향을 받아서 행간격이 늘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textsf{amsmath}의 여러 줄 수식에 대하여 이 문제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textsf{ob-mathleading} -패키지를 포함하였다. 따로 문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라. - -\begin{boxedverbatim} -\usepackage{ob-mathleading} -\end{boxedverbatim} - -문서를 읽으려면, -\begin{verbatim} -# texdoc ob-mathleading -\end{verbatim} - \subsection{\cs{ReleaseMacros} 명령} 여러 \LaTeX\ 패키지를 로드하여 쓰다 보면 어떤 명령이 이미 정의되었다는 에러를 @@ -1571,10 +1588,65 @@ oblivoir 2.0까지 \verb|\footnotesinmargin|이 동작하지 않던 문제를 \caption{그림과 표의 캡션} \end{figure} - 이를 제외한 다른 부분, 이를테면 label과 caption text의 폰트를 바꾸는 것 등은 memoir의 해당 명령을 이용한다. 즉, \verb|\captionnamefont|, \verb|\captiontitlefont| 등을 이용하라는 것이다. +\section{보조 패키지} + +\subsection{chaptertoc} + +\marginpar{v3.0} +chaptertoc란 장 표제면에 그 chapter에 해당하는 절(section) 이하의 목록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 목적을 위한 별도의 패키지가 있고 oblivoir에서 해당 패키지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oblivoir v3.0은 \textsf{obchaptertoc}라는 부수 +패키지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textsf{memoir}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다른 패키지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chaptertoc를 제작하게 한 것이다. +이 기능은 오직 \verb|\chapter|보다 높은 수준의 문서구분명령에서만 동작하며 +\verb|\section| 이하 수준의 명령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verb|[chapter]| 옵션이 +주어진 경우에 유효하다고 하겠다. + +\begin{boxedverbatim} +\usepackage{obchaptertoc} +%% +\chaptertoc +\end{boxedverbatim} + +이 패키지는 원래 독자적으로 개발되었던 것으로 안내 문서를 따로 가지고 있다(한국어). +문서를 읽으려면 +\begin{verbatim} +# texdoc obchaptertoc +\end{verbatim} + +\subsection{mathleading} + +oblivoir는 한국어 문서에 대하여 기본 행간을 넓혀서 조판하기 때문에 여러 줄 수식의 경우에도 +그 영향을 받아서 행간격이 늘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textsf{amsmath}의 여러 줄 수식에 대하여 이 문제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textsf{ob-mathleading} +패키지를 포함하였다. 따로 문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라. + +\begin{boxedverbatim} +\usepackage{ob-mathleading} +\end{boxedverbatim} + +문서를 읽으려면, +\begin{verbatim} +# texdoc ob-mathleading +\end{verbatim} + +\subsection{oblivoir-misc} + +\marginpar{v3.1} +시험적인 기능이나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명령을 포함하고 있는 +부수 패키지이다. 현재 다음 두 가지 명령이 정의되어 있다. + +\begin{description} +\item[tikz pagenode] \texttt{tikz}를 로드했을 때 \texttt{current page} +노드가 memoir의 레이아웃과 미묘하게 엇갈리는 것을 보정해준다. 이것은 oblivoir-misc를 로드하면 (tikz가 불렸을 때) 자동으로 처리한다. +\item[\cs{texthl}] 한글 문자에 \texthl{하이라이트}해준다. 실험적인 기능으로 +현재 \XeLaTeX 일 때에 정상 동작한다. 하이라이트할 색상은 \cs{obhlcolor}, 높이와 +위치는 \cs{obhlheight}, \cs{obhlraisedim}을 재정의하여 설정할 수 있다. +\end{description} + \section{HTML 제작} @@ -1762,6 +1834,9 @@ Lua\TeX 과 \XeTeX 이라는 유니코드 텍 엔진의 등장은, 이러한 모 \section{변경 이력} +2022년의 3.1 버전은 fapapersize에 새로운 명령을 추가하고 약간의 +개선된 기능을 포함하였다. + 2021년의 3.0 버전은 상당히 많은 버그와 의도와 다른 동작을 수정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