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rw-r--r--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311
1 files changed, 239 insertions, 72 deletions
diff --git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index 8646c4d814..6a47752169 100644
---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59,7 +59,9 @@
%\date{2020/07/17\quad v0.1}
%\date{2020/07/18\quad v0.1.1}
%\date{2020/07/19\quad v0.2.0}
-\date{2020/01/20\quad v0.2.1}
+%\date{2020/01/20\quad v0.2.1}
+%\date{2020/01/28\quad v0.3}
+\date{2020/01/30\quad v0.3.1}
\maketitle
@@ -91,13 +93,31 @@ e/nv na/ri i do/ra/gar h@i/o/.
\subsection{패키지 사용 선언}
\begin{boxedverbatim}
-\usepackage{pmhanguljamo}
+\usepackage[<option>]{pmhanguljamo}
\end{boxedverbatim}
-preamble에 위의 문장을 둔다. 패키지의 옵션은 따로 없다.
+preamble에 위의 문장을 둔다. 옵션으로 \verb|rrk| 또는 \verb|RRK| 하나를 쓸 수 있는데
+이 옵션은 ``표준 전자법''으로 현대 한글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이에 대해서는
+\ref{sec:rrk}절을 보라.
+옵션을 주지 않으면 \ref{sec:pmrule}절에서 설명하는 pm 입력 방식을 따른다.
\subsection{명령과 환경}
+\subsubsection{주의사항}
+
+이 패키지의 목적은 한글 자모를 입력하여 한글이 표현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글이 입력되고 있는 범위(이하 “인자 범위”라고 부른다) 안에서는
+원칙적으로 다른 어떤 매크로도 올 수 없다. 글자가 먼저 만들어져야 거기에 대해서
+어떤 명령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begin{verbatim}
+ \textbf{\jamoword{<args>}}
+\end{verbatim}
+이것은 원하는 결과를 내지만
+\begin{verbatim}
+ \jamoword{\textbf{<args>}}
+\end{verbatim}
+이렇게 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
\subsubsection{\texttt{\bs jamoword} 명령}
\begin{boxedverbatim}
@@ -107,6 +127,7 @@ preamble에 위의 문장을 둔다. 패키지의 옵션은 따로 없다.
한글 자모를 알파벳으로 입력하여 출력한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어가 올 수 있다. (단 하나의 단어만을 처리하는 \cmda{\jamotextcmd}라는 명령이
있기는 하나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verb|\par|를 포함하는 문단은 올 수 없다.
\medskip
@@ -123,6 +144,8 @@ preamble에 위의 문장을 둔다. 패키지의 옵션은 따로 없다.
\end{boxedverbatim}
\env{jamotext} 환경은 여러 문단을 포함하는 긴 문장을 식자할 수 있다.
+단 이 환경 안에 오는 모든 텍스트는 문장부호와 몇 가지 예외적인 것 이외에
+인자를 취하는 매크로를 포함하지 않고 순수한 한글로만 되어 있어야 한다.
\medskip
\begin{exampleside}
@@ -142,13 +165,21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음절이 아니라 한 개의 자모만을 표시할 목적으로 \href{https://en.wikipedia.org/wiki/Hangul_Compatibility_Jamo}{한글 호환 자모}를 식자하려 할 때 사용하는 명령이다.
호환 자모를 \cmda{\jamoword} 명령의 인자 안에서 쓰는 방법은 \ref{sec:compjamo}절을 보라. 이 명령은 본문
중에서 독립적으로 쓰기 위해 마련되었다.
-인자로 단 하나의 자모만이 와야 한다.
+인자로 단 하나의 자모만이 와야 한다. 설령 \texttt{RRK} 옵션을 부여하여 RRK 입력 방법을 쓰는 때라도
+이 명령의 인자는 이 패키지의 고유한 전자 규칙을 따른다.
\medskip
\begin{exampleside}
\jmcc{BSG} \jmcc{@} \jmcc{UEY}
\end{exampleside}
+\section{轉字 규칙} \label{sec:pmrule}
+
+이 패키지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 독특한 입력 문자 대응 규칙을 정의하여 쓴다. 이 방법을
+편의상 ‘pm 전자 규칙’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방법은 \ref{sec:rrk}절에서 설명할 RRK 입력 규칙과
+다르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써야 한다. 소실된 한글 옛문자를
+완벽하게 식자하려면 pm 입력 방식으로만 가능하다.
+
\subsection{성조표지와 음절}
입력에는 로마자 알파벳과 \verb|@| 부호, 그리고 세 개의 성조표지(방점) 기호 \verb|/|, \verb|;|, \verb|:|를 사용한다.
@@ -277,7 +308,7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verb|\jamoword{W/n@n; 呑t@n/D/字/jj@x; ga/on;d@is;so/ri; g@;t@;ni/ra;.}| \\
\jamoword{W/n@n; 呑t@n/D/字/jj@x; ga/on;d@is;so/ri; g@;t@;ni/ra;.}
-\subsubsection{한자와 음절 한글}
+\subsubsection{문장 부호, 한자와 음절 한글}
\cmda{\jamoword} 명령과 \env{jamotext} 환경 안에 오는 인자는 다음과 같은 문자에 대하여 예약이 되어 있다.
\begin{itemize}\firmlist
@@ -285,7 +316,8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item \texttt{;}, \texttt{:}, \texttt{/} --- 이 세 개의 부호는 성조표지, 음절완성을 표시하기 위하여 예약되어 있다.
\item \texttt{|} --- 이 한 개의 부호문자는 내부적으로 사용하도록 예약되어 있다.
\end{itemize}
-이를 제외한 문자는 입력한 대로 찍힌다. 즉 한글 완성형 음절 문자나 한자 및 숫자와 문장부호가 모두 그대로 출력된다.
+이를 제외한 문자는 입력한 대로 찍힌다. 즉 한글 완성형 음절 문자나 한자 및 숫자와 문장부호가 모두 그대로 출력된다. 예: \verb|\jamoword{``/u/ri/na/ra/"}| \jamoword{``/u/ri/na/ra/"}. 모둔 문장 부호는 모두 음절 분리 부호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하라.
+
콜론, 세미콜론, 슬래시는 각각 \cmda{\ColonMark}, \cmda{\SemiColonMark}, \cmda{\SlashMark} 명령을 사용할 수 있게 해두었다.
\medskip
@@ -293,9 +325,11 @@ mun/jj@x;oa;ro; se/rv s@/m@s/di; a/ni;h@r/ss@i;
\jamoword{15 세기 표기\ColonMark{} 國之語音, 우리나라의 말이 $\Rightarrow$ na/ras/mar/ss@/mi}
\end{exampleside}
-단일 매크로 자체는 그대로 출력된다. 그러나 인자를 취하는 매크로의 인자로 로마자 알파벳이 들어가는 경우에는
-이 로마자를 자모 한글로 처리하려 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 알파벳 포함 인자를 취하는 매크로는 이 범위 안에
-넣지 않는 것이 좋다.
+매크로를 쓸 수 없는 것이 원칙이기는 하나,
+protect된 단일 매크로는 그대로 출력된다. 그러나 인자를 취하는 매크로는 오류가 발생할 것이므로
+인자 범위 밖에 두도록 하라.
+
+%RRK 입력 방식이 활성화되면 매크로 사용은 더욱 제한된다. \cmda{\ColonMark}와 같은 임시 명령도 동작하지 않는다.
\medskip
@@ -453,12 +487,37 @@ Adobe 명조 \testfont{AdobeMyungjoStd-Medium.otf}
\koTeX\ 문서가 아닐 때는 \pkg{fontspec} 패키지를 이용한다. main font를 위의 글꼴 중의 하나로 하거나(이 때에도 \texttt{[Script=Hangul]} 옵션을 반드시 지정하여야 한다.),
\cmda{\newfontfamily}로 글꼴 명령을 만들어 쓰거나,
아니면 한글이 필요한 부분에만 \cmda{\fontspec}으로 글꼴을 지정해주는 것으로 될 것이다.
-\fref{fig:sample}\는 \pkg{article} 문서의 한 예이다.\footnote{폰트에 부여하는
+%\fref{fig:sample}\는 \pkg{article} 문서의 한 예이다.
+다음은 \pkg{article} 문서의 한 예이다.\footnote{폰트에 부여하는
옵션에 관하여 각주~\ref{fn:fontoption}\을 볼 것.}
+%\begin{figure}
+%\centering
+%\begin{boxedminipage}{\dimexpr\textwidth-2.5cm\relax}
+\begin{boxedverbatim}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fontspec}
+\newfontfamily\hngljmfont{HCR Batang LVT}[Script=Hangul]
+\usepackage{pmhanguljamo}
+\newcommand*\jmhangul[1]{%
+ \begingroup
+ \hngljmfont\jamoword{#1}%
+ \endgroup
+}
+
+\begin{document}
+Say `Hello' in Korean,
+\jmhangul{an/nyex/ha/sey/yo}.
+\end{document}
+\end{boxedverbatim}
+%\end{boxedminipage}
+%\caption{article에서 pmhanguljamo을 쓰는 예}\label{fig:sample}
+%\end{figure}
+
\bigskip
-\pkg{polyglossia}와 함께 사용하는 것도 잘 된다.\footnote{\pkg{polyglossia}는 \XeLaTeX 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pkg{polyglossia}와 함께 사용하는 것도 잘 된다.
+%\footnote{\pkg{polyglossia}는 \XeLaTeX 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다음은 이 경우의 한 설정 방법이다.
(이 보기에서는 한국어를 other language로 설정하고 있는데 만약 main language로 설정한다면
\env{korean} 환경 안이 아니라도 한글 폰트가 적용된다.)
@@ -500,28 +559,166 @@ na/ras/mar/ss@/mi
그러나 위의 처방은 이 환경 안의 모든 로마자가 한글이라는 확신이 있을 때만 적용해야 할 것이다.
\env{korean} 환경 안에서 로마자를 입력해야 할 일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begin{figure}
+\subsection{훈민정음 어제 서문}
+
+훈민정음 어제 서문을 입력한 예를 보여두겠다.
+
+\begin{boxedverbatim}
+\begin{jamotext}
+世syeyx;宗joq/御ex;製jyeyx;訓hun;民min/正jyeq;音fvm/
+
+na/ras;mar:ss@/mi; 中dyuq/國guig;ei; dar/a;
+文mun/字jj@x;oa;ro; se/rv s@/m@s/di; a/ni;h@r/ss@i;
+i;ren jyen/c@;ro; e/rin; 百b@ig;姓syeq;i; ni/rv/go;jye; horf; bai;
+i/sye;do; m@/c@m;nai: jey bdv;dvr; si/re; pye/di;
+mod:h@rf no;mi; ha/ni;ra;.
+
+nai; i;r@r; 爲uix;h@;ya; e:yes/bi; ne/gye;
+sai;ro; sv;mvr; ye/dvrb; 字jj@x;r@r; m@iq/g@;no/ni;
+sa:r@m/ma:da; h@i:xxye; su:bxi; ni/gye;
+nar;ro; bsu;mey;
+便bbyen/安fan/kvi; h@/go;jye; h@rf sd@/r@/mi;ni/ra;.
+\end{jamotext}
+\end{boxedverbatim}
+
+\begin{quote}
+\begin{jamotext}
+世syeyx;宗joq/御ex;製jyeyx;訓hun;民min/正jyeq;音fvm/
+
+na/ras;mar:ss@/mi; 中dyuq/國guig;ei; dar/a;
+文mun/字jj@x;oa;ro; se/rv s@/m@s/di; a/ni;h@r/ss@i;
+i;ren jyen/c@;ro; e/rin; 百b@ig;姓syeq;i; ni/rv/go;jye; horf; bai; i/sye;do;
+m@/c@m;nai: jey bdv;dvr; si/re; pye/di; mod:h@rf no;mi; ha/ni;ra;.
+
+nai; i;r@r; 爲uix;h@;ya; e:yes/bi; ne/gye;
+sai;ro; sv;mvr; ye/dvrb; 字jj@x;r@r; m@iq/g@;no/ni;
+sa:r@m/ma:da; h@i:xxye; su:bxi; ni/gye;
+nar;ro; bsu;mey;
+便bbyen/安fan/kvi; h@/go;jye; h@rf sd@/r@/mi;ni/ra;.
+\end{jamotext}
+\end{quote}
+
+
+\section{표준 로마자 표기법 전자법 입력}\label{sec:rrk}
+
+\let\Ajamoword\jamoword
+\let\Ajamotext\jamotext
+\let\endAjamotext\endjamotext
+\let\jamoword\relax
+\let\jamotext\relax
+\let\endjamotext\relax
+\ExplSyntaxOn
+\input {pmhanguljamo-rrk.tex}
+\ExplSyntaxOff
+
+패키지 옵션으로 \verb|[rrk]| 또는 \verb|[RRK]|가 주어지면 입력 규칙이 표준 로마자 표기법 전자법 방식으로
+바뀐다. 전자법(transliteration method, 轉字法)이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998:2000) 제3장 제8항에서
+\begin{quote}
+학술 연구 논문 등 특수 분야에서 한글 복원을 전제로 표기할 경우에는 한글 표기를 대상으로 적는다. 이때 글자 대응은 제2장을 따르되 ‘ㄱ, ㄷ, ㅂ, ㄹ’은 ‘g, d, b, l’로만 적는다. 음가 없는 ‘ㅇ’은 붙임표(-)로 표기하되 어두에서는 생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기타 분절의 필요가 있을 때에도 붙임표(-)를 쓴다.
+\end{quote}
+라 규정한 방법을 말한다.\footnote{\url{https://www.korean.go.kr/front/page/pageView.do?page_id=P000150&mn_id=99}}
+RRK는 이 문서의 영어 명칭인 \emph{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의 첫 글자를 딴 것이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전음법이 원칙이고 전자법은 예외 규정이다. 그러나 한글의 입력 방법으로서 이를 쓰려 하는 한
+전음법은 사용할 수 없다.
+
+전자법 입력은 오직 현대어에만 적용된다. 따라서 옛한글은 이 방법으로 입력할 수 없다. (아래아 입력을 가능하게 한 것은
+아래를 참조.)
+
+\subsection{RRK 전자 규칙}
+
+\begin{table}[h]
\centering
-\begin{boxedminipage}{\dimexpr\textwidth-2.5cm\relax}
-\begin{verbatim}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fontspec}
-\newfontfamily\hngljmfont{HCR Batang LVT}[Script=Hangul]
-\usepackage{pmhanguljamo}
-\newcommand*\jmhangul[1]{%
- \begingroup
- \hngljmfont\jamoword{#1}%
- \endgroup
-}
+\begin{tabular}{ll|ll|ll|ll|ll|ll}
+\hline
+\multicolumn{12}{l}{모음} \\ \hline
+ㅏ & a & ㅓ & eo & ㅗ & o & ㅜ & u & ㅡ & eu & ㅣ & i\\
+ㅐ & ae & ㅔ & e & ㅚ & oe & ㅟ & wi & & & & \\ \hline
+ㅑ & ya & ㅕ & yeo & ㅛ & yo & ㅠ & yu & ㅒ & yae & ㅖ & ye \\
+ㅘ & wa & ㅙ & wae & ㅝ & wo & ㅞ & we & ㅢ & ui & & \\ \hline
+ \end{tabular}
+ \end{table}
-\begin{document}
-Say `Hello' in Korean,
-\jmhangul{an/nyex/ha/sey/yo}.
-\end{document}
+\begin{table}[h]
+\centering
+\begin{tabular}{ll|ll|ll|ll|ll|ll}
+\hline
+\multicolumn{12}{l}{자음}\\ \hline
+ㄱ & g & ㄲ & kk & ㅋ & k & ㄷ & d & ㄸ & tt & ㅌ & t \\
+ㅂ & b & ㅃ & pp & ㅍ & p & ㅈ & j & ㅉ & jj & ㅊ & ch \\
+ㅅ & s & ㅆ & ss & ㅎ & h & & & & & & \\
+ㄴ & n & ㅁ & m & ㅇ & ng & ㄹ & l & & & & \\ \hline
+\end{tabular}
+\end{table}
+
+\begin{enumerate}[(1)] \firmlist
+\item 단어의 첫소리 `ㅇ'은 적지 않는다. 그밖의 초성 이응은 \verb|-|로 적는다. \\
+\verb|\jamoword{annyeonghase-yo}|. \jamoword{annyeonghase-yo}.\\
+\verb|\jamoword{na bogiga yeoggyeo-wo gasil ttae-eneun}|
+\jamoword{na bogiga yeoggyeo-wo gasil ttae-eneun}
+
+\item 표준의 규정 대로 \verb|-|는 음절의 분철을 위해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표준의 규정에는 없지만 음절 구분을 위한 \verb|/|를 사용할 수 있다. 음절 분리자가 쓰인
+경우에는 초성 이응을 생략할 수 있다. \\
+\verb|\jamoword{iss-eoss-seubnida}|. \jamoword{iss-eoss-seubnida}. \\
+\verb|\jamoword{annyeonghase/yo}|. \jamoword{annyeonghase/yo}. \\
+\verb|\jamoword{annyeonghase-yo}|. \jamoword{annyeonghase-yo}.
+
+\item 모음과 모음 사이에 `ㅅ'이 세 개 오는 경우에는 쌍시옷 받침과 초성 시옷으로 분해한다. 만약 어떤 이유에선가 이 분철방법을
+바꾸어야 한다면 \verb|-|나 음절 분리 부호를 쓰도록 하라. 강제 분철이 필요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verb|\jamoword{haessseubnida}|. \jamoword{haessseubnida}. \\
+\verb|\jamoword{gas/sseun, mal/sseum}|. \jamoword{gas/sseun, mal/sseum}. \\
+\verb|\jamoword{gas-sseun, mal-sseum}|. \jamoword{gas-sseun, mal-sseum}.
+
+\item 문장 부호는 \texttt{.}, \texttt{,}, \texttt{!}, \texttt{?},
+\texttt{;}, \texttt{:} 이 여섯 개에 한하여
+인자 범위 안에서 입력할 수 있다. 다른 것은 오지 못한다. 특히 줄표(\texttt{-})는 인자 범위 안에 넣으면 안 된다.\\
+\verb|\jamoword{swimpyo, machimpyo. a! geulae? olhda.}| \jamoword{swimpyo, machimpyo. a! geulae? olhda.} \\
+따옴표의 경우, \LaTeX\ 따옴표는 인자 범위 밖에 두어야 한다. 그런데 소위 “스마트 따옴표”를 이용하여 유니코드 따옴표를 입력한다면 음절 분리 부호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
+\verb|\jamoword{“/ulinala/”}| \jamoword{“/ulinala/”} \\
+이 때의 음절 분리 부호는 하이픈 부호로 대치할 수 없다.
+
+\item 현대어만 입력할 수 있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 패키지는 편의를 위해 아래아(와 쌍아래아)를 식자할 수 있게 하였다.
+아래아는 \verb|@|로, 쌍아래아는 \verb|@@|로 적는다. 다른 옛한글 문자는 입력할 수 없다. \\
+\verb|\jamoword{h@ngeul}| \jamoword{h@ngeul}. \\
+\verb|\jamoword{@@nam-eun}| \jamoword{@@nam-eun}. \\
+단 `\jamoword{x@}' 글자만으로 한 단어를 이룰 때 \verb|@| 문자의 성격 때문에 음절이 만들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럴 때는 \verb|x|를 앞에 붙여 \verb|x@|와 같이 입력한다. 받침이 붙거나 다음 음절이 이어지는 때에는 \verb|x|를 붙일 필요 없다.\\
+\verb|\jamoword{x@ x@@ @n @@n}|. \jamoword{x@ x@@ @n @@n}.\\
+이로써 이 패키지의 RRK 방식
+입력으로도 제주어를 적을 수 있다.
+\item 초성 자리에 (실수로) l 대신 r이 오더라도 `ㄹ'이 적히도록 하였다. \\
+\verb|\jamoword{ri-eul li-eul}|. \jamoword{ri-eul li-eul}.
+\end{enumerate}
+
+\subsection{현대문 RRK 입력 예제}
+
+\begin{boxedverbatim}
+\begin{verse}
+\begin{jamotext}
+nae saranghali siwol-ui gangmul-eul \\
+seog-yang-i jit-eoganeun puleun molaetob \\
+jinan nal gajyeossdeon seulpeun yeojeongdeul-eul, adeughan gidaeleul \\
+ijeneun hollo nam-a ttatteus-i gidalili.
+\end{jamotext}
+\end{verse}
+\end{boxedverbatim}
+
+\begin{verse}
+\begin{jamotext}
+nae saranghali siwol-ui gangmul-eul \\
+seog-yang-i jit-eoganeun puleun molaetob \\
+jinan nal gajyeossdeon seulpeun yeojeongdeul-eul, adeughan gidaeleul \\
+ijeneun hollo nam-a ttatteus-i gidalili.
+\end{jamotext}
+\end{verse}
+
+비교를 위하여 이 패키지의 고유한 pm 입력 방식으로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
+\begin{verbatim}
+nai sa/rax/ha/ri si/uer/vi gax/mur/vr \\
+seg/yax/i jit/e/ga/nvn pu/rvn mo/rai/tob \\
+ji/nan nar ga/jyess/den svr/pvn ye/jex/dvr/vr/, a/dvg/han gi/dai/rvr \\
+i/jey/nvn hor/ro nam/a dda/ddvs/i gi/da/ri/ri/.
\end{verbatim}
-\end{boxedminipage}
-\caption{article에서 pmhanguljamo을 쓰는 예}\label{fig:sample}
-\end{figure}
\section{贅辭}
@@ -532,11 +729,12 @@ Kubuntu 리눅스에서 옛한글이 사용되는 문서를 작성할 일이 있
QT에서 뭔가 이상하게 동작하거나 아예 한글 입력이 안 되거나\ldots\ldots.
\LaTeX\ 문서인데 굳이 입력기가 필요한가 생각이 들어 간단히 로마자 대응 입력(transliteration)으로 한글과 옛한글을
입력하도록 하면 이 문제로 시간낭비하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싶어 시작하게 된 일이었다.
-(그리고 입력기 설치보다 더 많은 시간과 \jamoword{ke/xpi/}--\footnote{이 표기를
+(그리고 입력기 설치보다 더 많은 시간과 \jamotextcmd{ke}\jamotextcmd{xpi}--\footnote{이 표기를
이태준 (1940), \ccnm{文章講話} (경성 종로, 文章社), p.~23에서 보았다. `\jamotextcmd{pxi}'가
아니라 `\jamotextcmd{xpi}'이다. 부록의 \fref{fig:mun} 참조.
인쇄 상태로 미루어보면 `\jamotextcmd{xpi}'자 활자가 있었던 것 같지는 않고 `피'를 식자한 후에 왼편에
-조그마한 고리를 달아 인쇄한 것으로 보인다.}%
+조그마한 고리를 달아 인쇄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약용의 원본에 지석영이 영어 단어와 음을 붙여 발행했다고 하는 \ccnm{아학편} (1909)에서도 이와 같은 표기법이 쓰이고 있다.}%
를 소비하였다.)
옛한글 입력과 관련하여, Mac OS에서는 구름 입력기가 있더라. 한글 Windows 10은 시스템 자체에
@@ -584,6 +782,10 @@ Expl3는 내가 원하는 일을 너무나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
\textbullet\ v0.2.1 (2020/01/20): \verb|\ColonMark| bug fix. thanks to yihoze.
+\textbullet\ v0.3 (2020/01/28): 표준 로마자 표기법 전자법 입력 추가.
+
+\textbullet\ v0.3.1 (2020/01/30): RRK 입력 방법에서 한글 음절 문자 구성 방법 개선. 일부 문장부호 추가.
+
%%% APPENDICES
\ExplSyntaxOn
\int_new:N \l_appsec_int
@@ -600,7 +802,7 @@ Expl3는 내가 원하는 일을 너무나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
\newpage
\section*{부록 \appsec. 이 문서 컴파일에 필요한 폰트}
-\addcontentsline{toc}{section}{\string\qquad 부록}
+\addcontentsline{toc}{section}{\string\hspace{1.8em}부록}
이 문서의 한글과 한자 부분에 다음과 같은 폰트를 사용하였다.
모두 설치되어 있어야 컴파일할 수 있다.
@@ -639,52 +841,15 @@ Adobe사의 \href{https://source.typekit.com/source-han-serif/kr/}{본명조(Sou
폰트 설정 시에 옵션으로 다음을 부여한다. 아래 \texttt{RawFeature} 부분은 LuaHB\TeX 이
아니면 에러를 토할 것이다.
\begin{verbatim}
-[Script=Hangul,RawFeature={mode=harf}]
+[Script=Hangul,Renderer=Harfbuzz]
\end{verbatim}
+\verb|Harfbuzz| 대신 \verb|Renderer=OpenType|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 설정은 \pkg{luatexko}와 함께 쓰는 경우든 아니든 필요하다.
\hologo{LuaTeX}에서 이 패키지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폰트는 \texttt{Script Hangul} 속성을 가진 폰트로
제한된다. 이 속성을 가지지 않은 일반적인 폰트로는 자모 입력으로부터 한글 음절 문자를 얻어낼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ref{sec:font}절에서 어떤 폰트가 사용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section*{부록 \appsec. 예제}
-
-훈민정음 어제 서문을 입력한 예를 보여두겠다.
-
-\begin{boxedverbatim}
-\begin{jamotext}
-世syeyx;宗joq/御ex;製jyeyx;訓hun;民min/正jyeq;音fvm/
-
-na/ras;mar:ss@/mi; 中dyuq/國guig;ei; dar/a;
-文mun/字jj@x;oa;ro; se/rv s@/m@s/di; a/ni;h@r/ss@i;
-i;ren jyen/c@;ro; e/rin; 百b@ig;姓syeq;i; ni/rv/go;jye; horf; bai;
-i/sye;do; m@/c@m;nai: jey bdv;dvr; si/re; pye/di;
-mod:h@rf no;mi; ha/ni;ra;.
-
-nai; i;r@r; 爲uix;h@;ya; e:yes/bi; ne/gye;
-sai;ro; sv;mvr; ye/dvrb; 字jj@x;r@r; m@iq/g@;no/ni;
-sa:r@m/ma:da; h@i:xxye; su:bxi; ni/gye;
-nar;ro; bsu;mey;
-便bbyen/安fan/kvi; h@/go;jye; h@rf sd@/r@/mi;ni/ra;.
-\end{jamotext}
-\end{boxedverbatim}
-
-\begin{quote}
-\begin{jamotext}
-世syeyx;宗joq/御ex;製jyeyx;訓hun;民min/正jyeq;音fvm/
-
-na/ras;mar:ss@/mi; 中dyuq/國guig;ei; dar/a;
-文mun/字jj@x;oa;ro; se/rv s@/m@s/di; a/ni;h@r/ss@i;
-i;ren jyen/c@;ro; e/rin; 百b@ig;姓syeq;i; ni/rv/go;jye; horf; bai; i/sye;do;
-m@/c@m;nai: jey bdv;dvr; si/re; pye/di; mod:h@rf no;mi; ha/ni;ra;.
-
-nai; i;r@r; 爲uix;h@;ya; e:yes/bi; ne/gye;
-sai;ro; sv;mvr; ye/dvrb; 字jj@x;r@r; m@iq/g@;no/ni;
-sa:r@m/ma:da; h@i:xxye; su:bxi; ni/gye;
-nar;ro; bsu;mey;
-便bbyen/安fan/kvi; h@/go;jye; h@rf sd@/r@/mi;ni/ra;.
-\end{jamotext}
-\end{quote}
\section*{부록 \appsec. 유니코드의 한글}
@@ -780,6 +945,8 @@ GSUB/GPOS라는 트루타입 오픈의 속성을 이용하여
뿐이라 별로 언급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 다만 공병우 박사가 생전에 이 직결 글꼴의 아이디어로
한글 문자생활을 했다는 이야기가 흥미롭다.
+\newpage
+
\section*{부록 \appsec. \ccnm{문장강화}의 한 페이지}
\begin{figure}[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