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rw-r--r--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15
1 files changed, 11 insertions, 4 deletions
diff --git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index 4de722b9e2..d941140d19 100644
---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64,7 +64,9 @@
%\date{2020/01/30\quad v0.3.1}
%\date{2020/02/05\quad v0.3.2}
%\date{2020/03/09\quad v0.3.3}
-\date{2020/03/15\quad v0.3.4}
+%\date{2020/03/15\quad v0.3.4}
+%\date{2020/03/10\quad v0.3.5}
+\date{2021/09/20\quad v0.3.6}
\maketitle
@@ -186,7 +188,7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subsection{성조표지와 음절}
-입력에는 로마자 알파벳과 \verb|@| 부호, 그리고 세 개의 성조표지(방점) 기호 \verb|/|, \verb|;|, \verb|:|를 사용한다.
+입력에는 로마자 알파벳과 \verb|@| 부호, 그리고 세 개의 성조표지(방점) 기호 \verb|/|, \verb|;|, \verb|:|를 사용하며, 중성 필러를 표현하기 위하여 \verb|*| 부호를 쓴다.
\emph{성조표지가 와야 음절이 완성된 것으로 본다}. 모든 한글 음절은 반드시 성조표지로 끝난다.
평성이 아닌 성조표지는 (적절한 폰트에서) 한글 음절의 왼편에 찍힌다.
@@ -249,10 +251,11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item `\jmcc{Q}'(옛이응)을 \verb|q|로 한 것은 역시 \pkg{frktex}에서 온 것인데 ``꼭지 달린 이응''이라는 글자 모양이 \verb|q|를 연상시킨다''는 이유였다고 한다. 그럴 법도 하다.
\item `\jmcc{Z}'(반시옷)을 \verb|z|로 한 것은 납득할 수 있다고 본다. z가 s의 유성음에 대응하기 때문에.
\item 가장 곤란했던 것은 \jmcc{F}(여린히읗)이었다. 사용되지 않은 자판 가운데서 선택할 수밖에 없는데 \texttt{l}, \texttt{v}, \texttt{w}, \texttt{f} 정도가 선택 가능한 범위였다. 알파벳이 아닌 부호문자 중에서 선택하는 것도 생각해보았으나 역시 자판의 윗줄로 올라가는 것은 꺼려져서 \verb|f|로 선택하였다. 순전히 편의에 의한 대응이다.
-\item `\jamotextcmd{sl@}'나 `\jamotextcmd{slr@}'와 같은 특별한 글자, `\jamotextcmd{ssla/sslra/jla/jlra/jjla/jjlra/cla/clra}'의 초성 글자들, 즉 훈민정음 언해의 ``\jamoword{dyuq/guyg;so/ri;yeys; ni;sso/ri;}'' 표기에서 쓰이는 齒頭\cntrdot 正齒音을 구분하기 위한 글자들은 \texttt{s}, \texttt{j}, \texttt{c}에 \texttt{l}, \texttt{lr}을 붙여서 표기한다. \verb|l|이 왼쪽(치두음), \verb|lr|이 오른쪽(정치음)이 더 길어지는 글자가 된다.
+\item `\jamotextcmd{sl@}'나 `\jamotextcmd{slr@}'와 같은 특별한 글자, `\jamotextcmd{jl*/cl*/jjl*/sl*/ss*}, \jamotextcmd{jlr*/clr*/jjlr*/slr*/sslr*}'의 초성 글자들, 즉 훈민정음 언해의 ``\jamoword{dyuq/guyg;so/ri;yeys; ni;sso/ri;}'' 표기에서 쓰이는 齒頭\cntrdot 正齒音을 구분하기 위한 글자들은 \texttt{s}, \texttt{j}, \texttt{c}에 \texttt{l}, \texttt{lr}을 붙여서 표기한다. \verb|l|이 왼쪽(치두음), \verb|lr|이 오른쪽(정치음)이 더 길어지는 글자가 된다.
\item `\jmcc{BX}', `\jmcc{BBX}', `\jmcc{MX}', `\jmcc{PX}'와 같은 ``\jamoword{ib/si/ur;ga/b@i;ya/bx@n; so/ri;}'' 표기는 \verb|x|를 이어써서 표기한다. 각각, \texttt{bx}, \texttt{bbx}, \texttt{mx}, \texttt{px}.
\item 겹자음\cntrdot 복자음은 이어쓴다. \texttt{gg} \jmcc{GG}, \texttt{bsg} \jmcc{BSG}, \texttt{bsd} \jmcc{BSD}, \texttt{rf} \jmcc{RF}.
-\item `제로자음'인 초성 이응은 생략할 수 있다. 모음으로 시작하면 초성 이응을 식자해준다. \verb|\jamoword{an}| \jamoword{an}. 만약 정말로 초성을 비우기를 원한다면(즉 초성 필러를 쓰려 한다면) \verb|w|를 그 위치에 쓰도록 하라. 이것은 종성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verb|\jamoword{wan}| \jamoword{wan}.
+\item `제로자음'인 초성 이응은 생략할 수 있다. 모음으로 시작하면 초성 이응을 식자해준다. \verb|\jamoword{an}| \jamoword{an}.
+\item 정말로 초성을 비우기를 원한다면(즉 초성 필러를 쓰려 한다면) \verb|w|를 그 위치에 쓸 수 있다. 이것은 종성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verb|\jamoword{wan}| \jamoword{wan}.
\end{enumerate}
\subsubsection{모음}
@@ -292,6 +295,7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verb|\jamoword{@@/nam/vn}| \jamoword{@@/nam/vn}.
\item 표준 로마자 표기법에서 \texttt{wa}, \texttt{wo}, \texttt{we}, \texttt{wi}로 표기할 때 나타나는 반자음 \verb|w|은 채택하지 않았다. `ㅘ, ㅝ, ㅟ'는 생긴 대로 \texttt{oa}, \texttt{ue}, \texttt{ui}로 적는다.
\item 이 패키지는 Unicode 4.0의 한글 자모 확장 A, B를 지원한다. 그러므로 한글 자모 영역([U+11XX])에는 없는 `\jamoword{wuye}'와 같은 모음을 표기할 수 있다. \verb|\jamoword{sa/guye}| \jamoword{sa/guye/}. 물론 폰트가 이를 지원해야 한다.
+\item 중성 필러([U+1160])는 \verb|*| 부호로 적을 수 있다. \verb|\jamoword{h*n}| \jamoword{h*n}. 초성과 중성을 모두 filler로 채우는 경우에는 종성이 있어야 한다. \verb|\jamoword{w*f}| \jamoword{w*f}.
\end{enumerate}
\subsubsection{호환자모 음절} \label{sec:compjamo}
@@ -799,6 +803,9 @@ Expl3는 내가 원하는 일을 너무나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
\textbullet\ v0.3.4 (2020/03/15): PM방식 xetexko에서 단어 내 행나눔.
+\textbullet\ v0.3.5 (2021/03/10): 유지보수.
+
+\textbullet\ v0.3.6 (2021/09/20): 중성 필러 \verb|*| 추가.
%%% APPENDICES
\ExplSyntaxOn
\int_new:N \l_appsec_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