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language/korean/HLaTeX/ChangeLog.ko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language/korean/HLaTeX/ChangeLog.ko')
-rw-r--r--language/korean/HLaTeX/ChangeLog.ko1161
1 files changed, 1161 insertions, 0 deletions
diff --git a/language/korean/HLaTeX/ChangeLog.ko b/language/korean/HLaTeX/ChangeLog.ko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42ff53de89
--- /dev/null
+++ b/language/korean/HLaTeX/ChangeLog.ko
@@ -0,0 +1,1161 @@
+2005-04-22 Koaunghi Un <koaunghi@kornet.net>
+
+ * 한글라텍 1.0.1판
+
+ * halpha.bst (format.bvolume): "권, volume"을 " volume권"으로.
+
+ * euc-kr.tex (\필기a): 문자 "a"의 출력 억제.
+
+ * khyper.sty: 자동 음운 변화 처리 추가.
+ 밝히지 못한 글자체 명령을 모든 한글 글자체 명령에 대해 확장.
+
+2005-04-20 Koaunghi Un <koaunghi@kornet.net>
+
+ * hangulfn.sty, hfn-u.tex, hfn-k.tex: 새로 추가한 한글 문서의 각주
+ 판짜기 양식. 라텍 사용시 hfn-k.tex을, 람다 사용시 hfn-u.tex을
+ 읽어 들인다.
+ 각주 번호 형식으로 "첨자"와 "괄호"를 선택할 수 있고
+ 각주 판짜기 방식으로 "내어쓰기", "다항이어쓰기", "단순이어쓰기",
+ "왼쪽맞춤", "들여쓰기", "들여왼쪽맞춤", "들여내어쓰기",
+ "들여괄호맞춤"이 제공된다.
+
+2005-04-15 Koaunghi Un <koaunghi@kornet.net>
+
+ * euc-kr.tex (\@citex): \hbox를 \@cite@ofmt으로 (latex.ltx의
+ 수정사항을 반영).
+
+ * euc-kr.tex, u8hangul.tex: 첫줄 들여쓰기의 양을 2배각으로.
+
+2005-04-14 Koaunghi Un <koaunghi@kornet.net>
+
+ * halpha.bst: 한국어 책 제목은 유럽어의 경우와 달리 (\em)
+ 낫표(「」) 안에.
+
+ * hbname-u.tex, hbname-k.tex: halpha.bst의 수정 사항에 따라
+ \natopen (「), \natclose (」) 추가.
+
+2005-04-13 Koaunghi Un <koaunghi@kornet.net>
+
+ * hfont.sty: 버전 1.0에 포함되지 않았었음. 버전 번호 및 날짜
+ 수정.
+
+2005-04-10 Koaunghi Un <koaunghi@kornet.net>
+
+ * 한글라텍 1.0판
+
+ * hfont.tex, u8hangul.tex (\noHyphen): \spacefactor와
+ \nolinebreak로 줄바꿈 억제.
+
+ * euc-kr.tex, u8hangul.tex: 드러냄표 추가.
+ 선언형 \circem, \dotem.
+ 명령형 \circemph, \dotemph.
+
+ * 글자체 (디나루, 필기a): pfb 파일을 다시 hinting 하고 afm 파일을
+ 다시 만듦. 해당 tfm, vf, ofm, ovf 파일도 다시 만듦 (checksum
+ missmatch 오류가 제거됨).
+
+2005-04-09 Koaunghi Un <koaunghi@kornet.net>
+
+ * hangul.sty: 자동 조사 처리를 조사 이형태와 매개 모음으로
+ 분리하고 매개 모음 "으"를 "\ㅡ"로 구현.
+ 탈락 가능한 지정사 "이"를 "\ㅣ"로 구현.
+ "자동 조사 처리"를 "자동 음운 변화 처리"로.
+ 우리말 명령 "\디나루"와 "\필기a" 추가.
+
+ * u8hangul.tex: 자동 음운 변화 처리 명령 다음의 \space를
+ \spaceskip으로 처리하도록 (\afterj@sa).
+
+ * halpha.bst: format.edition에서 빠진 concatenation 기호 추가.
+
+ * hlguide.tex: 라텍과 Λ용으로 분할.
+
+ * hind.ist, hglo.ist: headings_flag = 0. 영문 ASCII 범위뿐만
+ 아니라 한글 EUC 범위에서도 heading을 생성함으로써 오류 발생.
+ 따라서 영문자의 heading은 없고 \indexspace로만 구분. 우리말
+ 범위는 \hindexhead에 의해서 조정됨.
+
+ * hfont.tex: slides 관련 명령과 \@pshan 관련 명령 삭제.
+ 금칙 처리: ‘“〔〈《《『【의 다음과 ’”〕〉》」』】의 앞에서는
+ 줄바꿈을 허용하지 않음.
+
+2005-03-23 Koaunghi Un <koaunghi@kornet.net>
+
+ * TDS: 버전 1.1에 적응 (teTeX-3.0 및 web2c-7.5.4)
+
+ * hangul.sty: 한글라텍과 한글Λ를 구분하여 euc-kr.tex과
+ u8hangul.tex을 선택하는 역할만 담당.
+ - 판형 규격을 선택 사항으로 추가
+ - 주석 판짜기를 우리말에 적당하게 수정
+ - 행간을 1.3배로 설정
+ - 문단의 첫줄 들여쓰기를 글자 하나 간격으로 조정
+ - \bibname을 "참고 문헌"으로 수정
+
+ * euc-kr.tex, u8hangul.tex: 각각 EUC-KR 부호화 및 UTF-8 부호화
+ 방식을 지원하는 파일.
+
+ * hangul.otp, hangul.ocp: 한글Λ에서 UTF-8 부호화 문자 세트를
+ 다루기 위한 파일 (신정식님께 감사).
+
+ * ksx1001.tex: 윈도우즈의 CP949 부호화 지원하는 방식은
+ 삭제함으로써 u8hangul.tex으로 대체됨.
+
+ * 새 글자체: uhc-vada-1.0.tar.gz, uhc-dinaru-1.0.tar.gz,
+ uhc-pilgia-1.0.tar.gz
+ - 바다: 조합844 방식에 의한 화면 글꼴을 type1 글꼴로 변환
+ - 디나루, 필기a: hlatexn의 고해상도 pk 파일을 type1 글꼴로
+ 변환하고 유니코드의 전 범위 음절을 위해 자소 추가
+
+ * fontmap: uhc-base.map, uhc-extra.map
+ 기본 글자체와 추가 글자체로 나누고 글자체 임베딩만을 허용.
+ 인쇄기 내장 글자체로 처리하는 fontmap 파일은 제거.
+ 두배의 장평 글꼴(ultra extended)의 배율을 1.99로 수정
+ (pdftex에서 2.0이 허용되지 않음)
+
+ * uhc-fonts-1.0.tar.gz: 글자체 관련 파일을 묶음.
+
+ * 한글화: EUC-KR로 부호화된 한글 라텍 패키지 중에서
+ - khyper.sty: hyperref 패키지를 한글화
+ - showhkeys.sty, showhtags.sty: 각각 showkeys.sty과 showtags.sty을
+ 한글화
+
+ * halpha.bst: 좀더 깊숙한 부분까지 한글화. EUC-KR과 UTF-8
+ 부호화를 모두 다룰 수 있도록 수정. 한글 문자가 출력되는
+ 곳에서는 \hbname... 명령을 출력하고 hbname-k.tex과
+ hbname-u.tex에서 이 명령에 해당하는 한글을 정의. halpha.bst의
+ PREAMBEL에서 hbname-{k,u}를 선택적으로 \input하는 기능 추가.
+
+ * hind.ist: \hindexhead를 없애고 hmakeindex.c에서 삽입하도록 함.
+ \hindexhead의 기능은 euc-kr.tex과 u8hangul.tex에서 정의.
+
+ * hmakeindex.c: EUC-KR과 UTF-8 부호화를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 수정. makeindex 대신 사용.
+
+ * hbibtex.c: lambda의 보조 파일 및 터미널 출력에서 8비트 및 16비트
+ 문자의 출력이 텍의 표기법에 따르는 데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 해결하기 위해 만듬. bibtex 대신 사용. 라텍에서의 8비트 문자
+ 출력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으므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
+2000-02-14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ksx1001.tex: \let\hbfdefault\bfdefault (호환성을 위해)
+
+ * hfont.tex: 빠진 모듬 \hbfdefault를 넣음. \if@KSCbold는 없애고
+ \fontseries모듬에서 "S" (softbold) 를 인식하며, \bfseries 명령은
+ \hbfdefault에 의해 우리말의 두꺼운 글자체를 결정.
+
+ * uhc-gothic.tar.gz: 고딕체 글자체에 같이 포함된 명조체 tfm
+ 파일들을 삭제.
+
+2000-01-27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한글LaTeX 0.99 판:
+
+ * hangul.sty: hardbold를 애초값으로 변경.
+
+2000-01-20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kscommon.tex: 다시 hangul.sty에 통합.
+
+ * 완성형 글자체를 모두 없애고 UHC 글자체와 문화부 트루타입
+ 글자체만 사용. uhc.sty을 hfont.tex에 삽입하고 내용을 \relax 시킴.
+
+ * 글자체 이름을 통일: 흘림체는 정자체의 이태릭체가 아니라 따로
+ 독립된 글자체로 취급. 이에 따라 문화부 글자체의 쓰기 흘림체와
+ 궁체 흘림체를 따로 분리. 쓰기 정자체와 쓰기 흘림체는 이전의
+ sg에서 sg 및 sh로 분리. 궁체 및 옛글체는 두꺼운 글자체로 보지
+ 않고 그 글자체 자체가 두꺼움을 의미하므로 보통의 두께로 간주.
+
+2000-01-16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UHC 글자체에 필기, 펜글씨, 펜흘림, 봄글씨, 옛글, 자모 (명조,
+ 고딕, 노벨, 소라)를 추가.
+
+ * hfont.tex, ksx1001.tex: \DeclareOldFontCommand 명령은 기본
+ 글자체 (명조, 고딕, 타자) 이외에는 모두 삭제. \text??와 \??family
+ 모듬 명령들은 호환성을 위해 아직 남겨둠. 옛글 글자체의 한자를
+ yt로 수정.
+
+ * hfont.tex: 자모 글자체의 가족 이름은 mmj, mgt, mnv, msr를 jmj,
+ jgt, jnv, jsr로 바꿈으로써 UHC 글자체 이름과 동일하게 함.
+
+2000-01-07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josa.tab: 0,A8,DE 제거
+ 1,A8,F6 1,A8,F7 1,A8,F9 1,A8,FB 1,A8,FE 0,A8,F8 0,A8,FD 추가
+
+
+2000-01-06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ksx1001.tex: 한글 KS X 1001 부호 체계를 사용할 때 필요한
+ lambda용 매크로 파일.
+
+ * ksc5601.tex: 없앰.
+
+ * umj03, umjb03, ugt03, ugtb03: endash를 추가. ofm, ovf, tfm
+ 파일들을 새로 작성. "2015(horizontal bar)에 있던 emdash를 "2014로
+ 옮김.
+
+1999-12-25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kscommon.tex: \refname을 "참고 문헌", "參考 文獻"으로 변경.
+
+1999-08-03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한글LaTeX 소스의 자료방 구조를 변경: 한글LaTeX의 모든 기능을
+ live로 사용할 수 있음. ls-R 파일도 추가.
+
+1999-06-30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lambda: 필요없게 된 hlatex 스크립트는 없애고, lambda에 맞게
+ 고침.
+
+1999-06-21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contrib/teTeX-1.0.diff: 새 파일.
+
+1999-04-06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UHC 글자체의 tfm, vf, ofm, ovf 를 다시 만듦.
+
+1999-03-10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kscommon.tex: \if@appendix를 없애고 \appendix에서 \kscntformat
+ 모듬으로 \section 혹은 \chapter를 미리 변경함.
+ \kscntformat{appendix}..도 삭제.
+
+1999-03-08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LaTeX의 우리말화된 이름들은 \ksnamedef로 설정되고,
+ 편/장/절의 번호의 앞에 사용될 우리말 이름들은 \pre@partcnt,
+ \pre@chaptercnt, \pre@sectioncnt로 각각 분리해서 처리됨.
+ \post@seccnt도 각각 \post@partcnt, \post@chaptercnt,
+ \post@sectioncnt로 분리해서, 각각 \partname, \chaptername,
+ \sectionname으로 지정됨. \ksseccntformat은 \kscntformat으로
+ 바꾸어 사용자가 편/장/절을 따로 재설정할 수 있음. \appendix의
+ 경우는 \if@appendix로 확인하고 위와 같은 식으로 수정됨. 각각의
+ 단원 모듬은 이에 맞게 수정. 우리말 조사에 \hnum(하나, 둘,
+ 셋...스물넷)과 \Hnum(첫째, 둘째, 셋째...스물넷째)을 추가.
+ 불필요한 \ks@noexpand는 없앰.
+
+ * kscommon.tex: Lambda와 LaTeX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부분을
+ kscommon.tex에 저장. 이에 맞게 hangul.sty과 ksc5601.tex을 축소.
+
+1999-03-03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hindexhead): 색인의 head format이 \hindexhead에
+ 의해 일률적으로 통제될 수 있도록 고침.
+ \seename을 {\을~참조}로 고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수정할 수 있도록
+ 함.
+
+1999-03-01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see): makeidx.sty파일을 사용할 때, .ind파일의
+ \hindexhead를 혼란시키는 \make@josa를 \emph 모듬의 안으로 집어
+ 넣음.
+
+1999-02-23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ugt00, utt00: ^^93와 ^^94의 위치가 서로 바뀜.
+ * ugt02, ugtb02, ugs02: ^^56와 ^^58의 위치가 서로 바뀜. 잘못된
+ 모양을 수정.
+
+1999-02-20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ksseccntformat): 편,장,절의 번호에 앞뒤로 추가될
+ 한글이름을 각각 \pre@seccnt와 \post@seccnt로 나누고, \part,
+ \chapter, \section의 번호가 \ks@seccntformat에 의해 틀잡아지도록
+ 함. \ps@heading들도 이에 맞게 수정.
+
+1999-02-14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contrib/auctex-9.9p.ko.diff: 새로 만듬.
+
+1998-12-27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wansung/config/wansung.map: 실수로 wan-down.map과 같은 내용임을
+ 수정함.
+
+1998-12-25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한글화된 TeX 이름들의 정의에서 빠진 \ks@noexpand를
+ 다시 고침. (\section 에서 "제"와 "장"이 나오지 않았음)
+
+1998-12-19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ksc5601.tex: counter \ks@ctr을 없앰. \appendix,
+ \thesection, \@chapapp, \@part, \@chapter, \l@chapter, \section,
+ \l@section, \ps@headings, \ps@myheadings는 사용되는 class를 확인한
+ 후 한글화되도록 함.
+
+1998-12-03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ksc5601.tex: 자동조사처리가 잘못되는 숫자 9의 벌레
+ 해결.
+ * hfont.tex: slides를 만들 때 발생하는 \@pshan -> undefined
+ control sequence를 교정.
+
+1998-08-03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ksc5601.tex: \hfontseries의 초기값을 m으로 설정.
+
+1998-07-21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0.98판
+ * ksc5601.tex: 우리말의 두꺼운 글자체는 \hfontseries로만 바꿀 수
+ 있도록 함. 애초값의 설정은 \hbfdefault로.
+ * uhc.sty moonttf.sty: harbold가 적용되면 \hf@series를 미리 b로
+ 설정하고 모듬 명령 \hfontseries로 바꿀 수 있도록 하며, 실수로
+ Ω에서 사용되면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도록 함.
+
+1998-07-15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jamo.tar.bz2 pjamo.tar.bz2: 타자 글자체를 삭제
+ * ksc5601.tex: 문제를 일으키는 \#, \%, \&를 재정의.
+
+1998-07-06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bibitem): 불필요한 \load@ksc와 \bold@ksc를 없애고,
+ 보조 파일에 \bibcite 모듬 명령을 쓸 때, pdfLaTeX의 경우 우리말
+ 모듬 명령을 전개시키지 않도록 함.
+ * contrib/musixtex.diff: MusixTeX의 \setname 모듬 명령에 우리말을
+ 쓰면 발생하는 착오를 방지.
+
+1998-07-05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ugrb14.pfb - ugrb18.pfb: 중복된 글자를 없앰.
+ * wansung/config/wansung.map wansung/config/wan-down.map:
+ pkolo 글자체를 잘못 기입한 것을 고침.
+
+1998-06-28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umj02, umjb02: 잘못된 옛글자 수정.
+
+1998-06-27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captionskorean): \captions@hangul 및
+ \captions@hanja)를 사용하여 표제를 우리말로 바꿀 수 있도록.
+ * hangul.sty (\@chapter): 단말기에 \@jong, \@jung, \ri@ul의
+ 출력을 억제.
+
+1998-06-20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font.tex: pdf(la)tex을 사용할 때에는 PS 글자체가 미리
+ 설정되도록 고침.
+ * moonttf/moonttf.sty: pdf(la)tex을 쓸 때는 \MapHangulFamily가
+ 작동하지 않도록 고침.
+ * wansung/wansung.map wansung/wan-down.map pdflatex/wan-pdf.map:
+ 빠진 글자체 (타자, 자모)를 추가.
+ * ptaza.tar.bz2: 완성형 PS 타자 글자체의 vf 파일들이, 바뀐 고딕
+ 글자체를 쓰도록 고침.
+ * phsym.tar.bz2: 불필요한 vf 파일들을 없애고 tfm 파일을 다시
+ 만듬. (이상 조진환님께 감사).
+
+1998-06-15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lguide.tex: 수정.
+ * hangul.sty ksc5601.tex: LaTeX에서 사용되는 우리말 이름이 자동
+ 조사 처리될 수 있도록 함.
+ * uhc.sty moonttf.sty: \DeclareErrorHFont,
+ \DeclareHFontSubstitution을 넣어서 \begin{document}에서
+ \MapHangulFamily가 반영되도록 함.
+ * 조합/완성 혼합식 KAIST 글자체는 모듬 파일들과 합께 따로
+ 분리. (oldhan.tar.bz2)
+ * uhc-pdf.map wan-pdf.map: pdflatex에서 사용되는 글자체 설정
+ 파일.
+
+1998-06-05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UHC(Unified Hangul Code) 계열의 글자체 완성: Type1 형식. tfm,
+ vf, ofm, ovf 포함.
+ 명조체(보통/두꺼운 굵기, 상징기호/한글/한자)
+ 고딕체(보통/두꺼운 굵기, 상징기호/한글/한자)
+ 그래픽(보통/두꺼운 굵기, 상징기호/한글)
+ 궁서체(보통 굵기, 상징기호/한글/한자)
+ 신문체(보통 굵기, 상징기호/한글/한자)
+ 타자체(보통 굵기, 상징기호/한글)
+ LaTeX용 font description 파일 작성:
+ hswmj.fd, hwwmj.fd, hhwmj.fd: 명조체
+ hswgt.fd, hwwgt.fd, hhwgt.fd: 고딕체
+ hswgr.fd, hwwgr.fd : 그래픽
+ hswgs.fd, hwwgs.fd, hhwgs.fd: 궁서체
+ hswsh.fd, hwwsh.fd, hhwsh.fd: 신문체
+ hswtt.fd, hwwsh.fd, hhwsh.fd: 타자체
+ Lambda용 font description 파일 작성:
+ kscmj.fd, kscgt.fd, kscgr.fd, kscgs.fd, kscsh.fd,
+ ksctt.fd
+ LaTeX용 모듬 파일 uhc.sty 작성.
+ * ksc5601.tex: Lambda로 문서의 틀을 잡을 때 사용되는 모듬 파일.
+ * hangul.sty: Lambda를 쓸 때는 ksc5601.tex을 읽도록 수정.
+ * hovftest.tex: Lambda로 우리말 글자체를 시험할 수 있는 모듬
+ 파일.
+
+1998-05-29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문체부 개발 글자체의 TrueType 글자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tfm
+ 파일과 subfont definition 파일 (wansung.sfd) 및 ttfonts.map에
+ 글자 등록을 위한 moonttf.map 파일 작성. 한글LaTeX에 필요한 font
+ description 파일 (hwmbt.fd, hwmdt.fd, hwmgs.fd, hwmhm.fd,
+ hwmsg.fd) 작성.
+
+ mt.ttf(바탕체), mb.ttf(견바탕체), mg.ttf(돋움체),
+ mk.ttf(견돋움체), mj.ttf(궁체 정자체), mm.ttf(궁체 흘림체),
+ mh.ttf(훈민정음체), mn.ttf(쓰기 정자체), mp.ttf(쓰기 흘림체)
+
+1998-05-01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완성형 PS 글자체가 vf 글자체가 없이 tfm 파일만으로 사용될 수
+ 있도록 다시 만듦.
+
+1998-04-29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font.tex: 글자체 선택 모듬 명령에서 사용되는 \edef에서 빈
+ 공간을 출력하는 벌레를 잡음.
+
+ * contrib/ps2pk15.diff: ps 글자체에 hint가 많을 때 ps2pk가 "Too
+ many hints"라는 알림말을 보이면서 미리보기 글자를 만들지 않는 것을
+ 막는 ps2pk 1.5판 깁기 파일.
+
+1998-04-24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문체부 개발 글자체중 조합 가능한 글자체 (바탕체, 돋음체,
+ 제목바탕체, 제목돋움체, 궁체 정자체, 쓰기체 정자체)를 한글LaTeX에
+ 맞게 완성 (postscript type1 형식). 글자체 설명 파일 4개 추가
+ (hwmhmj.fd, hwmhgt.fd, hwmhgs.fd, hwmhpn.fd). 운영 설정을 위한
+ moonhwa.map (psfonts.map용), Fontmap.mh (ghostscript용),
+ moonhwa.upr (ps2pk용) 작성. readme.mh 작성.
+
+1998-03-20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조진환님의 <chofchof@math.kaist.ac.kr> 지적 사항: dvips
+ 5.76판에서 한글 PS 글자체 전체를 ps 파일에 올릴 때 (dvips
+ <파일>.dvi -o) 다음의 문제가 발생함.
+
+ "First number not found ERROR in encoding vector":
+ /Encoding 의 정의가 단순히 def 로 되어 있음으로서 착오 발생.
+ def를 readonly def로 수정.
+ pjmtt10.pfb, pkmjm[0-9].pfb, pkgrm[0-9].pfb,
+ pksmm[0-9].pfb, pkyt0.pfb
+
+ "Second number not found in Char string of '/FontName'":
+ 257개의 글자가 /CharStrings 258 dict dup begin 이라 정의됨이 원인.
+ /CharStrings 257 dict dup begin 이라고 수정.
+ pkbmm0.pfb, pkpgm0.pfb
+
+ * 역시 조진환님의 지적 사항:
+ hwpsm.fd: 새명조 PS 글자체를 pkmj로 잘못 기입.
+ pksm으로 수정.
+
+1998-03-18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우리말 이름을 전산 순화 용어로 수정:
+ 첨부물->동봉물(同封物) 목차->목록(目錄)
+ 그림목차->그림목록(그림目錄) 표목차->표목록(表目錄)
+ 참고서적->참조서적(參照書籍) 색인->차례짓기(索引)
+ 참고문헌->저서목록(著書目錄) 어휘->용어풀이(語彙)
+ 슬라이드빛깔->환등판색깔(幻燈版色相) 페이지->쪽
+ * hlguide.tex: 전산기 순화 용어 사용. 부록에 전산기 순화 용어
+ 자료집을 추가.
+
+1998-03-07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잘못된 한자 \ksappendixname을 교정 (錄)
+
+1998-02-05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fonts/Makefile: jmtt를 jamo에서 빼고 taza로 바꿈
+
+ * contrib/: mule-2.0 삭제. tex.ch.diff 추가. readme.ks 수정.
+
+ * readme.ks, readme.eng, news.ks: 수정.
+
+1998-02-04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setref): \expandafter#2#1다음에 \null을 둠으로써
+ reference 다음에 나타나는 빈공간을 제거. (새 LaTeX2e에 반영된 사항)
+
+ * hlguide.tex: 수정, 보완.
+
+1998-02-01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pkbm+pg+yt0.tar.gz, wsbm+pg+yt0.tar.gz: \bm, \pg, \yt의 글꼴에서
+ "겠"과 "겡"의 위치가 뒤바뀐 것을 교정.
+
+1998-01-16 Koaunghi Un <zxmst22@softland>
+
+ * hangul.sty: \DeclareOption{nojosa}. \@josatrue일 경우에만
+ 메모리를 많이 요구하는 \make@josa와 josa.tab가 제대로 작동할 수
+ 있도록 함.
+
+ * pkmj.tar.gz, pkgr.tar.gz: CharStrings에 빠져있던 .notdef의
+ 정의를 추가. (신정식님께 감사. jshin@pantheon.yale.edu)
+
+ * fonts/config/special.map: 타자글꼴을 korean/taza로.
+
+ * fonts/config/Fontmap: 펜글씨글꼴 및 타자글꼴의 위치를 교정.
+
+
+1997-12-11 Koaunghi Un <zraun01@sunap3>
+
+ * hangul.sty (\protected@write): \pagenumbering과 .idx화일에서
+ \thepage가 문제를 일으킴으로 인해 LaTeX2e대로 원상복구 (재정의를
+ 삭제). \if@ksroman은 없애고, 우리말조사처리에 필요한 숫자매크로의
+ 정의시(\@arabic, \@roman, \@Roman, \@alph, \@Alph, \@fnsymbol,
+ \jaso, \gana, ...) \protect가 \relax일 경우만 조사처리매크로가
+ 작동하도록 고침.
+ * hangul.sty (\label): \@auxout화일에서 \@currentlabel과
+ \thepage의 다음에 각각 \make@josa{\@currentlabel}과
+ \make@josa{\thepage}가 적혀지도록 고침. 이에 따라 우리말 조사에
+ 쓰이는 기호문자의 (\jaso, \gana, ...) 조사처리가 가능하도록
+ josa.tab을 확장.
+
+1997-12-01 Koaunghi Un <zraun01@sunap3>
+
+ * hangul.sty (\make@josa): LaTeX에 global로 쓰이는 숫자매크로를
+ 사용하지 않도록 변경함(\count\z@, \count\tw@).
+
+1997-10-18 Koaunghi Un <zraun01@sunap3>
+
+ * hfont.cfg: 조합형글꼴사용시 필요한 \renewcommand\mjdefault{sm}에
+ 대해 언급.
+ * hfont.tex: 타자글씨체의 심벌과 한자의 대응을 tt로 바꾸고 이에
+ 필요한 tfm과 vf글꼴을 고딕체로부터 폭만 타자체에 맞도록 만들어
+ 공급함.
+ * hstt.fd hsptt.fd hhtt.fd hhptt.fd: 타자체 글꼴용으로 새로 작성.
+
+1997-10-09 Koaunghi Un <zraun01@sunap3>
+
+ * hangul.sty: \chapter뒤에 나오는 \pagenumbering의 기능이
+ \tableofcontents에는 적용이 않되던 버그를 잡음. (wkim@pitt.edu)
+
+1997-05-27 <zraun01@sunaps>
+
+ * 0.97판 공개.
+
+1997-05-21 <zraun01@sunaps>
+
+ * 자모글꼴중 vftovp에서 착오를 발생하는 vf, tfm서류철 교정:
+ jmmj9 jmmjo9 pjmmj9 pjmmjo9
+ jmgt9 jmgto9 pjmgt9 pjmgto9
+ jmtt9 jmtto9 pjmtt9 pjmtto9
+ jmnv9 jmnvo9 pjmnv9 pjmnvo9
+ jmsr9 jmsro9 pjmsr9 pjmsro9
+ * mjm5.mf, pkmjm5.pfb, pkmjm5.afm: 글자 '연'의 모양을 바로잡음.
+ * hlguide.tex: 되도록 우리말용어를 쓰도록 노력.
+
+1997-05-18 <zraun01@sunaps>
+
+ * hfontold.tex: \error@hfontshape 설정시 착오제거.
+ * hangul.sty: 어휘작성시에 가나다라목록을 구분처리할 수 있도록
+ theglossary환경을 작성.
+ * hlatex: 어휘작성시 만들어지는 .glo서류철도 euc-kr기호체계로
+ 변환될 수 있도록.
+
+1997-05-15 <zraun01@sunaps>
+
+ * hfont.tex: hfont.cfg를 읽은 후 \MapHangulFamily를 실행시킴으로서
+ \@pshan이 변경설정되었을 경우를 대비할 수 있도록. 조합형글꼴을 쓸
+ 경우 hfont.cfg에서 \MapHangulFamily를 재선언하면
+ \AtEndOfPackage에서 이러한 재선언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서
+ \begin{document}에서의 \process@table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함.
+ 한자코드 ^^fb의 버그제거. (다음코드가 ^^a3이었을 때 외부글꼴을
+ 바꾸도록 함) (이형석님께 감사:hyslee@sarang.kaist.ac.kr)
+ * hangul.sty: 색인작성매크로를 완성.
+
+1997-05-10 <zraun01@sunaps>
+
+ * hsfonts.def: HFSS에 따른 전면 개정. hpsfonts.def와 통합.
+ * hfont.tex, hfontold.tex: \MapHangulFamily로 우리말글꼴가족에
+ 대한 심벌/한글/한자글꼴을 미리 지정. \process@table에서 우리말의
+ 대치글꼴과 에러글꼴을 확인하도록. 우리말가족을
+ 완성|조합|oldhan으로 구별하고 자모는 완성|조합가족에
+ 포함시킴. 심벌/한글/한자의 구별은 hfont.tex내부에서 처리하고
+ 사용자에게는 나타나지 않도록. \DeclareOldFontCommand에 쓰이던
+ \usehfont는 사용도가 적어서 없앰. \hfontamily는
+ \MapHangulFamily에서 지정한 글꼴맵핑에 따라 정해지는
+ 심벌/한글/한자글꼴을 각각 구분하여 가족을 지정할 수 있도록
+ 수정. (\hfont@map을 통해 \sb@family, \hg@family, \hj@family를
+ 지정.) 맵핑이 지정되지 않은 가족의 경우는 기본치의 맵핑을 쓰고
+ 사용자에게 이에 대한 경고. \DeclareErrorHFont 및
+ \DeclareHFontSubstitution에서는 심벌/한글/한자의 구분없이 우리말
+ 가족만 지정할 수 있도록 함. 이에따라 \DeclareFontShape 및
+ \DeclareHFontShape, \get@external@hfont, \wrong@hfontshape,
+ \DeclareHFontEncoding등이 수정됨. 우리말찾기와 최종처리의
+ \h@C매크로에서 \f@family부분도 \sb@/\hg@/\hj@을 쓸 수 있도록
+ 변경. 매크로에 쓰이는 우리말코드는 TeX의 hexcode표시로 바꿈.
+ * h*.fd: \MapHangulFamily에 의해 불필요한 글꼴선언파일들을
+ 제거하고, 나머지는 자모의 구분이 없도록 수정. 모든 \itshape은
+ 같은 글꼴가족의 \slshape으로 대치되도록 변경. 필기체와 펜흘림체는
+ 다른 글꼴가족으로 독립시킴. 필요없는 파일은 삭제.
+ 심벌:
+ hsgt.fd hssm.fd
+ hspgt.fd hspsm.fd
+ 한글완성형:
+ hwbm.fd hwgs.fd hwmg.fd hwol.fd hwpn.fd hwyt.fd
+ hwgr.fd hwgt.fd hwmj.fd hwpg.fd hwsm.fd
+ hwmgt.fd hwmmj.fd hwmnv.fd hwmsr.fd hwmtt.fd
+ hwpbm.fd hwpgs.fd hwpmg.fd hwpol.fd hwppn.fd hwpyt.fd
+ hwpgr.fd hwpgt.fd hwpmj.fd hwppg.fd hwpsm.fd
+ hwpmgt.fd hwpmmj.fd hwpmnv.fd hwpmsr.fd hwpmtt.fd
+ 한글조합형:
+ hjbm.fd hjgs.fd hjmg.fd hjpg.fd hjsm.fd
+ hjgr.fd hjgt.fd hjol.fd hjpn.fd hjyt.fd
+ hjmgt.fd hjmmj.fd hjmnv.fd hjmsr.fd hjmtt.fd
+ hjpbm.fd hjpgs.fd hjpmg.fd hjppg.fd hjpsm.fd
+ hjpgr.fd hjpgt.fd hjpol.fd hjppn.fd hjpyt.fd
+ hjpmgt.fd hjpmmj.fd hjpmnv.fd hjpmsr.fd hjpmtt.fd
+ 한글oldhan:
+ hodr.fd hogr.fd hogt.fd hool.fd
+ hogj.fd hogs.fd homj.fd hopg.fd
+ 한자:
+ hhgs.fd hhgt.fd hhsm.fd
+ hhpgs.fd hhpgt.fd hhpsm.fd
+ * hfont.cfg: 조합형글꼴을 쓸 경우 모자라는 글꼴을 완성형에서
+ 끌어쓸 수 있도록 준비.
+
+1997-05-08 <zraun01@sunaps>
+
+ * hfont.tex: 혼동을 주는 \*default를 삭제하고 다음의 default만
+ 남김. \hencodingdefault, \symboldefault, \hanguldefault,
+ \hanjadefault, \hfamilydefault, \mjdefault, \gtdefault,
+ \tzdefault. \hf@idx는 \f@idx로 변경.
+ * hangul.sty: \mj, \gt, \gr, ...등의 글꼴바꿈매크로가
+ OldFontCommand로 바뀜으로서 \명조, \고딕, \그래픽, ...등의
+ 우리말글꼴바꿈매크로를 \mjfamily, \gtfamily, \grfamily, ...등의
+ 기능으로 바꾸고 \타자(=\tz\family)를 추가.
+
+Sat May 3 <zraun01@sunaps>
+
+ * hfont.tex, hfontold.tex: 새 매크로 \makekscletter,
+ \makekscother, \makekscactive (모두 한글LaTeX의 관리에 사용중).
+ * hangul.ist: 새 파일. 우리말 색인처리시 makeindex의
+ style파일. \item대신 \KSitem, \indexspace대신 \hindexspace,
+ headings_flag을 1로 설정.
+ * hangul.sty: hangul.ist를 써서 색인처리할 때 필요한 매크로
+ \KSitem을 정의. 한글의 경우 ㄱㄴㄷㄹ... 목록을 구분하고 심벌 및
+ 한자는 각기 하나의 그룹으로 처리.
+
+Wed Apr 30 <zraun01@sunaps>
+
+ * hangul.sty: hfont.sty을 쓸 경우에 필요한
+ \@latex@warning@no@line, \@font@warning, \centering, \raggedright,
+ \raggedleft, \thanks, \markboth, \@markright를 앞으로 옮기고,
+ hfont.sty을 쓰면 \@nameuse{hfont.sty}에 의해 hangul.sty이
+ 끝나도록.
+ * hfont.sty: 모든 option을 hangul.sty로 넘겨주고
+ \@namedef{hfont.sty}을 \endinput으로 정의한 후 \input hangul.sty.
+
+Tue Apr 29 <zraun01@sunaps>
+
+ * hfont.tex: 우리말 글꼴선택 방식 (HFSS)을 도입하여 글꼴선택방법을
+ 전면 수정. 우리말 인코딩: H, 우리말 가족: smj, ssm, sgt, stt
+ (심벌) wmj, wsm, wgt, wgr, wgs, wol, wbm, wpg, wpn, wmg, wyt
+ (완성형한글) jmj, jsm, jgt, jpn (조합형한글) mmj, mgt, mtt, mnv,
+ msr (자모형 한글) hmj, hsm, hgt, hgs, htt (한자).
+ 초기값: \hencodingdefault=H, \symboldefault=s,
+ \hanguldefault=\wsdefault (\wsdefault=w, \jhdefault=j,
+ \jmdefault=m), \hanjadefault=h, (oldhan은 \ohdefault를 o로).
+ \hfamilydefault=\mjdefault (\mjdefault=mj, \gtdefault=gt,
+ \tzdefault=tt, \grdefault=gr, \smdefault=sm, \gsdefault=gs,
+ \mgdefault=mg, \ytdefault=yt, \bmdefault=bm, \pndefault=pn)
+ 인코딩: \hfontencoding{\hencodingdefault}
+ 가족은 두개의 매크로로: 첫번째 매크로는 KSC 5601의 코드에 의한
+ 심벌/한글/한자를 구분 (\symbolfamily{\symboldefault},
+ \hangulfamily{\hanguldefault}, \hanjafamily{\hanjadefault})
+ \kscfamily{\symboldefault}{\hanguldefault}{\hanjadefault}는 위의
+ 셋을 한꺼번에 설정. 한글가족은 셋(완성,조합,자모): \wsfamily,
+ \jhfamily, \jmfamily (oldhan에는 \ohfamily). 두번째 매크로는
+ 우리말의 글꼴형태에 의한 가족을 구분: \hfontfamily{\mjdefault}
+ 단축매크로는
+ \mjfamily -> \textmj \mj
+ \gtfamily -> \textgt \gt
+ \grfamily -> \textgr \gr
+ \smfamily -> \textsm \sm
+ \gsfamily -> \textgs \gs
+ \mgfamily -> \textmg \mg
+ \ytfamily -> \textyt \yt
+ \bmfamily -> \textbm \bm
+ \pnfamily -> \textpn \pn
+ (oldhan에는 compatibility를 위해 \dr와 \gj을 추가)
+ 필기체과 펜흘림체는 각각 gtfamily와 mjfamily/smfamily/pnfamily에서
+ itshape로 선택. 외곽체는 mjfamily의 fontshape을 ol로
+ 선택. 타자체는 영문의 \ttfamily로 선택. \tzfamily는 영문과
+ 상관없이 우리말만 타자체로 바뀜.
+ 영문의 \rmfamily는 \mjfamily를, \sffamily는 \gtfamily를 자동선택.
+ softbold는 fontseries의 값을 S+fontseries로 지정함으로서
+ 선택. softbold에 쓰이는 글꼴시리즈는 fontseries와는 상관없이,
+ 정해진 mddefault를 써서 세번 중첩인쇄. fontseries는 영문의
+ \fontseries를 그대로 사용.
+ 글꼴선택시, 해당하는 글꼴이 없으면 \fontshape, \fontseries의
+ 기본값을 차례로 바꿈으로서 찾아 보고 이 것이 실패하면,
+ \hfamilydefault로. 그래도 결정되지 않으면
+ H/(심벌|한글|한자)\hfamilydefault/m/n/10으로 설정됨.
+ hfont.cfg에서 우리말 및 기타 영문과 우리말에서 공용으로 쓰이는
+ 기본값을 정할 수 있도록.
+ 영문의 매크로 \usefont는 우리말의 경우 첫 두 변수가 \hfontencoding
+ 및 \hfontfamily를 지정할 수 있고 나머지 둘은 영문에서와 마찬가지로
+ \fontseries 및 \fontshape을 지정.
+ pshan은 \hfontfamily의 앞에 p를 두므로서 선택. (이형석님께
+ 감사:hyslee@sarang.kaist.ac.kr)
+ * hangul.sty: HFSS에 따라 불필요한 \h@nguldefault를 삭제.
+ * hfontold.tex: hfont.tex의 우리말 글꼴선택 방식 (HFSS)에
+ 적응하고, oldhan에만 필요한 부분을 추가 (\hg@break, \dr, \gj,
+ \ohdefault) 및 수정 (\DeclareFontShape,
+ \DeclareHFontShape). 우리말 선택은 oldhan.tab을 읽어서
+ 정의. 메모리문제로 josa.tab의 처리는 삭제.
+ * 글꼴선택의 변경으로 새로 만들어진 .fd파일들:
+ 심벌:
+ hsgt.fd hsmj.fd hssm.fd hstt.fd
+ hspgt.fd hspmj.fd hspsm.fd hsptt.fd
+ 한글완성형:
+ hwbm.fd hwgt.fd hwol.fd hwgr.fd hwyt.fd hwmg.fd hwgs.fd
+ hwmj.fd hwpg.fd hwpn.fd hwsm.fd
+ hwpbm.fd hwpgt.fd hwpol.fd hwpgr.fd hwpyt.fd hwpmg.fd hwpgs.fd
+ hwpmj.fd hwppg.fd hwppn.fd hwpsm.fd
+ 한글조합형:
+ hjgt.fd hjmj.fd hjpn.fd hjsm.fd
+ hjpgt.fd hjpmj.fd hjppn.fd hjpsm.fd
+ 한글자모형:
+ hmmj.fd hmsm.fd hmgt.fd hmnv.fd hmsr.fd hmtt.fd
+ hmpmj.fd hmpsm.fd hmpgt.fd hmpnv.fd hmpsr.fd hmptt.fd
+ 한자:
+ hhgs.fd hhmj.fd hhsm.fd hhgt.fd hhtt.fd
+ hhpgs.fd hhpmj.fd hhpsm.fd hhpgt.fd hhptt.fd
+ oldhan:
+ hogr.fd hogs.fd hogt.fd homj.fd hosm.fd
+
+1997-04-18 <zraun01@sunaps>
+
+ * hfontold.tex: 착오로 심벌/한자글꼴에서 작동하지 않게된 pshan을
+ 다시 복구. 심벌과 한자글꼴은 항상 \fontseries{m}이 되도록 하고,
+ \@KSCbold로 두꺼운 글씨체를 만들도록. 한글매크로에도 \string대신에
+ \KSC@를 씀.
+ * fonts/Makefile, fonts/runmf: 오류제거
+
+1997-04-09 <zraun01@sunaps>
+
+ * hangul.sty: 인용의 자동처리조사 매크로를 위한 josa.tab매크로를
+ 숫자대신 \hexnumber@로 (\make@josa, \JS@). 이로서 TeX에 필요한
+ string characters를 대폭 감소시킴.
+
+1997-04-04 <zraun01@sunaps>
+
+ * hangul.sty: 한글LaTeX에 쓰이는 \HLaTeXversion 및 \HLaTeXdate가
+ hangul.sty에서 정의된 \fileversion 및 \filedate를 쓸 수 있도록.
+ * 0.96판 이전에 쓰던 완성형글꼴을 이름만 바꾸어 사용할 때 발생하는
+ checksum error를 바로잡음.
+ wsgrm9.tfm wsgrmo9.tfm wsgrb9.tfm wsgrbo9.tfm
+ wsgtm9.tfm wsgtmo9.tfm wsgtb9.tfm wsgtbo9.tfm
+ wsmjm9.tfm wsmjmo9.tfm wsmjb9.tfm wsmjbo9.tfm
+ wsgs9.tfm wsgso9.tfm
+ wsmg9.tfm wsmgo9.tfm
+ wsol9.tfm wsolo9.tfm
+ wsyt9.tfm wsyto9.tfm
+
+Tue Apr 1 11:53:34 1997 Koaunghi Un <zraun01@indiaka.zdv.uni-tuebingen.de>
+
+ * 버전 0.961:
+
+ * upwan.fd, upjohab.fd, upjamo.fd, uphsymb.fd, uphanja.fd:
+ 사용할 수 있는 글꼴의 크기를 5pt에서 무한대까지로
+ 설정. <wkim+@pitt.edu>
+
+1997-03-31 <zraun01@sunaps>
+
+ * hfontold.tex: 0.96에 적응.
+ * *.fd: 빠진 글꼴모양을 추가.
+ * hfont.tex: \normalfont, \ttfamily, \upshape, \slshape, \scshape,
+ \itshape의 재 정의에 \expandafter를 써서. \@KSCbold...는
+ \fontseries에서 결정하도록 하고 \load@ksc에 걸리는 부하를
+ 줄임. \bold@ksc의 \box자체에 포맷을 포함. \newif\if@KSCbold를
+ \if@makebold의 앞으로. 우리말 EUC글자 매크로를 가능한한
+ expand시켜서 문서처리시 걸리는 부하를 감소. \@pshan도 여기서
+ expand시키도록 함. \load@ksc의 \fontencoding, \fontfamily,
+ \fontseries, \fontshape은 미리 \edef\f@encoding, \edef\f@family,
+ \edef\f@series, \edef\f@shape으로 정의한 후 \selectfont할 수
+ 있도록. \hangulfamily가 \h@ngulf@mily를 정의할 수
+ 있도록 함으로서 hfont.cfg에서는 \def\hangulfamily{..}대신에
+ \hangulfamily{..}로 선언할 수 있도록.
+ * hangul.sty: \if p\@pshan\ExecuteOptions{softbold}\fi를
+ hfont.tex로 이동하여 hfont.cfg를 읽은 후에 실행되도록. \centering,
+ \raggedright, \raggedleft, \verbatim@font의 재정의에
+ \expandafter를 써서. 새파일 josa.tab에 조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
+ 수집. 이로 인해 \make@josa의 한글부분이 한글, 한자, 한글자소로
+ 확장되면서 매크로 \@grep의 사용은 생략됨.
+ * josa.tab: 새파일. citation에 쓰일 한글, 한자, 자소
+ 자동처리조사표.
+ * contrib/halpha.bst: 저자가 여러명일 경우 마지막에 "공저"가 나올
+ 수 있도록. \newcommand{\etalchar}의 "^"가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 위해 \DeclareRobustCommand\etalchar로 .bbl파일에 쓰여지게.
+
+1997-03-17 <zraun01@sunaps>
+
+ * 버전 0.96:
+
+ * hfont.tex: 새로운 매크로들, \DeclareHgShape \SubstHgShape
+ \DeclareHjshape \SubstHjShape \DeclareHsShape \SubstHsShape로 font
+ definition file들을 간단히.
+
+1997-03-15 <zraun01@sunaps>
+
+ * emtex/: emTeX사용자들이 글꼴만들기를 쉽게 할 수 있도록 batch파일
+ 및 mfjob파일을 모두 수정, 재작업.
+
+1997-03-12 <zraun01@sunaps>
+
+ * hangul.sty: 새글꼴, 타자기체 완성. 이에따라 \ttfamily를 재조절.
+ * hfont.tex: 글꼴속성에 따라 글꼴바꿈매크로에 \h@series를 정의하여
+ \load@ksc에서 \fontseries를 결정할 수 있도록. 이에따라 .fd파일을
+ 단순화함. \pickup@font에서의 한글 두껍게하기도 \load@ksc에서
+ 결정. \if@KSCbold는 \if@makebold에서만 보일 수 있도록.
+ * hfont.sty: 0.96에 적응.
+
+Fri Mar 7 10:04:49 1997 <zraun01@sunaps>
+
+ * hfont.tex: 우리말 2바이트처리 매크로의 앞쪽 글꼴결정부분은
+ \load@ksc, 뒷쪽 우리말 두껍게하기부분은 \bold@ksc로 따로 정의.
+ * hangul.sty: 매크로 \see에서의 자동조사처리.
+ 우리말글꼴바꿈매크로의 뒤에 \ignorespace. \cite에서의
+ 자동조사처리를 위한 매크로 \make@josa. \cite 라벨의 문자열 파악은
+ 영문자와 숫자 그리고 한글로 일단 제한. 조사처리를 가능하게
+ \bibcite에 \make@josa내지는 \ks@num을 추가하도록 \bibitem을 수정.
+
+Sun Mar 2 14:25:13 1997 <zraun01@sunaps>
+
+ * hangul.sty: 자동조사처리에서 \fnsymbol대신 \@fnsymbol,
+ \romannumeral대신 \@roman과 \@Roman을 수정. 숫자파악매크로들이
+ .aux파일의 \newlabel에서만 나타나도록 \label에서 \if@ksroman을
+ 결정하여 \protected@write를 조정. 우리말숫자의 조사는 매크로
+ \alph@josa로 할 수 있도록. hfont.tex의 내용중 latex.ltx에서
+ 발췌수정한 것들을 hangul.sty로 이동.
+
+Wed Feb 26 23:50:21 1997 <zraun01@sunaps>
+
+ * hangul.sty: 자동조사처리기능(\은\는\이\가\을\를\와\과\으로\로
+ \으로서\로서\으로써\로써). 이에 따라 \fnsymbol, \@arabic,
+ \ronamnumeral, \@alph, \@Alph 및 우리말 숫자를 수정. 숫자파악은
+ \ks@num, 그외는 \@jung, \@jong, \ri@ul로 \@josa가 두가지 조사중
+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 * hfont.tex: 우리말 명령은 모두 hangul.sty로 옮김. 위의
+ 자동처리조사와 충돌되는 우리말명령들(\고딕, \그래픽\궁서,
+ \명조\목각, \옛글\외곽)은 자동처리조사와 함께 hangul.sty에서 정의.
+ 충돌이 않되는 우리말 명령들은 위와 호환되게
+ 수정. (\@ifnextchar). 우리말글꼴바꿈매크로의 뒤에 \ignorespace.
+ (명령다음에 \space가 꼭 올 필요없음) \hanguldefault{가족}{글꼴}을
+ \hanguldefault{글꼴}로 축소. 가족은 완성형을 기본으로하고 조합형을
+ 쓸 경우에는 hfont.cfg에서 정의할 수 있도록 함.
+
+Fri Feb 21 18:24:33 1997 <zraun01@sunaps>
+
+ * hfont.tex: 글꼴파일이름을 iso9660파일시스템에 맞게 모두 수정.
+ hlatex-guide.tex도 hlguide.tex로. 필기체글꼴 완성.
+ \counter \h@f@m을 없애고 자모글꼴변환은 모두 \jm??으로. \jamo는
+ 없앰. \wan=\wansung. \normalfont=\reset@font에 \h@nguldefault로
+ 한글글꼴을 초기화. \normalh@ngul을 삭제.
+ * 슬라이드작성을 위한 매크로파일 hsfonts.def, hpsfonts.def 및 글꼴
+ 완성. -- 모두 \LaTeX209하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hltx209.cfg는
+ \LaTeX209하에서 hangul.sty의 옵션을 처리를 할 수 있도록.
+ * hangul.sty: \if@pshan을 \def\@pshan{p}로 변경. 단원 짜기와
+ headings짜기의 한글화를 약간 수정.
+
+Fri Oct 18 11:06:16 1996 <zraun01@sunap3>
+
+ * hfont.tex: 새 심볼글꼴(명조,고딕). \hsymb@lenc@ding삭제.
+ 글꼴선택을 개선. \markboth, \@markright를 개선. 우리말의 두꺼운
+ 글씨체의 선택은 \pickup@font에서 결정.
+ 우리말 2 bit계산은 미리하고 \string을 \KSC@로 변경하여
+ 우리말 두 bit의 처리방식을 때에따라 변경할 수 있도록.
+
+Mon Oct 14 23:34:28 1996 <zraun01@sunap3>
+
+ * hfont.tex: 글꼴선택을 \mj, \gt, \gr, \gs, \mg, \yt, \pn, \ol,
+ \jmnv, \jmsr로 제한. \wansung, \johab, \jamo로 한글글꼴의 가족
+ 선택. 매크로 \{mj,gt,gs,gr,mg,pn,dr,pg}default는 삭제됨. counter
+ \ksc@shape이 매크로로. \s@l@cth@ngulsh@pe은 삭제되고 대신
+ fd파일에서 font substitution으로 처리. \h@ngulenc@ding과
+ \h@njaenc@ding이 삭제됨.
+
+Sun Oct 13 23:53:52 1996 <zraun01@sunap3>
+
+ * 새 글꼴 (한글): 조합형 명조체(\jhmj), 고딕체(\jhgt),
+ 펜글씨체(\jhpn). 자모형 명조체(\jmmj), 고딕체(\jmgt), 노벨(\jmnv),
+ 소라(\jmsr). (한자): 완성형 명조체, 고딕체, 궁서체.
+ 한자의 ligature를 정의하는 hanjaL[A-T].mf, 명조체는 질이 향상됨.
+ 지금까지 쓰던 한자 명조체, 고딕체는 삭제.
+ * Ujohab.fd, Upjohab.fd, Ujamo.fd, Upjamo.fd: 새 매크로파일.
+ * Uhangul.fd, Uphangul.fd: Uwansung.fd, Upwansung.fd로 개명.
+ * Uwansung.fd, Upwansung.fd, Uhanja.fd, Uphanja.fd:
+ \DeclareW@nsungFont, \DeclarePW@nsungFont, \DeclareH@njaFont,
+ \DeclarePH@njaFont.
+ * hfont.tex: 새 글꼴 추가. \h@ngulf@mily로 wansung, johab, jamo를
+ 선택. \s@l@cth@ngulsh@pe으로 한글글꼴선정. \thanks매크로를 한글에
+ 맞게 수정(이기용교수님의 지적). \h@ngulenc@ding, \h@njaenc@ding을
+ 수정.
+
+Thu Apr 21 10:51:03 1996 <zraun01@sunap3>
+
+ * contrib/hlatex: 새 파일.
+ * hfont.tex: \@font@waring(\protect=\relax).
+ * Fonts/Makefile: 대폭 수정 (Wonkoo Kim <wkim+@pitt.edu>님께 감사).
+ * hfont.tex: \ks@break를 counter에서 command로. \verbatim@font에서
+ 우리말분철을 방지.
+
+Mon Apr 4 13:41:57 1996 <zraun01@sunap3>
+
+ * 버전 0.95:
+ * PS 한글/한자 tfm/vf파일들에 LIGKERN을 삽입.
+ * HLaTeX-tfms.tar.gz, PS-HLaTeX-vf.tar.gz, PS-HLaTeX-tfm.tar.gz:
+ 새로 준비.
+ * Uphanja.fd, Uphangul.fd: 수정.
+ * hlatex-guide.tex, README.ks, README.eng: 수정.
+ * emTeX: emTeX 사용자를 위한 디렉토리.
+ * hfont.tex: \@latex@warning@no@line(\protect=\relax). \all@ksc,
+ \@ks@code 삭제.
+ * hfontold.tex, hfont.sty: 수정
+ * hangul.sty: \HLaTeXversion, \HLaTeXdate.
+ * 버전 숫자 점검.
+
+Sat Mar 30 10:57:39 1996 <zraun01@sunap3>
+
+ * 한글/한자 tfm파일들에 LIGTABLE을 삽입.
+ * hfont.tex: ligature에 의한 한글/한자 선택. EUC코드 매크로가
+ 수정됨 (\^^c9 \^^ff). \centering, \flushleft, \flushright
+ 명령/환경에서의 우리말 분철을 방지.
+ * contrib/auctex-9.4g.kr.diff: auctex-9.3c.kr.diff는 삭제.
+ * NEWS.ks, ChangeLog.ks, contrib/README.ks: 수정.
+
+Fri Mar 22 17:21:35 1996 <zraun01@sunap3>
+
+ * Fonts/Makefile: hhmj와 hhgt의 경우 A-T까지 만들도록 (타자 실수).
+ ${one_series} 글꼴의 경우 파일의 이름이 `m mo'로 끝나지 않도록.
+ -- 지적해 주신 Park Jae-hyon님께 감사.(jhpark@entropy.kaist.ac.kr)
+ * hfont.tex: \spacefactor로 우리말 분철. \@Hhyphen을 \@Hyphen으로
+ 바꾸고 \H@hyphen을 없앰. 분철은 새 카운터 \ks@break에 의해
+ 조정. 〔〈《「『【의 뒤와 〕〉》」』】의 앞에는 분철을 방지.
+
+Thu Mar 21 12:50:44 1996 <zraun01@sunap3>
+
+ * contrib/hbibtex, contrib/halpha.bst, hlatex-guide.bib: 새파일.
+ * hfont.tex: \nocite를 우리말에 적응.
+
+Sun Mar 17 16:29:38 1996 <zraun01@sunap3>
+
+ * hfont.tex: \ref, \pageref, \label, \newlabel, \bibcite를
+ 우리말에 적응. \@cite매크로의 버그제거 (\@empty).
+ * 새매크로: \@ks@code, \all@ksc, \tw@ksc, \ks@noexpand, \명조,
+ \고딕, \그래픽, \궁서, \목각, \옛글, \외곽
+ * hangul.sty: 우리말 이름들의 매크로를 모두 \ks...로 바꿈. 이에
+ 따라 \chapter, ... 등등을 수정. book class의 \ps@heading을
+ 재정의한 후 \pagestyle{headings}를 재 선언.
+
+Mon Jan 29 19:29:12 1996 <zraun01@sunaps>
+
+ * 버전 0.94:
+ * hlatex-guide.tex: 수정.
+
+Sun Jan 28 16:29:37 1996 <zraun01@sunaps>
+
+ * README.ks, README.eng: 수정. dvips사용 힌트에서 documentation
+ bug을 제거.
+
+ * NEWS.ks: 새 파일.
+
+Sat Jan 27 09:33:57 1996 <zraun01@sunaps>
+
+ * hangul.sty:
+ option "pshan" -- 포스트스크립트 글꼴을 사용할 경우.
+ option "oldhan" -- 이전의 한글 글꼴을 사용할 경우. Font
+ definition파일은 Uoldhan.fd로 바꿈. 한자/심벌은 새 글꼴을 사용.
+ 글꼴매크로파일은 hfontold.tex.
+ 다음의 매크로를 사용자가 임의로 재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명.
+ \ks@appendixname --> \ksappendixname
+ \ks@THE --> \ksTHE
+ \ks@partname --> \kspartname
+ \ks@chaptername --> \kschaptername
+ \ks@sectionname --> \kssectionname
+
+ * hfont.tex: 내부에만 사용되는 명령들의 이름에 '@'를 포함시켜 바깥에
+ 들어나지 않게함. 한글/한자 포스트스크립트 사용.
+
+ * Uphangul.fd, Uphanja.fd: 새 파일.
+
+ * hfontold.tex: 한글은 이전에 사용하던 글꼴로, 한자 및 심벌은 버전
+ 0.93에 사용하는 글꼴로. 매크로의 내부에 사용되는 명령에 '@'을 포함시켜
+ 바깥에 들어나지 않게함. \if@KSCbold로 boldseries를 대치. \preHyphen,
+ \postHyphen, \noHyphen을 도입. \h@C로 한자/심벌, \h@A 및 \h@B로 한글
+ 글자 지정. 조합코드를 좀더 단순화.
+
+ * Uoldhan.fd: bfseries및 심벌을 삭제.
+
+ * Fonts/config: 새 디렉토리. Fontmap.hangul KSres.upr MakeTeXnames
+ psfonts.map.hangul HLaTeX.enc MakeTeXPK append_db.diff
+ special.map.hangul
+
+Mon Jan 22 23:17:42 1996 <zraun01@sunaps>
+
+ * hangul.sty, hfont.sty: 새 option으로 softbold, hardbold설정하여
+ bfseries한글글꼴을 매크로로 대치할지를 결정.
+
+ * hfont.tex: 새 매크로 \if@KSCbold로 bfseries의 경우 글꼴을 두껍게
+ 나타낼지를 결정.
+
+ * Uhangul.fd, Uhanja.fd: 새 매크로 \DeclareH@angulFont,
+ \DeclareH@anjaFont로 글꼴정의를 간편히 함.
+
+Thu Jan 11 12:35:30 1996 <zraun01@sunaps>
+
+ * hangul.sty, hfont.sty: 불필요한 counter \Catch를 \@tempcnta로
+ 대치. 불필요한 \if@kfont \if@wansung을 삭제.
+
+ * hfont.tex: 불필요한 counter \h@N \h@@N \h@@@N \a@y \a@@y
+ \KSCode를 삭제하고 \@tempcnta \@temcntb로 대치.
+
+ * Version 0.93에 contrib/auctex-9.3c-kr.diff를 포함하여 다시
+ CTAN으로 배출.
+
+Wed Dec 6 15:57:53 1995 Koaunghi Un <zraun01@indiaka.zdv.uni-tuebingen.de>
+
+ * Version 0.93 공개.
+ * hfont.tex: 새 매크로 \noHyphen
+ * README.ks, README.eng, hlatex-guide.tex: 수정
+
+Mon Dec 4 10:37:49 1995 <zraun01@sunaps>
+
+ * hlatex-guide.tex: 수정(multicol.sty적용).
+ * hfont.tex: 새 매크로 \preHyphen, \postHyphen.
+
+Thu Nov 23 15:02:50 1995 <zraun01@sunaps>
+
+ * README.ks, README.eng, hlatex-guide.tex, Fonts/README.font,
+ Fonts/Makefile: 다시 작성 내지는 수정.
+ * Fonts/COPYING: GNU Public License
+ * Uhsymbol.fd: 고딕체 부분을 삭제(K시리즈의 고딕체가 없음).
+ * hfont.tex: 한자 hhgt를 삭제(256 TeX's font register의 제한)
+
+Sat Oct 7 14:45:19 1995 <zraun01@sunaps>
+
+ * hfont.tex: 완성형글꼴에 따른 대폭 수정(한글[A-J]: wsmj, wsgt,
+ wsgr, wsgs, wsmg, wsyt, wsol; 한자[A-T]: hhmj, hhgt; 심벌[K,J]:
+ hsmj, hsgt)
+ * Uhangul.fd, Uhanja.fd, Uhsymbol.fd: font definition.
+
+Sat Mar 11 09:26:43 1995 <zraun01@hpserv>
+
+ * hangul.sty: book class사용시 발생하는 에러 (\end occurred when
+ \iffalse ... incomplete)가 해결되었읍니다.
+
+Fri Mar 3 09:59:16 1995 <zraun01@hpserv>
+
+ * hfont.tex: \hangulencoding=\fontencoding{U}\fontfamily{hangul},
+ \hanjaencoding=\fontencoding{U}\fontfamily{hanja}.
+ 한자자형선택(\hf[C-V])을 매크로 \Han@Ja에 내장.
+ * hangul.sty: 새 매크로 \makeKSCactive, \makeKSCother.
+ * Uhanja.fd: \fontshape hmj[C-V] --> mj[C-V]
+
+Sun Feb 26 17:12:01 1995 <zraun01@hpserv>
+
+ * hangul.sty: report와 book 클래스에서 \theequation 및 \thefigure,
+ \thetable을 한글화되지 않도록 수정. makeindex에서 KSC5601코드를
+ \@makeother로 정의.
+
+Sat Feb 18 10:03:07 1995 <zraun01@hpserv>
+
+ * hfont.sty: 새 파일 (보통의 LaTeX문서에 한글/한자의 사용만
+ 가능할 수 있도록...)
+
+Mon Feb 6 13:27:31 1995 <zraun01@hpserv>
+
+ * HLaTeX-0.92e: 공개 버전
+ * contrib/auctex-9.2y.diff: auctex-9.1i.diff 대신
+ * README.eng, README.ks, contrib/README.ks: 약간 수정
+ * hlatex-guide.tex: 약간 수정
+
+Wed Nov 30 10:08:38 1994 <zraun01@hpserv>
+
+ * hfont.tex, Uhangul.fd: 글꼴 삭제(\hmj, \hpg)
+ \hmjdefault → \mjdefault, 글꼴 \hgt를 \gt로 설정, 글꼴매크로
+ \hol이 \ol로, \hsm이 \sm으로.
+
+ * hfont.tex: 한자글꼴매크로 \hhmj가 \hmj로, \hhgt가 \hgt로.
+
+ * hlatex-guide.tex: 글꼴세트의 변환에 따른 수정.
+
+Thu Nov 24 14:26:56 1994 <zraun01@hpserv>
+
+ * HLaTeX-0.92d: (마지막) 테스트 버전
+
+ * hlatex-guide.tex, README.ks, README.eng: 새 파일
+
+ * hfont.tex: 쓰지 않는 심벌의 경우 에러 메세지(\@bad@hsymbol)
+
+Fri Nov 18 11:27:38 1994 <zraun01@hpserv>
+
+ * hangul.sty: 매크로이름 변경(\gana→\jaso, \Gana→\gana),
+ 매크로 추가(\ojaso, \ogana, \pjaso, \pgana, \oeng, \peng, \onum,
+ \pnum)
+
+ * hfont.tex, Uhangul.fd: 심벌자형매크로이름을 변경(\hsym→\hsm)
+ 새 자형매크로(\gj, \pg)
+
+Fri Nov 11 12:31:26 1994 <zraun01@hpserv>
+
+ * hfont.tex: 모든 \catcode를 \loop으로 처리, 한글 및 漢字
+ 매크로 처리를 단순화(\H@G#1, \H@J#1)
+
+ * hangul.sty: Appendix의 \l@subsection이 \the\subsection만을
+ 쓰도록 수정.
+
+29/Oct/1994
+
+ * hfont.tex: 한글 심벌자형을 일부 도입(심벌·자소·고어자소),
+ \emergencystretch대신 \discretionary{}{}{}사용
+
+ * ChangLog.ks: 연대기를 따로 작성
+
+21/Sep/1994 test version 0.92c
+
+ * hangul.sty: LaTeX2e patchlevel 3에 적응, 단원의 format을 새로운
+ 방법으로 작성, option인 kssection을 폐기
+
+ * hfont.tex: \proctect대신 \DeclareRobustCommand를 사용
+
+09/Sep/1994 test version HLaTeX 0.92b
+
+ * hfont.tex: Hanja scheme, Hangul scheme changed, combined
+ UhangulA.fd und UhangulB.fd to Uhangul.fd,\emergencystretch20pt
+ instead of \penalty5, new protected macros \HanGul[A-Z]#1 +
+ \HanJa#1#2 (There was a problem in the \tableofcontents),
+ 漢字코딩이 KSC5601式으로 바뀜.
+
+03/Sep/1994 test version HLaTeX 0.92a
+
+ * hangul.sty: 한자 코딩이 JIS에서 KSC5601로 변경
+
+ * hfont.tex: 한자 코딩이 JIS에서 KSC5601로 변경, \catcode to enable
+ EUC code to be activated, new jaso code according to the new font
+ sets of HLaTeX 0.91, new hanja code according to KSC5601 scheme
+
+---- jhtex와 HLaTeX를 통합 ----
+
+14/Aug/1994 hangul.sty: version 0.3
+ 한글/한자 이름을 추가( \cc --> 사본/寫本 ).
+13/Aug/1994 hfont.tex: no line break before .?!,;:'-)]> and after `([<
+09/Aug/1994 hfont.tex: new definitions for hangul jaso's
+ with no correct shapes
+17/Jul/1994 hfont.tex: integrated new font shape (hol)
+25/Jun/1994 hfont.tex: integrated new font shapes (hmj, hpg, hgt)
+03/Mar/1994 hfont.tex: added dummy substitution for non-existing
+ bx-series fonts
+ *.fd: simplyfied font loading info
+28/Feb/1994 hangul.sty: 개선(version 0.2) (zraun01@hpserv)
+ hfont.tex: verbatim환경에서의 한글자소 문제 해결.
+23/Feb/1994 hfont.tex: fixed bug with german.sty
+20/Feb/1994 hfont.tex: HLaTeX version 0.91 scheme
+11/Feb/1994 hfont.tex: adapted for LaTeX version 2e
+ Hangul font definition files are renamed (UhangulA.fd,
+ UhangulB.fd)
+ hfont.tex: made font changing somewhat(?) stable(\protect)
+04/Feb/1994 hangul.sty: 처녀(version 0.1)
+24/Nov/1993 Created font definition files
+ (Uhana.fd, Uhanb.fd, Uhanja.fd)
+25/Oct/1993 adjust point sizes (14.4, 17.28, 20.74, 24.88) in hfont.tex
+19/Sep/1993 hfont.tex: updated for NFSS2
+21/Mar/1993 hfont.tex: created for LaTeX2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