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rw-r--r--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18
1 files changed, 10 insertions, 8 deletions
diff --git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index f9b52506de..4de722b9e2 100644
---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63,7 +63,8 @@
%\date{2020/01/28\quad v0.3}
%\date{2020/01/30\quad v0.3.1}
%\date{2020/02/05\quad v0.3.2}
-\date{2020/03/09\quad v0.3.3}
+%\date{2020/03/09\quad v0.3.3}
+\date{2020/03/15\quad v0.3.4}
\maketitle
@@ -321,7 +322,7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item \texttt{;}, \texttt{:}, \texttt{/} --- 이 세 개의 부호는 성조표지, 음절완성을 표시하기 위하여 예약되어 있다.
\item \texttt{|} --- 이 한 개의 부호문자는 내부적으로 사용하도록 예약되어 있다.
\end{itemize}
-이를 제외한 문자는 입력한 대로 찍힌다. 즉 한글 완성형 음절 문자나 한자 및 숫자와 문장부호가 모두 그대로 출력된다. 예: \verb|\jamoword{``/u/ri/na/ra/"}| \jamoword{``/u/ri/na/ra/"}. 모둔 문장 부호는 모두 음절 분리 부호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하라.
+이를 제외한 문자는 입력한 대로 찍힌다. 즉 한글 완성형 음절 문자나 한자 및 숫자와 문장부호가 모두 그대로 출력된다. 예: \verb|\jamoword{``/u/ri/na/ra/"}| \jamoword{``/u/ri/na/ra/"}. 모든 문장 부호는 모두 음절 분리 부호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하라.
콜론, 세미콜론, 슬래시는 각각 \cmda{\ColonMark}, \cmda{\SemiColonMark}, \cmda{\SlashMark} 명령을 사용할 수 있게 해두었다.
@@ -794,7 +795,9 @@ Expl3는 내가 원하는 일을 너무나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
\textbullet\ v0.3.2 (2020/02/05): RRK에서도 \verb|\jmcc|를 쓸 수 있게 하고 \verb|\jmcc|의 인자로 \verb|@@|를 허용함.
-\textbullet\ v0.3.3 (2020/03/09): RRK에서 \verb|X-ss| 입력 처리의 버그 수정.
+\textbullet\ v0.3.3 (2020/03/09): RRK에서 \verb|X-ss| 입력 처리의 버그 수정.
+
+\textbullet\ v0.3.4 (2020/03/15): PM방식 xetexko에서 단어 내 행나눔.
%%% APPENDICES
\ExplSyntaxOn
@@ -845,15 +848,14 @@ Adobe사의 \href{https://source.typekit.com/source-han-serif/kr/}{본명조(Sou
우선 LuaHB\TeX 의 \LaTeX\ 포맷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pkg{harfbuzz}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므로 더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패키지는 LuaHB\TeX\ 1.11.2를 기준으로 테스트하였다. \TeX\,Live 2019에 있는 1.10에서의
-올바른 동작은 보장하지 않는다. 이 때에는 \hologo{XeTeX}을 쓰도록 하라.
+이 패키지는 LuaHB\TeX\ 1.11.2를 기준으로 테스트하였다.
+\TeX\,Live 2020에 있는 1.12에서 문제없이 실행될 것이다.
-폰트 설정 시에 옵션으로 다음을 부여한다. 아래 \texttt{RawFeature} 부분은 LuaHB\TeX 이
-아니면 에러를 토할 것이다.
+폰트 설정 시에 옵션으로 다음을 부여한다.
\begin{verbatim}
[Script=Hangul,Renderer=Harfbuzz]
\end{verbatim}
-\verb|Harfbuzz| 대신 \verb|Renderer=OpenType|으로 지정할 수 있다.
+\verb|Harfbuzz| 대신 \verb|Renderer=OpenType|으로 할 수 있다.
이 설정은 \pkg{luatexko}와 함께 쓰는 경우든 아니든 필요하다.
\hologo{LuaTeX}에서 이 패키지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폰트는 \texttt{Script Hangul} 속성을 가진 폰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