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rw-r--r--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67
1 files changed, 37 insertions, 30 deletions
diff --git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index 6a47752169..b36c3641b5 100644
---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61,7 +61,8 @@
%\date{2020/07/19\quad v0.2.0}
%\date{2020/01/20\quad v0.2.1}
%\date{2020/01/28\quad v0.3}
-\date{2020/01/30\quad v0.3.1}
+%\date{2020/01/30\quad v0.3.1}
+\date{2020/02/05\quad v0.3.2}
\maketitle
@@ -166,11 +167,12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호환 자모를 \cmda{\jamoword} 명령의 인자 안에서 쓰는 방법은 \ref{sec:compjamo}절을 보라. 이 명령은 본문
중에서 독립적으로 쓰기 위해 마련되었다.
인자로 단 하나의 자모만이 와야 한다. 설령 \texttt{RRK} 옵션을 부여하여 RRK 입력 방법을 쓰는 때라도
-이 명령의 인자는 이 패키지의 고유한 전자 규칙을 따른다.
+이 명령의 인자는 이 패키지의 고유한 전자 규칙을 따른다. 쌍아래아는 유니코드 호환 자모에는 정의되어 있지
+않으나 편의를 위하여 조판할 수 있도록 해두었다.
\medskip
\begin{exampleside}
-\jmcc{BSG} \jmcc{@} \jmcc{UEY}
+\jmcc{BSG} \jmcc{@} \jmcc{UEY} \jmcc{@@}
\end{exampleside}
\section{轉字 규칙} \label{sec:pmrule}
@@ -225,13 +227,13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centering
\caption{알파벳-자모 대응 규칙: 자음}\label{tab:cons}
\ttfamily
-\begin{tabular}{ll|ll|ll|ll}
+\begin{tabular}{ll|ll|ll|ll|ll}
\hline
-ㄱ & g & ㄴ & n & ㄷ & d & ㄹ & r \\
-ㅁ & m & ㅂ & b & ㅅ & s & ㅇ & \textbf{x} \\
-ㅈ & j & ㅊ & c & ㅋ & k & ㅌ & t \\
-ㅍ & p & ㅎ & h & \char"3181 & \textbf{q} & \char"317F & \textbf{z} \\
-\char"3186 & \textbf{f} & & & & & & \\
+ㄱ & g & ㄴ & n & ㄷ & d & ㄹ & r & ㅁ & m \\
+ㅂ & b & ㅅ & s & ㅇ & \textbf{x} & ㅈ & j & ㅊ & c \\
+ㅋ & k & ㅌ & t & ㅍ & p & ㅎ & h & & \\ \hline
+\char"3181 & \textbf{q} & \char"317F & \textbf{z} &
+\char"3186 & \textbf{f} & & & & \\
\hline
\end{tabular}
\end{table}
@@ -284,29 +286,31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verb|\jamoword{g@i}| \jamoword{g@i}.
-\item `쌍아래아'는 현대의 제주어 표기에서 이따금 필요하다. 모양대로 \verb|@@|로 적으며 \verb|y@|를 취하지 않았다. 현대 국어에서 이 글자의 소리는 잊혀진 것이라서 소리로 연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item `쌍아래아(\jmcc{@@})'는 현대의 제주어 표기에서 이따금 필요하다. 모양대로 \verb|@@|로 적으며 \verb|y@|를 취하지 않았다. 현대 국어에서 이 글자의 소리는 잊혀진 것이라서 소리로 연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verb|\jamoword{@@/nam/vn}| \jamoword{@@/nam/vn}.
\item 표준 로마자 표기법에서 \texttt{wa}, \texttt{wo}, \texttt{we}, \texttt{wi}로 표기할 때 나타나는 반자음 \verb|w|은 채택하지 않았다. `ㅘ, ㅝ, ㅟ'는 생긴 대로 \texttt{oa}, \texttt{ue}, \texttt{ui}로 적는다.
-\item 이 패키지는 Unicode 4.0의 한글 자모 보충 A, B를 지원한다. 그러므로 한글 자모 영역([U+11XX])에는 없는 `\jamoword{wuye}'와 같은 모음을 표기할 수 있다. \verb|\jamoword{sa/guye}| \jamoword{sa/guye/}. 물론 폰트가 이를 지원해야 한다.
+\item 이 패키지는 Unicode 4.0의 한글 자모 확장 A, B를 지원한다. 그러므로 한글 자모 영역([U+11XX])에는 없는 `\jamoword{wuye}'와 같은 모음을 표기할 수 있다. \verb|\jamoword{sa/guye}| \jamoword{sa/guye/}. 물론 폰트가 이를 지원해야 한다.
\end{enumerate}
\subsubsection{호환자모 음절} \label{sec:compjamo}
\cmda{\jamoword}나 \env{jamotext} 범위 안에서 호환 자모를 식자하려면 해당하는 자모를 대문자로, 하나의 음절로 입력한다.
-별도로 \cmda{\jmcc}를 쓰지 않는다. 그러나 반드시 하나의 자모가 한 음절이어야 한다.\\
-\verb|\jamoword{B/n@n; ib/si/ur;sso/ri;ni;}|
-\jamoword{B/n@n; ib/si/ur;sso/ri;ni;}
+별도로 \cmda{\jmcc}를 쓰지 않는다. 그러나 반드시 하나의 자모가 한 음절이어야 한다.
-\verb|\jamoword{孟m@ix/子j@/I/ g@r/@/sya/d@i}|
+\begin{exampleside}
+\jamoword{B/n@n; ib/si/ur;sso/ri;ni;} \\
\jamoword{孟m@ix/子j@/I g@r/@/sya/d@i}
+\end{exampleside}
\medskip
호환 자모 아래아 `\jmcc{@}'를 \cmda{\jamoword} 인자 안에서 식자하려 할 때는 자모 아래아 `\jamoword{w@}'와
-구별하기 위해 대문자 \texttt{W}로 표기해야 한다. \verb|W|와 \verb|WI|만이 지원된다.
+구별하기 위해 대문자 \texttt{W}로 표기해야 한다. \verb|W|, \verb|WW|, \verb|WI|만이 지원된다.
-\verb|\jamoword{W/n@n; 呑t@n/D/字/jj@x; ga/on;d@is;so/ri; g@;t@;ni/ra;.}| \\
-\jamoword{W/n@n; 呑t@n/D/字/jj@x; ga/on;d@is;so/ri; g@;t@;ni/ra;.}
+\begin{exampleside}
+\jamoword{W/n@n; 呑t@n/D/字/jj@x; ga/on;d@is;so/ri; g@;t@;ni/ra;.}\\
+\jamoword{WW/nvn jei/ju/e pyo/gi/ei i/yox/doin/da/.}
+\end{exampleside}
\subsubsection{문장 부호, 한자와 음절 한글}
@@ -608,7 +612,7 @@ nar;ro; bsu;mey;
\let\jamotext\relax
\let\endjamotext\relax
\ExplSyntaxOn
-\input {pmhanguljamo-rrk.tex}
+\input {pmhanguljamo-rrk.sty}
\ExplSyntaxOff
패키지 옵션으로 \verb|[rrk]| 또는 \verb|[RRK]|가 주어지면 입력 규칙이 표준 로마자 표기법 전자법 방식으로
@@ -630,6 +634,18 @@ RRK는 이 문서의 영어 명칭인 \emph{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의
\centering
\begin{tabular}{ll|ll|ll|ll|ll|ll}
\hline
+\multicolumn{12}{l}{자음}\\ \hline
+ㄱ & g & ㄲ & kk & ㅋ & k & ㄷ & d & ㄸ & tt & ㅌ & t \\
+ㅂ & b & ㅃ & pp & ㅍ & p & ㅈ & j & ㅉ & jj & ㅊ & ch \\
+ㅅ & s & ㅆ & ss & ㅎ & h & & & & & & \\
+ㄴ & n & ㅁ & m & ㅇ & ng & ㄹ & l & & & & \\ \hline
+\end{tabular}
+\end{table}
+
+\begin{table}[h]
+\centering
+\begin{tabular}{ll|ll|ll|ll|ll|ll}
+\hline
\multicolumn{12}{l}{모음} \\ \hline
ㅏ & a & ㅓ & eo & ㅗ & o & ㅜ & u & ㅡ & eu & ㅣ & i\\
ㅐ & ae & ㅔ & e & ㅚ & oe & ㅟ & wi & & & & \\ \hline
@@ -638,17 +654,6 @@ RRK는 이 문서의 영어 명칭인 \emph{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의
\end{tabular}
\end{table}
-\begin{table}[h]
-\centering
-\begin{tabular}{ll|ll|ll|ll|ll|ll}
-\hline
-\multicolumn{12}{l}{자음}\\ \hline
-ㄱ & g & ㄲ & kk & ㅋ & k & ㄷ & d & ㄸ & tt & ㅌ & t \\
-ㅂ & b & ㅃ & pp & ㅍ & p & ㅈ & j & ㅉ & jj & ㅊ & ch \\
-ㅅ & s & ㅆ & ss & ㅎ & h & & & & & & \\
-ㄴ & n & ㅁ & m & ㅇ & ng & ㄹ & l & & & & \\ \hline
-\end{tabular}
-\end{table}
\begin{enumerate}[(1)] \firmlist
\item 단어의 첫소리 `ㅇ'은 적지 않는다. 그밖의 초성 이응은 \verb|-|로 적는다. \\
@@ -786,6 +791,8 @@ Expl3는 내가 원하는 일을 너무나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
\textbullet\ v0.3.1 (2020/01/30): RRK 입력 방법에서 한글 음절 문자 구성 방법 개선. 일부 문장부호 추가.
+\textbullet\ v0.3.2 (2020/02/05): RRK에서도 \verb|\jmcc|를 쓸 수 있게 하고 \verb|\jmcc|의 인자로 \verb|@@|를 허용함.
+
%%% APPENDICES
\ExplSyntaxOn
\int_new:N \l_appsec_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