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language/korean/HLaTeX/hlguide-u.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language/korean/HLaTeX/hlguide-u.tex')
-rw-r--r--language/korean/HLaTeX/hlguide-u.tex2635
1 files changed, 2635 insertions, 0 deletions
diff --git a/language/korean/HLaTeX/hlguide-u.tex b/language/korean/HLaTeX/hlguide-u.tex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c0e0d4b4b6
--- /dev/null
+++ b/language/korean/HLaTeX/hlguide-u.tex
@@ -0,0 +1,2635 @@
+\usepackage[국배판]{hangul}
+
+%% 길잡이 제목에 필요.
+\begingroup
+\makeatletter
+\def\gobble@zero#1{\expandafter\is@zero#1\relax}
+\def\is@zero#1{\ifnum#1=0\relax\else#1\fi}
+\let\KSC@\noexpand
+\def\d@t@#1/#2/#3\relax{\if@hanja #1年 \gobble@zero#2月
+ \gobble@zero#3日\else #1년 \gobble@zero#2월 \gobble@zero#3일\fi}
+\protected@xdef\HLaTeXdate{\expandafter\d@t@\filedate\relax}
+\endgroup
+\let\HLaTeXversion\fileversion
+
+\usepackage{array,makeidx,multicol}
+\usepackage[bookmarks=false]{khyper}
+
+\hangulskip-1pt
+
+\pagestyle{headings}
+\usepackage{texnames}
+\usepackage{mflogo}
+\ifx\nullocplist\undefined\else
+\def\MF{{\logofamily META-FONT}}
+\fi
+\newcommand{\NFSS}{\textsf{NFSS2}}
+\newcommand{\HFSS}{\textsf{HFSS}}
+\newcommand{\PS}{포스트스크립트}
+\newcommand{\OMEGA}{Ω}
+\newcommand{\OTP}{\OMEGA TP}
+
+\newcommand{\LaOm}[2]{{\sffamily\footnotesize%
+ \medskip
+ \begin{tabular}{cp{10cm}}
+ \LaTeX & \slshape #1 \\
+ Λ & \slshape #2 \\
+ \end{tabular}
+ \medskip
+}}
+\makeatletter
+\@ifundefined{BibTeX}
+ {\def\BibTeX{{\rmfamily B\kern-.05em%
+ \textsc{i\kern-.025em b}\kern-.08em%
+ T\kern-.1667em\lower.7ex\hbox{E}\kern-.125emX}}}{}
+\makeatother
+%\renewcommand{\LaTeX}{라텍}
+%\renewcommand{\HLaTeX}{한글라텍}
+%\renewcommand{\TeX}{텍}
+\makeatletter
+\@ifclassloaded{book}%
+{\newenvironment{abstract}
+ {\newpage\begin{center}\textbf{\Large\abstractname}\end{center}
+ \begin{quote}}{\end{quote}\newpage}}{}
+\makeatother
+\setlength{\columnseprule}{.2pt}
+\makeindex
+\makeglossary
+\hyphenation{ghost-view}
+
+\renewcommand\hindexhead[1]{\indexspace
+ {\bfseries
+ 『\ifcase#1 심벌\or 가\or 까\or 나\or 다\or 따\or 라\or
+ 마\or 바\or 빠\or 사\or 싸\or 아\or 자\or 짜\or
+ 차\or 카\or 타\or 파\or 하\or 한자\fi 』}
+ \nopagebreak
+}
+
+\begin{document}
+%% End Of Header
+\begin{titlepage}
+ \title{\textbf{\Huge\옛글 한글라텍 길잡이\\
+ \noindent\rule{\textwidth}{3pt}\\
+ \mdseries\Large (버전 \HLaTeXversion{})}}%
+ \author{殷 \ 光 熙\thanks{\texttt{koaunghi@kornet.net}}}
+ \date{\HLaTeXdate}
+\end{titlepage}
+
+\maketitle
+
+\tableofcontents
+
+\begin{abstract}
+ 라텍은 쪽 판짜기에 탁월한 기능을 가진 문서 식자 체계(document
+ typesetting sys\-tem)입니다. 한글라텍은 이런 우수한 문서 식자
+ 체계로 한글도 쓸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라텍
+ 꾸러미입니다. 라텍은 사용에 아무런 제한이 없이 보급되고
+ 한글라텍 또한 한글을 쓰고자 하는 모든 이에게 별다른 조건 없이
+ 유용한 도구로 제공됩니다.
+
+ 이 안내서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begin{itemize}
+ \item 한글라텍 역사.
+ \item 한글라텍 설치.
+ \item 한글라텍 사용.
+ \item 우리말 글꼴 선택.
+ \end{itemize}
+
+ 이 글이 한글라텍을 사용하는 분들에게 조그마하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 바랍니다.
+
+ 한글라텍을 발표하면서 한글 글자체 작성에 도움을 주신 고려대학교
+ 언어과학과 李基用 교수님(klee@korea.ac.kr),
+ 문화관광부\footnote{이전의 문화체육부} \PS{} 글자체를 제공하신
+ 연세대학교 국문과 洪允杓 교수님, 한글을 보는 눈을 깨우쳐 주신
+ 충남대학교의 노용균교수님\footnote{yno@linguist.cnu.ac.kr},
+ 한글라텍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지적하고 도와주신
+ 원세연님\footnote{sywon@sorak.kaist.ac.kr}과
+ 이천우님\footnote{clee@achem2.ajou.ac.kr}, 우리말 글자체 선택 모듬
+ 명령(macro)을 제안$\cdot$수정$\cdot$실험해 주신
+ 이형석님\footnote{hyslee@sarang.kaist.ac.kr}, 항상 컴퓨터에서의 한글
+ 사용에 대해 전반적으로 도움을 주시는
+ 신정식님\footnote{jshin@mailaps.org}, KTUG을 운영하시는
+ 조진환님\footnote{chofchof@ktug.or.kr}, 한글 글자체를 비롯하여
+ 다방면에서 활동하시는 박원규님\footnote{wkpark@chem.skku.ac.kr},
+ 한글라텍 윈도우 포팅에 노력을 아끼지 않으시는
+ 김강수님\footnote{karnes@doeun.pe.kr} 그리고 한글라텍의 발전에
+ 기여하신 많은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특히 李基用 교수님은
+ 한글라텍의 발전을 위하여 2GB 굳은 저장판(hard disk)을 2개
+ 기증하셨습니다. 한글라텍은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완성형 글자체와 UHC
+ 글자체들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한글라텍을 완성해 가면서 李基用
+ 교수님께 감사합니다.
+
+\bigskip
+
+\hfill --- 殷 光熙.
+\end{abstract}
+
+\section{텍 -- 문서 식자 시스템}
+
+
+\subsection{텍에 대해}
+
+텍(\TeX)\index{역사!\TeX}은\footnote{`텍'은 그리이스어
+ $\tau\epsilon\chi{}$에서 유래된 낱말입니다.
+ \begin{quote}
+ English words like `technology' stem from a Greek root beginning
+ with the letters $\tau\epsilon\chi{}\ldots$; and this same Greek
+ word means \textit{art} as well as technology. Hence the name
+ 텍, which is an uppercase form of $\tau\epsilon\chi{}$.
+
+ Insiders pronounce the $\chi$ of 텍 as Greek chi, not as an
+ `x', so that 텍 rhymes with the word blecchhh. It's the `ch'
+ sound in Scottish words like \textit{loch} or German words like
+ \textit{ach}; it's a Spanish `j' and a Russian `kh'. When you say
+ it correctly to your computer, the terminal may become slightly
+ moist.
+ \end{quote}
+
+ \hfill \textsl{The \TeX{}book에서 발췌}.} 미국 스탠포드 대학 수학과의
+Donald E.~Knuth 교수가 1977년 5월에 처음으로 만들었고, 그 해 여름에
+Michael F.~Plass 씨와 Frank M.~Liang 씨가 지금의 텍의 전신을 만드는
+공동 작업을 하였으며 같은 해 말에서 다음 해 초 사이에는 Knuth 교수가
+다시 완성시킨 문서 식자 시스템입니다.\index{문서 식자 시스템!텍} 텍은
+원래 SAIL 언어로 쓰여졌으나 1979년 초에는 Knuth 교수와 Luis Trapp
+Pardo에 의해 공동 개발된 Web 언어로 전환시키는 작업이 시작되었고
+1979년과 1980년에 Ignacio A.~Zabala 씨가 이를 완성시켰습니다. 텍은
+1979년 후반기와 1980년 전반기에 걸쳐 Knuth 교수가 더욱 안정된
+프로그램로 정착시켰고 그해 9월에 \TeX82 버전 0으로 발표되기
+시작했습니다. 그 후 많은 사람들의 조언을 반영하여 1989년 9월에 최종의
+심사를 거쳐 발표된 텍은 현재, 전문적인 자연 과학 문서를 작성하는 데
+가장 좋은 문서 식자기로 인정받고 있습니다(\cite{Knuth:ct-a} --
+\nocite{Knuth:ct-b} \nocite{Knuth:ct-c} \nocite{Knuth:ct-d}
+\cite{Knuth:ct-d}\를 참고). 수학자인 Knuth 교수는 이 문서 식자 체계를
+사용하여 수학 공식도 자유 자재로 쓸 수 있도록 했습니다. Knuth 교수는
+텍 외에도 \MF{}를 개발하여 텍 문서를 인쇄하는데 필요한 양질의
+글자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였고 이로서 텍은 출판 서적을 만드는 데
+손색이 없는 문서 식자 체계로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
+
+\subsection{라텍에 대해}
+
+텍의 식자 기능은 매우 탁월하지만 일반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프로그래머의 사고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많은 노력과 경험으로 텍의
+기능을 이해하여야 문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글자체를 스스로 정의하고 문장과 문장 사이의 간격을 넓혀주는 등의 일을
+일일이 손으로 처리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텍은 전문적인 프로그래머
+층에서나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
+그러나 미국의 전산과학자인 Les\-lie Lam\-port는 사용자와 텍의 사이를
+좁히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라텍(\LaTeX)\index{역사!\LaTeX}을 개발하여
+쉽게 문서를 작성하게끔 기여하였습니다 (\cite{Lamport:1985:LDP}\를
+참고). 그는 일반적인 문서 모양새를 텍의 모듬 명령(macro)으로
+정의함으로써, 프로그래밍의 경험이 없는 사용자도 쉽게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사용자는 쓰고자 하는 글의 전체적인 윤곽에 맞는
+양식을 지정한 후, 작성하는 문서의 내용에만 집중하면 원하는 모양새의
+문서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텍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짧은 시간 내에 좋은 문서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index{라텍}
+
+장기간이 흐르면서 라텍은 전세계적으로 많이 보급되었고 이에 따라 라텍이
+해내야 하는 과제의 폭도 넓어졌습니다. 그 결과로 라텍은 근본적인 바탕을
+바꾸고 국제화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졌고 1992말부터는 라텍 버전 3
+일감 팀(project team)\footnote{Leslie Lamport, Johannes Braams, David
+ Carlisle, Alan Jeffrey, Frank Mittelbach, Chris Rowley, Rainer
+ Sch\"opf: 이들은 \cite{Goosens:LC94}\을 출간하였는데 이 책의 수입은
+ 그 절반이 라텍 버전 3 개발팀에게 할당되어 이 팀을 지원하게끔 되어
+ 있습니다.}이 구성되어 새로운 라텍 버전 3의 작업에
+착수하였습니다.\index{라텍!버전 3} 1994년 6월 1일을 기해 라텍 버전
+2$\epsilon$\index{역사!\LaTeXe}을 공식적으로 내놓은 이 팀은 현재 (94년
+11월) 깁기 수준(patchlevel) 4를 발표하면서 계속 라텍 버전 3을 위해
+작업하고 있습니다. Frank Mittelbach 씨와 Rainer Sch\"opf 씨는
+\cite{Scherber:OST94}에서 라텍 버전 3 개발\index{LaTeX@\LaTeX3 개발}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index{라텍!개발 목표}
+\begin{itemize}
+\item 라텍의 사용 범위를 이전의 자연 과학 분야에서 벗어나, 각
+ 분야의 문서 모양새에도 만족할 수 있는 모양새 파일을 제공하고 이런
+ 여러 모양새를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item 위와 같은 모양새 파일을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런
+ 기본적인 문서 모양새를 바탕으로 자신의 독자적 요구를 쉽게 이룰 수
+ 있게 한다.
+\end{itemize}
+
+
+\subsection{한글 라텍에 대해}
+
+이렇게 라텍이 국제화되어 가는 동안 한국 KAIST 전산학과에서는 라텍으로
+한글을 쓸 수 있도록 모듬 명령을 만들고 한글 글자체를 준비하여
+hlatex을\index{역사!hlatex} (최우형, 백윤주) 보급하였습니다.
+(\cite{최우형92}\를 참고) hlatex은 기존의 라텍에 한글 글자체를 추가하는
+\texttt{hfont.tex}, 한글 문서 작성 환경을 정의하는
+\texttt{harticle.sty}과 \texttt{hreport.sty}, \texttt{hbook.sty} 그리고
+한글 KS 완성형 부호 체계를 텍의 모듬 명령으로 변환해 주는
+앞처리기(preprocessor) \texttt{htex}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급되는
+글자체의 사용을 제한받으면서 출발한 hlatex은 그런대로 통신망을 통해
+KAIST 외부의 일반에게 퍼지게 되었고\footnote{그 당시 hlatex의 사용은
+ KAIST 이내와 해외에서만 허용되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한자의
+사용을 추가한 jhtex이 (殷光熙)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일본의 간지 글자체를 hlatex에 덧붙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문서 모양새도 좀더 한글화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글자체가
+늘어남으로써 불가피해 진 \NFSS{}의 도입이
+이루어졌습니다.\footnote{\NFSS{}는 라텍 버전 2$\epsilon$의 주된
+ 기능으로 New Font Selection Scheme의 약자입니다. 라텍의 글자체 선택
+ 방식을 대폭 개선함으로써 그 동안 라텍의 취약점으로 남아 있던 글자체
+ 선택 문제를 완벽히 해결한 기능입니다.} 이 두 프로그램은 좀더 나은,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일반에게 보급될 수 있고자
+한글라텍\index{역사!한글라텍}으로 통합되었는데 이로써 한글라텍은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습니다 (한글라텍 버전 0.92e).\index{한글라텍}
+
+① 라텍 버전 2$\epsilon$에 의한 한글 문서 작성
+
+② 한국 표준 부호 체계 및 한자 사용
+
+③ 앞처리기(preprocessor)의 기능을 라텍 모듬 명령으로 대체
+
+KAIST 전산학과에서 시작된 hlatex은 다양한 글자체를 보급하여 어느 정도
+변화있는 한글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글자체의 원천(source)이
+공개될 수 없어서, 미리 만들어진 300dpi와 600dpi의 \texttt{pk} 파일만
+제공되었습니다. 따라서 문서의 인쇄는 300dpi와 600dpi의 해상도를 갖는
+인쇄기에서만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한글라텍 버전 0.93부터는
+문화관광부에서 공개한 글자체와 \PS{} type I 글자체, 그 외에도 두값본
+그림(bitmap graphic)에서 추출된 외곽선 글자체가 \MF{} 원천으로
+보급됩으로써 사용자는 아무런 제약 없이 한글라텍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글자의 배치도 이전의 KAIST식인 조합 완성 혼합식을 따르지
+않고 일반적인 한국 표준 완성형 방식을 지향하게 되었습니다.
+
+
+\subsection{\OMEGA{}에 대해}
+\label{소절:미래}\index{오메가@Ω}
+
+텍의 앞날을 바라보면 우리말과 같이 평범하게 처리하기 어려운 언어권의
+사용자들에게 많은 희망을 줍니다. 1997년 2월에 발표된 web2c 버전
+7.0과\index{web2c-7.0} 같은 예를 보더라도 한 문서에서 256개의
+글자체밖에 사용할 수 없었던 장벽이 무너지고 글자체를 최대한 2000개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 『한글라텍\ 길잡이』를 처리하는 데 힘겨웠던
+불편이 완전히 사라질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는, 텍 자체가
+7비트 부호 체계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있는 반면 한글 부호화 표준(KSC
+5601-1987)은 8비트의 문자가 두 번 연속되는 이중 바이트의 체계라는
+데에서 발생합니다. 텍 버전 3의 출현으로 유럽 언어와 같은 8비트 부호
+체계의 처리는 해결되었지만 우리말과 같은 16비트 부호를 처리하는 데에는
+아직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16비트 부호 체계를 바탕으로 형성된 텍의 구현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세계적인 추세도 각 나라의 모든 언어를 동시에 부호화 할 수 있는 통일된
+부호화 방식을 지향하게 되었고, 국제 표준화 단체는 32비트 코드 체계인
+국제 부호화 문자 세트(UCS)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텍에서 이 문자
+세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8비트 코드 체계를 확장하여 16비트
+코드 체계에 바탕을 둔 \OMEGA{}로 텍을 대체하는 시도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OMEGA{}는 16비트 텍의 구현으로서, 유니코드를
+처리할 수 있는 텍이라고 간단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OMEGA{}는 현재
+Yannis Haralambous와\footnote{Yannis.Haralambous@univ-lille1.fr} John
+Plaice가\footnote{plaice@ift.ulaval.ca}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1996년
+11월에 te\TeX 버전 0.4를 바탕으로 시험판이 나왔었고, 1997년 11월에는
+공개판으로 \OMEGA{} 버전 1.47이 발표되었습니다. \OMEGA{} 공개판이
+발표됨으로써 \OMEGA{}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꾸러미(package)들이
+많이 개발되어 왔고, web2c 버전 7.0부터 \OMEGA{}에\index{오메가@Ω}가
+지원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결국, 1998년 3월에 발표된 web2c 버전 7.2에는
+\OMEGA{} 버전 1.5를 공식적으로 채택하여 함께 보급하게 되는 단계에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2005년 현재 web2c는 버전 7.5.4까지 나왔고 여기에는
+\OMEGA{} 버전 1.23.2.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라텍 버전
+3이 \OMEGA{}를 의미하게 된다면 우리 동양권에서는 더욱 바랄 나위가
+없겠지만 아직 이에 대해 결정된 사실은 들어본 바 없습니다. 1996년까지도
+라텍 버전 3팀은 \OMEGA{}를 별개의 텍으로 언급하였지만 국제화를 목표
+중의 하나로 삼고 있는 라텍 버전 3에 \OMEGA{}의 도입은 심각히 고려되어질
+것입니다. Fabrice Popineau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 텍 배포판이나
+Thomas Esser가 만드는 te\TeX{} 등은 모두 다 \OMEGA{}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할 때 앞으로의 텍은 \OMEGA{} 쪽으로 그
+흐름의 향방이 결정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갖게 합니다.
+
+16비트 부호를 처리하는 텍은 우리말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OMEGA{}와 한글라텍의 관계는 밀접할 수 밖에 없습니다. \OMEGA{}를
+사용하여 우리말 부호를 처리할 때에, 지금까지 한글라텍에 커다란 문제로
+남아있는, 기존의 텍을 바탕으로 한 2$\times$8비트식 부호 처리는 간단히
+해결됩니다. \OMEGA{} 버전 1.5로 우리말 KS X 1001 문서를 처리할 때에
+그 처리 속도는 텍으로 영문 문서를 처리하는 속도와 차이점이 거의
+없습니다. \OMEGA{}는 이제 거의 완숙한 단계에 도달하고 있고 앞으로는
+텍을 완전히 대체하고 본격적으로 사용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
+\OMEGA{}를 유니코드 텍이라고 한다면 Λ는 유니코드 라텍입니다. 한글라텍
+버전 1.0부터는 Λ를 사용하여 UTF-8 부호화로 작성된 한글 문서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듬 명령 파일 및 글자체를 제공합니다.\index{람다@Λ}
+
+
+\section{한글라텍의 설치}
+\label{sec:install}\index{한글라텍!설치}
+
+
+\subsection{TDS --- 파일의 위치}
+\label{sec:TDS}
+
+TDS(\TeX{} Directory Structure)는 `텍 파일 자료방의 구조'에 대한
+규정입니다. 이 규정은 텍의 자료방 구조를 정규화함으로써 사용자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돈을 피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이하는 2004년 6월 23일 발표된 TDS 버전 1.1을 기반으로
+설명됩니다.\index{TDS}
+
+이 규정에 따르면, 텍에 필요한 파일들은 TDS의 출발점인 \texttt{TEXMF}
+밑에 두게 됩니다. \texttt{TEXMF}는 텍의 원천 코드를 컴파일할 때
+결정되며, 컴파일 시에 \texttt{prefix}를 \texttt{/usr}로 설정하면 운영
+체계 내에서의 경로 \texttt{/usr/share/texmf}가 \texttt{TEXMF}로
+결정됩니다. 이미 설치된 텍 운영 체계에서도 \texttt{texmf.cnf} 파일에서
+\texttt{TEXMF}를 다시 설정할 수 있습니다. TDS를 준수할 경우, 서로 다른
+텍 배포판에서도 최상위 자료방인 \texttt{TEXMF}의 경로만 다를 뿐이고 그
+이하의 자료방 구조는 같습니다.
+
+`\texttt{최상자료방}'은 텍 운영 체계의 구성 요소로서 \texttt{tex} (텍
+파일), \texttt{fonts} (폰트 관련 파일), \texttt{metafont} (폰트가 아닌
+\MF{} 파일), \texttt{metapost} (\MP{} 파일), \texttt{bibtex}(\BibTeX{}
+파일), \texttt{scripts} (운영 체계 독립적인 실행 파일), \texttt{doc}
+(사용자용 문서 파일), \texttt{source} (원천 파일), \texttt{<구현>}
+(\texttt{emtex, vtex, web2c}와 같은 텍 구현 관련 파일),
+\texttt{<프로그램>} (\texttt{mft, dvips}와 같은 프로그램에 따른 입력 및
+설정 파일) 등등이 해당됩니다.
+
+텍 체계를 구성하는 모듬 명령 파일의 위치는 다음과 같은 계층 구조를
+갖습니다.
+\begin{verbatim}
+ TEXMF/tex/틀/꾸러미
+\end{verbatim}
+
+`\texttt{틀}'은 텍의 용어로 \verb|\dump| 되어지는 것들을 말합니다.
+한글라텍은 라텍 틀을 쓰므로 자료방의 이름은 \texttt{latex}이 됩니다.
+`\texttt{꾸러미}'는 이름 그대로 텍의 꾸러미 이름을 가리킵니다.
+꾸러미를 구성하는 파일이 하나밖에 없을 때에 자료방은 \texttt{misc}가
+됩니다. 여러 파일로 구성되어 있을 때는 꾸러미 이름에 따른 적당한
+이름의 자료방을 마련합니다. 자료방의 파일의 종류가 많을 경우에는
+하위자료방을 따로 만듭니다. 한글라텍의 경우에 이 자료방의 이름이
+\texttt{hlatex}입니다.
+
+한글라텍은 파일의 수, 특히 글자체 파일의 수가 많아서 한글라텍 전체의
+뿌리 (\texttt{TEXMF})를 달리 하자는 의견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역
+파일은 \texttt{TEXMFLOCAL}로 대변되는 자료방 (teTeX의 경우에는
+\texttt{/usr/share/texmf-local}, MikTeX의 경우에는
+\texttt{c:\textbackslash localtexmf})를 뿌리로 하지만 한글라텍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texttt{TEXMFHANGUL}을 뿌리로 정할 수 있습니다.
+자료방의 이름은 \texttt{texmf-hlatex}을 제안합니다. 텍 운영 체계에
+이와 같은 설정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texttt{texmf.cnf} 설정 파일을
+편집하여야 합니다. 텍 운영 체계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설정 파일의
+위치는 다음의 명령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index{texmf.cnf@\texttt{texmf.cnf}}
+\begin{verbatim}
+ kpsewhich texmf.cnf
+\end{verbatim}
+운영 체계 관리자의 권한으로 이 파일을 편집기로 열어서 적당한 곳에 (에를
+들어 \texttt{TEXMFMAIN}이 설정된 줄 다음에) 다음과 같은 줄을 끼워
+넣습니다.
+\begin{verbatim}
+ TEXMFHANGUL = /usr/share/texmf-hlatex
+\end{verbatim}
+그리고 \texttt{TEXMF}가 정의된 줄을 찾아 다음과 같은 식으로
+\texttt{TEXMFHANGUL}을 추가합니다.
+\begin{verbatim}
+TEXMF = {...,!!$TEXMFHANGUL,!!$TEXMFMAIN,...}
+\end{verbatim}
+
+이에 따라 한글라텍의 모듬 명령(macro) 파일들은
+\begin{verbatim}
+ texmf-hlatex/tex/latex/hlatex
+\end{verbatim}
+에 설치됩니다.
+
+텍에 동반되는 프로그램이나 PDF\TeX{}이나 \OMEGA{}와 같이 기능이 확장된
+프로그램들이 많습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에 속하는 입력 파일들은
+\texttt{최상자료방}인 \texttt{tex} 밑에 둡니다. 따라서 Λ 모듬 명령
+파일들은
+\begin{verbatim}
+ texmf-hlatex/tex/lambda/hlatex
+\end{verbatim}
+에 설치됩니다.
+
+글자체는 다음과 같은 규정에 의해 설치할 것을 요구합니다.
+\begin{verbatim}
+ TEXMF/fonts/형식/제공자/글자체
+ TEXMF/fonts/{enc,lig,map}/하위경로
+\end{verbatim}
+`\texttt{형식}'은 글자체의 종류를 가리킵니다. 즉, \texttt{source},
+\texttt{tfm}, \texttt{ofm}, \texttt{vf}, \texttt{ovf}, \texttt{type1},
+\texttt{afm}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글자체의 부호화나 연자 혹은 글자체
+이름 대응 파일들은 각각 \texttt{enc, lig, map} `\texttt{형식}' 자료방에
+평행한 자료방에 따로 둡니다. `\texttt{제공자}'의 대상은 글자체를
+만드는 업체나 만든이 등입니다. adobe 회사의 type1 글자체
+(\texttt{adobe}), bitstream 회사의 type1 글자체 (\texttt{bitstrea}),
+D.~Knuth 교수의 \MF{} 글자체 (\texttt{public}), J.~Knappen 씨의 \MF{}
+글자체 (\texttt{jknappen})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한글라텍의 경우에
+`\texttt{제공자}'는 \texttt{uhc}입니다. `\texttt{글자체}'는 글자의
+모양에 따른 이름입니다. adobe 회사에서 만든 글자체에는
+\texttt{times}, \texttt{helvetic} 등의 이름이 사용되고 D.~Knuth 교수가
+텍 운영 체계를 위해서 만든 글자체의 경우는 \texttt{cm}, \texttt{ec}
+등의 이름이 사용되며 한글라텍에서 제공하는 글자체에서는
+\texttt{myoungjo}, \texttt{gothic} 등의 이름이 사용됩니다.
+
+이에 따라 한글라텍의 글자체들은 다음의 자료방에 위치하게 됩니다.
+\begin{verbatim}
+ texmf-hlatex/fonts/형식/uhc/{myoungjo,gothic,...}
+ texmf-hlatex/fonts/map/hlatex
+\end{verbatim}
+
+이하의 소절에서는 위와 같은 TDS에 의거하여 한글라텍을 설치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
+
+\subsection{한글라텍의 모듬 명령 파일 설치}
+\label{소절:모듬파일설치}\index{한글라텍!설치!모듬}
+
+한글라텍의 각종 모듬 명령 파일은 KTUG (Korean TeX User Group)의 ftp
+서버 혹은 CTAN (Comprehensive TeX Archive Network)의 다음 URL에서
+가져올 수 있습니다.\footnote{CTAN에서는 자료방 안에서 버전을 확인하세요.}
+\begin{verbatim}
+ ftp://ftp.ktug.or.kr/pub/ktug/hlatex/HLaTeX-1.0.1.tar.gz
+ ftp://ftp.dante.de/tex-archive/language/korean/HLaTeX.tar.gz
+\end{verbatim}
+파일의 압축과 묶음을 풀고 필요한 파일을 다음과 같이 해당하는 자료방에
+복사함으로써 설치됩니다.
+\newcommand{\installmacros}[3]{
+ \hspace*{1em}
+ \parbox[t]{.9\textwidth}{%
+ \parindent=0pt
+ \hangindent=1em \hangafter=1
+ {\small\디나루 원천 자료방}: \ttfamily #1
+
+ \hangindent=1cm \hangafter=1
+ {\small\디나루 파일}: \ttfamily #2
+
+ \hangindent=1cm \hangafter=1
+ {\small\디나루 목표 자료방}: \ttfamily #3}
+}
+\begin{list}{\textbullet}{}
+\item 한글라텍 모듬 명령 파일:\\
+ \installmacros{latex}%
+ {hangul.sty, euc-kr.tex, hfont.tex, hfont.sty, josa.tab, hsw*.fd,
+ hww*.fd, hhw*.fd}%
+ {texmf-hlatex/tex/latex/hlatex}
+\item 한글Λ 모듬 명령 파일: \\
+ \installmacros{lambda}%
+ {u8hangul.tex, uhc-test.tex, uhc*.fd}%
+ {texmf-hlatex/tex/lambda/hlatex}
+\item 한글Λ \OMEGA{}TP{} 파일: \\
+ \installmacros{lambda}%
+ {hlatex.otp, hlatex.ocp}%
+ {texmf-hlatex/omega/\{otp,ocp\}/hlatex}
+\item 한글라텍에서 \texttt{halpha.bst}를 사용할 때 정의되는 한글 이름
+ 파일:\\
+ \installmacros{contrib}%
+ {hbibname-k.tex}%
+ {texmf-hlatex/tex/latex/hlatex/}
+\item 한글Λ에서 \texttt{halpha.bst}를 사용할 때 정의되는 한글 이름
+ 파일:\\
+ \installmacros{contrib}%
+ {hbibname-u.tex}%
+ {texmf-hlatex/tex/lambda/hlatex/}
+\item 한글 참고 문헌 양식 파일:\\
+ \installmacros{contrib}%
+ {halpha.bst}%
+ {texmf-hlatex/bibtex/bst/hlatex}
+\item 참고 문헌 한글 이름 정의 파일: \\
+ \installmacros{contrib}%
+ {hbname-k.tex, hbname-u.tex}%
+ {texmf-hlatex/tex/\{latex,lambda\}/hlatex}
+\item 한글 색인/어휘 양식 파일: \\
+ \installmacros{contrib}%
+ {contrib/hind.ist, contrib/hglo.ist}%
+ {texmf-hlatex/makeindex}
+\item 한글 참고 문헌/색인 생성 파일: 유닉스 운영 체계에서는
+ \texttt{contrib} 자료방에 있는 원천 파일 \texttt{hmakeindex.c}와
+ \texttt{hbibtex.c}를 실행 프로그램으로 번역하여 운영 체계의 실행
+ 프로그램 자료방에 복사합니다.\\
+ \texttt{gcc hmakeindex.c -o hmakeindex}\\
+ \texttt{gcc hbibtex.c -o hbibtex}\\
+ 윈도우즈 운영 체계에서는 \texttt{contrib} 자료방에 있는
+ \texttt{hmakeindex.exe}와 \texttt{hbibtex.exe}를 실행 프로그램
+ 자료방에 복사합니다.
+\item 한글라텍에 적당하게 수정된 라텍 \texttt{tools} 패키지:\\
+ \installmacros{contrib}
+ {khyper.sty, showhkeys.sty, showhtags.sty}%
+ {texmf-hlatex/tex/latex/hlatex}
+\item 한글 문서에서 흔히 사용되는 각주 판짜기 양식 파일:\\
+ \installmacros{contrib}%
+ {hangulfn.sty, hfn-k.tex, hfn-u.tex}%
+ {texmf-hlatex/tex/\{latex,lambda\}/hlatex}
+\end{list}
+
+\texttt{hangul.sty}은 우리말 문서의 모양새 파일로서 모든 한글라텍
+문서에 사용되는 양식 파일입니다.\index{한글라텍!설치!hangul.sty}
+\texttt{hangul.sty}은 라텍과 Λ가 사용될 때를 구분하여 각각
+\texttt{euc-kr.tex}과 \texttt{u8hangul.tex}를 읽습니다.
+\texttt{euc-kr.tex}은 EUC-KR 부호화 문자를 처리하기 위해
+\texttt{hfont.tex}을 읽어 들입니다. \texttt{hfont.sty}은
+\texttt{hangul.sty}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우리말 문자를 처리하는
+기능만 이용하는 모양새 파일이며 \texttt{hangul.sty}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한글 문서 처리 양식이 사용되지 않고 기존의 영문 문서의 처리 양식이
+사용됩니다. \texttt{josa.tab}은 자동 조사 처리를 위해
+\texttt{euc-kr.tex}이 읽어들이는 파일입니다. 한글라텍에서 제공하지
+않는 글자체의 애초값을 추가로 설정하거나 기존의 설정을 바꾸기 위해서는
+\texttt{hfont.cfg}에 설정 사항을 기록하여 텍 운영 체계에 설치하면
+\texttt{hfont.tex}이 자동으로 설정을 반영합니다.
+
+한글라텍에 사용되는 글자체는 상징 문자와 한글 그리고 한자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징 글자를 정의하는 파일이 \texttt{hsw*.fd}이고 한글 글자를
+정의하는 파일이 \texttt{hws*.fd}이며 한자 글자를 정의하는 파일이
+\texttt{hhs*.fd}입니다.\index{한글라텍!설치!.fd}
+
+한글Λ를 사용할 경우에는 \texttt{u8hangul.tex} 파일이 UTF-8 부호화
+문자를 처리하기 위한 \OMEGA{}TP{} (\OMEGA{} Translation Process) 파일인
+\texttt{hlatex.ocp}를 가동합니다.\index{한글라텍!설치!hlatex.ocp}
+\texttt{hlatex.otp}는 기계어로 번역되기 전의 텍스트 파일입니다.
+한글Λ에 사용되는 글자는 한글라텍에 사용되는 글자와 달리 상징, 한글,
+한자로 나뉘지 않으며 글자체 정의 파일의 이름들은
+\texttt{uhc*.fd}입니다.
+
+\texttt{halpha.bst}는 한글 참고 문헌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때 필요한
+\BibTeX{} 양식 파일입니다.\index{한글라텍!설치!halpha.bst} 참고 문헌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할 때에는 이 한글 양식 파일에 정의된 한글 이름이
+사용되는데, 한글라텍과 한글Λ의 부호화 방식이 서로 다르므로
+\texttt{hbname-k.tex}과 \texttt{hbname-u.tex}에 서로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한글 이름을 정의하였습니다. 한글Λ에서 참고 문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때는 Λ가 보조 파일에 8비트 문자를 출력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미리 보조 파일의 한글 문자를 8비트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texttt{contrib} 자료방의 \texttt{hbibtex.c}를
+실행 프로그램으로 번역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윈도우즈 운영 체계에서는
+미리 번역한 \texttt{hbibtex.exe}를 사용하면
+됩니다.\index{hbibtex@\texttt{hbibtex}}
+
+\texttt{hind.ist}와 \texttt{hglo.ist}는 \texttt{makeindex}로 우리말
+색인 및 어휘집을 작성할 때의 사용되는 모양새
+파일입니다.\index{hind.ist}\index{hglo.ist} 색인 작성 시에 문제가 되는
+부분은 \texttt{\textbackslash indexhead}로 구분되는 색인의 머릿글자의
+처리인데 이를 위해서는 \texttt{contrib} 자료방에 있는
+\texttt{hmakeindex.c}를 수행 프로그램으로 번역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texttt{hmakeindex}는 또한 한글Λ에서 보조 파일에 출력하는 8비트 문자의
+텍 표기 방식을 인식하여 \texttt{makeindex}의 문자 정렬이 제대로
+수행되도록 하므로 한글라텍과 한글Λ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즈 운영 체계에서는 미리 번역한 \texttt{hmakeindex.exe}를 사용하면
+됩니다.\index{hmakeindex@\texttt{hmakeindex}}
+
+\texttt{hangulfn.sty}은 라텍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각주 판짜기 형식을
+수정하여 한글 문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의 각주 판짜기를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패키지입니다. 이 패키지를 사용하면 각주
+번호 양식을 애초값인 첨자(``$^1$'') 혹은 괄호(``1)'')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각주면을 내어쓰기 및 들여쓰기에 의한 판짜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소절 \ref{소절:각주판짜기}에 자세한 사용법이 소개됩니다. 선택 사항을
+지정하는 한글 이름의 부호화에 따라 한글라텍에서는 \texttt{hfn-k.tex}을,
+한글Λ에서는 \texttt{hfn-u.tex}을 사용합니다.
+
+
+\subsection{한글 글자체 설치}
+\label{소절:글자체설치}\index{한글라텍!설치!글자체}
+
+한글라텍의 각종 글자체는 KTUG (Korean TeX User Group)의 ftp
+서버 혹은 CTAN (Comprehensive TeX Archive Network)의 다음 URL에서
+가져올 수 있습니다.
+\begin{verbatim}
+ ftp://ftp.ktug.or.kr/pub/ktug/hlatex/fonts/
+ ftp://ftp.dante.de/tex-archive/fonts/korean/HLaTeX/
+\end{verbatim}
+
+글자체들은 모두 한글라텍과 한글Λ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texttt{tar}/\texttt{gzip}으로 압축되어 제공됩니다.
+
+\smallskip
+\begin{tabular}{|c|ll|}\hline
+ 글자체 설정 & uhc-base.map, uhc-extra.map & \ttfamily uhc-fonts-1.0.tar.gz
+ \\\hline
+ & \fontfamily{mj}\selectfont 명조 & \ttfamily uhc-myoungjo-1.0.tar.gz
+ \\
+ \raisebox{1.5ex}[-1.5ex]{기본}
+ & \fontfamily{gt}\selectfont 고딕 & \ttfamily uhc-gothic-1.0.tar.gz
+ \\
+ \raisebox{1.5ex}[-1.5ex]{글자체}
+ & \fontfamily{tz}\selectfont 타자 & \ttfamily uhc-taza-1.0.tar.gz
+ \\
+ \hline
+ & \fontfamily{gr}\selectfont 그래픽 & \ttfamily uhc-graphic-1.0.tar.gz
+ \\
+ & \fontfamily{gs}\selectfont 궁서 & \ttfamily uhc-gungseo-1.0.tar.gz
+ \\
+ & \fontfamily{sh}\selectfont 신문 & \ttfamily uhc-shinmun-1.0.tar.gz
+ \\
+ & \fontfamily{pg}\selectfont 필기 & \ttfamily uhc-pilgi-1.0.tar.gz
+ \\
+ & \fontfamily{pn}\selectfont 펜글씨/%
+ \fontfamily{ph}\selectfont 펜흘림 & \ttfamily uhc-pen-1.0.tar.gz
+ \\
+ \raisebox{1.5ex}[-1.5ex]{추가}
+ & \fontfamily{bm}\selectfont 봄글씨 & \ttfamily uhc-bom-1.0.tar.gz
+ \\
+ \raisebox{1.5ex}[-1.5ex]{글자체}
+ & \fontfamily{yt}\selectfont 옛글 & \ttfamily uhc-yetgul-1.0.tar.gz
+ \\
+ & \fontfamily{jmj}\selectfont 자모 (명조/%
+ \fontfamily{jgt}\selectfont 고딕/%
+ \fontfamily{jnv}\selectfont 노벨/%
+ \fontfamily{jsr}\selectfont 소라) & \ttfamily uhc-jamo-1.0.tar.gz
+ \\
+ & \fontfamily{vd}\selectfont 바다 & \ttfamily uhc-vada-1.0.tar.gz
+ \\
+ & \fontfamily{pga}\selectfont 필기a & \ttfamily uhc-pilgia-1.0.tar.gz
+ \\
+ & \fontfamily{dn}\selectfont 디나루 & \ttfamily uhc-dinaru-1.0.tar.gz
+ \\
+ \hline
+\end{tabular}
+
+\smallskip UHC 글자체는 크게 기본 글자체와 추가 글자체로 분류되며 모두
+\PS{} Type1 형식의 14가지 종류가 있습니다.\index{한글라텍!글자체}
+Type1 글자체는 \texttt{afm}과 \texttt{pfb} 형식의 파일로 구성되는데,
+\texttt{afm} 파일이 \texttt{tfm}과 \texttt{vf} 형식의 파일로 전환되어
+라텍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Λ용으로는 \texttt{ofm}, \texttt{ovf}
+형식의 파일로 제공됩니다.
+
+이 글자체들은 \verb|\fontseries| 중 좁은 넓이(75\%)에서 보통
+넓이(100\%), 확장 넓이(125\%), 초확장 넓이(200\%)까지의 크기를 갖고
+있으며, 무게 부분은 명조체, 고딕체, 그래픽체, 필기체의 경우 보통
+무게(medium)와 진한 무게(bold)가 있고, 디나루체에는 가는
+무게(light)까지 있으며 그 외의 글자체에는 한 가지 종류만
+있습니다.\index{글자체!넓이} \verb|\fontshape|은 모두 보통 모양과
+기울인 모양으로 구성되며 기울인 모양이 이탤릭 모양을 대신합니다.
+
+각종 글자체들은 \texttt{TEXMF/fonts} 자료방에서
+\texttt{gunzip}/\texttt{tar}로 압축을 풀면 설치가 끝납니다.
+
+\begin{verbatim}
+ gunzip -c uhc-myoungjo.tar.gz | tar xvf -
+ ...
+\end{verbatim}
+
+\PS{} UHC 글자체를 사용하여 인쇄 및 다른 후처리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PS{} 글자체의 설정 작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본 글자체와 추가
+글자체의 설정에 필요한 \texttt{uhc-base.map}과 \texttt{uhc-extra.map}
+파일이 제공됩니다.\index{한글라텍!설치!fontmap} 적어도 web2c 7.5.4
+이상의 버전에서 이 fontmap 파일은 \texttt{TEXMF/fonts/map}의 하위
+자료방에 설치되고 이전의 web2c 버전에서는 \texttt{TEXMF/dvips}의 하위
+자료방에 설치됩니다. web2c 7.5.4 버전을 기준으로 할 때 이 두
+fontmap 파일은 \texttt{TEXMF/fonts/map/hlatex} 자료방에 설치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texttt{uhc-fonts-1.0.tar.gz}을 적당한 위치에서 풀고
+\texttt{uhc-fonts-1.0} 자료방에 있는 두 fontmap 파일을
+\texttt{TEXMF/fonts/map/hlatex}에 복사합니다. fontmap 파일이 설치된
+후에는 운영 체계의 관리자로서 \texttt{texhash}를 실행 시켜서
+\texttt{ls-R}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begin{verbatim}
+ updmap-sys --enable Map=uhc-base.map
+\end{verbatim}
+을 실행시키면 \texttt{dvips}, \texttt{pdftex}, \texttt{xdvi},
+\texttt{ps2pk}, \texttt{gsftopk}, \texttt{dvipdfm} 등과 같은 후처리
+프로그램에서 한글 라텍 글자체를 사용할 수 있게 설정 됩니다. 추가
+글자체도 함께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texttt{uhc-extra.map}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명령을 수행합니다.
+
+
+\subsection{라텍 설치}
+\label{sec:instLaTeXe}\index{한글라텍!설치!라텍}
+
+한글라텍은 라텍을 기반으로 움직입니다. 그러므로 운영 체계에 라텍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글 문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라텍은 모든 텍 운영
+체계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닉스나 리눅스 운영
+체계에는 주로 te\TeX{}이 텍 운영 체계로 설치되고 MS 윈도우 운영
+체계에는 주로 Mik\TeX{}이 텍 운영 체계로 설치되는데 이 텍 운영
+체계에는 라텍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
+만일에 텍 운영 체계에 라텍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가까운
+CTAN에서는 모두가 파일 옮김 규약(ftp, File Transfer Protokol)을 통해
+익명으로 \texttt{/tex-archive}에 있는 모든 텍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가져다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라텍을 가져옵니다.
+\begin{verbatim}
+ hpserv:> ftp ftp.dante.de
+ login: ftp
+ passwd: ftp
+ ftp> cd /tex-archive/macros/latex
+ ftp> bin
+ ftp> get base.tar.gz
+ ftp> get required.tar.gz
+ ftp> bye
+\end{verbatim}
+가져온 압축 파일을 풀고 라텍을 설치합니다. 이전의 라텍 버전 209가
+설치되어 있으면 먼저 이를 여벌 만들기(backup)합니다.
+\begin{verbatim}
+ mv TEXMF/tex/latex TEXMF/tex/latex209
+ mkdir TEXMF/tex/latex
+ mkdir TEXMF/tex/latex/base
+ tar xzvf base.tar.gz
+ cd latex/base
+ initex unpack.ins
+ initex latex.ltx
+ cp latex.fmt texmf/web2c
+ cp *.sty *.tex *.fd *.clo *.cls *.def texmf/tex/latex/base
+\end{verbatim}
+이 외에도 \texttt{required.tar.gz}을 풀면 \texttt{amslatex},
+\texttt{babel}, \texttt{cyrillic}, \texttt{graphics}, \texttt{psnfss},
+\texttt{tools} 하위 자료방이 생기며 각 하위 자료방의 꾸러미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치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위에서 설치한
+\texttt{latex}으로 \texttt{.ins} 파일을 돌리면 됩니다. 예를 들어
+\begin{verbatim}
+ cd ../required/tools
+ latex tools.ins
+\end{verbatim}
+CTAN의 자료방 \texttt{/tex-archive/macros/latex} 밑에는 다른
+꾸러미들이 있으며 \texttt{packages} 및 \texttt{contrib} 자료방에서
+필요한 꾸러미를 찾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
+
+\subsection{요약}
+\label{sec:설치요약}
+
+운영 체계의 관리자로서 ``파일''을 ``경로''에 복사한 후
+경우에 따라서 ``설정''을 합니다.
+\begin{itemize}
+\item
+ \begin{itemize}
+ \item 파일: \texttt{hangul.sty}, \texttt{hfont.tex},
+ \texttt{euc-kr.tex} \texttt{hfont.sty}, \texttt{josa.tab},
+ \texttt{hfont.cfg}, \texttt{hsw*.fd}, \texttt{hww*.fd},
+ \texttt{hhw*.fd} (\texttt{latex} 자료방)
+ \item 경로: \texttt{texmf-hlatex/tex/latex/hlatex}
+ \item 설정: \texttt{texhash}
+ \end{itemize}
+\item
+ \begin{itemize}
+ \item 파일: \texttt{u8hangul.tex}, \texttt{uhc-test.tex},
+ \texttt{uhc*.fd} (\texttt{lambda} 자료방)
+ \item 경로: \texttt{texmf-hlatex/tex/lambda/hlatex}
+ \item 설정: \texttt{texhash}
+ \end{itemize}
+\item
+ \begin{itemize}
+ \item 파일: \texttt{hlatex.otp}, \texttt{hlatex.ocp}
+ (\texttt{lambda} 자료방)
+ \item 경로: \texttt{texmf-hlatex/omega/\{otp,ocp\}/hlatex}
+ \item 설정: \texttt{texhash}
+ \end{itemize}
+\item
+ \begin{itemize}
+ \item 파일: \texttt{hangulfn.sty}, \texttt{hfn-k.tex},
+ \texttt{hbibname-k.tex}, \texttt{khypher.sty},\\
+ \texttt{showhkeys.sty}, \texttt{showhtags.sty} (\texttt{contrib}
+ 자료방)
+ \item 경로: \texttt{texmf-hlatex/tex/latex/hlatex}
+ \item 설정: \texttt{texhash}
+ \end{itemize}
+\item
+ \begin{itemize}
+ \item 파일: \texttt{hfn-k.tex}, \texttt{hbibname-u.tex}
+ (\texttt{contrib} 자료방)
+ \item 경로: \texttt{texmf-hlatex/tex/lambda/hlatex}
+ \item 설정: \texttt{texhash}
+ \end{itemize}
+\item
+ \begin{itemize}
+ \item 파일: \texttt{halpha.bst} (\texttt{contrib} 자료방)
+ \item 경로: \texttt{texmf-hlatex/bibtex/bst/hlatex}
+ \item 설정: \texttt{texhash}
+ \end{itemize}
+\item
+ \begin{itemize}
+ \item 파일: \texttt{hind.ist}, \texttt{hglo.ist} (\texttt{contrib}
+ 자료방)
+ \item 경로: \texttt{texmf-hlatex/makeindex}
+ \item 설정: \texttt{texhash}
+ \end{itemize}
+\item
+ \begin{itemize}
+ \item 파일: 유닉스 운영 체계에서는 \texttt{hmakeindex.c},
+ \texttt{hbibtex.c}. (윈도우즈 운영 체계에서는
+ \texttt{hmakeindex.exe}, \texttt{hbibtex.exe}. (\texttt{contrib}
+ 자료방)
+ \item 경로: 운영 체계의 실행 프로그램 자료방
+ \item 설정: 유닉스 운영 체계의 경우 실행 프로그램으로 번역, 윈도우즈
+ 운영 체계의 경우 복사
+ \end{itemize}
+\item
+ \begin{itemize}
+ \item 파일: \texttt{uhc-base.map}, \texttt{uhc-extra.map}
+ (\texttt{uhc-fonts-1.0.tar.gz})
+ \item 경로: \texttt{texmf-hlatex/fonts/map/hlatex}
+ \item 설정: \texttt{texhash}
+ \end{itemize}
+\item
+ \begin{itemize}
+ \item 파일: \texttt{uhc-*.tar.gz}
+ \item 경로: \texttt{texmf-hlatex/fonts}에서
+ \texttt{tar}/\texttt{gzip}으로 압축과 묶음을 푼다.
+ \item 설정:
+ \begin{tabular}[t]{l}
+ \texttt{texhash} \\
+ \texttt{updmap-sys {-}{-}enable Map=uhc-base.map} \\
+ \texttt{updmap-sys {-}{-}enable Map=uhc-extra.map} \\
+ \end{tabular}
+ \end{itemize}
+\end{itemize}
+
+
+\section{한글라텍의 사용 설명}
+\label{sec:use}\index{한글라텍!사용법}
+
+이 단원에서는 라텍 자체의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피하고,
+한글라텍에 관계되는 부분만을 간단히 다루려고 합니다. 라텍의 사용법에
+관해서는 이에 해당하는 참고 서적을 보시기 바랍니다. 라텍의 원저자인
+Lesley Lamport의 『\LaTeX\ --- A Document Preparation System』
+(\cite{Lamport:1985:LDP})\을 참고로 하면 라텍에는 수 많은 명령들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로서 이런 모든 명령을 전부 알아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개인의 필요에 따라 약간의 기초 지식에, 필요할 때마다
+\cite{Lamport:1985:LDP}\를 참고하여 사용하면 어렵지 않게 라텍 문서
+작성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독일에서는 『\LaTeX\ Eine Einf\"uhrung』이
+(\cite{Kopka:LE91})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책은 미국에서 영어로
+번역되어 『A Guide to \LaTeX{}』으로 출판되고 있고
+(\cite{Kopka:1999:GLD}) 한국에는 한국어 판으로도 번역되어 나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모든 명령들을 간단히 설명한 목록이
+있어서 사용자가 빠른 시간 안에 그 명령의 개요를 파악할 수 있고, 지정된
+페이지로 가면 더욱 상세한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짜여져
+있습니다. 참고서로 가장 많이 추천되는 책입니다.
+
+
+\subsection{한글 문서의 틀}
+\index{한글라텍!문서의 틀}
+
+문서는
+
+\verb|\documentclass[추가선택]{문서종류}|
+
+\noindent
+로 시작합니다. \texttt{추가선택}에는 라텍의
+\texttt{문서종류}(class)에 종속적인 추가 선택을 지정합니다.
+
+문서 종류 지정 후에 한글라텍 꾸러미 사용을 지정합니다.
+
+\verb|\usepackage[추가선택]{hangul}|
+
+\noindent%
+한글라텍의 \texttt{추가선택}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index{한글라텍!추가 선택}
+\begin{list}{\textbullet}{\parsep0pt\itemsep0pt\topsep0pt\partopsep0pt}
+\item \texttt{hanja}: 문서의 단원명이나 날짜가 한자로 표기된다.
+\item \texttt{hardbold}: \MF{}에 의해 만들어지는 두꺼운 글씨체를
+ 쓰도록 한다.
+\item \texttt{nojosa}: 자동 조사 처리 기능을 억제하여 텍의 기억
+ 용량 사용을 감소시킨다.
+\item 판형: 책의 크기를 지정하는 선택 사항입니다. 책의 크기는 라텍
+ 자체의 추가 선택으로 지정되는데, 이 추가 선택에는 한국의 출판
+ 업계에서 사용되는 판형에 해당하는 크기가 없으므로 한글라텍의 추가
+ 선택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한국에서 사용되는 책의 판형에는 표
+ \ref{표:판형}\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index{판형} 국전지의 크기는
+ 939$\;\times\;$636mm이고 46전지의 크기는
+ 788$\;\times\;$1091mm입니다.
+
+ \begin{table}[htbp]
+ \centering
+ \begin{tabular}{|l|r@{$\;\times\;$}l*{4}{|l}|}\hline
+ 판형명칭 & \multicolumn{2}{c|}{크기[mm]} & 사용종이 & 쪽수/전지 & \\\hline\hline
+ \ttfamily 국판 & 148 & 210 & 국전지 & 32 & 교과서, 단행본 \\\hline
+ \ttfamily 국배판 & 210 & 297 & 국전지 & 16 & 잡지 \\\hline
+ \ttfamily 국반판 & 105 & 148 & 국전지 & 64 & 문고 \\\hline
+ \ttfamily 타블로이드판 & 257 & 364 & 4x6전지 & 16 & 정보신문 \\\hline
+ \ttfamily 사륙판 & 128 & 182 & 4x6전지 & 64 & 문고 \\\hline
+ \ttfamily 사륙배판 & 182 & 257 & 4x6전지 & 32 & 참고서 \\\hline
+ \ttfamily 사륙반판 & 94 & 128 & 4x6전지 & 128 & \\\hline
+ \ttfamily 사륙배배판 & 254 & 374 & 4x6전지 & & \\\hline
+ \ttfamily 신국판 & 152 & 225 & 국전지 & 32 & 단행본 \\\hline
+ \ttfamily 대국전판 & 172 & 244 & 국전지 & & \\\hline
+ \ttfamily 크라운판 & 176 & 248 & 4x6전지 & 36 & 사진집 \\\hline
+ \ttfamily 삼십절판 & 125 & 205 & 4x6전지 & 60 & 단행본 \\\hline
+ \ttfamily 신서판,삼륙판 & 103 & 182 & 4x6전지 & 80 & 문고 \\\hline
+ \ttfamily 삼오판 & 84 & 148 & 4x6전지 & & \\\hline
+ \end{tabular}
+ \caption{판형의 종류}
+ \label{표:판형}
+ \end{table}
+\end{list}
+
+\texttt{hangul} 이외의 다른 꾸러미를 함께 쓰고자 할 경우에는
+반점(\texttt{,})으로 구분하여 이름을 쓰거나 따로 \verb|\usepackage|
+명령을 씁니다. \texttt{hangul}의 추가 선택은 문서 종류의 추가
+선택에서 지정할 수도 있고 여기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추가 선택의
+처리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index{추가 선택 처리 방식}
+\begin{itemize}
+\item \verb|\documentclass|의 추가 선택은 전역적(global)이다. 어느
+ 문서 종류나 꾸러미에서든지 이 추가 선택을 처리할 수 있다.
+\item \verb|\usepackage|의 추가 선택은 울안적(local)이다. 그
+ 꾸러미에서 이 추가 선택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end{itemize}
+
+다음의 예에서 보는 것처럼
+
+\verb|\usepackage[신국판]{hangul,a4}|
+
+\noindent
+에서는 지정된 추가 선택 \texttt{신국판}을 두 꾸러미 \texttt{hangul}과
+\texttt{a4}가 모두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texttt{a4} 꾸러미는
+\texttt{신국판}이라는 추가 선택을 처리할 수 없으므로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다음과 같이 각기 따로 지정하거나
+
+\verb|\usepackage[신국판]{hangul}|
+
+\verb|\usepackage{a4}|
+
+\noindent
+아니면 문제가 되는 추가 선택 \texttt{신국판}을 \verb|\documentclass|에서
+전역적 추가 선택으로 지정하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verb|\begin{document}|
+
+\noindent
+로 문서를 시작하여 쓰고자 하는 글을 작성한 뒤
+
+\verb|\end{document}|
+
+\noindent
+로 문서 작성을 마칩니다. (그림 \ref{그림:문서틀}\을 참조)
+
+\begin{figure}[htb]
+ \centering
+ \begin{tabular}{|p{6cm}cp{4.5cm}|}\hline
+ \verb|\documentclass[추가선택]{문서종류}| & &
+ \\[10pt]
+ \verb|\usepackage[추가선택]{hangul}| & $\leftarrow$ &
+ \fontfamily{pga}\selectfont \texttt{hangul} 꾸러미 대신
+ \texttt{hfont} 꾸러미를 쓸 수 있다.
+ \\
+ \verb|\usepackage[추가선택]{꾸러미}| & $\leftarrow$ &
+ \fontfamily{pga}\selectfont 필요에 따라 사용될 각종
+ \texttt{꾸러미}를 지정한다.
+ \\
+ $\ldots$ & $\leftarrow$ & \fontfamily{pga}\selectfont
+ 꾸러미뿐만 아니라 문자를 출력하지 않는 다른 명령들을 여기에서
+ 선언할 수 있다.
+ \\
+ \verb|\begin{document}| & $\leftarrow$ &
+ \fontfamily{pga}\selectfont 이전까지를 전문
+ 영역(pre\-amble)이라고 한다.
+ \\
+ \ttfamily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서 한자로는 서로 통하지
+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 있어도 마침내 제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라. 내가
+ 이를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여덟자를 만드나니 &
+ $\leftarrow$ & \fontfamily{pga}\selectfont 문서의 작성은
+ \textrm{\TeX}의 관습에 따른다. 즉, 중첩된 공간 문자는 하나로
+ 처리된다. 줄바꿈 문자가 한번 나오면 공간 문자로 처리되나, 두번
+ 이상 중첩되면 하나의 줄바꿈 문자 역할을 한다. 등등. \\
+ \verb|\end{document}| & $\leftarrow$ &
+ \fontfamily{pga}\selectfont 이 명령이 나온 후의 모든 문장은
+ 무시된다. \\\hline
+ \end{tabular}
+ \caption{한글라텍 문서의 기본 구조}
+ \label{그림:문서틀}
+\end{figure}
+
+이제 \texttt{latex}으로 파일을 돌리면 됩니다.
+
+
+\subsection{문서의 모양새 설정}
+\label{소절:문서모양새}\index{문서의 모양새}
+
+\verb|\documentclass|는 전반적인 문서의 종류를 결정합니다.
+\texttt{문서종류}에는 \texttt{article}, \texttt{report},
+\texttt{book}, \texttt{letter}, \texttt{slides} 등이 있습니다. 각
+\texttt{문서종류}는 \texttt{추가선택}에 의해 모양새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종이의 규격을 설정하는 \texttt{a4paper},
+\texttt{letterpaper}, $\cdots$ 및 글자의 크기를 정해주는
+\texttt{10pt}, \texttt{11pt}, \texttt{12pt} 등등이 있습니다. 일반 영문
+라텍의 문서 종류 설정은
+\cite{Kopka:LE91,Lamport:1985:LDP,Goosens:LC94}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
+위와 같이 라텍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문서 종류 이외에 추가로 꾸러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verb|\usepackage| 명령을 씁니다. 우리말의 처리와
+같이, 라텍에서 제공되지 않는 기능을 쓸 경우에 \texttt{hangul.sty}을
+쓰는 것과 같습니다. 각 꾸러미는 자체의 \texttt{추가선택}이 있습니다.
+각종 꾸러미의 사용 방법 및 \texttt{추가선택}의 종류는
+\cite{Goosens:LC94}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
+\texttt{hangul.sty} 대신에 \texttt{hfont.sty}을 쓰면 문서 틀잡기가
+우리말에 어울리는 한글화를 전혀 반영하지 않고 단순히 한글 및 한자, 상징
+기호를 포함한 문서에서 우리말 처리가 제대로 될 수 있게만
+합니다.\index{hfont.sty} 추가 선택도 \texttt{hangul.sty}과 같으나 의미
+상 \texttt{hanja}는 무시됩니다.
+
+영문 문서와 달리 우리말 문서에서는 줄간격을 특별히 취급해야 합니다.
+이는 우리말 글자들이 영문자와 비교해서 모양이 복잡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서, 라텍의 애초값으로 우리말 문서를 만들 경우 각각의
+\pagename\이 글자로 밀집된 인상을 받습니다. 이는 글을 읽는 독자의
+시각을 분산시키는 악영향을 미치므로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줄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index{줄간격}
+\begin{verbatim}
+\renewcommand{\baselinestretch}{1.3}
+\normalsize
+\end{verbatim}
+이 명령은 줄간격을 지정하는 레지스터인 \verb|\baselineskip|을 1.3배로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 \verb|\normalsize|와 같이 글자체의 크기 바꿈
+명령이 나타날 때 이러한 변경이 효력을 발휘합니다. 한글라텍에는
+\verb|\baselinestretch|의 기본값이 1.3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설정은 문서의 어느 곳에서든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subsection{글자체 선택}
+\label{글자체선택}\index{한글라텍!글자체 선택}
+
+문서를 작성할 때, 어떤 특정한 부분의 글자체를 현재 쓰고 있는 글자체와
+달리 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글자의 두께를 진하게 한다든지, 크기를
+크게 한다든지, 다른 모양을 쓴다든지, 또는 설계(design)가 전혀 다른
+글자체를 쓴다든지 등등.
+
+이러한 글자체 바꿈을 위해 라텍은 여러가지 글자체 바꿈 명령을
+제공합니다. 라텍 209에서 제공됐던 \verb|\rm|, \verb|\sf|, \verb|\sl|,
+\verb|\it| 등등의 글자체 바꿈 명령들은 모두가 같은 차원에서 글자체를
+바꾸기 때문에 여러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글자체의 설계가
+\verb|\rm|이 아닌 \verb|\sf|를 계속 써 오다가 그 글자체의 기울인 모양인
+\verb|\sl|로 글자체를 바꾸면 바뀐 글자체가 \verb|\sf|의 \verb|\sl|이
+아니라 \verb|\rm|의 \verb|\sl|이 됩니다. 이는 이런 글자체 바꿈 명령이
+일단 글자체를 애초값으로 복귀시킨 후 글자체를 바꾸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89년부터 Frank Mittelbach와 Rainer
+Sch\"opf는 ``새로운 글자체 선택 방식''\textsf{(NFSS: New Font
+ Selection Scheme)}을 고안하기 시작하여 현재 라텍 버전 2$\epsilon$에
+채택되어 있는 \NFSS{}를 만들었습니다.
+
+\LaOm{한글라텍 버전 0.97부터는 \HFSS(Hangul Font Selection
+ Scheme)\index{HFSS}에 의해 우리말 글자체가 선택됩니다. \HFSS{}는
+ \NFSS{}를 한글화한 것입니다.}{한글Λ에서는 우리말의 글자체 선택이
+ 영문과 같이 \NFSS{}에 의해 처리됩니다.}
+
+
+\subsubsection{영문 글자체 선택 방법}
+\index{라텍!글자체 선택}
+
+\NFSS{}는 글자체를 다섯가지 요소로 구분하여 이 요소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합니다.\index{NFSS2} 그 다섯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index{글자체!구성 요소}
+
+\begin{description}
+\item[글자체 부호화(encoding)] 다른 알파벳을 쓸 때 각 나라별로
+ \texttt{codepage}가 정해져 있습니다. 라텍에서는 다른 프로그램와
+ 마찬가지로 각 글자와 0--255 사이의 글자체 위치를 연관시킴으로써 이를
+ 해결합니다. 라텍에서는 이를 ``부호화 방법''이라 합니다.
+\item[글자체 가족(family)] 글자체 가족은 같은 설계 원칙을 갖습니다.
+ 가족 내에서는 크기(size)와 무게(weight), 폭(width), 모양(shape)으로
+ 구성원이 구별됩니다.
+\item[글자체 모양(shape)] 글자체 가족의 구성원을 구별하는 중요한
+ 속성으로서 ``\textup{곧은(upright) 모양}''과 ``\textit{굽은(italic)
+ 모양}'' ``\textsl{기운(slanted) 모양}'' 혹은 대문자의 크기를
+ 70\%정도로 축소하여 소문자로 쓰는 ``\textsc{작은키(Small Caps)
+ 모양}''등으로 구별됩니다. 글자체 모양에 있어서 그 중요도는
+ 떨어지지만 ``외곽형({\fontshape{ol}\selectfont outlined}) 모양''과
+ ``그림자(shaded) 모양'' 및 ``곧은 이탤릭({\fontshape{ui}\selectfont
+ upright italic}) 모양'' 등도 글자체 모양에 속합니다.
+\item[글자체 무게(weight) 및 폭(width)] 무게와 폭은 서로의 조합으로
+ 하나의 글자체 속성을 형성합니다. 무게는 글자의 두께로서 결정되며
+ ``보통 두께(medium)'', ``가벼운 두께(light)'', ``무거운 두께(bold)''
+ $\ldots$ 등으로 나뉩니다. ``가벼운 두께''에도 ``아주 가벼운
+ 두께(extra light)'', ``매우 가벼운 두께(ultra light)'', ``보통
+ 가벼운 두께(light)'', ``약간 가벼운 두께(semi light)'' 등등으로
+ 분리되며 ``두꺼운 두께''도 이런 식으로 세분됩니다. 폭은 ``보통의
+ 폭(medium width)'', ``확장된 폭(extended width)'' 등이 있습니다.
+\item[글자체 크기(size)] 글자체 크기는 인쇄기의 점을 단위로
+ 표현됩니다. 인쇄기의 점을 텍에서는 \texttt{pt}라는 단위로 나타내며
+ 1인치는 72.27\texttt{pt}입니다. 라텍에서는 글자체 크기가 1.2의
+ 승으로 구별됩니다. 이렇게 정한 배경에는 후에 축소 복사를 할 때의
+ 편이함이 있습니다. 즉 A5 크기의 책자를 만들 경우, A4 종이에
+ $1.44=\sqrt2$의 글자체 크기를 선택하여 인쇄한 후 A5 크기로
+ 축소합니다.
+\end{description}
+
+글자체 선택에는 명령형과 선언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index{명령형}\index{선언형} 명령형은 \verb|\textbf{...}|와
+같이 한가지 변수를 요구하며, 선언형은 \verb|\bfseries|와 같이 변수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선언형은 다음과 같이 환경 형태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index{환경형}
+
+\smallskip
+\begin{tabular}{|m{55mm}cm{5cm}|}\hline
+ \begin{verbatim}몇몇 단어들은 \begin{bfseries}
+두껍게 \end{bfseries}
+인쇄됩니다.\end{verbatim}
+ & $\Rightarrow$ &
+ 몇몇 단어들은 \begin{bfseries} 두껍게 \end{bfseries}
+ 인쇄됩니다. \\\hline
+\end{tabular}
+
+\smallskip 문서의 애초 글자체는 명령형 \verb|\textnormal|이나 선언형
+\verb|\normalfont|로 선택되며, 이 명령/선언은 문서의 글자체를
+초기화시킴으로써 항상 같은 모양을 선택할 수 있게 합니다.
+
+문서의 글자체 가족에는 로만(roman)체, 산세리프(\textsf{sans serif})체,
+타자(\texttt{typewriter})체가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다음의 명령형과
+\begin{verbatim}
+\textrm \textsf \texttt
+\end{verbatim}
+선언형으로
+\begin{verbatim}
+\rmfamily \sffamily \ttfamily
+\end{verbatim}
+선택됩니다. 로만 글자체는 일반적으로 문서의 기본 글자체로 선언되어
+있습니다.
+
+문서의 글자체 시리즈(series)는 폭과 두께의 두 요소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명령 및 선언형으로 선택됩니다.
+\begin{verbatim}
+\textmd \mdseries
+\textbf \bfseries
+\end{verbatim}
+애초값은 \verb|\textbf|가 확장된 두꺼운 두께(bold extended)이고
+\verb|\textmd|는 보통의 폭과 보통의 두께입니다.
+
+글자체 모양은 애초값인 곧은 모양을 비롯하여 굽은 모양, 작은키 모양,
+기울인 모양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다음의 명령/선언형으로 선택됩니다.
+\begin{verbatim}
+\textup \upshape
+\textit \itshape
+\textsc \scshape
+\textsl \slshape
+\end{verbatim}
+이 중에 굽은 모양과 곧은 모양 사이의 전환은 \verb|\emph| 명령 및
+\verb|\em| 선언으로 이루어집니다.
+
+
+글자체 크기 선택을 위해서는 10가지의 선언형이 사용됩니다. (명령형은
+없습니다.)
+
+\noindent
+\begin{tabular}{ll}
+\verb|\tiny| & \tiny 미소한 크기 \\
+\verb|\scriptsize| & \scriptsize 각본철 크기 \\
+\verb|\footnotesize| & \footnotesize 주석 크기 \\
+\verb|\small| & \small 작은 크기 \\
+\verb|\normalsize| & \normalsize 보통 크기 \\
+\verb|\large| & \large 큰 크기 \\
+\verb|\Large| & \Large 좀더 큰 크기 \\
+\verb|\LARGE| & \LARGE 아주 큰 크기 \\
+\verb|\huge| & \huge 거대한 크기 \\
+\verb|\Huge| & \Huge 아주 거대한 크기 \\
+\end{tabular}
+
+\bigskip
+
+위와 같은 외형 글자체 바꿈 명령들의 행동 방식은 내형 글자체 바꿈
+명령에 의해 달라집니다.\index{외형 글자체 바꿈 명령}%
+\index{내형 글자체 바꿈 명령} 예를들어
+\begin{verbatim}
+\renewcommand{\familydefault}{cmss}
+\end{verbatim}
+와 같은 내형 글자체 바꿈 명령을 쓰면 글자체 가족의 애초값이
+\texttt{cmss}(Computer Modern Sans Serif)로 바뀜으로써 주석 및 머릿말
+등, 외형 글자체 바꿈 명령만으로는 바뀌지 않는 부분까지의 글자체 가족이
+영향을 받습니다.
+
+라텍에서 애초값은 다음 표와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smallskip
+\begin{tabular}{>{\ttfamily}l@{\quad}>{\ttfamily}l}\hline
+\textmj{내형 글자체} & \textmj{애초값} \\\hline
+\verb|\encodingdefault| & OT1 \\[3pt]
+\verb|\familydefault| & \verb|\rmdefault| \\
+\verb|\seriesdefault| & m \\
+\verb|\shapedefault| & n \\[3pt]
+\verb|\rmdefault| & cmr \\
+\verb|\sfdefault| & cmss \\
+\verb|\ttdefault| & cmtt \\[3pt]
+\verb|\bfdefault| & bx \\
+\verb|\mddefault| & m \\[3pt]
+\verb|\itdefault| & it \\
+\verb|\sldefault| & sl \\
+\verb|\scdefault| & sc \\
+\verb|\updefault| & n \\\hline
+\end{tabular}
+
+
+\subsubsection{우리말 글자체 선택 방법의 개요}
+
+\noindent
+\underline{라텍을 쓸 때}
+
+\medskip \HFSS{}는 \NFSS{}를 바탕으로 두고 있고 우리말 부호화의 특성에
+따라 한국어 부호화 방식을 지정하는 \verb|\hfontencoding|과 한국어
+글자체 가족을 지정하는 \verb|\hfontfamily|가 추가 되었으며 글자체 선택
+방식도 우리말 글자체에 맞도록 변경되었습니다.\index{HFSS}
+\begin{description}
+\item[글자체 부호화] 우리말의 부호화는 \texttt{H}로 설정되어 있고
+ \NFSS{}에서 사용되는 글자체 부호화 설정 모듬 명령
+ \verb|\fontencoding|을 우리말화한 \verb|\hfontencoding|을 씁니다.
+ 우리말 글자체의 부호화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달리 설정할 이유가
+ 없고, 영어 부호화 방식과의 구별에 그 주 목적이 있으며 \HFSS{}의
+ 작동시 우리말 글자체의 선택을 우리말에 맞게 하도록 하는 기능을
+ 합니다.
+\item[글자체 가족] \NFSS{}에서와 같이 우리말의 글자체 가족은 글자체의
+ 설계 원칙에 따라 구분이 되고, 우리말의 특성에 의해 두 요소로
+ 표현됩니다.
+
+ 첫번째 요소는, \verb|\kscfamily|로서 우리말의 상징 문자와 한글 및
+ 한자를 구별합니다. 이 모듬 명령도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쓸 일이 거의
+ 없고, 주로 한글라텍의 내부 처리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
+ 두번째 요소는 우리말의 글자체 가족을 나타내는
+ \verb|\hfontfamily|로서 우리말의 글자체 가족을 바꿀 때 사용자가
+ 직면하게 되는, 실질상 우리말의 글자체 가족을 대표하는 요소입니다.
+\item[글자체 무게 및 폭] 작동 방식과 내용이 \NFSS{}와 동일합니다.
+ 추가된 사항은 글자체 시리즈의 접두사 \texttt{S}로서 이는 우리말의
+ \verb|\bfseries|가 \texttt{softbold}로 처리되도록 합니다.
+\item[글자체 모양] \NFSS{}와 같습니다.
+\item[글자체 크기] \NFSS{}와 같습니다.
+\end{description}
+
+\noindent
+\underline{Λ를 쓸 때}
+
+\medskip
+라텍을 쓸 때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begin{description}
+\item[글자체 부호화] 우리말의 부호화는 \texttt{UHC}로 설정되며
+ \verb|\hfontencoding|은 없습니다.
+\item[글자체 가족] 모듬 명령 \verb|\kscfamily|나 \verb/\hfontfamily/는
+ 없고 영문과 같이 \verb|\fontfamily|가 사용됩니다.
+\end{description}
+
+
+\subsubsection{우리말 글자체의 가족 선택}
+
+\noindent
+\underline{라텍을 쓸 때}
+
+\medskip KS X 1001의 부호 체계에 의한 상징 문자/한글/한자의 가족
+구분은 글자의 부호값으로 정해지므로 특별한 명령/선언 모듬 명령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단지 미래에 추가될 수도 있는 가능성을 위해 혹은
+운영 체계 관리자를 위해, 설치된 한글라텍의 특성에 따라 다음의 모듬
+명령으로 상징 문자/한글/한자를 구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begin{verbatim}
+ \kscfamily{상징문자}{한글}{한자}
+\end{verbatim}
+이는 각각
+\begin{verbatim}
+\symboldefault
+\hanguldefault
+\hanjadefault
+\end{verbatim}
+로 설정되어 있으며 그 값은 각각 \texttt{s}, \texttt{w}, \texttt{h}입니다.
+
+우리말 문서에서의 실질적인 『우리말 글자체 가족』은%
+\index{우리말 글자체 가족}
+\begin{verbatim}
+ \textmj \mjfamily
+ \textgt \gtfamily
+ \texttz \tzfamily
+\end{verbatim}
+로 선택되며 이들은 각각
+\begin{verbatim}
+ \textrm \rmfamily
+ \textsf \sffamily
+ \texttt \ttfamily
+\end{verbatim}
+와 같은 작용을 합니다. (왼쪽은 명령형, 오른쪽은 선언형)
+
+위와 같은 모듬 명령들은 우리말 가족을 바꾸어 주는 모듬 명령
+\verb|\hfontfamily|를 사용합니다.
+\begin{verbatim}
+ \hfontfamily{우리말가족}
+\end{verbatim}
+\texttt{우리말가족}에는 다음과 같은 글자체가 있습니다.
+\index{한글라텍!글자체 종류}
+
+\smallskip
+\begin{tabular}{|>{\ttfamily}ll>{\ttfamily}ll>{\ttfamily}ll|}\hline
+ \multicolumn{6}{|l|}{기본가족:}\\
+ mj & (명조) & gt & (고딕) & tz & (타자) \\\hline
+ \multicolumn{6}{|l|}{추가가족:}\\
+ gr & (그래픽) & gs & (궁서) & pg & (필기) \\
+ yt & (옛글) & bm & (봄글씨) & pn & (펜글씨) \\
+ ph & (펜흘림) & sh & (신문) & vd & (바다) \\
+ jmj & (자모명조) & jgt & (자모고딕) & jnv & (자모노벨) \\
+ jsr & (자모소라) & & & & \\
+ dn & (디나루) & pga & (필기a) & & \\\hline
+\end{tabular}
+
+\smallskip%
+위와 같은 우리말 가족들은 상징 문자/한글/한자의 세 가족을 대표하는
+외형 가족으로서, 문서에서 \texttt{우리말가족}을 \texttt{tz}으로
+지정하였을 경우 한글라텍은 한글/상징 문자/한자의 순으로 각각
+\begin{verbatim}
+ wtt, wtt, wtt
+\end{verbatim}
+의 내형 가족을 쓰도록 되어 있습니다. 외형 가족과 내형 가족의 연관은
+사용자가 다음의 명령으로 문서의 어디에서든지 변경할 수
+있습니다.\index{MapHangulFamily@\verb/\MapHangulFamily/}%
+\index{외형 가족}
+\begin{verbatim}
+ \MapHangulFamily{외형가족}{한글가족,상징문자가족,한자가족}
+\end{verbatim}
+\texttt{tz}의 경우 \texttt{내형가족}과의 연관은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이루어집니다.
+\begin{verbatim}
+ \MapHangulFamily{tz}{wtt,wtt,wtt}
+\end{verbatim}
+
+\underline{Λ를 쓸 때}
+
+\medskip%
+Λ를 쓸 때는 한 글자체에 상징문자와 한글 및
+한자가 모두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라텍을 쓸 때와는 달리
+상징문자/한글/한자를 구분하는 모듬 명령은 필요없습니다.
+
+다음과 같은 명령은 라텍을 사용할 때에만 사용되는 명령이며 Λ를
+사용할 때에는 없는 명령입니다.
+\begin{verbatim}
+ \kscfamily{상징문자}{한글}{한자}
+ \symboldefault
+ \hanguldefault
+ \hanjadefault
+ \MapHangulFamily{외형가족}{내형가족}
+\end{verbatim}
+
+글자체의 가족은 \verb|\fontfamily|로 바꿀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
+글자체 가족은 라텍의 경우와 같습니다.
+
+라텍의 경우와 같이 기본 글자체 이외의 글자체에 해당하는
+\verb/\text??/와 \verb/\??family/ 모듬 명령의 사용을 억제하고
+\ref{소절:우리말모듬}의 우리말 모듬 명령을 사용하도록 되었습니다.
+
+
+\subsubsection{우리말 글자체 시리즈}
+
+\underline{라텍을 쓸 때}
+
+\medskip%
+문서의 글자체 시리즈의 선택에는 \NFSS{}가 그대로 적용되며 라텍을 쓸
+때는 한글라텍 버전 0.96까지 사용되었던 \texttt{softbold}를 위해 글자체
+시리즈의 접두사 \texttt{S}가 추가되어 보통 두께의
+글자체를(\texttt{mdseries}) 세 번 중첩 인쇄하는 기능을
+합니다.\index{softbold@\texttt{softbold}} 그러므로 라텍 문서에서 다음의 명령은
+\begin{verbatim}
+ \renewcommand{\bfdefault}{Sbx}
+혹은
+ \fontseries{Sbx}
+\end{verbatim}
+우리말의 글자체 두께를 \texttt{softbold}로 처리하도록 하며 영문
+글자체의 두께는 \texttt{bx}가 되도록 합니다. \texttt{hangul.sty}의 추가
+선택 \texttt{softbold}는 위와 같은 기능을 애초값으로 설정합니다.
+
+\underline{Λ를 쓸 때}
+
+\medskip%
+\texttt{softbold}의 기능이 없고 두꺼운 글자체가 사용됩니다. 이 UHC
+글자체를 쓰면 글자체 시리즈를 구성하는 두 요소 (넓이와 무게)가
+구분되며, 넓이는 다음의 네가지 종류로 구분되고
+
+\begin{tabular}{ll}
+\texttt{c} & (가로 축소 75\%) \\
+\texttt{m} & (보통 넓이 100\%) \\
+\texttt{x} & (가로 확대 125\%) \\
+\texttt{ux} & (가로 확대 200\%) \\
+\end{tabular}
+
+무게는 \texttt{m} (보통 무게)와 \texttt{b} (진한 무게)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로로 두 배 확대한 두꺼운 글자체를 쓸 때는
+다음과 같은 명령을 줍니다.
+\begin{verbatim}
+ \fontseries{bux}\selectfont
+\end{verbatim}
+위에서, 글자체의 선택 뒤에서 \verb|\selectfont| 명령을 줌으로써 글자체
+선택이 효력을 발휘하게 됩니다.
+
+
+\subsubsection{우리말 글자체의 모양과 크기}
+
+우리말 글자체의 모양/크기는 \NFSS{}와 같습니다.
+
+
+\subsubsection{우리말 글자체의 애초값}
+
+문서의 애초 글자체는 \NFSS{}에서와 같이 다음의 명령/선언형으로 선택됩니다.
+\begin{verbatim}
+ \textnormal \normalfont
+\end{verbatim}
+한글라텍에서 애초값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begin{verbatim}
+ 한글라텍 한글Λ
+ \hencodingdefault H
+ \encodingdefault UHC
+ \symboldefault s
+ \hanguldefault w
+ \hanjadefault h
+ \mjdefault mj mj
+ \gtdefault gt gt
+ \tzdefault tt tz
+ \hfamilydefault \mjdefault
+ \familydefault \mjdefault
+\end{verbatim}
+\LaOm{위와 같은 애초값들은 운영 체계 관리자가 \texttt{hfont.cfg}에서
+ 변경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도 문서의 서두에서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
+{Λ에서는 일반적으로 라텍을 사용할 때에 하는 방법으로 재정의합니다.}
+
+
+\subsubsection{그외 우리말 글자체의 모듬 명령}
+\label{소절:우리말모듬}
+
+한글라텍 버전 0.96까지 써 오던 두 글자로 구성되는 글자체 바꿈 명령은
+기본 글자체 이외에는 모두 삭제되었습니다. 이들은 라텍 버전 209 식의
+글자체 바꿈 명령에 해당하며 사용을 회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begin{verbatim}
+ \mj
+ \gt
+ \tz
+\end{verbatim}
+
+그 반면에 우리말로 구성되는 글자체 바꿈 명령은 글자체의 가족을
+선택하는 선언형으로서 계속 존재합니다.%
+\index{한글라텍!글자체 바꿈 명령}
+
+\begin{verbatim}
+ 한글라텍 한글Λ
+ \명조 \textmj \mjfamily \mjfamily
+ \고딕 \textgt \gtfamily \gtfamily
+ \타자 \texttz \tzfamily \tzfamily
+ \그래픽 \hfontfamily{gr} \fontfamily{gr}
+ \궁서 \hfontfamily{gs} \fontfamily{gs}
+ \신문 \hfontfamily{sh} \fontfamily{sh}
+ \필기 \hfontfamily{pg} \fontfamily{pg}
+ \펜글씨 \hfontfamily{pn} \fontfamily{pn}
+ \펜흘림 \hfontfamily{ph} \fontfamily{ph}
+ \봄글씨 \hfontfamily{bm} \fontfamily{bm}
+ \옛글 \hfontfamily{yt} \fontfamily{yt}
+ \자모명조 \hfontfamily{jmj} \fontfamily{jmj}
+ \자모고딕 \hfontfamily{jgt} \fontfamily{jgt}
+ \자모노벨 \hfontfamily{jnv} \fontfamily{jnv}
+ \자모소라 \hfontfamily{jsr} \fontfamily{jsr}
+ \바다 \hfontfamily{vd} \fontfamily{vd}
+ \디나루 \hfontfamily{dn} \fontfamily{dn}
+ \필기a \hfontfamily{pga} \fontfamily{pga}
+\end{verbatim}
+%\def\궁흘림 {\fontfamily{gh}\selectfont}
+\texttt{\textbackslash hfontfamily}나 \texttt{\textbackslash
+ fontfamily}로 글자체를 지정한 후에는 \texttt{\textbackslash
+ selectfont}로 글자체를 선택해야 글자체가 바뀝니다.
+
+\underline{라텍을 쓸 때}
+
+\medskip
+\verb|\usefont|는 \NFSS{}의 모듬 명령으로서 글자체의 부호화와 가족,
+시리즈 및 모양을 한번에 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begin{verbatim}
+ \usefont{부호화}{가족}{시리즈}{모양}
+\end{verbatim}
+이 모듬 명령에서 첫 번째 변수인 글자체 부호화가 \verb|\hfontencoding|과
+같을 경우에는 두 번째 변수를 \verb|\hfontfamily|로 취급합니다.
+그러므로 다음의 선언은
+\begin{verbatim}
+ \usefont{H}{gs}{m}{n}
+\end{verbatim}
+우리말 글자체 중 궁서체의 보통 두께, 보통 모양을 쓰도록 합니다. 이때
+영문의 경우도 두께와 모양에서 우리말을 따르게 됩니다.
+
+다음과 같은 명령은 \NFSS{}에 대응하는, 우리말을 위한 선언으로서
+\HFSS{}의 작동에 필수불가결한 모듬 명령입니다. 이들은
+\verb|\begin{document}| 전에서만 선언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인 만큼,
+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보통의 경우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begin{verbatim}
+\DeclareErrorHFont{부호화}{가족}{두께}{모양}{크기}
+\DeclareHFontSubstitution{부호화}{가족}{두께}{모양}{크기}
+\end{verbatim}
+
+\underline{Λ를 쓸 때}
+
+\medskip \NFSS{}의 모듬 명령을 그대로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선언되어
+있습니다.
+\begin{verbatim}
+\DeclareFontEncoding{UHC}{}{}
+\DeclareErrorFont{UHC}{mj}{m}{n}{10}
+\DeclareFontSubstitution{UHC}{mj}{m}{n}
+\end{verbatim}
+
+
+\subsection{우리말 숫자 모듬 명령}
+\label{소절:숫자 모듬}\index{한글라텍!숫자 모듬 명령}
+
+한글라텍에서는 우리말 숫자를 숫자 환경에서 쓸 수 있도록 우리말 숫자
+모듬 명령을 제공합니다. 우리말 숫자 모듬 명령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begin{verbatim}
+\jaso(ㄱㄴㄷㄹ) \gana(가나다라)
+\ojaso(㉠㉡㉢㉣) \ogana(㉮㉯㉰㉱)
+\pjaso(㈀㈁㈂㈃) \pgana(㈎㈏㈐㈑)
+\onum(①②③④) \pnum(⑴⑵⑶⑷)
+\oeng(ⓐⓑⓒⓓ) \peng(⒜⒝⒞⒟)
+\hnum(하나둘셋) \Hnum(첫째둘째)
+\end{verbatim}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정의를 하면
+\begin{verbatim}
+\renewcommand{\labelenumi}{\gana{enumi})}
+\renewcommand{\labelenumii}{\jaso{enumii}.}
+\renewcommand{\labelitemi}{☞}
+\end{verbatim}
+\begin{tabular}[c]{|m{45mm}cm{4cm}|}
+\multicolumn{1}{l}{다음의 원전(text)은} & &
+\multicolumn{1}{l}{이렇게 나타납니다.} \\\hline
+\begin{verbatim}
+\begin{enumerate}\디나루
+\item 한글
+ \begin{enumerate}
+ \item 현대어
+ \item 고어
+ \end{enumerate}
+\item 漢字
+ \begin{enumerate}
+ \item 韓國語
+ \item 中國語
+ \item 日本語
+ \end{enumerate}
+\item 상징 기호
+ \begin{itemize}
+ \item ㉿
+ \item ₩
+ \item ㅫ
+ \end{itemize}
+\end{enumerate}
+\end{verbatim}%
+& $\Rightarrow$ &
+\renewcommand{\labelenumi}{\gana{enumi})}
+\renewcommand{\labelenumii}{\jaso{enumii}.}
+\renewcommand{\labelitemi}{☞}
+\begin{enumerate}\디나루
+\item 한글
+ \begin{enumerate}
+ \item 현대어
+ \item 고어
+ \end{enumerate}
+\item 漢字
+ \begin{enumerate}
+ \item 韓國語
+ \item 中國語
+ \item 日本語
+ \end{enumerate}
+\item 상징 기호
+ \begin{itemize}
+ \item ㉿
+ \item ₩
+ \item ㅫ
+ \end{itemize}
+\end{enumerate} \\\hline
+\end{tabular}
+
+
+\subsection{문장부호}
+\label{sec:문장부호}
+
+우리말 문서에서 사용되는 문장 부호는 라텍에서 제공되는 문장 부호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특수한 경우에는 우리말 문자 체계에서
+제공하는 상징 문자를 사용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특별한 명령으로
+구현되어야 합니다. \cite{한글연구회92}의 부록에서는 우리말 문서에서
+다음과 같은 문장 부호의 사용법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newcommand{\xample}[1]{\bgroup\small\디나루 #1\egroup}
+
+\subsubsection{마침표}
+
+\begin{itemize}
+\item 온점(.), 고리점(。)\\
+ 가로쓰기에는 온점, 세로쓰기에는 고리점을 쓴다.\\
+ 온점은 마침표라고도 하며 영문 ASCII에서 사용되는 부호와 동일한
+ 부호(.)로 입력되고 고리점은 우리말 상징 문자(。)가 사용된다.\\
+ \xample{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이다.}
+\item 물음표(?)\\
+ 의심이나 물음을 나타낸다.\\
+ 영문 ASCII에서 사용되는 부호와 동일한 부호(?)이다.\\
+ \xample{이제 가면 언제 돌아오니?}
+\item 느낌표(!)\\
+ 감탄이나 놀람, 부르짖음, 명령 등 강한 느낌을 나타낸다.\\
+ 영문자에서 사용되는 부호(!)와 동일하다.\\
+ \xample{아, 달이 밝구나!}
+\end{itemize}
+
+\subsubsection{쉽표}
+
+\begin{itemize}
+\item 반점(,), 모점(、)\\
+ 가로쓰기에는 반점, 세로쓰기에는 모점을 쓴다. 문장 안에서 짧은
+ 휴지를 나타낸다.\\
+ 반점은 영문자에서 사용되는 부호(,)와 동일하고 모점은 우리말 상징
+ 부호(、)를 사용한다.
+
+ \xample{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례의 미덕이다.}
+\item 가운뎃점($\cdot$)\\
+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낸다.\\
+ 라텍의 수학 기호(\texttt{\$\textbackslash cdot\$})을 입력하거나
+ 우리말 상징 부호(·)을 사용할 수 있다.
+
+ \xample{철이$\cdot$영이, 영수$\cdot$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윳놀이를
+ 하였다.}
+\item 쌍점(:)\\
+ 내포되는 종류를 들 적에, 소표제 뒤에, 저자명과 저서명 사이 등에
+ 쓴다.\\
+ 영문자 부호 콜론(:)을 입력한다.
+
+ \xample{문방사우: 붓, 먹, 벼루, 종이}
+\item 빗금 (/)\\
+ 대응, 대립되거나 대등한 것을 함께 보이는 단어와 구, 절 사이에 쓴다.
+ 분수를 나타낼 때에 쓰기도 한다.\\
+ 영문자(/)를 입력한다.
+
+ \xample{착한 사람/악한 사람\qquad 맞닥뜨리다/맞닥트리다}
+\end{itemize}
+
+\subsubsection{따옴표}
+
+\begin{itemize}
+\item 큰따옴표(``''), 겹낫표(『』)\\
+ 가로쓰기에는 큰따옴표, 세로쓰기에는 겹낫표를 쓴다. 대화, 인용,
+ 특별 어구 따위를 나타낸다.\\
+ 큰따옴표는 라텍의 입력 방식에 따라 작은따옴표를 두 번(\texttt{``''})
+ 입력하여 사용하고 겹낫표는 우리말 상징 부호(『』)를 입력하여
+ 사용한다. (우리말 상징 부호의 겹낫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 $90^\circ$ 회전된 형태이다. 아마도 가로쓰기에서
+ 사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
+ \xample{``전기가 없었을 때는 어떻게 책을 보았을까?''}
+\item 작은따옴표(`'), 낫표(「」)\\
+ 가로쓰기에는 작은따옴표, 세로쓰기에는 낫표를 쓴다. 큰따옴표는 라텍의
+ 인용 부호(\texttt{`'})를 입력하여 사용하고 낫표는 우리말 상징
+ 부호(「」)를 입력하여 사용한다. (우리말 상징 부호의 낫표는 시계 반대
+ 방향으로 $90^\circ$ 회전된 형태이다. 아마도 가로쓰기에서
+ 사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
+ \xample{지금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end{itemize}
+
+\subsubsection{묶음표}
+
+\begin{itemize}
+\item 소괄호(())\\
+ 원어, 연대, 주석, 설명 등을 넣을 적에, 빈 자리임을 나타낼 적에도
+ 쓴다.\\
+ 영문자의 소괄호 부호(())를 입력한다.
+
+ \xample{우리 나라의 수도는 (\qquad)이다.}
+\item 중괄호 (\{\})\\
+ 여러 단위를 동등하게 묶어서 보일 때에 쓴다.\\
+ 라텍의 입력 방식에 따라 역사선 문자 다음에 해당
+ 중괄호(\texttt{\textbackslash\{\textbackslash\}})를 입력한다.
+
+ \xample{$$\mbox{주격 조사}\;\;\{{\mbox{이}\atop\mbox{가}}\}$$}
+\item 대괄호 (〔〕)\\
+ 묶음표 안의 말이 바깥 말과 음이 다를 때 혹은 묶음표 안에 또
+ 묶음표가 있을 때에 쓴다.\\
+ 영문자 대괄호([])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우리말 상징 부호에 있는
+ 대괄호의 꺾음 정도가 다르므로 (〔〕) 우리말 상징 부호를 입력하여
+ 사용할 수 있다.
+
+ \xample{명령에 있어서의 불확실〔단호(斷乎)하지 못함〕은 복종에
+ 있어서의 불확실〔모호(模糊)함〕을 낳는다.}
+\end{itemize}
+
+\subsubsection{이음표}
+
+\begin{itemize}
+\item 줄표 (---)\\
+ 이미 말한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함을 나타낸다.\\
+ 라텍의 입력 방식에 따라 붙임표를 세번 입력하거나 우리말 상징
+ 문자(―)를 입력하여 사용한다.
+
+ \xample{어머님께 말했다가---아니, 말씀드렸다가---꾸중만 들었다.}
+\item 붙임표 (-)\\
+ 사전, 논문 등에서 합성어를 나타낼 적에, 또는 접사나 어미임을 나타낼
+ 적에 혹은 외래어와 고유어 또는 한자어가 결합되는 경우에 쓴다.\\
+ 영문자 부호(-: hyphen)을 입력하여 사용하거나 우리말 상징 부호(­)을
+ 입력하여 사용한다. 우리말 상징 부호를 사용할 때는 부호의 좌우
+ 여백이 적당한 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
+ \xample{겨울-나그네\qquad 빛­에너지}
+\item 물결표 (∼)\\
+ `내지'라는 뜻에 혹은 어떤 말의 앞이나 뒤에 들어갈 말 대신 쓴다.\\
+ 라텍 명령 \texttt{\textbackslash textasciitilde}를 입력하거나 우리말
+ 상징 부호(∼)를 입력하여 사용한다. 아래의 왼쪽 예문에서와 같이 라텍
+ 명령에 사용되는 물결표는 액센트 문자를 만드는 역할을 하므로 우리말의
+ 물결표로는 부적당하게 보인다.
+
+ \xample{9월15일\textasciitilde 9월25일\qquad 미술∼}
+\end{itemize}
+
+
+\subsubsection{드러냄표}
+
+\noindent
+$\dot{}$이나 $\scriptscriptstyle\circ$을 가로쓰기에는 글자 위에
+세로쓰기에는 글자 오른쪽에 쓴다.
+
+\noindent
+문장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 쓴다.
+
+\noindent
+드러낼 낱말을 \texttt{\textbackslash dotemph} 혹은
+\texttt{\textbackslash circemph} 명령의 변수로 지정하거나
+\texttt{\textbackslash dotem} 혹은 \texttt{\textbackslash circem}을
+선언한다. 이 명령/선언은 우리말 음절에만 적용된다.
+
+\xample{한글의 본 이름은 \dotemph{훈민정음}이다.}
+
+\xample{중요한 것은 \circemph{왜 사느냐}가 아니라 \circemph{어떻게
+ 사느냐} 하는 문제이다.}
+
+\subsubsection{안드러냄표}
+
+\begin{itemize}
+\item 숨김표 (××, ○○)\\
+ 알면서도 고의로 드러내지 않음을 나타낸다.\\
+ 라텍 수학 모드의 명령(\texttt{\$\textbackslash
+ times\$}/\texttt{\$\textbackslash bigcirc\$})을 입력하거나 우리말
+ 상징 부호(× ○)를 입력하여 사용한다.
+
+ \xample{그 말을 듣는 순간 ×××란 말이 목구멍까지 치밀었다.}
+\item 빠짐표(□)\\
+ 글자의 자리를 비워 둠을 나타낸다.
+
+ \xample{훈민정음의 초성 중에서 아음(牙音)은 □□□의 석 자이다.}
+\item 줄임표 (……)\\
+ 할 말을 줄였을 때나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에 쓴다.\\
+ 라텍의 수학 모드 명령(\texttt{\$\textbackslash
+ cdots\$}/\texttt{\$\textbackslash ldots\$})를 입력하거나 우리말
+ 상징 부호(…)를 입력하여 사용한다. \texttt{\$\textbackslash
+ cdots\$}는 가운뎃점의 위치에 연속된 점 세 개를
+ \texttt{\$\textbackslash ldots\$}은 온점의 위치에 연속된 점 세 개를
+ 나열한다. 우리말의 줄임 표시에 연속된 점을 세 개 사용해야 하는지
+ 여섯 개를 사용해야 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우리말 상징 부호는 연속된
+ 점의 수가 세 개이다.
+
+ \xample{``어디 나하고 한 번……'' 하고 철수가 나섰다.}
+\end{itemize}
+
+
+
+\subsection{우리말 각주 판짜기}
+\label{소절:각주판짜기}
+\index{각주 판짜기}
+
+영문 라텍에서의 기본적인 각주 판짜기 방식을 사용하면 각주 번호가
+표시되는 각주 첫 줄이 들여 쓰여집니다. 각주 번호에는 수학식에서 멱수를
+나타내는 윗첨자가 사용되고 각주 번호와 각주문을 구분하는 공간이
+없습니다. 이와 같은 판짜기 방식 이외에도 출판된 우리말 문서를 보면
+다른 방식의 판짜기를 볼 수 있습니다.
+
+\cite{이종운91}\은 각주면을 본문의 왼쪽에 맞추는 방식과 각주면을
+본문의 안쪽으로 들여 넣는 방식으로 각주면 판짜기를 대분하고 각주문의
+첫줄을 들여쓰기와 내어쓰기에 의해 다시 세분하는 방식으로 각주 판짜기를
+분류합니다.
+
+한글라텍의 각주 판짜기는 영문에서의 방식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각주 판짜기 방식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texttt{hangulfn.sty} 패키지를 따로 제공합니다. 패키지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begin{verbatim}
+ \usepackage[선택사항]{hangulfn}
+\end{verbatim}
+
+\texttt{선택사항}으로는 각주 번호의 판짜기 방식을 지정하는
+\texttt{첨자}와 \texttt{괄호}가 있는데 각각 다음과 같이 짜여집니다.
+\begin{itemize}
+\item \texttt{첨자}: \xample{$^1$각주문}
+\item \texttt{괄호}: \xample{1) 각주문}
+\end{itemize}
+\texttt{첨자}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와 각주문 사이가 붙고
+\texttt{괄호}의 경우에는 소괄호와 각주문 사이에 구분 공간이 있습니다.
+애초값은 \texttt{첨자}입니다.
+
+각주 판면의 판짜기를 지정하는 \texttt{선택사항}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begin{itemize}
+
+\item \texttt{다항이어쓰기}: 연이은 각주가 새 행에서 시작하지 않고 이전
+ 행의 오른쪽에 나열되며, 새 각주의 넓이가 행의 오른쪽 경계를 넘어 설
+ 때에 그 각주는 새 행에서 시작한다. 문서 전체가 길이가 짧은 각주로만
+ 구성될 때에 사용할 수 있는 판짜기 방식이다.
+
+ \xample{\rule{2in}{.4pt}\\
+ \footnotesize 12)~첫번째 각주\qquad 13)~두번째 각주\qquad
+ 14)~세번째 각주\qquad 15)~네번째 각주\qquad 16)~다섯번째
+ 각주\linebreak 17)~여섯번째 각주\qquad 18)~일곱번째 각주\qquad
+ 19)~여덟번째 각주}
+
+\item \texttt{단순이어쓰기}: ``\texttt{다항이어쓰기}''와 같은 방식이나
+ 한 각주의 넓이가 행의 오른쪽 경계를 넘어 설 때에 경계를 넘어서는
+ 부분이 줄바꿈에 의해 다음 행으로 넘겨진다는 점이 다르다.
+
+ \xample{\rule{2in}{.4pt}\\
+ \footnotesize 12)~첫번째 각주\quad 13)~두번째 각주\quad 14)~세번째
+ 각주\quad 15)~네번째 각주\quad 16)~다섯번째 각주\quad 17)~여섯번째
+ 각주\quad 18)~일곱번째 각주\quad 19)~여덟번째 각주}
+
+\item \texttt{내어쓰기}: 각각의 각주는 새 행에서 시작한다. 각주 번호가
+ 각주문의 왼쪽으로 내어 써 지고, 각주문의 왼쪽맞춤 위치가 각주문의 첫
+ 글자의 위치이다. 이 방식이 애초값이다.
+
+ \xample{\rule{2in}{.4pt}\\
+ \footnotesize\tabcolsep0pt
+ \begin{tabular}[t]{lp{.9\columnwidth}}
+ 12)~ & 각주면의 각주 번호와 구분 공간을 각주문으로부터 왼쪽으로 내어
+ 쓰는 방식이다. 각주문의 가로 넓이는 본문의 가로 넓이에서 각주
+ 번호와 구분 공간의 넓이만큼 뺀 길이이다.
+ \end{tabular}
+ }
+
+\item \texttt{왼쪽맞춤}: 각각의 각주는 새 행에서 시작한다. 각주의 첫
+ 줄이 왼쪽맞춤으로 짜진다.
+
+ \xample{\rule{2in}{.4pt}\\
+ \footnotesize
+ 12)~각주 번호와 각주문이 들여쓰기나 내어쓰기에 의해 구분되지 않고
+ 전체가 하나로 왼쪽맞춤 되는 판짜기 방식이다. 각주 번호와 각주문의
+ 사이에는 구분 공간이 삽입된다. 구분 공간은 \texttt{첨자}의 경우
+ 0pt이고 \texttt{괄호}의 경우 공간 문자이다.
+ }
+
+\item \texttt{들여쓰기}: 라텍이 제공하는 기본 각주 판짜기와 유사한
+ 방식이다. 각주 번호는 3배각의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정렬되며 각주문이
+ 구분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어진다. 각주문 사이에 줄바꿈이 일어나면
+ 새 행이 본문의 왼쪽 맞춤 위치에서 시작한다.
+
+ \xample{\rule{2in}{.4pt}\\
+ \footnotesize\settowidth{\dimen0}{각주}
+ \hbox to1.5\dimen0{\hss 12)}~첫줄 들여쓰기 방식이다. 각주 번호의
+ 끝이 왼쪽 가장 자리에서부터 3배각의 위치이다. 연이은 각주의 각주
+ 번호도 같은 위치에 정렬된다.\\
+ \hbox to1.5\dimen0{\hss 13)}~이어지는 각주이다. 각주 번호가 위쪽의
+ 각주 번호와 함께 오른쪽으로 정렬되었다.
+ }
+
+\item \texttt{들여왼쪽맞춤}: ``\texttt{왼쪽맞춤}''과 같은 방식이다.
+ 전체 각주면이 본문으로부터 오른쪽으로 2배각 들여 써진다.
+
+ \xample{\rule{2in}{.4pt}\\
+ \footnotesize\settowidth{\dimen0}{각주}\tabcolsep0pt
+ \begin{tabular}[t]{lp{.9\columnwidth}}
+ \rule{\dimen0}{0pt} &
+ 12)~각주 번호와 각주문이 들여쓰기나 내어쓰기에 의해 구분되지 않고
+ 전체가 하나로 왼쪽맞춤 되는 판짜기 방식이다. 전체 각주면이
+ 본문의 왼쪽맞춤 위치에서 2배각 들여진다.
+ \end{tabular}
+ }
+
+\item \texttt{들여내어쓰기}: ``\texttt{들여쓰기}''와 같은 방식이다. 전체
+ 각주면이 본문으로부터 오른쪽으로 2배각 들여 써진다.
+
+ \xample{\rule{2in}{.4pt}\\
+ \footnotesize\tabcolsep0pt
+ \settowidth{\dimen0}{각주}
+ \hspace*{\dimen0}
+ \multiply\dimen0 by-1 \advance\dimen0 .89\columnwidth
+ \begin{tabular}[t]{lp{\dimen0}}
+ 12)~ & 각주면의 각주 번호와 구분 공간을 각주문으로부터 왼쪽으로
+ 내어 쓰는 방식이다. 전체 각주면은 본문의 왼쪽에서 2배각 들여
+ 짜진다. 각주문의 가로 넓이는 본문의 가로 넓이에서 각주 번호와
+ 구분 공간의 넓이 그리고 2배각의 넓이를 뺀 길이이다.
+ \end{tabular}
+ }
+
+\item \texttt{들여괄호맞춤}: ``\texttt{들여내어쓰기}'' 방식과 같으나
+ 각주문에서 줄바꿈에 의해 새로 시작하는 행의 왼쪽이 각주 번호에
+ 사용되는 괄호의 끝에 정렬되는 점이 다르다. 각주 번호 양식이
+ ``\texttt{괄호}''로 바뀐다. 각주 번호와 각주문의 간격은 1배각이다.
+
+ \xample{\rule{2in}{.4pt}\\
+ \footnotesize\tabcolsep0pt
+ \settowidth{\dimen0}{각주}
+ \hspace*{\dimen0}
+ \multiply\dimen0 by-1 \advance\dimen0 .89\columnwidth
+ \begin{tabular}[t]{lp{\dimen0}}
+ 12) & ~~각주면의 각주 번호를 각주문으로부터 왼쪽으로 내어 쓰는
+ 방식이다. 각주 번호와 각주문 사이에는 1배각의 간격이 삽입된다.
+ 전체 각주면은 본문의 왼쪽에서 2배각 들여 짜진다. 줄바꿈 후에 새
+ 행이 각주 번호의 괄호 다음에서 시작했다.
+ \end{tabular}
+ }
+\end{itemize}
+
+
+
+\subsection{조사 이형태, 매개 모음, 지정사 탈락}
+\label{소절:자동음운변화처리}
+\index{자동 음운 변화}
+\index{조사 이형태}
+\index{매개 모음}
+\index{지정사 탈락}
+
+\verb|\ref|나 \verb|\pageref| 등의 교차 참조와 \texttt{\textbackslash
+ cite} 등의 문헌 인용을 사용하면 숫자나 이름표가 자동\noHyphen 으로 생성됩니다.
+이 경우 문서를 작성하고 있는 순간에는 이 숫자나 문자가 무엇인 지를 알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그 다음에 오게 되는 주격 조사가 `\texttt{가}'가
+될 지 아니면 `\texttt{이}'가 될 지를 결정할 수 없습니다. 사용되는
+변이형은 자동으로 생성되는 숫자의 음가나 이름표의 마지막 음절이 무슨
+받침을 갖고 있는가에 따라 다릅니다. 매개 모음 ``으''의 삽입이나 지정사
+``이''의 탈락도 같은 경우입니다. 한글라텍 버전 0.96부터는 다음과 같은
+음운 이형태를 자동 처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index{자동 음운 변화}
+\begin{verbatim}
+ 은/는 이/가 을/를 와/과
+ 으로/로 으로서/로서 으로써/로써
+\end{verbatim}
+이를 처리해 주는 모듬 명령은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begin{verbatim}
+ \은 \는 \이 \가 \을 \를 \와 \과
+ \으로 \로 \으로서 \로서 \으로써 \로써
+\end{verbatim}
+
+매개 모음 ``으''의 삽입은 명령 ``\texttt{\{\textbackslash ㅡ\}}''를
+통해 구현됩니다. 명령 이름은 ``으''의 모음 ``ㅡ''입니다. 예를 들어
+``\texttt{\textbackslash 로}''의 정의는 ``\texttt{\{\textbackslash
+ ㅡ\}로}''입니다. 매개 모음의 삽입은 동사의 굴절에서도 나타나지만
+이를 자동으로 처리해야 할 경우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 이유는
+동사가 굴절을 하지만 어간이 없는 동사가 없기 때문에 매개 모음의 앞에는
+정해진 동사 어간이 있기 때문입니다. 한글라텍에서 제공되지 않은 경우의
+매개 모음의 처리는 ``\texttt{\{\textbackslash ㅡ\}}''를 삽입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지정사 ``이''의 탈락은\footnote{지정사 ``이다''는 학자에 따라 조사로
+ 취급하기도 하고 상태 동사의 하나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 국어학적 측면은 논외입니다.} ``교수(이)시니 선생님이시니?'' 혹은
+``라텍이냐 워드(이)냐가 관건이다'' 등과 같이 많은 경우가 있습니다.
+경우의 수가 많은 이유는 지정사가 동사의 한 하위 부류로서 다양한 굴절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탈락 가능한 지정사에는 다음의 일반적인
+명령을 사용합니다. 명령의 이름에 사용된 문자는 ``이''의 모음
+``ㅣ''입니다.
+\begin{verbatim}
+ {\ㅣ}
+\end{verbatim}
+
+예:
+\begin{tabular}{|l@{$\;\;\;\rightarrow\;\;\;$}l|}\hline
+ \ttfamily
+ 참고한 문헌은 \textbackslash cite\{최99\}\{\textbackslash ㅣ\}다. &
+ \필기a 참고한 문헌은 \cite{최99}{\ㅣ}다.\\\hline
+\end{tabular}
+\medskip
+
+\verb|\cite| 명령으로 문헌 인용을 할 때 \texttt{plain.bst} 모양새
+파일을 쓰면 인용의 이름표가 숫자로 표현되고 \texttt{halpha.bst} 모양새
+파일을 쓰면 인용의 이름표가 문자열로
+표현됩니다.\footnote{\texttt{alpha.bst}를 쓰면 우리말이
+ 깨집니다.}\index{자동 조사!인용} \index{halpha.bst} 후자의 경우,
+한글라텍은 음운 변화 처리 기능을 쓰는데 있어서 문자열에 다음과 같은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index{자동 음운 변화 처리}
+\begin{enumerate}
+\item 문자열은 두 바이트 이상이어야 합니다. (\texttt{halpha.bst}를
+ 쓰면 문자열은 보통 다섯 글자 이상이 됩니다. 우리말은 한 글자가 두
+ 바이트 혹은 세 바이트로 구성되므로 우리말 한 글자는 문제의 대상에서
+ 제외됩니다.)
+
+ \begin{tabular}[c]{|lcp{5cm}|}\hline
+ 옳음: \verb|\bibitem[HKD]{홍길동}...| & & \\
+ 틀림: \verb|\bibitem[H]{홍길동}...| & $\leftarrow$ &
+ {\필기a 이름표 \texttt{H}는 한 바이트이므로 착오를 발생시킨다.}
+ \\\hline
+ \end{tabular}
+
+ 본문에서 \verb|\cite{홍길동}\을|이라 하면 ``\xample{[HKD]를}''로
+ 찍힙니다.
+\item 문자열의 마지막 음절은 한글과 한자, 우리말 자소, 숫자 그리고
+ 영문자로 구성됩니다. 즉, 자소를 제외한 상징 기호는 자동 음운 변화
+ 처리에서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footnote{상징 기호가 인용의
+ 이름표로 나올 일이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자동
+ 음운 변화 처리 기능은 작동하나 그 결과는 문법에 맞지 않을 수
+ 있습니다. 이형태의 결정은 실질 형태소의 마지막 음절이 `ㄹ'이 아닌
+ 종성인 경우로 간주됩니다.
+\item 문자열의 마지막 글자가 영문자일 경우에, 자동 음운 변화 처리
+ 기능은 낱말의 음가를 고려하지 않고 마지막 문자의 우리말 음가로
+ 이형태를 결정합니다.\footnote{모든 영어 낱말의 우리말 음가를 올바로
+ 분석하기는 매우 힘듭니다.}
+
+ \begin{tabular}[c]{|lcp{4.5cm}|}\hline
+ 옳음: \verb|\bibitem[set]{홍길동}...| & $\leftarrow$ &
+ {\필기a 영문자 이름표 \texttt{set}는 마지막 문자 \texttt{t}에 의해
+ 이형태를 결정한다. \texttt{t}의 우리말 음가는 중성으로
+ 끝나는 음절이다. \texttt{set}의 우리말 음가는 \texttt{세트}로서 역시
+ 마지막 음절이 중성으로 끝난다. 문헌 인용의 결과는
+ \texttt{[set]로}이다.} \\
+ 틀림: \verb|\bibitem[ping]{홍길동}...| & $\leftarrow$ &
+ {\필기a 영문자 이름표 \texttt{ping}은 마지막 문자 \texttt{g}가
+ 이형태를 결정된다. \texttt{g}의 우리말 음가는 중성으로
+ 끝나는 음절이다. 그러나 \texttt{ping}의 우리말 음가는 \texttt{핑}으로서
+ 종성으로 끝나는 음절이다. 문헌 인용의 결과는
+ \texttt{[ping]로}이다.} \\\hline
+ \end{tabular}
+\end{enumerate}
+
+\texttt{halpha.bst}를 사용할 경우에 인용의 부호는 저자의 이름 중 앞 세
+글자와 책이 출판된 연도의 뒷 두 숫자로 구성되거나 (저자가 한 명일 때),
+첫 번째 등장하는, 최대한 세 명의 저자 이름 중 첫 글자와
+\verb+\etalchar+ 그리고 책이 출판된 연도의 뒷 두 숫자로 구성되므로
+(저자가 여러명일 경우) 세 번째의 제한은 무시될 수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에도 \verb|\cite|의 이름표(label)는 일련 번호이거나
+(\texttt{plain.bst}) \texttt{저자이름+책출판년도}를 약식으로
+표현합니다 (\texttt{halpha.bst}). 그러므로 보통은 발생하기 힘든
+경우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참고 문헌 작성 시에는 이런 사실을 알고
+있으므로써,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색인 작성 시에 \texttt{makeidx.sty}을 쓰면 \verb|\see| 명령이
+정의됩니다. 이 명령을 쓸 때는 \verb|\see|의 변수가 빈 칸을 포함하게
+되면 자동 음운 변화 처리 기능에 의해 오류가 발생합니다. 빈칸 대신에
+``\texttt{\textasciitilde}''나
+``\texttt{\textbackslash\textvisiblespace}''를 쓰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index{자동 음운 변화!색인} 예:
+
+\smallskip\noindent
+\begin{tabular}[c]{|lp{47mm}cp{5cm}|}\hline
+ 옳음: & \verb!\index{절|see{첫장~첫절}}!
+ \verb!\index{절|see{첫장\ 첫절}}! &
+ $\leftarrow$ & \필기a `\texttt{\textasciitilde}'나
+ `\texttt{\textvisiblespace}'는 모두 빈 칸을
+ 의미한다. `\texttt{\textasciitilde}'는 앞뒤의 단어를 같은 줄에
+ 출력하도록 하고 `\texttt{\textvisiblespace}'는 다른 기능없이 빈 칸만
+ 출력한다. \\
+ 틀림: & \verb!\index{절|see{첫장 첫절}}! & & \\\hline
+\end{tabular}
+
+\texttt{출력:} 첫장 첫절\textit{\seename}
+
+\verb|\pagename|, \verb|\chaptername|과 같이 우리말화 한 한글 이름들도
+자동 음운 변화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verb|\pagename\가|'라고 쓰면 ``\xample{\pagename\가}''라고
+출력됩니다.
+
+
+\subsection{우리말 문헌 인용}
+\label{sec:문헌인용}\index{문헌 인용}
+
+라텍에서 문헌을 인용하기 위해서는 \texttt{\textbackslash{}cite}
+명령으로 참고 문헌 표지를 지정합니다. 참고 문헌 표지는
+\texttt{thebibliography} 환경 내에서
+\texttt{\textbackslash{}bibitem}으로 지정되는 참고 문헌 항목에
+주어지거나 \BibTeX{}을 이용하는 참고 문헌 데이터 파일 \texttt{.bib}의
+목록에서 주어집니다. 참고 문헌 데이터 파일을 사용하면 정해진 양식으로
+참고 문헌 정보를 \texttt{.bib} 파일에 수집하여 둠으로써 어느
+문서에서든지 그 정보를 꺼내 쓸 수 있고 참고 문헌 양식 파일을 지정하여
+다양하고 일관된 참고 문헌 목록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참고 문헌 양식 파일은 개별 언어에 맞게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texttt{alpha.bst}의 경우에는 저자나 편집자와 같은 이름을 약자로
+바꾸기도 하는데, 이 때에는 한글 이름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한글의 한 음절이 두 바이트(EUC-KR) 혹은 세 바이트(UTF-8)로
+구성되는데, 양식 파일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영문자처럼 한 바이트만을
+약자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한글 라텍은 \texttt{alpha.bst}를 한글화한
+\texttt{halpha.bst}를 제공합니다. 이 문서는 다음과 같이
+\texttt{halpha.bst}를 사용하여 참고 문헌 목록을 작성하였습니다.
+\begin{verbatim}
+\bibliographystyle{halpha}
+\bibliography{hlguide,texbook1,texbook3}
+\printindex
+\end{verbatim}
+위에서는 참고 문헌 양식으로 \texttt{halpha.bst}를 사용하도록 지정하고
+참고 문헌 데이터 파일로 \texttt{hlguide.bib}, \texttt{texbook1.bib},
+\texttt{texbook3.bib}를 지정한 것입니다.
+
+\BibTeX{}을 이용하여 한글 참고 문헌을 만들기 위해서는 라텍이 8비트
+문자를 보조 파일 (확장자가 \texttt{.aux})에 출력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적어도 te\TeX-3.0 (web2c-7.5.4) 버전에서는 \texttt{tcx} 파일을 이용하여
+\texttt{latex.fmt} 파일을 만듦으로써 8비트 출력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texttt{lambda.fmt}은 \texttt{tcx} 파일을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원천에서도 EUC (Extended Unix Code) 문자가
+\TeX{}의 16진법 표기로 출력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은 참고 문헌 표지가 한글로 되어 있을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참고 문헌 표지가 ``홍91''일 경우에
+``\texttt{\textbackslash{}cite\{홍91\}}''과 같이 인용을 했을 경우에 Λ는
+보조 파일에
+``\texttt{\textbackslash{}citation\{\textasciitilde\textasciitilde
+ ed\textasciitilde\textasciitilde 99\textasciitilde\textasciitilde
+ 8d91\}}''을 기록하고 (UTF-8 부호화) \texttt{bibtex}은 이 정보를 읽어
+참고 문헌 데이터 파일에서 이 표지를 갖는 참고 문헌 데이터 기재 항목을
+찾아 냅니다. 그러나 참고 문헌 데이터 파일에 기록된 표지는
+``\texttt{홍91}''이므로 이 항목을 찾아 내지 못합니다. 따라서 한글 참고
+문헌 데이터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조 파일을 8비트 문자로 변환할
+필요가 있고, 한글 라텍에서는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짠 \texttt{hbibtex}을
+제공하여 \BibTeX{}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index{hbibtex@\texttt{hbibtex}}
+
+\texttt{hbibtex}의 사용법은 \texttt{bibtex}의 사용법과 동일합니다.
+라텍을 사용할 경우나 참고 문헌 표지에 한글을 전혀 쓰지 않을 경우에는
+\texttt{hbibtex}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
+
+\subsection{우리말 색인 처리}
+\label{소절:색인작성}\index{색인}
+
+우리말의 색인 작성은 EUC-KR 혹은 UTF-8 부호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texttt{.idx} 파일을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texttt{latex} 혹은 \texttt{lambda}가 8비트 문자를 보조 파일
+(\texttt{.aux})에 출력할 수 있어야 합니다. 소절 \ref{sec:문헌인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텍의 경우에는 보조 파일에 8비트 문자가 출력될 수
+있으나 Λ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합니다. 참고 문헌 인용의 경우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색인의 머릿문자가 바뀌는 곳이 단순히 첫 문자의 부호값이
+바뀌는 곳이어서 한글 색인 생성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한글라텍에서는 한글 색인 양식 파일과
+shell/awk 스크립트를 사용하였으나 한글 라텍 버전 1.0에서는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texttt{hmakeindex}를
+사용합니다.\index{hmakeindex@\texttt{hmakeindex}}
+
+\texttt{hmakeindex}은 \texttt{latex}이 출력하는 \texttt{.idx} 파일의
+16진법 표기를 모두 EUC 코드로 바꾼 후에 \texttt{makeindex}를 실행시키고
+정렬된 \texttt{.ind} 파일을 재정리하여 우리말을 심벌, 한글, 한자로
+대분한 후 한글의 머릿글자가 바뀌는 곳에
+\texttt{\textbackslash{}hindexhead} 명령을
+삽입합니다.\index{색인!\texttt{\textbackslash{}hindexhead}}
+\texttt{\textbackslash{}hindexhead}의 애초값은
+\texttt{\textbackslash{}indexspace}이며 줄간격을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만일 색인의 머릿제목을 ``『가』, 『나』, 『다』, 『라』, ...''로
+표시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라텍 문서에서
+\texttt{\textbackslash{}hindexhead}를
+재정의합니다.\index{hindexhead@\verb+\hindexhead+}
+\begin{verbatim}
+\renewcommand\hindexhead[1]{\indexspace
+ {\bfseries
+ 『\ifcase#1 심벌\or 가\or 까\or 나\or 다\or 따\or 라\or
+ 마\or 바\or 빠\or 사\or 싸\or 아\or 자\or 짜\or
+ 차\or 카\or 타\or 파\or 하\or 한자\fi 』}
+ \nopagebreak
+}
+\end{verbatim}
+\texttt{hmakeindex} 프로그램은 C 언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운영 체계에서
+기계어로 번역한 후 설치하여야 합니다. 윈도우즈 운영 체계에서는 미리
+번역한 \texttt{hmakeindex.exe}를 설치하면 됩니다. 색인작성은 다음과
+같이 합니다.
+\begin{verbatim}
+hmakeindex <문서이름>
+\end{verbatim}
+
+한글 색인 양식 파일은 여전히 존재하며 색인과 쪽 번호 사이를 점선으로
+채우는 기능만 수행합니다. 이 모양새 파일 \texttt{hind.ist}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texttt{hmakeindex}의 추가 선택으로 \texttt{-s hind}를
+지정합니다.
+\begin{verbatim}
+hmakeindex -s hind <문서이름>
+\end{verbatim}
+
+영문자로 표기되었으나 우리말 음가로 표기되는 한글 영역에 색인을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문서에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verb|\index|를
+지정합니다.
+
+\smallskip
+\begin{tabular}[c]{|lcm{5cm}|}\hline
+ \verb|\LaTeX\index{라텍@\LaTeX}| &
+ $\leftarrow$ & \필기a \verb|\LaTeX|은 `\textrm{\LaTeX}'으로
+ 인쇄됩니다. 그러나 문자열이 `\verb|\|'로 시작하기 때문에
+ 영문자 부호 `\verb|\|'에 `\textrm{\LaTeX}'이 위치하게 됩니다. 이
+ 때는 `\texttt{@}' 글자의 앞에 \texttt{라텍}이라 적음으로써 그 위치가
+ `\texttt{라텍}'이 되도록 합니다. \\\hline
+\end{tabular}
+
+
+\subsection{우리말 이름}
+\label{소절:우리말이름}\index{우리말 이름}
+
+한글라텍 0.99 버전부터는 라텍에서 사용되는 각종 이름들을 일률적으로
+\verb+\ksnamedef+ 모듬 명령에 의해 변경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index{ksnamedef@\verb+\ksnamedef+} 예를 들어, 라텍에서
+사용되는 `\refname{}'의 이름 `Reference'는 \verb+\refname+에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를 우리말화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begin{verbatim}
+ \ksnamedef{refname}{참고~문헌}
+\end{verbatim}
+
+표~\ref{표:우리말이름}에는 한글라텍에서 한글화한 ``라텍 이름의 한글 및
+한자화''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이 한글화는
+\texttt{\textbackslash{}begin\{document\}} 앞에서 위에 예를 든 것처럼
+\texttt{\textbackslash{}ksnamedef}로 재정의하면 원하는대로 변경됩니다.
+
+\begin{table}[htbp]
+ \leavevmode
+ \centering
+ \begin{tabular}{|r|c|c|c|}\hline
+ 라텍명령 & 한글라텍(한글) & 한글라텍(漢字) \\\hline\hline
+ \texttt{today} & 1994년 3월 6일 & 1994年 3月 6日 \\\hline
+ \texttt{enclname} & 동봉물 & 同封物 \\\hline
+ \texttt{ccname} & 사본 & 寫本 \\\hline
+ \texttt{headtoname} & 받는이 & 受信人 \\\hline
+ \texttt{seename} & \verb+\+을 참조 & \verb+\+을 參考 \\\hline
+ \texttt{seename} & 도 참조 & 도 參考 \\\hline
+ \texttt{contentsname} & 목\~{}차 & 目\~{}次 \\\hline
+\texttt{listoffigurename} & 그림\~{}목차 & 그림\~{}目次 \\\hline
+ \texttt{listoftablename} & 표\~{}목차 & 表\~{}目次 \\\hline
+ \texttt{refname} & 참고\~{}문헌 & 參考\~{}文獻 \\\hline
+ \texttt{indexname} & 찾아보기 & 索\~{}引 \\\hline
+ \texttt{tablename} & 표 & 表 \\\hline
+ \texttt{abstractname} & 요\~{}약 & 要\~{}約 \\\hline
+ \texttt{bibname} & 참고\~{}문헌 & 參考\~{}文獻 \\\hline
+ \texttt{appendixname} & 부록 & 附錄 \\\hline
+ \texttt{ksTHE} & 제 & 第 \\\hline
+ \texttt{partname} & 편 & 篇 \\\hline
+ \texttt{chaptername} & 장 & 章 \\\hline
+ \texttt{sectionname} & 절 & 節 \\\hline
+ \texttt{colorlayer} & 환등판\~{}색깔 & 幻燈版\~{}色相 \\\hline
+ \texttt{glossaryname} & 용어\~{}풀이 & 語\~{}彙 \\\hline
+ \texttt{pagename} & 쪽 & 쪽 \\\hline
+ \texttt{figurename} & 그림 & 그림 \\\hline
+ \end{tabular}
+ \caption{라텍 이름의 한글 및 한자화}
+ \label{표:우리말이름}
+\end{table}
+
+\texttt{\textbackslash{}ksTHE}는 라텍에 정의되어 있지 않고,
+한글라텍에서 단원의 숫자 판짜기에 사용되도록 도입된 이름 모듬
+명령입니다. 이는 라텍 이름을 한글/한자화 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texttt{\textbackslash{}part}의
+일련 번호는 단원 숫자의 한글화로 인해 ``편 I''과 같이 나오며
+한글라텍에서는 \texttt{\textbackslash{}ksTHE}를 도입하여 ``제 I 편''과
+같은 식으로 짜여지도록 하고 있습니다.
+
+한글라텍에서는 \texttt{\textbackslash{}part}와
+\texttt{\textbackslash{}chapter}, \texttt{\textbackslash{}appendix},
+\texttt{\textbackslash{}section}까지를 위와 같이 한글화하고 있으며,
+각각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index{한글라텍!단원 판짜기}
+
+\medskip
+\begin{tabular}{|r|rcl|}\hline
+ 단원 종류 & 숫자 앞 & 숫자 & 숫자 뒤 \\\hline\hline
+ \verb+\part+ & \verb+\ksTHE~+ & \verb+\thepart+ &
+ \verb+~\partname+ \\\hline
+ \verb+\chapter+ & \verb+\ksTHE~+ & \verb+\thechapter+ &
+ \verb+~\chaptername+ \\\hline
+ & & \verb+\thesection+ & article \\
+ \raisebox{1.5ex}[-1.5ex]{\texttt{\textbackslash appendix}} &
+ \raisebox{1.5ex}[-1.5ex]{\texttt{\textbackslash
+ appendixname\textasciitilde}} &
+ \verb+\thechapter+ & book/report \\\hline
+ \verb+\section+ & \verb+\ksTHE~+ & \verb+\thesection+ &
+ \verb+~\sectionname+ \\\hline
+\end{tabular}
+\medskip
+
+이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재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모듬 명령을
+사용합니다.
+\begin{verbatim}
+ \kscntformat{단원이름}{앞}{뒤}
+\end{verbatim}
+예를 들어 \texttt{\textbackslash chapter}를 ``첫째 마당''과 같은 식으로
+짜기 위해서는 \texttt{\textbackslash begin\{document\}} 앞에서 다음과
+같이 지정합니다.
+\begin{verbatim}
+ \renewcommand{\thechapter}{\Hnum{chapter}}
+ \ksnamedef{chaptername}{마당}
+ \kscntformat{chapter}{}{~\chaptername}
+\end{verbatim}
+
+
+\subsection{그외의 우리말화}
+\label{소절:우리말화}
+
+우리말의 분철은\index{한글라텍!분철} 붙임표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영어권
+언어와는 다른 특별한 처리 방법이 요구됩니다.
+\def\hidewidth{\clearocplists\hskip\hideskip}
+
+\LaOm{\texttt{hfont.tex}에서 우리말의 글자 사이가
+ \texttt{\textbackslash hyphenchar} 없이 분리될 수 있게 하고
+ 있습니다.}
+{\OTP{}에서 각 글자의 앞에 분철점을 집어 넣고 상황에 따라 분철 여부를
+ 결정하도록 합니다.}
+
+영어 문서에서 단원 제목에 이은 첫 문단에서는 들여쓰기를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글 문서에서는 모든 문단에 들여쓰기가 적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한글 문서 작성의 표준이 규정된 것으로 보이지 않으나
+한국의 출판 서적을 볼 때 그렇게 판단됩니다.) 첫 문단 들여쓰기를 하는
+국가는 한국 뿐만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텍 운영 체계에서
+\texttt{indentfirst} 꾸러미를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즉, 문서의 전문 영역에서
+\begin{verbatim}
+ \usepackage{indentfirst}
+\end{verbatim}
+를 지정하면 첫 문단 들여쓰기가 쉽게 이루어집니다.
+
+또한 들여쓰기의 정도에 있어서도 영어 문서와 우리말 문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역시 정해진 표준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고
+출판사에서 관습적으로 들여쓰기의 양을 정해 쓰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글라텍에서의 들여쓰기의 양은 한글 글자 두개의 넓이 즉 전각 2배각을
+애초값으로 합니다. 이는 많은 한국어 서적에서 보이는 전각 들여쓰기보다
+큰 값이지만 \cite{이종운91}\과 KS A 0104에서 채택되고 있는 값이고
+우리말 문서에 적당하게 보입니다. 이 들여쓰기의 양은 다음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begin{verbatim}
+ \parindent15pt
+\end{verbatim}
+
+
+\subsection{PDF 문서 만들기}
+\label{소절:PDF}\index{PDF 문서}
+
+PDF는 Portable Document Format의 약자로서 Adobe 회사에서 제정한 문서
+형식입니다. PDF 문서는 Adobe 회사의 PDF 프로그램에서 언급되는 Acrobat
+문서로도 불려지고 있으며 어떤 운영 체계에서든지 미리 보기와 인쇄가
+가능할 수 있는 이식성을 갖고 있습니다. PDF에는 \PS{} 글자체와
+TrueType 글자체가 사용될 수 있고 이 문서 형식을 만들기 위해서 몇몇의
+상업용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텍 사용자 층에서도 이러한 형식의 문서를
+텍과 같은 강력한 식자 체계로 짤 수 있도록 많은 작업을 하였고, 그 결과로
+초기의 pdf\TeX{}을 확장한 pdfe\TeX{}이 web2c 버전 7.5.4에 포함되어
+공개되고 있습니다. pdf\TeX{}에서는 \PS{} 글자체와 TrueType 글자체를
+사용하여야 하며, KAIST 수학과의
+조진환님\footnote{chofchof@math.kaist.ac.kr. 현 수원대학교 교수,
+ chofchof@ktug.or.kr}은 한글라텍의 \PS{} 글자체를 써서 한글 PDF 문서를
+만들 수 있다는 소식을 알려 주신 바 있습니다.
+
+\underline{한글라텍}\\
+라텍을 사용하여 한글 PDF 문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texttt{pdflatex}을
+사용하여야 합니다.\index{pdflatex@\texttt{pdflatex}} 우리말 글자체는
+\PS{} 글자체를 사용하므로 \texttt{pdflatex}을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으며
+영문 글자체는 \texttt{times.sty}과 같은 꾸러미로 Adobe Type1 글자체를
+사용하거나 Computer Modern 글자체를 pfb나 ttf로 형식을 변환한 글자체를
+설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
+우리말 문서를 다음과 같이
+\begin{verbatim}
+pdflatex <파일이름>.tex
+\end{verbatim}
+하면 \texttt{<파일이름>.pdf} 파일이 만들어집니다.
+
+\underline{한글Λ}\\
+애석하게도 \texttt{pdfomega}나 \texttt{pdflambda}는 (아직) 없습니다.
+따라서 한글Λ를 사용하여 PDF 파일을 만들기 위해서는 \texttt{dvi},
+\texttt{ps}, \texttt{pdf}의 일련의 변환을 거치거나 \texttt{dvipdfm}을
+사용해야 합니다.\index{dvipdfm@\texttt{dvipdfm}}
+
+우리말 문서를 다음과 같이
+\begin{verbatim}
+lambda <파일이름>.tex
+dvips <파일이름> -o
+epstopdf <파일이름>.ps
+\end{verbatim}
+혹은\index{dvipdfm}
+\begin{verbatim}
+lambda <파일이름>.tex
+dvipdfm <파일이름>
+\end{verbatim}
+하면 \texttt{<파일이름>.pdf} 파일이 만들어집니다.
+
+경우에 따라서는 PDF 파일의 종이 규격이 A4 용지와 다를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texttt{pdftex}을 사용할 때에 종이
+규격은\index{pdflatex@\texttt{pdflatex}!종이 규격}
+\texttt{pdftex.cfg}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종이 규격을
+국판(148mm$\times$210mm)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texttt{pdftex.cfg}를 수정합니다.\index{pdftex.cfg@\texttt{pdftex.cfg}}
+\begin{verbatim}
+page_width 148 true mm
+page_height 210 true mm
+\end{verbatim}
+수정된 \texttt{pdftex.cfg} 파일은 작업 중인 자료방에 두면 됩니다.
+
+그러나 \texttt{ps} 파일을 거쳐서 \texttt{pdf} 파일을 만들 때에는
+\texttt{dvips}로 \texttt{ps} 파일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선택 사항으로
+종이 크기를 정해 주어야 합니다.
+\begin{verbatim}
+dvips -t 148mmx210mm <파일이름>.dvi -o
+\end{verbatim}
+
+pdf 파일을 미리보기 위해서는 adobe 회사에서 공개한 \texttt{acroread}나
+\texttt{ghostscript} 혹은 유닉스 운영 체계에서만 제공되는
+\texttt{xpdf}\footnote{\texttt{http://www.aimnet.com/\textasciitilde
+ derekn/xpdf/}}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라텍으로 문서 작업을 할
+때에는 원천 문서에서 수정된 내용의 결과를 미리보기를 통해 확인하는데,
+유닉스 운영 체계의 \texttt{xdvi}나 윈도우즈 운영 체계의 \texttt{yap}과
+같은 \texttt{dvi} 미리보기 프로그램은 미리보기 화면의
+``재생(refresh)'' 기능을 통해 이미 열려져 있는 창에서 수정된 결과물을
+간단히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df 미리보기 프로그램은
+\texttt{xpdf}만이 ``재생'' 기능이 있어서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에는 조금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
+
+\newpage
+\appendix
+
+
+\section{참고 문헌 데이터베이스}
+\label{sec:bib}
+
+라텍으로 문서의 판짜기에 익숙해진 후에는 참고 문헌 목록의 관리에
+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지 출판과 같이
+전문 분야의 학회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참고 문헌 양식 파일을
+학회에서 제공함으로써 참고 문헌 목록의 판짜기가 일관성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참고 문헌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분야에 독립적인 형식으로
+구축되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원하는
+모양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
+한글 참고 문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영문 참고 문헌
+데이터베이스와 다른 특별한 방식이 없습니다. 다만, 주의할 점이 있다면
+데이터베이스의 기록 사항 중에서 특별한 기능을 갖는 기능어가
+데이터베이스의 내용과 동일한 문자 세트를 사용하고 특별한 표시가
+없으므로 오용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
+참고 문헌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확장자는 \texttt{.bib}이며 각 문헌이
+정해진 순서 없이 다음과 같은 틀을 유지하며 나열됩니다.
+\begin{verbatim}
+@<문헌 유형> = {<라벨>,
+ <필수 사항> = {<내용>},
+ ...
+ <선택 사항> = {<내용>},
+ ...
+}
+\end{verbatim}
+\texttt{<라벨>}은 문서에서 문헌을 인용할 때 사용되는 참고 문헌 표지이며
+\texttt{<필수 사항>}과 \texttt{<선택 사항>}은 \texttt{<문헌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
+
+\subsection{문헌 유형}
+\label{sec:문헌유형}
+
+대부분의 참고 문헌 양식 파일에서 사용되는 문헌의 유형과 필수/선택
+사항은 다음과 같으며 필수/선택 사항이 아닌 사항은 \texttt{bibtex}에
+의해 무시됩니다.
+
+\newcommand{\bibtype}[4]{\item \texttt{#1}: #2\\필수: #3\\선택: #4}
+\begin{itemize}
+\bibtype{article}
+{정기 간행물이나 잡지의 논문}
+{author, title, journal, year}
+{volume, number, pages, month, note}
+\bibtype{book}
+{출판된 서적}
+{author 혹은 editor, title, publisher, year}
+{volume 혹은 number, series, address, edition, month, note}
+\bibtype{booklet}
+{등록된 출판사나 기관을 통하지 않고 인쇄/제본된 책}
+{title}
+{author, howpublished, address, month, year, note}
+\bibtype{inbook}
+{출판물의 장, 절 혹은 쪽 범위}
+{author 혹은 editor, title, chapter 내지 pages, publisher, year}
+{volume 혹은 number, series, type, address, edition, month, note}
+\bibtype{incollection}
+{출판물을 구성하는, 자체의 제목을 가지고 있는 일부분}
+{author, titiel, booktitle, publisher, year}
+{editor, volume 혹은 number, series, type, chapter, pages, address,
+ edition, month, note}
+\bibtype{inproceedings}
+{학회 회보에 발표된 논문}
+{author, title, booktitle}
+{editor, volume 혹은 number, series, pages, address, month,
+ organization, publisher, note}
+\bibtype{manual}
+{기술 문서}
+{title}
+{author, organization, address, edition, month, year, note}
+\bibtype{masterthesis}
+{석사 학위 논문}
+{author, title, school, year}
+{type, address, month, note}
+\bibtype{misc}
+{어느 유형에도 속하지 않을 때 (선택 사항이 하나도 없으면 오류)}
+{없음}
+{author, title, howpublished, month, year, note}
+\bibtype{phdthesis}
+{박사 학위 논문}
+{author, title, school, year}
+{type, address, month, note}
+\bibtype{proceedings}
+{학회 회보}
+{title, year}
+{editor, volume 혹은 number, series, address, publisher, note, month,
+ organization}
+\bibtype{techreport}
+{교육 기관과 같은 기관에서 월간/계관과 같은 연속물로 출판되는 보고서}
+{author, title, institution, year}
+{type, number, address, month, note}
+\bibtype{unpublished}
+{형식적으로 출판되지는 않았지만 저자와 제목을 가지고 있는 문서}
+{author, title, note}
+{month, year}
+\end{itemize}
+
+
+\subsection{기재 사항}
+\label{sec:기재사항}
+
+각 기재 사항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begin{itemize}
+\item \texttt{address}: \texttt{publisher}나 기관의 주소. 넓은 지역에
+ 분포한 출판사의 경우에는 도시 이름만 기재한다. 작은 출판소의
+ 경우에는 전체 주소를 기재하는 것이 독자에게 유용할 것이다.
+\item \texttt{annote}: 메모. 표준 참고 문헌 양식에서는 사용되지
+ 않지만 \texttt{annote}와 같이 주해 참고 문헌을 생성하는 양식에서
+ 사용된다. 이 터는 새 문장으로 시작하므로 영어의 경우에는 첫 글자가
+ 대문자이어야 한다.
+\item \texttt{author}: 저자의 이름이며 \BibTeX 의 이름 형식으로 기재한다.
+\item \texttt{booktitle}: 일부분만 인용되는 서적의 제목. 서적 등재
+ 사항에는 \texttt{title}이 사용된다.
+\item \texttt{chapter}: 장 번호.
+\item \texttt{crossref}: 참고 문헌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참고 문헌의
+ 교차 참조 표지.
+\item \texttt{edition}: ``개정판''과 같은 간행물의 발행 판수. 서수로
+ 주어져야 하며 영어의 경우 ``Second''와 같이 첫 글자가 대문자이어야
+ 한다. 표준 양식을 통해 필요한 경우에는 첫 글자가 소문자로 바뀐다.
+\item \texttt{editor}: 편집자의 이름. \BibTeX{}의 이름 형식으로
+ 기재한다. \texttt{author}와 함께 기재된 때에 \texttt{editor}는
+ 참조가 등장하는 서적의 편집자를 나타낸다.
+\item \texttt{howpublished}: 통상적인 간행물이 아닌 경우 출판된 방식.
+\item \texttt{institution}: 기술 문서를 후원한 기관.
+\item \texttt{journal}: 정기 간행물의 이름. 잘 알려진 정기 간행물의
+ 경우에는 약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item \texttt{key}: 목록의 정렬이나 교차 참조 그리고 \texttt{author}나
+ \texttt{editor}가 없을 경우에 문헌 표지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 \texttt{\textbackslash cite} 명령의 표지 및 데이터베이스 등재 항목의
+ 처음에 나오는 문헌 표지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item \texttt{month}: 출판물이 출판된 달이나 출판되지 않은 출판물이
+ 씌여진 달. 영어의 경우 일관성을 위해 세 문자 약어로 \texttt{jan},
+ \texttt{feb}, \texttt{mar} 등이 사용되어야 한다.
+\item \texttt{note}: 독자에게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추가적인 정보.
+\item \texttt{number}: 정기 간행물이나 잡지, 기술 문서 혹은 연재물
+ 내용의 번호. 정기 간행물이나 잡지의 판이나 호는 보통
+ \texttt{volume}과 \texttt{number}로 식별되고 기술 문서는 보통
+ \texttt{number}로 식별되며 이름을 갖는 연재물의 서적은 가끔
+ \texttt{nubmer}를 갖기도 한다.
+\item \texttt{organization}: 학회를 후원하거나 \texttt{manual}을
+ 출판한 기관.
+\item \texttt{pages}: 하나 이상의 쪽이나 쪽 범위로
+ \texttt{42{-}{-}111}, \texttt{7, 41, 73{-}{-}97} 혹은 \texttt{43+}로
+ 기재되는데 여기서 `\texttt{+}'는 단순하지 않은 범위의 쪽을 가리킨다.
+\item \texttt{publisher}: 출판사 이름.
+\item \texttt{school}: 논문이 쓰여진 학교의 이름.
+\item \texttt{series}: 연재물이나 여러 권으로 구성되는 출판물의 이름.
+ 전체 출판물을 인용할 때에 \texttt{title}은 제목을 말하고 선택 사항인
+ \texttt{series}는 연재물의 이름이나 여러권으로 구성된 출판 서적의
+ 이름을 말한다.
+\item \texttt{title}: 책의 제목.
+\item \texttt{type}: 기술 문서의 유형을 지정하며 ``연구 노트''와 같이
+ 기재한다. 유형이 주어지지 않으면 애초값인 ``기술 문서''가 사용된다.
+ 영어의 경우에는 애초값이 ``Technical Report''이다.
+ \texttt{phdthesis} 유형의 경우에는 ``박사 학위 논문'' (애초값)이라고
+ 명시할 수 있다. 영어의 경우에는 ``\{Ph.D.\} dissertation''이
+ 애초값이다. \texttt{inbook}이나 \texttt{incollection} 유형에서도
+ \texttt{chapter = "1.2", type = "절"}이라고 기재함으로써 애초값인
+ ``1.2 장'' 대신에 ``1.2 절''을 얻을 수 있다.
+\item \texttt{volume}: 연속 간행물이나 여러 권으로 구성된 인쇄물의 권.
+\item \texttt{year}: 출판 연도. 출판되지 않은 서적의 경우 서적이
+ 쓰여진 연도. 일반적으로 1984와 같이 네 개의 숫자로 구성되지만 표준
+ 참고 문헌 양식은 ``about 1984''와 같이 마지막 네 문자가 숫자인 경우를
+ 잘 처리한다.
+\end{itemize}
+
+
+\subsection{저자 및 편집자 이름 형식}
+\label{sec:이름}
+
+\texttt{author}나 \texttt{editor}의 영어 이름은 다음의 두 가지 형식으로
+입력됩니다.
+\begin{verbatim}
+"<이름> <성>"
+"<성>, <이름>"
+\end{verbatim}
+그러나 한국어 이름은 공백 문자가 없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입력됩니다.
+\begin{verbatim}
+<성><이름>
+\end{verbatim}
+영어 이름을 반점으로 성과 구분하는 방법은 성이 여러 낱말로 구성된
+경우에 효과적입니다.
+
+이름에 사용되는 기능어에는 \texttt{and}와 \texttt{others}가 있습니다.
+\texttt{and}는 여러 이름을 나열할 때 사용되고 \texttt{others}는 여러
+이름을 축약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름 기재 내용이 \texttt{and
+ others}로 끝날 때에 이는 ``\textvisiblespace 외''(영어의 경우는
+``\textit{et al.}'')로 출력됩니다.
+
+
+\section{한글화}
+\label{sec:한글화}
+
+EUC-KR 부호화 문자를 처리하는 한글라텍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대부분이
+문자의 범주에 기인합니다. 텍의 명령은 더 이상 \texttt{expand} 될 수
+없을 때까지 \texttt{expand} 되는 반면에 문자는 더 이상 \texttt{expand}
+되지 않는 범주에 속합니다. 영어 알파벳 문자는 모두 문자 범주에
+속하므로 예를 들어 ``word''를 구성하는 네 개의 문자는 \texttt{expand}
+후에도 그대로 남습니다. 반면에 EUC-KR로 부호화된 ``낱말''은 네 개의
+부호가 두 개씩 쌍을 이루고 있으며 각 쌍이 두 개의 한글 음절 ``낱''과
+``말''을 형성합니다. EUC-KR 부호화 방식은 한 음절을 구성하는 두 개의
+바이트 값에 의해 한국어 음절 값이 정해지므로 한글라텍에서는 첫 번째
+바이트를 두 번째 바이트를 인수로 취하는 명령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한글 음절은 \texttt{expand} 된 후에 소위 말하는 원시
+명령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명령 집합체로 변합니다.
+
+문자 범주를 기대하는 명령의 변수가 한글일 때에 라텍은 오류를
+유발합니다. \texttt{\textbackslash label}이나 \texttt{\textbackslash
+ cite} 명령 등의 변수가 한글일 때가 그렇습니다. 한글라텍에서는 표준
+문서 양식에서 사용되는 이와 같은 명령들을 수정하여서 한글 라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패키지에서 이런 명령들을 재정의하면
+또다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texttt{showkeys} 패키지는 \texttt{\textbackslash label},
+\texttt{\textbackslash ref}, \texttt{\textbackslash pageref},
+\texttt{\textbackslash cite}, \texttt{\textbackslash bibitem} 명령을
+수정하여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한글라텍에서는 이 패키지를 한글화 하여 \texttt{showhkeys.sty}의
+이름으로 제공합니다.
+
+\texttt{showtags} 패키지는 참고 문헌의 인용에 사용되는 표지를
+\texttt{showkeys} 패키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패키지를 한글화 한 파일은 \texttt{showhtags.sty}입니다.
+
+\texttt{hyperref} 패키지는 주로 \texttt{pdflatex}과 함께 쓰여 PDF 문서
+내에서의 교차 참조 사이를 항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한글라텍에서는 이 패키지도 한글화 하여 \texttt{khyper.sty}로
+제공합니다. 다만 bookmarks 기능은 제대로 구현하지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한글 문자의 부호화가 EUC-KR이기 때문이며 PDF에서는 유니코드를
+요구합니다. bookmarks의 한글화는 EUC-KR 부호화 문자를 출력하는
+수준에서 그쳤습니다. 따라서 \texttt{pdflatex}의 bookmarks 기능은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습니다.
+
+한글Λ에서는 UTF-8로 부호화된 한글이 16비트의 문자 범주로 처리됩니다.
+따라서 한글라텍의 경우와는 달리 \texttt{expand}에 의한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texttt{showkeys}, \texttt{showtags},
+\texttt{hyperref}에서 요구하는 한글화 작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만일
+한글Λ에서 위의 한글화된 패키지를 사용했을 때는 한글화 되지 않은 기존
+패키지만 사용되고 한글화 부분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nocite{홍윤표91}
+
+%%% Local Variables:
+%%% mode: latex
+%%% TeX-header-end: "^%% End Of Header"
+%%% TeX-trailer-start: "^%% Start Of Trailer"
+%%% TeX-master: "hlguide"
+%%%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