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rw-r--r--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98
1 files changed, 86 insertions, 12 deletions
diff --git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index 8af27c11c4..1f64941f4e 100644
---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114,7 +114,8 @@
%\date{2022/09/02\quad v0.5}
%\date{2022/09/07\quad v0.5.2}
%\date{2023/02/19\quad v1.0}
-\date{2023/02/22\quad v1.0.1}
+%\date{2023/02/26\quad v1.0.1a}
+\date{2023/03/03\quad v1.0.2}
\maketitle
@@ -752,7 +753,7 @@ mainfont로 식자할 것인지, 또는 별도의 폰트를 \cmda{\newfontfamily
\jamoword{na/ras;mar:ss@/mi; dyuf/guig;ei dar/a;}
\end{exampleside}
-\subsection{\env{jamotext} 환경}
+\subsection{\env{jamotext} 환경}\label{sec:asciiescape}
\begin{boxedverbatim}
\begin{jamotext}
@@ -813,8 +814,8 @@ vr yu/do/ha/ye bo/ja/.
\end{jamotext}
\end{exampleside}
-아스키 에스케이프 트릭은 \texttt{method=frkim}이나 \texttt{method=rrk}에서는
-쓸 수 없다.
+아스키 에스케이프 트릭은 %\texttt{method=frkim}이나
+\texttt{method=rrk}에서는 쓸 수 없다.
\section{\texttt{\bs jmcc} 명령}
@@ -839,7 +840,7 @@ vr yu/do/ha/ye bo/ja/.
\jmcc{BSG} \jmcc{@} \jmcc{UEY} \jmcc{@@}
\end{exampleside}
-\section{밑줄 긋기}
+\section{밑줄 긋기}\label{sec:ulem}
\leavevmode\marginpar{\fbox{\footnotesize v0.5.1}}%
밑줄을 긋는 명령 \cmda{\underline}의 인자로 \cs{jamoword}가 오는 것은 문제가 없다.
@@ -859,9 +860,8 @@ Lua\LaTeX, 즉 \textsf{luatexko}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textsf{ulem} 없
\cs{uline}과 같은 ulem 명령을 사용하여야 한다면 Lua\LaTeX 으로 컴파일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부득이하여 \XeLaTeX 으로 컴파일하여야 하는 경우이고 밑줄 등을 구현하여야 하는 때라면
-\cmda{\jamoul} 명령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textsf{ulem} 패키지 등은 preamble에서
-선언되어 있어야 한다.\footnote{Lua\LaTeX 과 \koTeX 을 쓸 때는 \textsf{ulem} 패키지를
-별도로 로드하지 않는다.}
+\cmda{\jamoul} 명령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textsf{ulem} 패키지는 preamble에서
+선언되어 있어야 한다.\footnote{Lua\LaTeX 에서 \koTeX 을 쓸 때는 \textsf{ulem} 패키지를 별도로 로드하지 않는다.}
\begin{boxedverbatim}
\jamoul{<ulem command name>}{jamo text}
@@ -889,7 +889,7 @@ Lua\LaTeX, 즉 \textsf{luatexko}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textsf{ulem} 없
%\verb|\jamoul{texthl}{nuns/mvr/r@r sbv/ri/gey/ko}|
%\jamoul{texthl}{nuns/mvr/r@r sbv/ri/gey/ko}
-\cs{jamoul}을 이용하여 밑줄을 긋는 기능은 RRK 입력방법과 \texttt{frkim}에서는 구현되지 않았다.
+\cs{jamoul}을 이용하여 밑줄을 긋는 기능은 RRK 입력 방법에서는 구현되지 않았다.
이 때에는 \textsf{luatexko}의 ulem 명령을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section{문장 부호, 한자와 음절 한글}
@@ -1308,7 +1308,19 @@ nog-eumbangcho ugeojyeo geumjandi jwaleuleug sgal-in jye
\chapter{method=frkim}\label{chap:frkim}
+\makeatletter
\ExplSyntaxOn
+\bool_new:N \opt_luatexko_loaded
+\@ifpackageloaded{luatexko}{
+ \bool_set_true:N \opt_luatexko_loaded
+}{
+ \bool_set_false:N \opt_luatexko_loaded
+}
+\ExplSyntaxOff
+\makeatother
+\ExplSyntaxOn
+\cs_undefine:N \jamoul
+\cs_undefine:N \jamoword
\cs_undefine:N \l_inputword_seq
\cs_undefine:N \l_inputpar_seq
\cs_undefine:N \jamotext
@@ -1375,7 +1387,9 @@ nog-eumbangcho ugeojyeo geumjandi jwaleuleug sgal-in jye
제공하지 않는다. 한편, \cs{jamoword}와 \env{jamotext}는 \texttt{method=frkim}에서도
동작한다.
-\pkg{pmhanguljamo}의 기본 입력 방식인 \texttt{method=pm}에 비하여, 아스키 에스케이프 트릭이 없으며 \XeLaTeX 에서의 밑줄 긋기가 원활하지 않다\footnote{밑줄이 반드시 필요하면 \LuaLaTeX 으로 컴파일하라.}는 차이가 있다.
+%\pkg{pmhanguljamo}의 기본 입력 방식인 \texttt{method=pm}에 비하여,
+%%아스키 에스케이프 트릭이 없으며
+%\XeLaTeX 에서 \pkg{ulem}을 이용한 밑줄 긋기가 원활하지 않다\footnote{밑줄이 반드시 필요하면 \LuaLaTeX 으로 컴파일하라.}는 차이가 있다.
\bigskip
@@ -1536,13 +1550,15 @@ sa'uen 'ugihoan'yi jujaqgoa majbaro toqhaiSda.
닫는 따옴표는 \cs{zeroisrq}일 때 \cs{rq} 매크로를 써야 한다.
\begin{examplebelow}
-\zeroisx \hangul ``xonyr harxirxyr naixirro miruji mara''nyn
+\zeroisx \hangul {``}xonyr harxirxyr naixirro miruji mara{''}nyn
marxi iSda. \endhangul
\end{examplebelow}
+여는 겹따옴표 \verb|``|는 하나의 토큰으로 전달해주는 것이 좋다.
+
\begin{examplebelow}
\zeroisrq
-\hg{``'erin'inyn nara'yi bobai'ibnida\rq\rq{} sopa
+\hg{{``}'erin'inyn nara'yi bobai'ibnida\rq\rq{} sopa
`baqjeqhoan\rq{} sensaiqnim'i hasin marSym'ida.}
\end{examplebelow}
@@ -1597,6 +1613,35 @@ marxi iSda. \endhangul
위의 마지막 예는 호환 자모를 쓰지 않고 낱자를 나타낸 것이다. 대체로 이것으로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cs{activatefrcccmds}를
디폴트로 활성화시켜 두지 않은 것이다.
+\paragraph{ASCII 에스케이프 트릭}
+\texttt{frkim} 방식에서 아스키 에스케이프 트릭은 오직 \env{jamotext} 환경을 쓰는 경우에 가능하다. 즉, \cs{hangul} ... \cs{endhangul} 범위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신택스는 \texttt{method=pm}에서와 동일하다. \ref{sec:asciiescape}절을 보라.
+
+(다음 예에서 \cs{unskip}을 사용한 이유는 이 트릭이 단어 중간에 쓰일 수 없으나 괄호를 이전 단어에 붙여야 했기 때문이다.)
+
+\begin{examplebelow}
+\begin{jamotext}
+ieq'uer'ieg !{\unskip (Yeongwol Station, 寧越驛)}'yn gaq'uendo ieq'uergun 'ieq'uer'yb'ei iSnyn taibaigsen'yi cerdomieq'ida.
+iegsanyn han'og hieqsig'yro genserdoi'eS'ymie, hangugcerdogoqsa senjeq juncerdoginiemmurro jijeqdoi'e iSda.
+\end{jamotext}
+\end{examplebelow}
+
+\paragraph{\pkg{ulem}에 의한 밑줄긋기}
+
+\marginpar{\fbox{v1.1}}%
+\cs{jamoul} 명령은 \texttt{[method=pm]}의 경우와 그 사용법이 같다(\pageref{sec:ulem}페이지).
+\pkg{xetexko}와 함께 쓸 때에는 반드시 \pkg{ulem}을 로드하여야 하고
+\pkg{luatexko}와 함께 쓸 때에는 \pkg{ulem}을 로드할 필요가 없다.
+
+\begin{exampleside}
+\jamoword{odyq'yn ja'ei a}
+\jamoul{uline}{josen'yi dogribgug'im}%
+\jamoword{goa}
+\jamoul{uline}{josen'in'yi jajumin'im}%
+\jamoword{'yr}
+\jamoul{uwave}{sen'enhanora}
+\end{exampleside}
+
\section{폰트}
\paragraph{\pkg{pmhanguljamo}에서 옵션으로 부르는 경우}
@@ -1620,6 +1665,33 @@ marxi iSda. \endhangul
eny nari i doragar h@i'o}
\end{examplebelow}
+\emph{hangul\TeX}에는 \cs{bf}라는 명령이 있었다. 폰트를 고딕체로
+바꿔주는 것이었다.
+이 비슷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cs{hg} 명령을 쓰는 경우에는 \cs{hg} 밖에서
+\cs{setpmhangulfont}를 쓰면 되지만 비교적 긴 문장을 쓰는 \env{jamotext} 환경 내에서는 다음처럼 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외부 매크로'는 한글을 구성하는 단어의 일부여서는 아니된다.
+그렇기 때문에 빈 칸을 하나 두고 명령을 주어야 한다. 이를테면
+\verb|nim'yn\pmrm|과 같이 하면 안되고 \verb|nim'yn \pmrm|과 같이 앞 단어를 완성한 후에 매크로를 두어야 한다.
+
+\begin{examplebelow}
+\newcommand*\pmbf{\setpmhangulfont{Noto Sans CJK KR}}
+\newcommand*\pmrm{\setpmhangulfont{Noto Serif CJK KR}}
+\hg{nim'yn gaSsybnida a'a} \pmbf \hg{saraqhanyn na'yi nim}\pmrm\hg{'yn gaSsybnida}\\
+\hangul puryn sanbic'yr sgaicigo \pmbf danpuqnamu sup'yr hiaqha'ie nan \pmrm jag'yn gir'yr ger'ese cama sdercigo gaSsybnida\endhangul
+\begin{jamotext}
+narkaro'un \pmbf ceskisy'yi cu'eg \pmrm\unskip 'yn na'yi unmieq'yi jicim'yr dorrienohgo duisger'ymciese sarajieSsybnida
+\end{jamotext}
+\end{examplebelow}
+
+앞서 소개한 \cs{jamoul}이 ``감싸는 명령''임을 이용하여 다음처럼 일시적으로 폰트를 바꾸는 데 쓸 수도 있겠다.
+
+\begin{exampleside}
+\jamoword{jei gogjoryr mos iginyn}
+\jamoul{dotemph}{saraq'yi norai}\jamoword{nyn}
+\jamoul{textbf}{nim'yi cimmug}%
+\jamoword{yr huibSago dobnida}
+\end{exampleside}
+
\chapter{입력 방법 요약}
@@ -1823,6 +1895,8 @@ Expl3는 내가 원하는 일을 너무나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
\textbullet\ v1.0.1 (2023/02/22): frkim rule에 \cs{AddRule} 추가. \cs{zeroisx} 버그 수정.
+\textbullet\ v1.0.2 (2023/03/01): frkim의 \cs{hg} 명령 일부 개선
+
%%% APPENDICES
\ExplSyntax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