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macros/luatex/generic/luatexko/luatexko-doc.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macros/luatex/generic/luatexko/luatexko-doc.tex')
-rw-r--r--macros/luatex/generic/luatexko/luatexko-doc.tex51
1 files changed, 27 insertions, 24 deletions
diff --git a/macros/luatex/generic/luatexko/luatexko-doc.tex b/macros/luatex/generic/luatexko/luatexko-doc.tex
index b0785e692b..759a46bfb9 100644
--- a/macros/luatex/generic/luatexko/luatexko-doc.tex
+++ b/macros/luatex/generic/luatexko/luatexko-doc.tex
@@ -79,7 +79,7 @@
\usepackage{hologo}
\def\luatex{\hologo{LuaTeX}}
\def\XeTeX{\hologo{XeTeX}}
-\usepackage[pdfencoding=auto,bookmarksnumbered,hidelinks]{hyperref}
+\usepackage[hidelinks]{hyperref}
\edef\verbatim{\unexpanded\expandafter{\verbatim\linespread{1.1}\selectfont}}
\edef\itemize{\unexpanded\expandafter{\itemize\small}}
@@ -104,19 +104,21 @@
\author{Dohyun Kim \normalsize |<nomos at ktug org>| \and
Soojin Nam \normalsize |<jsunam at gmail com>|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luatexko}>}
-\date{Version 2.5\quad 2019/12/01}
+\date{Version 2.6\quad 2020/02/17}
\maketitle
\begin{quote}\small
For a summary introduction in English, please see |README| file.
\begin{itemize}\linespread{1.1}\selectfont
+ \item[v2.6] ------
+ \item \hyperref[sec:fontswitch]{\cs{hangulbyhangulfont} 및
+ \cs{hanjabyhanjafont}가 지역적 효력만 가짐}
\item[v2.5] ------
- \item LuaHB\TeX\ 지원
+ \item LuaHB\TeX\ 지원 (세로쓰기 제외)
\item[v2.2] ------
\item \hyperref[sec:fontoption]{글꼴옵션 |InterCharStretch| 제공}
\item[v2.0] ------
- \item \hyperref[sec:fontoption]{글꼴옵션 |PunctRaise|, |NoEmbeding| 제거}
\item \hyperref[sec:mathhangul]{수식 한글 글꼴을 자동으로 잡아주지 않음}
\item \cs{actualtext} 명령 작동 않음. 대신, 옛한글 텍스트 추출 자동 지원%
\footnote{%
@@ -133,7 +135,7 @@
\section{부르기}\label{sec:loading}
-\hemph{\texlive\ 2019 이상}{ \small (\luatex\ v1.10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hemph{\texlive\ 2020 이상}{ \small (\luatex\ v1.12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luatexko\ 부르기: \cs{usepackage{luatexko}} 혹은 \cs{usepackage{kotex}}.%
\footnote{%
@@ -155,10 +157,17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section{글꼴명령}\label{sec:fontcmds}
-\luatexko를 로드하면 fontspec 패키지를 자동으로 불러온다. 글꼴 설정은
-fontspec 문서를 참조.
+\luatexko를 부르면 fontspec 패키지도 자동 불러온다. 글꼴 설정은
+fontspec 문서 참조.
-한국어 글꼴을 위해 새로 마련한 명령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글꼴을 위해 새로 마련한 명령은 다음과 같다.%
+\pkgkwd*{\setmainhangulfont}%
+\pkgkwd*{\setsanshangulfont}%
+\pkgkwd*{\setmonohangulfont}%
+\pkgkwd*{\newhangulfontfamily}%
+\pkgkwd*{\newhangulfontface}%
+\pkgkwd*{\addhangulfontfeature}%
+\pkgkwd*{\hangulfontspec}
첫 두 줄, 즉 main/sans 글꼴들에는 |Ligatures=TeX| 옵션이 자동으로 주어진다.%
\footnote{%
\cs{adhochangulfont} \cs{adhochanjafont} \cs{addhocfallbackfont}는
@@ -169,13 +178,6 @@ fontspec 문서를 참조.
\cs{hangulfont=UnDotum\relax}\\
\cs{hanjafont=UnDotum at 14pt}\\
\cs{fallbackfont=HanaMinB at 12pt} }
-\pkgkwd*{\setmainhangulfont}%
-\pkgkwd*{\setsanshangulfont}%
-\pkgkwd*{\setmonohangulfont}%
-\pkgkwd*{\newhangulfontfamily}%
-\pkgkwd*{\newhangulfontface}%
-\pkgkwd*{\addhangulfontfeature}%
-\pkgkwd*{\hangulfontspec}%
\begin{verbatim}
\setmainhangulfont \setmainhanjafont \setmainfallbackfont
\setsanshangulfont \setsanshanjafont \setsansfallbackfont
@@ -199,20 +201,21 @@ fontspec 문서를 참조.
하지만 \pkgkwd{\hangulbyhangulfont}|=1|을 선언하면 한글은 우선 한글폰트로
식자한다. 또한 \pkgkwd{\hanjabyhanjafont}|=1|을 선언하면 한자는 우선 한자폰트로
식자한다. 두 경우 모두 |0|을 선언하면 원래 방식으로 되돌아간다.
-문단 중간에서 사용해도 동작한다. 그러나 루아코드가 실행되므로
-텍의 그룹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문단 중간에서 사용해도 동작한다. \sout{그러나 루아코드가 실행되므로
+텍의 그룹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일정한 영문 문장부호들은 한글 폰트로 식자된다.
즉, \pkgkwd{\hangulpunctuations}|=1|이 기본으로 작동하고,
|0|을 지시해야 이 기능이 비로소 꺼진다.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으며,%
\footnote{%
정확히 말하자면 |\\language=\\l@nohyphenation|, 즉 하이프네이션이
허용 안 되는 상황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부연하건대, |\\language=\\l@nohyphenation| 상황에서 작동하지 않는
그밖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줄바꿈 허용, InterCharacter, InterHangul,
InterLatinCJK, CompressPunctuations, RemoveClassicSpaces,
- 한글^^b7한자 폰트 문자 다음의 공백 크기 조정 등. }\,%
+ 한글^^b7한자 폰트 문자 다음의 공백 크기 조정 등. }
+문장부호가 고정폭 글꼴일 때에도 작동하지 않는다.%
\footnote{%
또한 플레인텍에서는 영문글꼴을 트루타입/오픈타입으로 지정해야만 작동한다. }
영향 받는 문장부호들의 기본값은 다음과 같다:
@@ -223,22 +226,22 @@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0x2015] ― [0x2018] ‘ [0x2019] ’ [0x201C] “
[0x201D] ” [0x2026] … [0x203B] ※
\end{verbatim}
-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이 목록에 문자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인자는 콤마로 분리된 숫자 형식으로서 유니코드 코드포인트를 뜻한다.
-이들 명령은 문단 중간에서도 쓸 수 있지만,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이 목록에 문자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pkgkwd*{\registerpunctuations}%
\pkgkwd*{\unregisterpunctuations}
+인자는 콤마로 분리된 숫자 형식으로서 유니코드 코드포인트를 뜻한다.
\begin{verbatim}
\registerpunctuations{45, "2D, `-}
\unregisterpunctuations{"2D, "2015}
\end{verbatim}
+이상 문장부호 관련 명령들은 문단 중간에서도 쓸 수 있지만,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section{줄바꿈 허용}\label{sec:break}
어떤 글자 앞이나 뒤에서 줄바꿈을 허용하고 싶을 때 아래와 같이 명령을 준다.%
\pkgkwd*{\registerbreakableafter}%
\pkgkwd*{\registerbreakablebefore}
+이들 명령을 문단 중간에서 사용하면 문단의 처음부터 전역적 효력을 가진다.
\begin{verbatim}
\registerbreakableafter{"2460, "2461}
\registerbreakablebefore{"2460, "2461}
@@ -362,7 +365,7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않다. 가령 U+3002 (\char"3002) 처리의 경우.}
\item[Protrusion] \pkgkwd*{Protrusion}%
- 특정 글자가 행 끌에 왔을 때 판면 바깥으로 끌어내는
+ 특정 글자가 행 끝에 왔을 때 판면 바깥으로 끌어내는
기능이다. Lua\TeX은 기본값으로 온점 반점 등을 완전 글자내밀기 한다.
|Protrusion|은 |Protrusion=default|와 같은 뜻이다.%
\foot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