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rw-r--r--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260
1 files changed, 202 insertions, 58 deletions
diff --git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index b6c31fb693..f152aa5b5a 100644
---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1,10 +1,12 @@
-%
-% Poorman's Hangul Jamo Input Method
-% pmhanguljamo.sty 사용설명서
-%
-% (C) 2020 Nova de Hi.
-% part of pmhanguljamo package.
-%
+%!TEX program = SpiX
+%$ xelatex -shell-escape -synctex=1 $texname
+%%
+%% Poorman's Hangul Jamo Input Method
+%% pmhanguljamo.sty 사용설명서
+%%
+%% (C) 2020 Nova de Hi.
+%% part of pmhanguljamo package.
+%%
\documentclass[a4paper]{oblivoir}
\hypersetup{colorlinks}
@@ -28,9 +30,9 @@
\setmainfont{Noto Serif}
\setsansfont{Noto Sans}
\setmonofont{Noto Sans Mono}
-\setsansfont{Noto Sans CJK KR}[\fontfeatureoption]
-\setkomainfont(Noto Serif CJK KR)(* Bold)(Noto Sans CJK KR Light)[\fontfeatureoption]
-\setkosansfont(Noto Sans CJK KR)(* Bold)[\fontfeatureoption]
+\setsansfont{Noto Sans KR}[\fontfeatureoption]
+\setkomainfont(Noto Serif KR)(* Bold)(Noto Sans KR Light)[\fontfeatureoption]
+\setkosansfont(Noto Sans KR)(* Bold)[\fontfeatureoption]
\setkomonofont(Noto Sans Mono CJK KR)
\usepackage{tcolorbox}
@@ -68,14 +70,15 @@
%\date{2020/03/15\quad v0.3.4}
%\date{2020/03/10\quad v0.3.5}
%\date{2021/09/20\quad v0.3.6}
-\date{2021/11/28\quad v0.4}
+%\date{2021/11/28\quad v0.4}
+\date{2022/09/02\quad v0.5}
\maketitle
\begin{exampleside}
\begin{jamotext}
g@/r@/mi p@/r@/ni sai de/ug h@i/o/,\\
-moy/hi pe/re/h@/ni gos/ bi/ci bvr bvd/n@n d@s/do/da/.\\
+moy/hi pe/re/h@/ni gos bi/ci bvr bvd/n@n d@s/do/da/.\\
ors bo/mi bon/d@in sdo di/na/ga/n@/ni \\
e/nv na/ri i do/ra/gar h@i/o/.
\end{jamotext}
@@ -95,6 +98,25 @@ e/nv na/ri i do/ra/gar h@i/o/.
\hologo{XeLaTeX}, \hologo{LuaLaTeX}에서 사용할 수 있고
\hologo{pdfLaTeX}은 지원하지 않는다.
+\section{사용법 요약}\label{sec:summary}
+
+\begin{boxedverbatim}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kotex}
+\usepackage[pmfont={Noto Serif KR}]{pmhanguljamo}
+\begin{document}
+\jamoword{sei/gyei/in/guen/sen/en}
+
+\begin{jamotext}
+mo/dvn in/ryu gu/sex/uen/vi cen/bu/vi jon/em/sex/goa
+dox/dvx/ha/go yax/do/har su ebs/nvn guen/ri/rvr in/jex/ha/nvn ges/i
+sei/gyei/vi ja/yu/, jex/vi mic pyex/hoa/vi gi/co/i/mye/,
+in/guen/ei dai/han mu/si/oa gyex/myer/i in/ryu/vi yax/sim/vr
+gyeg/bun/si/ki/nvn man/haix/vr co/rai/ha/yess/v/mye/,
+\end{jamotext}
+\end{document}
+\end{boxedverbatim}
+
\section{사용법}
\subsection{패키지 사용 선언}
@@ -103,10 +125,18 @@ e/nv na/ri i do/ra/gar h@i/o/.
\usepackage[<option>]{pmhanguljamo}
\end{boxedverbatim}
-preamble에 위의 문장을 둔다. 옵션으로 \verb|rrk| 또는 \verb|RRK| 하나를 쓸 수 있는데
-이 옵션은 ``표준 전자법''으로 현대 한글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이에 대해서는
-\ref{sec:rrk}절을 보라.
-옵션을 주지 않으면 \ref{sec:pmrule}절에서 설명하는 pm 입력 방식을 따른다.
+preamble에 위의 문장을 둔다.
+
+옵션은 다음 두 가지가 있다.
+\begin{enumerate}[1.]
+\item \verb|rrk| 또는 \verb|RRK|.
+입력 방식이 ``표준 전자법''으로 현대 한글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이에 대해서는
+\ref{sec:rrk}절을 보라. 옵션을 주지 않으면 \ref{sec:pmrule}절에서 설명하는 pm 입력 방식을 따른다.
+\item \verb|pmfont={<fontname>}|.
+식자할 폰트를 지정한다. 이 옵션이 주어지지 않으면 문서의 mainfont (\koTeX\ 패키지의
+경우는 mainhangulfont)를 따른다. 지정할 수 있는 폰트에 대해서는 \ref{sec:font} \titleref{sec:font}\를
+보라.
+\end{enumerate}
\subsection{명령과 환경}
@@ -132,8 +162,8 @@ preamble에 위의 문장을 둔다. 옵션으로 \verb|rrk| 또는 \verb|RRK|
\end{boxedverbatim}
한글 자모를 알파벳으로 입력하여 출력한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어가 올 수 있다. (단 하나의 단어만을 처리하는 \cmda{\jamotextcmd}라는 명령이
-있기는 하나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어가 올 수 있다.\footnote{단 하나의 단어만을 처리하는 \cmda{\jamotextcmd}라는 명령이
+있기는 하나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verb|\par|를 포함하는 문단은 올 수 없다.
\medskip
@@ -158,8 +188,46 @@ preamble에 위의 문장을 둔다. 옵션으로 \verb|rrk| 또는 \verb|RRK|
\begin{exampleside}
\begin{jamotext}
na/ras;mar:ss@/mi; dyuq/guyg;ey; dar/a;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
+i;ren jyen/c@;ro; e/rin; 百b@ig;姓syeq;i;
+ni/rv/go;jye; horf; bai; i/sye;do;
+\end{jamotext}
+\end{exampleside}
+
+\leavevmode\marginpar{\footnotesize\fbox{v0.5}}%
+\env{jamotext} 환경 내에 긴 문장을 쓰다가 보면 잠시 jamo 입력이
+아닌 아스키 입력 상태로 escape하여야 할 때가 있다. 이를 위하여
+\begin{verbatim}
+ !{<ascii stuffs>}
+\end{verbatim}
+와 같은 트릭을 쓸 수 있다.
+이 때에 \verb|!{|는 반드시 단어의 첫머리여야 하므로 한 단어 안에서
+두 번 이상 쓸 수 없다. 문단 구분을 위한 빈 줄도 올 수 없다.
+
+이 아스키 에스케이프 트릭은 \env{jamotext} 환경 내에서만 쓸 수 있고
+\cmda{\jamoword}의 인자 범위에서는 쓸 수 없다.
+
+\medskip
+\begin{exampleside}
+\begin{jamotext}
+in/gan/i pog/jex/goa eg/ab/ei
+!{tyranny and oppression}
+dai/hax/ha/nvn ma/ji/mag su/dan/v/ro/se
+!{as a last resort}
+ban/ran/vr ir/v/ki/do/rog gax/yo/bad/ji
+anh/v/rye/myen
+\end{jamotext}
+\end{exampleside}
+
+이를 이용하여 약간의 수식도 \env{jamotext} 안에 둘 수 있다.
+
+\medskip
+\begin{exampleside}
+\begin{jamotext}
+2/ca/bax/jex/sig/vi gvn/vi gox/sig/,
+!{\[ x = \frac{-b\pm\sqrt{b^2-4ac}}{2a} \]}
+vr yu/do/ha/ye bo/ja/.
\end{jamotext}
\end{exampleside}
@@ -170,8 +238,11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end{boxedverbatim}
음절이 아니라 한 개의 자모만을 표시할 목적으로 \href{https://en.wikipedia.org/wiki/Hangul_Compatibility_Jamo}{한글 호환 자모}를 식자하려 할 때 사용하는 명령이다.
-호환 자모를 \cmda{\jamoword} 명령의 인자 안에서 쓰는 방법은 \ref{sec:compjamo}절을 보라. 이 명령은 본문
-중에서 독립적으로 쓰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패키지의 기본 명령인 \cmda{\jamoword}로도 호환 자모를 식자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 명령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나, rrk 입력 방식으로 문서를 작성할 때라든지 오로지 호환 자모만을
+표기해야 할 필요가 있다든지 등 부득이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호환 자모를 \cmda{\jamoword} 명령의 인자 안에서 쓰는 방법은 \ref{sec:compjamo}절을 보라.
+%이 명령은 본문 중에서 독립적으로 쓰기 위해 마련되었다.
인자로 단 하나의 자모만이 와야 한다. 설령 \texttt{RRK} 옵션을 부여하여 RRK 입력 방법을 쓰는 때라도
이 명령의 인자는 이 패키지의 고유한 전자 규칙을 따른다. 쌍아래아는 유니코드 호환 자모에는 정의되어 있지
않으나 편의를 위하여 조판할 수 있도록 해두었다.
@@ -337,14 +408,16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콜론, 세미콜론, 슬래시는 각각 \cmda{\ColonMark}, \cmda{\SemiColonMark}, \cmda{\SlashMark} 명령을 사용할 수 있게 해두었다.
+매크로를 쓸 수 없는 것이 원칙이기는 하나,
+protect된 단일 매크로는 그대로 출력된다. 그러나 인자를 취하는 매크로는 오류가 발생할 것이므로
+인자 범위 밖에 두도록 하라.
+
\medskip
\begin{exampleside}
-\jamoword{15 세기 표기\ColonMark{} 國之語音, 우리나라의 말이 $\Rightarrow$ na/ras/mar/ss@/mi}
+\jamoword{15 세기 표기\ColonMark{} 國之語音, 우리나라의 말이
+$\Rightarrow$ na/ras/mar/ss@/mi}
\end{exampleside}
-매크로를 쓸 수 없는 것이 원칙이기는 하나,
-protect된 단일 매크로는 그대로 출력된다. 그러나 인자를 취하는 매크로는 오류가 발생할 것이므로
-인자 범위 밖에 두도록 하라.
%RRK 입력 방식이 활성화되면 매크로 사용은 더욱 제한된다. \cmda{\ColonMark}와 같은 임시 명령도 동작하지 않는다.
@@ -357,12 +430,11 @@ protect된 단일 매크로는 그대로 출력된다. 그러나 인자를 취
이름을 적을 때도 쓰이기 때문에 그리 `옛' 것은 아니다.
이 글에서는 관행을 따라 옛한글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텍스트를 복사해와서 넣을 때 유용할지도.
-다음 예에서 이 패키지의 입력 방식과 첫가끝 입력 방식이 혼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 예에서 이 패키지의 입력 방식과 첫가끝 입력이 혼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medskip
\begin{exampleside}
-\jamoword{(/du/si/en/hai dvx/go/)
-ᄇᆞᄅᆞ미 ᄲᆞᄅᆞ며 하ᄂᆞᆯ히 놉고 나ᄇᆡ 됫ᄑᆞ라미 슬프니}
+\jamoword{b@/r@/mi sb@/r@/mye ha/n@r/hi{} 놉고 나ᄇᆡ 됫ᄑᆞ라미 슬프니}
\end{exampleside}
\section{폰트}
@@ -394,7 +466,7 @@ sa:r@m/ma:da; h@i:xxye; su:bxi; ni/gye;
은 바탕 \testfont{UnBatang}
-본명조 또는 Noto Serif CJK \testfont{Noto Serif CJK KR}
+본명조 또는 Noto Serif \testfont{Noto Serif KR}
나눔명조옛한글 \testfont{NanumMyeongjo-YetHangul.ttf}
@@ -402,7 +474,7 @@ KoPubWorld 바탕 \testfont{KoPubWorldBatangMedium}
함초롬 돋움 \testfont{HCR Dotum LVT}
-본고딕 또는 Noto Sans CJK \testfont{Noto Sans CJK KR}
+본고딕 또는 Noto Sans \testfont{Noto Sans KR}
나눔바른고딕옛한글 \testfont{NanumBarunGothic-YetHangul.ttf}
@@ -418,7 +490,7 @@ KoPubWorld 돋움 \testfont{KoPubWorldDotumMedium}
옛한글을 무리없이 표현하는 것은 현재 이 정도인 것 같다.
각 폰트는 특정한 문자에 대해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참고로 이 문서에서는
-본문과 옛한글에 Noto Serif CJK KR을 사용하였다.
+본문과 옛한글에 Noto Serif KR을 사용하였다.
\hologo{LuaTeX}으로 컴파일하는 경우에는 위에 든 폰트들, 즉 \texttt{Script Hangul} 속성을
가진 폰트만 사용 가능하다. \hologo{LuaTeX}과 이 패키지의 관계에 대해서
@@ -473,10 +545,55 @@ Adobe 명조 \testfont{AdobeMyungjoStd-Medium.otf}
\subsection{폰트의 지정}
+\paragraph{Script Hangul Option}
+
+\cmda{\jamoword}와 \env{jamotext} 인자 범위 내에서 한글을 식자하려 할 때에는
+주어진 (한글) 폰트의 \textsf{Script Hangul} 속성을 활성화하여야 한다.\footnote{이것은
+폰트가 가지고 있는 오픈타입 속성을 활성화하여 자모 한글을 제대로 출력하도록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자모 한글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글꼴에서는 아무 역할도 하지 않고 컴파일 시 콘솔에 경고 메시지를 보일 것이다.}%
+\textsuperscript{, }\footnote{\hologo{LuaTeX}에서는 약간의
+추가 옵션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이 문서의 이후 \texttt{[Script=Hangul]}을 주라고 하는 때에
+모두 동일하다. \pageref{sec:luatex}페이지의 부록 B를 보라.\label{fn:fontoption}}
+
+그러므로 \pkg{fontspec} 방식으로 폰트를 지정할 때 반드시
+\begin{verbatim}
+\set...font{<fontname>}[Script=Hangul]
+\end{verbatim}
+또는 Lua\TeX 이라면
+\begin{verbatim}
+\set...font{<fontname>}[Script=Hangul,Renderer=OpenType]
+\end{verbatim}
+을 지정하라.
+
+\paragraph{패키지 옵션 \texttt{pmfont}}
+
+\leavevmode{\marginpar{\fbox{\footnotesize v5.0}}}
+패키지 옵션 \verb|pmfont=|가 주어지지 않았을 때는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현재 활성화된 기본 폰트가 pm 자모 식자에 이용된다는 뜻이다.
+mainfont로 식자할 것인지, 또는 별도의 폰트를 \cmda{\newfontfamily}로
+설정하여 식자할 것인지 사용자에게 맡겨져 있고, 이것이 디폴트이다.
+
+만약 \verb|pmfont=| 옵션이 예컨대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고 가정하자.
+\begin{verbatim}
+ \usepackage[pmfont={Noto Serif KR}]{pmhanguljamo}
+\end{verbatim}
+이 때에는 \cmda{\jamoword}와 \env{jamotext}의 인자 범위에서 pm 자모 입력된
+한글 문자에 대해서 지정된 폰트가 (\texttt{Script=Hangul}이 자동으로 주어져서)
+적용된다.
+
+두 개의 매크로가 정의되어 있다. \verb|\usepmfont|는 명령이 주어진 위치부터
+\verb|\setpmhangulfont|에 의하여 지정되는 폰트를 자모 식자에 사용한다.
+\begin{verbatim}
+ \usepmfont
+ \setpmhangulfont{HCR Batang LVT}
+\end{verbatim}
+옵션 \verb|pmfont={HCR Batang LVT}|는 이 두 매크로를 문서의 맨처음부터
+설정하는 것과 동일하다.
+
+\subsection{활용 방법}
+
특정 언어 패키지나 입력기의 제약 없이 한글 글꼴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현대 한글과 옛한글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pkg{pmhanguljamo}의 장점이다.
-다만 \koTeX\ 없이는 글자 사이의 행나눔이나 양끝맞추기 등 한글 문장 식자에 꼭 필요한 몇 가지 기능이 구현되지
-않을 것이므로 이런 점은 감안하여야 한다. 대체로 몇 자 정도의 한글을 넣어야 하는 때에 유용하리라 본다.
\koTeX\ 패키지와 함께 쓸 때와 그렇지 않을 때를 나누어서 간단히 사용법을 보이겠다.
@@ -484,33 +601,32 @@ Adobe 명조 \testfont{AdobeMyungjoStd-Medium.otf}
만약 \koTeX\ (\pkg{xetexko} 또는 \pkg{luatexko})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라면 본문 한글 글꼴을
다음과 같이 지정한다.
-\texttt{[Script=Hangul]} \emph{옵션을 반드시 주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자.\footnote{이것은
-폰트가 가지고 있는 오픈타입 속성을 활성화하여 자모 한글을 제대로 출력하도록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자모 한글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글꼴에서는 아무 역할도 하지 않고 컴파일 시 콘솔에 경고 메시지를 보일 것이다.}%
-\textsuperscript{, }\footnote{\hologo{LuaTeX}에서는 약간의
-추가 옵션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이 문서의 이후 \texttt{[Script=Hangul]}을 주라고 하는 때에
-모두 동일하다. \pageref{sec:luatex}페이지의 부록 B를 보라.\label{fn:fontoption}}
\begin{boxedverbatim}
-\setmainhangulfont{Noto Serif CJK KR}[Script=Hangul]
+\setmainhangulfont{Noto Serif KR}[Script=Hangul]
\end{boxedverbatim}
-본문과 폰트를 달리 쓰려 한다면 \cmda{\jamoword} 또는 \env{jamotext} 범위에 다음과 같이 임시로 한글 글꼴을 적용한다.
+또는 \texttt{pmfont} 옵션을 지정한다. 본문과 다른 폰트를 쓰게 하려 할 때에도
+이와 같이 한다. \texttt{pmfont} 옵션으로 지정되는 글꼴에는 \texttt{Script=Hangul}이
+자동으로 설정되므로 폰트 이름(또는 폰트 파일 이름)만을 주면 된다.
\begin{boxedverbatim}
-\hangulfontspec[Script=Hangul]{HCR Batang LVT}
+ \usepackage[pmfont={HCR Batang LVT}]{pmhanguljamo}
\end{boxedverbatim}
-\cmda{\adhochangulfont} 명령은 이와 동일한 명령이다. 이 폰트의 적용 범위를 설정하거나 하는 것은 문서작성자에게 맡겨져 있다.
+\ref{sec:summary}절에서 보인 샘플을 참고하라.
\subsubsection{\koTeX 이 아닐 때}
\koTeX\ 문서가 아닐 때는 \pkg{fontspec} 패키지를 이용한다. main font를 위의 글꼴 중의 하나로 하거나(이 때에도 \texttt{[Script=Hangul]} 옵션을 반드시 지정하여야 한다.),
\cmda{\newfontfamily}로 글꼴 명령을 만들어 쓰거나,
-아니면 한글이 필요한 부분에만 \cmda{\fontspec}으로 글꼴을 지정해주는 것으로 될 것이다.
+아니면 %한글이 필요한 부분에만 \cmda{\fontspec}으로 글꼴을 지정해주는 것으로 될 것이다.
%\fref{fig:sample}\는 \pkg{article} 문서의 한 예이다.
+\texttt{pmfont} 옵션으로 글꼴을 지정하면 될 것이다.
다음은 \pkg{article} 문서의 한 예이다.\footnote{폰트에 부여하는
옵션에 관하여 각주~\ref{fn:fontoption}\을 볼 것.}
+다만 이와 같이 한글 지원 패키지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는 글자 사이의 행나눔이나 양끝맞추기 등 한글 문장 식자에 꼭 필요한 몇 가지 기능이 구현되지
+않을 것이다. 대체로 몇 자 정도의 한글을 넣어야 하는 때에 유용하리라 본다.
%\begin{figure}
%\centering
@@ -518,17 +634,11 @@ Adobe 명조 \testfont{AdobeMyungjoStd-Medium.otf}
\begin{boxedverbatim}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fontspec}
-\newfontfamily\hngljmfont{HCR Batang LVT}[Script=Hangul]
-\usepackage{pmhanguljamo}
-\newcommand*\jmhangul[1]{%
- \begingroup
- \hngljmfont\jamoword{#1}%
- \endgroup
-}
+\usepackage[pmfont={Noto Serif KR}]{pmhanguljamo}
\begin{document}
Say `Hello' in Korean,
-\jmhangul{an/nyex/ha/sey/yo}.
+\jamoword{an/nyex/ha/sey/yo}.
\end{document}
\end{boxedverbatim}
%\end{boxedminipage}
@@ -545,6 +655,12 @@ Say `Hello' in Korean,
\pkg{polyglossia}를 사용하여 \env{korean} 환경에서
쓰게 되면 한국어 조판에 필요한 상당한 지원이 이루어진다.
+\pkg{polyglossia}에서 한국어 설정을 행한 경우에는 \cmda{\hangulfont}로
+한글 식자를 행하므로 별도로 \texttt{pmfont}를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cmda{\hangulfont}를 지정할 때에 \texttt{[Script=Hangul]}을 빼먹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한국어가 mainlanguage라면 \texttt{pmfont}를 이용하여
+자모 식자를 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
\begin{boxedverbatim}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polyglossia}
@@ -560,7 +676,7 @@ Say `Hello' in Korean,
\end{document}
\end{boxedverbatim}
-만약에 \env{korean} 환경이 시작되면 그 안에서는 (무조건) pmjamo 입력 모드가 되도록 하려면
+만약에 \env{korean} 환경이 시작되면 그 안에서는 (무조건) pm 자모 입력 모드가 되도록 하려면
다음 코드를 preamble에 두면 된다.
\begin{boxedverbatim}
@@ -577,8 +693,8 @@ na/ras/mar/ss@/mi
\end{korean}
\end{verbatim}
-그러나 위의 처방은 이 환경 안의 모든 로마자가 한글이라는 확신이 있을 때만 적용해야 할 것이다.
-\env{korean} 환경 안에서 로마자를 입력해야 할 일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의 처방은 이 환경 안의 모든 로마자가 한글이라는 확신이 있을 때만 적용해야 할 것이다.
+%\env{korean} 환경 안에서 로마자를 입력해야 할 일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subsection{훈민정음 어제 서문}
@@ -705,7 +821,7 @@ RRK는 이 문서의 영어 명칭인 \emph{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의
아래아는 \verb|@|로, 쌍아래아는 \verb|@@|로 적는다. 다른 옛한글 문자는 입력할 수 없다. \\
\verb|\jamoword{h@ngeul}| \jamoword{h@ngeul}. \\
\verb|\jamoword{@@nam-eun}| \jamoword{@@nam-eun}. \\
-단 `\jamoword{x@}' 글자만으로 한 단어를 이룰 때 \verb|@| 문자의 성격 때문에 음절이 만들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럴 때는 \verb|x|를 앞에 붙여 \verb|x@|와 같이 입력한다. 받침이 붙거나 다음 음절이 이어지는 때에는 \verb|x|를 붙일 필요 없다.\\
+단 `\jamoword{x@}' 글자만으로 한 단어를 이룰 때 \verb|@| 문자의 성격 때문에 음절이 만들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럴 때는 예외적으로 \verb|x|를 앞에 붙여 \verb|x@|와 같이 입력한다. 받침이 붙거나 다음 음절이 이어지는 때에는 \verb|x|를 붙일 필요 없다.\\
\verb|\jamoword{x@ x@@ @n @@n}|. \jamoword{x@ x@@ @n @@n}.\\
이로써 이 패키지의 RRK 방식
입력으로도 제주어를 적을 수 있다.
@@ -809,6 +925,31 @@ nog-eumbangcho ugeojyeo geumjandi jwaleuleug sgal-in jye
이런 종류의 문헌을 조판하려면 당연히 \ref{sec:font}절에서 설명한 바,
옛한글을 지원하는 글꼴이어야 한다.
+\section{제주어}
+
+현대 제주어를 식자하려면 아래아(\jmcc{W})가 필요하다. 이 패키지를
+이용하여 제주어를 식자하는 예를 보이겠다.
+
+\begin{boxedverbatim}
+\jamoword{bu/jeis/jib/i/nan jox/nvm/der h@n x@@/nam/vn d@r/ax sar/gog/.}
+\end{boxedverbatim}
+
+RRK 입력 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된다.
+
+\begin{boxedverbatim}
+\jamoword{bujesjib-inan jongneumdeol h@n @@nam-eun d@l-ang salgog.}
+\end{boxedverbatim}
+
+\begin{quote}
+\jamoword{bujesjib-inan jongneumdeol h@n @@nam-eun d@l-ang salgog.}
+(부잣집이니까 종놈들 한 여남은 데리고 살고)
+\end{quote}
+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배포하는 제주서체는 (안타깝지만) 이 패키지와 더불어 사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제주서체의 아래아 음절은 사용자 정의 영역(PUA)에 완성형 글자로 들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을 꺼내쓰기 위해서는 폰트의 사용자 영역을 열어놓고 필요한 글자를 가져다 쓰는
+수밖에 없다. 폰트 설계가 만족스럽지 않다고밖에 말할 수 없겠다.
+
\section{贅辭}
이 패키지를 만들게 된 사연이 이러하다.
@@ -886,6 +1027,9 @@ Expl3는 내가 원하는 일을 너무나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
\textbullet\ v0.3.6 (2021/09/20): 중성 필러 \verb|*| 추가.
\textbullet\ v0.4 (2021/11/28): 빠진 자모 추가, 훈민정음체 코멘트 추가. RRK 아래아입력 보완.
+
+\textbullet\ v0.5 (2022/09/02): 패키지 옵션 \texttt{pmfont} 추가. jamotext 환경
+내에서 아스키 에스케이핑.
%%% APPENDICES
\ExplSyntaxOn
\int_new:N \l_appsec_int
@@ -908,11 +1052,11 @@ Expl3는 내가 원하는 일을 너무나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
모두 설치되어 있어야 컴파일할 수 있다.
\begin{description} \firmlist
-\item[Noto CJK] Noto Serif CJK, Noto Sans CJK, Noto Sans Mono CJK 폰트. \href{https://www.google.com/get/noto/help/cjk/}{Google Noto CJK}.
+\item[Noto CJK] Noto Serif, Noto Sans, Noto Sans Mono CJK 폰트. \href{https://fonts.google.com}{Google Fonts}.
Adobe사의 \href{https://source.typekit.com/source-han-serif/kr/}{본명조(Source Han Serif)}\cntrdot \href{https://github.com/adobe-fonts/source-han-sans/tree/release/}{본고딕(Source Han Sans)}과 거의 같다.
\item[함초롬 LVT] 함초롬 바탕 LVT, 함초롬 돋움 LVT. 한글과컴퓨터 \& 한국텍학회. \href{http://wiki.ktug.org/wiki/wiki.php/%ED%95%A8%EC%B4%88%EB%A1%AC%EC%B2%B4LVT}{KTUG:함초롬체 LVT}.
\item[나눔 옛한글] 나눔명조 옛한글, 나눔바른고딕 옛한글. \href{https://hangeul.naver.com/2014/archaicword}{네이버 한글한글아름답게}.
-\item[KoPubWorld] KoPubWorld 바탕, KoPubWorld 돋움. \href{http://www.kopus.org/biz/electronic/font.aspx}{한국출판인회의}.
+\item[KoPubWorld] KoPubWorld 바탕, KoPubWorld 돋움. \href{https://www.kopus.org/biz-electronic-font2/}{한국출판인회의}.
\item[맑은 고딕] Windows 8 이후 한글 Windows 폰트. 마이크로소프트.
\item[은 글꼴] 은 바탕 \TeX\,Live 배포 서체.
\item[한컴 훈민정음 세로쓰기체] 한컴 배포 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