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language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authorNorbert Preining <norbert@preining.info>2024-03-08 03:01:54 +0000
committerNorbert Preining <norbert@preining.info>2024-03-08 03:01:54 +0000
commit0eba0875b1bcc4a022360ed72a29a81e041cd467 (patch)
treef13d24b9b87f5b08056e445eb7c206d9a3a902a8 /language
parentdc177b2cd4ed993d65860adc66d256969c1bb6ad (diff)
CTAN sync 202403080301
Diffstat (limited to 'language')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README1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ChangeLog7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chapterstyles-doc.pdfbin0 -> 169019 bytes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chapterstyles-doc.tex61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pdfbin319588 -> 319806 bytes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tex66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sideparas.pdfbin0 -> 120954 bytes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sideparas.tex174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memhangul-common/memhangul-common.sty119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memhangul-common/obchapterstyles.sty520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utf.cls4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xl.cls4
-rw-r--r--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cls4
13 files changed, 822 insertions, 138 deletions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README b/language/korean/kotex-oblivoir/README
index ba61815374..169d930294 100644
--- a/language/korean/kotex-oblivoir/README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README
@@ -1,6 +1,7 @@
kotex-oblivoir
====================
+* 2024/03/06, release 3.3
* 2024/02/01, issue concerning new verbatim.sty & obchaptertoc 4.0
* 2023/03/08, version 3.2.1, memhangul-x, oblivoir-misc changed. babel package support.
* 2023/02/28, Version 3.2, obchaptertoc, oblivoir-misc, obmathleading, xob-fonts changed.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ChangeLog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ChangeLog
index 4003f667a1..f7a65307a9 100644
--- a/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ChangeLog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ChangeLog
@@ -1,3 +1,10 @@
+2024-03-06 Kangsoo Kim
+
+ * released version 3.3
+ * documentations added: obsideparas.pdf, obchapterstyles-doc.pdf
+ * documentation revised: oblivoir-simpledoc
+ * subpackage added: obchapterstyles.sty
+
2024-02-01 Kangsoo Kim
* issue concerning new verbatim.sty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chapterstyles-doc.pdf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chapterstyles-doc.pdf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6bc0f49308
--- /dev/null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chapterstyles-doc.pdf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chapterstyles-doc.tex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chapterstyles-doc.tex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2c4c7858a3
--- /dev/null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chapterstyles-doc.tex
@@ -0,0 +1,61 @@
+\documentclass[chapter,a4paper,oneside]{oblivoir}
+
+\usepackage{graphicx}
+\usepackage[a4]{fapapersize}
+
+\let\clearforchapters\clearpage
+
+\newcommand\testcode{%
+ \chapter{일야구도하기(\thischapterstyle)}
+
+하수는 두 산 틈에서 나와 돌과 부딪쳐 싸우며, 그 놀란 파도와 성난 물머리와 우는 여울과 노한 물결과 슬픈 곡조와 원망하는 소리가 굽이쳐 돌면서, 우는 듯, 소리치는 듯, 바쁘게 호령하는 듯, 항상 장성을 깨뜨릴 형세가 있어, 전차 만승과 전기 만대나 전포 만가와 전고 만좌로써는 그 무너뜨리고 내뿜는 소리를 족히 형용할 수 없을 것이다. 모래 위에 큰 돌은 홀연히 떨어져 섰고, 강 언덕에 버드나무는 어둡고 컴컴하여 물지킴과 하수 귀신이 다투어 나와서 사람을 놀리는 듯한데, 좌우의 교리가 붙들려고 애쓰는 듯싶었다.
+혹은 말하기를,
+ ``여기는 옛 전쟁터이므로 강물이 저같이 우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그런 것이 아니니, 강물 소리는 듣기 여하에 달렸을 것이다.
+
+산중의 내 집 문 앞에는 큰 시내가 있어 매양 여름철이 되어 큰 비가 한번 지나가면, 시냇물이 갑자기 불어서 항상 차기와 포고의 소리를 듣게 되어 드디어 귀에 젖어 버렸다. 내가 일찍이 문을 닫고 누워서 소리 종류를 비교해 보니, 깊은 소나무가 퉁소 소리를 내는 것은 듣는 이가 청아한 탓이요,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지는 듯한 것은 듣는 이가 분노한 탓이요, 뭇 개구리가 다투어 우는 것은 듣는 이가 교만한 탓이요, 천둥과 우레가 급한 것은 듣는 이가 놀란 탓이요, 찻물이 끓는 듯이 문무가 겸한 것은 듣는 이가 취미로운 탓이요, 거문고가 궁우에 맞는 것은 듣는 이가 슬픈 탓이요, 종이창에 바람이 우는 것은 듣는 이가 의심나는 탓이니, 모두 바르게 듣지 못하고 특히 흉중에 먹은 뜻을 가지고 귀에 들리는 대로 소리를 만든 것이다.
+}
+
+\newcommand*\test[1]{%
+ \chapterstyle{#1}
+ \def\thischapterstyle{#1}
+ \let\clearforchapter\clearpage
+ \testcode
+}
+
+\ExplSyntaxOn
+
+\NewDocumentCommand \multtest { s m }
+{
+ \clist_set:Nn \l_tmpa_clist { #2 }
+
+ \IfBooleanTF { #1 }
+ {
+ \clist_map_inline:Nn \l_tmpa_clist
+ {
+ \test { ob##1 }
+ \par
+ }
+ }
+ {
+ \clist_map_inline:Nn \l_tmpa_clist
+ {
+ \test { ##1 }
+ }
+ }
+}
+
+\ExplSyntaxOff
+
+\begin{document}
+
+\multtest{default,section,article,hangnum,companion,demo,demovar}
+
+\multtest*{
+ bianchi,bringhurst,brotherton,chappell,culver,
+ dash,demo2,demo3,ell,ger,lyhne,madsen,pedersen,
+ southall,thatcher,veelo,verville,crosshead,
+ dowding,komalike,ntglike,tandh,wilsondob
+}
+
+\end{document}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pdf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pdf
index 9d6d142d0c..7ab7519efe 100644
--- a/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pdf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pdf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tex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tex
index 586af11886..bc89b0bbec 100644
--- a/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tex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tex
@@ -100,9 +100,9 @@
\begin{document}
-\title{초간단 \obclass{} v3.2 사용법}
+\title{초간단 \obclass{} v3.3 사용법}
-\date{2023년 2월}
+\date{2024년 3월}
\author{x-ob-liv-oir}
@@ -1497,13 +1497,21 @@ oblivoir에서 조금 확장했다. 기본인
\fref{fig:chapsty}\는 \textsf{oblivoir}의 장 표제 스타일에서 사용되는
매크로를 도시한 것이다.
-KTUG 사설 저장소를 통하여 설치할 수 있는\footnote{%
- 사설 저장소를 등록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직접 다운로드하라.
- \url{http://ftp.ktug.org/KTUG/texlive/tlnet/archive/}
-}
-ob-chapstyles라는 패키지에는 몇 가지 memoir
-chapter 스타일을 oblivoir화해둔 것이 있다. 이 자체를 그대로 써도 좋고 이를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드는 데 참고하여도 좋을 것이다.
+%KTUG 사설 저장소를 통하여 설치할 수 있는\footnote{%
+% 사설 저장소를 등록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직접 다운로드하라.
+% \url{http://ftp.ktug.org/KTUG/texlive/tlnet/archive/}
+%}
+%ob-chapstyles라는 패키지에는 몇 가지 memoir
+%chapter 스타일을 oblivoir화해둔 것이 있다. 이 자체를 그대로 써도 좋고 이를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드는 데 참고하여도 좋을 것이다.
+
+\medskip
+
+\textsf{oblivoir}가 제공하는 chapter style들을 일별하려면
+다음 명령을 내린다.
+\begin{verbatim}
+texdoc obchapterstyles-doc
+\end{verbatim}
\subsection{한글 pagestyle}
@@ -1553,20 +1561,35 @@ oblivoir가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페이지 스타일로 \texttt{hangul}
\item 복숭아
\end{itemize}
-\footnotesinmargin
-\textsf{memoir}의 \verb|\firmlist|와 \verb|\tightlist|는 여전히 동작한다.
-\stepcounter{footnote}
-\footnotetext{이 각주는 마진에 놓인다.}
-\addtocounter{footnote}{-1}
+%\subsection{sidefootnote와 footnotesinmargin}
-\subsection{sidefootnote와 footnotesinmargin}
+%oblivoir 2.0까지 \verb|\footnotesinmargin|이 동작하지 않던 문제를 고쳤다.\footnotemark
-oblivoir 2.0까지 \verb|\footnotesinmargin|이 동작하지 않던 문제를 고쳤다.\footnotemark
+%%\verb|\sidefootnote|에서 발생하던 문제점도 해결하였다.\sidefootnote{이 각주는 사이드 풋노트이다.}
+%
+%\footnotesatfoot
+%\textsf{memoir} 설명서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동작한다.\footnote{상세한 것은 memoir manual을 볼 것.}
+%
-\verb|\sidefootnote|에서 발생하던 문제점도 해결하였다.\sidefootnote{이 각주는 사이드 풋노트이다.}
+\subsection{side(margin) 문단}
+\verb|texdoc obsideparas| 명령으로 읽을 수 있는 \texttt{obsideparas.pdf}는 \textsf{oblivoir}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마진 문단을 요약하고 있다. 다음 명령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결과들을 보여준다.
+
+\begin{verbatim}
+ \marginpar
+ \sidepar
+ \sidebar
+ \sidefootnote
+\end{verbatim}
+
+이 문서의 소스를 참고하면 마진 문단의 설정에 관한 여러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footnotesinmargin
+footnote를 마진에 놓기 위한 명령 \verb|\footnotesinmargin|\footnote
+{이 각주는 마진에 놓인다.}도 활용할 수 있다. 이 결과는 \verb|\sidefootnote|와는
+조금 다르다.\sidefootnote{이것은 side footnote}
\footnotesatfoot
-\textsf{memoir} 설명서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동작한다.\footnote{상세한 것은 memoir manual을 볼 것.}
\subsection{[figtabcapt] 그림과 표의 캡션}
@@ -1702,6 +1725,10 @@ lwarpmk html <file>.tex
이 문서에서 여러 가지 memoir와 \obclass 의 기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oblivoir-test.tex을 컴파일해보고 소스를 검토해보시기 바란다.
+\href{http://wiki.ktug.org/wiki/wiki.php/KtugPrivateRepository}{KTUG 사설저장소}를 이용할 수 있다면, \obclass 로 만들어진 샘플 문서 \texttt{pgreenbook}을
+살펴보는 것을 권장한다. 이주호가 처음 작성한 이 문서는 \obclass 의 좋은 단행본 작성 예제가
+될 것이고 그밖에도 도움이 되는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
%\subsection{fontspec 옵션과 수학 글꼴}\myLabel{sec:fontspec}{sec:폰트스펙}
%
%fontspec 패키지와 이를 확장한 mathspec 패키지를 이용하여
@@ -1865,6 +1892,9 @@ Lua\TeX 과 \XeTeX 이라는 유니코드 텍 엔진의 등장은, 이러한 모
\section{변경 이력}
\noindent
+2024년의 3.3 버전은 이전의 오류를 몇 가지 고치고 chapter style 예제를 확장했다.
+
+\noindent
2023년의 3.2 버전은 부분적인 수정에 그쳤다. 3.1에서 발생했던 대부분의
문제들은 해결되었다.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sideparas.pdf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sideparas.pdf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f895470333
--- /dev/null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sideparas.pdf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sideparas.tex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sideparas.tex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fa0fca6af3
--- /dev/null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doc/obsideparas.tex
@@ -0,0 +1,174 @@
+\documentclass{oblivoir}
+
+\ifLuaOrXeTeX
+\setmainfont{STIX Two Text}
+\setkomainfont(Noto Serif KR)[Scale=MatchUppercase]
+\fi
+
+\usepackage{fapapersize}
+\usefapapersize{210mm,297mm,25mm,50mm,30mm,*}
+\setlength\marginparwidth{\dimexpr\foremargin-5em\relax}
+
+\usepackage{ragged2e}
+\usepackage{etoolbox}
+\newcounter{sidebarcnt}
+\counterwithin*{sidebarcnt}{section}
+
+\makeatletter
+\renewcommand{\sidebar}[1]{%
+ \refstepcounter{sidebarcnt}%
+ \textsuperscript{\thesidebarcnt}%
+ \insert\sideins{%
+ \hsize\sidebarwidth
+ \@parboxrestore
+ \def\baselinestretch{\m@m@footnote@spacing}%
+ \m@mwhich@margin{\m@msidebar@margin}%
+ \sidebarform\sidebarfont
+ \splittopskip=\ht\strutbox
+ \splitmaxdepth=\dp\strutbox % doesn't do anything useful
+ \allowbreak
+ \prevdepth=\dp\strutbox % supersedes a "top-strut"
+ \vskip-\parskip
+ \leavevmode\textsuperscript{\thesidebarcnt}#1%
+ \ifvmode\else
+ \unskip\@finalstrut\strutbox
+ \fi\par
+ \ifdim\prevdepth>\dp\strutbox \prevdepth=\dp\strutbox \fi
+ \ifdim\prevdepth>99\p@
+ \nobreak
+ \vskip-\prevdepth
+ \allowbreak
+ \vskip\dp\strutbox
+ \fi
+ \vskip\sidebarvsep}}
+\makeatother
+
+\begin{document}
+
+\title{oblivoir의 margin 문단}
+\author{Nova de Hi}
+\date{2021/10/30}
+\maketitle
+
+\begin{abstract}
+oblivoir의 margin 문단을 소개한다. 이 margin 문단의 위치와 형태를
+결정하는 여러 parameter에 대해서는 별도로 다룰 것이다(memoir 매뉴얼을
+참고하라). 이 문서의 목적은 margin 문단의 종류와 개요를 이해하는 데 있다.
+
+memoir에는 marginfigure나 margintable도 있지만 이것은 marginpar에
+figure/table을 넣는 것이므로 특별한 것이 없어서 이 문서에서는 생략한다.
+\end{abstract}
+
+\tableofcontents*
+
+\newpage
+
+\footmarkstyle{\textsuperscript{#1}}
+\setlength\footmarksep{0em}
+\setlength\footmarkwidth{0pt}
+\setlength\footparindent{0pt}
+\footnotesinmargin
+
+\section{footnotes in margin}
+
+\begin{framed}
+footnotes in margin (\cs{footnotesinmargin})은 \cs{footnote}를 하단이 아니라
+margin에 두는 것이다. 스타일은 footnote 설정을 거의 그대로 따른다. 여기서는 footnote 번호가
+찍히는 위치를 조금 바꾸었다.
+\end{framed}
+
+경성학교 영어 교사 이형식\footnote{은 오후 두시 사년급 영어 시간을 마치고 내려쪼이는 유월 볕에 땀을 흘리면서 안동 김장로의 집으로 간다.} 김장로의 딸 선형(善馨)이가 명년 미국 유학을 가기 위하여 영어를 준비할 차로 이형식을 매일 한 시간씩 가정교사로 고빙\footnote{하여 오늘 오후 세시부터 수업을 시작하게 되었음이라.}
+
+이형식은 아직 독신이라, 남의 \footnote{여자와 가까이 교제하여 본 적이 없고 이렇게 순결한 청년이 흔히 그러한 모양으로 젊은 여자를} 대하면 자연 수줍은 생각이 나서 얼굴이 확확 달며 고개가 저절로 숙여진다. 남자로 생겨나서 이러함이 못생겼다면 못생겼다고도 하려니와, 여자를 보면 아무러한 핑계를 얻어서라도 가까이 가려 하고, 말 한마디라도 하여 보려 하는 잘난 사람들보다는 나으리라.
+
+형식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한다. 우선 처음 만나서 어떻게 인사를 할까. 남자 남자 간에 하는 모양으로, ‘처음 보입니다. 저는 이형식이올시다’ 이렇게 할까. 그러나 잠시라도 나는 가르치는 자요, 저는 배우는 자라, 그러면 미상불 \footnote{무슨 차별이 있지나 아니할까.} 저편에서 먼저 내게 인사를 하거든 그제야 나도 인사를 하는 것이 마땅하지 아니할까. 그것은 그러려니와 교수하는 방법은 어떻게나 할는지. 어제 김장로에게 그 청탁을 들은 뒤로 지금껏 생각하건마는 무슨 묘방이 아니 생긴다. 가운데 책상을 하나 놓고, 거기 마주앉아서 가르칠까. 그러면 입김과 입김이 서로 마주치렷다. 혹 저편 히사시가미(양갈래로 딴 머릿단)가 내 이마에 스칠 때도 있으렷다. 책상 아래에서 무릎과 무릎이 가만히 마주 닿기도 하렷다. 이렇게 생각하고 형식은 얼굴이 붉어지며\footnote{혼자 빙긋 웃었다. 아니 아니? 그러다가 만일 마음으로라도 죄를 범하게 되면 어찌하게.} 옳다? 될 수 있는 대로 책상에서 멀리 떠나 앉겠다. 만일 저편 무릎이 내게 닿거든 깜짝 놀라며 내 무릎을 치우리라. 그러나 내 입에서 무슨 냄새가 나면 여자에게 대하여 실례라, 점심 후에는 아직 담배는 아니 먹었건마는, 하고 손으로 입을 가리우고 입김을 후 내어 불어 본다. 그 입김이 손바닥에 반사되어 코로 들어가면 냄새의 유무를 시험할 수 있음이라. 형식은, 아뿔싸! 내가 어찌하여 이러한 생각을 하는가, 내 마음이 이렇게 약하던가 하면서 두 주먹을 불끈 쥐고 전신에 힘을 주어 이러한 약한 생각을 떼어 버리려 하나, 가슴속에는 이상하게 불길이 확확 일어난다. 이때에,
+
+“미스터 리, 어디로 가는가” \footnote{하는 소리에 깜짝 놀라 고개를 들었다.} 쾌활하기로 동류간에 유명한 신우선(申友善)이가 대팻밥 모자를 갖춰 쓰고 활개를 치며 내려온다. 형식은 자기 마음속을 꿰뚫어보지나 아니한가 하여 두 뺨이 한번 더 후끈하는 것을 겨우 참고 지어서 쾌활하게 웃으면서,
+
+\newpage
+
+\section{marginpar}
+
+\begin{framed}
+\cs{marginpar}는 말 그대로 margin에 어떤 문단을 두는 것이다. 문단의 속성(폰트와 정렬 등)은
+본문 속성을 그대로 가진다. marginpar는 float인데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marginpar가 overlap되면 이를 회피하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경우에 따라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도 한다.
+\end{framed}
+
+경성학교 영어 교사 이형식\marginpar{은 오후 두시 사년급 영어 시간을 마치고 내려쪼이는 유월 볕에 땀을 흘리면서 안동 김장로의 집으로 간다.} 김장로의 딸 선형(善馨)이가 명년 미국 유학을 가기 위하여 영어를 준비할 차로 이형식을 매일 한 시간씩 가정교사로 고빙\marginpar{하여 오늘 오후 세시부터 수업을 시작하게 되었음이라.}
+
+이형식은 아직 독신이라, 남의 \marginpar{여자와 가까이 교제하여 본 적이 없고 이렇게 순결한 청년이 흔히 그러한 모양으로 젊은 여자를} 대하면 자연 수줍은 생각이 나서 얼굴이 확확 달며 고개가 저절로 숙여진다. 남자로 생겨나서 이러함이 못생겼다면 못생겼다고도 하려니와, 여자를 보면 아무러한 핑계를 얻어서라도 가까이 가려 하고, 말 한마디라도 하여 보려 하는 잘난 사람들보다는 나으리라.
+
+형식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한다. 우선 처음 만나서 어떻게 인사를 할까. 남자 남자 간에 하는 모양으로, ‘처음 보입니다. 저는 이형식이올시다’ 이렇게 할까. 그러나 잠시라도 나는 가르치는 자요, 저는 배우는 자라, 그러면 미상불 \marginpar{무슨 차별이 있지나 아니할까.} 저편에서 먼저 내게 인사를 하거든 그제야 나도 인사를 하는 것이 마땅하지 아니할까. 그것은 그러려니와 교수하는 방법은 어떻게나 할는지. 어제 김장로에게 그 청탁을 들은 뒤로 지금껏 생각하건마는 무슨 묘방이 아니 생긴다. 가운데 책상을 하나 놓고, 거기 마주앉아서 가르칠까. 그러면 입김과 입김이 서로 마주치렷다. 혹 저편 히사시가미(양갈래로 딴 머릿단)가 내 이마에 스칠 때도 있으렷다. 책상 아래에서 무릎과 무릎이 가만히 마주 닿기도 하렷다. 이렇게 생각하고 형식은 얼굴이 붉어지며\marginpar{혼자 빙긋 웃었다. 아니 아니? 그러다가 만일 마음으로라도 죄를 범하게 되면 어찌하게.} 옳다? 될 수 있는 대로 책상에서 멀리 떠나 앉겠다. 만일 저편 무릎이 내게 닿거든 깜짝 놀라며 내 무릎을 치우리라. 그러나 내 입에서 무슨 냄새가 나면 여자에게 대하여 실례라, 점심 후에는 아직 담배는 아니 먹었건마는, 하고 손으로 입을 가리우고 입김을 후 내어 불어 본다. 그 입김이 손바닥에 반사되어 코로 들어가면 냄새의 유무를 시험할 수 있음이라. 형식은, 아뿔싸! 내가 어찌하여 이러한 생각을 하는가, 내 마음이 이렇게 약하던가 하면서 두 주먹을 불끈 쥐고 전신에 힘을 주어 이러한 약한 생각을 떼어 버리려 하나, 가슴속에는 이상하게 불길이 확확 일어난다. 이때에,
+
+“미스터 리, 어디로 가는가” \marginpar{하는 소리에 깜짝 놀라 고개를 들었다.} 쾌활하기로 동류간에 유명한 신우선(申友善)이가 대팻밥 모자를 갖춰 쓰고 활개를 치며 내려온다. 형식은 자기 마음속을 꿰뚫어보지나 아니한가 하여 두 뺨이 한번 더 후끈하는 것을 겨우 참고 지어서 쾌활하게 웃으면서,
+
+\newpage
+
+\sideparmargin{outer}
+\renewcommand*\sideparfont{\footnotesize\sffamily}
+
+\section{sidepar}
+
+\begin{framed}
+\cs{sidepar}는 여러 면에서 marginpar와 비슷하지만 marginpar의 floating 기능을
+제외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최대한 원래 위치와 가까운 곳에 식자되기는 하지만
+overlap이 발생해도 그대로 찍는다. 또 하나의 차이는 ``좁은 행간''이 적용되고 \cs{raggedright} 정렬한다는 것이다. 이 설정은 물론 바꿀 수 있다.
+\end{framed}
+
+경성학교 영어 교사 이형식\sidepar{은 오후 두시 사년급 영어 시간을 마치고 내려쪼이는 유월 볕에 땀을 흘리면서 안동 김장로의 집으로 간다.} 김장로의 딸 선형(善馨)이가 명년 미국 유학을 가기 위하여 영어를 준비할 차로 이형식을 매일 한 시간씩 가정교사로 고빙\sidepar{하여 오늘 오후 세시부터 수업을 시작하게 되었음이라.}
+
+이형식은 아직 독신이라, 남의 \sidepar{여자와 가까이 교제하여 본 적이 없고 이렇게 순결한 청년이 흔히 그러한 모양으로 젊은 여자를} 대하면 자연 수줍은 생각이 나서 얼굴이 확확 달며 고개가 저절로 숙여진다. 남자로 생겨나서 이러함이 못생겼다면 못생겼다고도 하려니와, 여자를 보면 아무러한 핑계를 얻어서라도 가까이 가려 하고, 말 한마디라도 하여 보려 하는 잘난 사람들보다는 나으리라.
+
+형식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한다. 우선 처음 만나서 어떻게 인사를 할까. 남자 남자 간에 하는 모양으로, ‘처음 보입니다. 저는 이형식이올시다’ 이렇게 할까. 그러나 잠시라도 나는 가르치는 자요, 저는 배우는 자라, 그러면 미상불 \sidepar{무슨 차별이 있지나 아니할까.} 저편에서 먼저 내게 인사를 하거든 그제야 나도 인사를 하는 것이 마땅하지 아니할까. 그것은 그러려니와 교수하는 방법은 어떻게나 할는지. 어제 김장로에게 그 청탁을 들은 뒤로 지금껏 생각하건마는 무슨 묘방이 아니 생긴다. 가운데 책상을 하나 놓고, 거기 마주앉아서 가르칠까. 그러면 입김과 입김이 서로 마주치렷다. 혹 저편 히사시가미(양갈래로 딴 머릿단)가 내 이마에 스칠 때도 있으렷다. 책상 아래에서 무릎과 무릎이 가만히 마주 닿기도 하렷다. 이렇게 생각하고 형식은 얼굴이 붉어지며\sidepar{혼자 빙긋 웃었다. 아니 아니? 그러다가 만일 마음으로라도 죄를 범하게 되면 어찌하게.} 옳다? 될 수 있는 대로 책상에서 멀리 떠나 앉겠다. 만일 저편 무릎이 내게 닿거든 깜짝 놀라며 내 무릎을 치우리라. 그러나 내 입에서 무슨 냄새가 나면 여자에게 대하여 실례라, 점심 후에는 아직 담배는 아니 먹었건마는, 하고 손으로 입을 가리우고 입김을 후 내어 불어 본다. 그 입김이 손바닥에 반사되어 코로 들어가면 냄새의 유무를 시험할 수 있음이라. 형식은, 아뿔싸! 내가 어찌하여 이러한 생각을 하는가, 내 마음이 이렇게 약하던가 하면서 두 주먹을 불끈 쥐고 전신에 힘을 주어 이러한 약한 생각을 떼어 버리려 하나, 가슴속에는 이상하게 불길이 확확 일어난다. 이때에,
+
+“미스터 리, 어디로 가는가” \sidepar{하는 소리에 깜짝 놀라 고개를 들었다.} 쾌활하기로 동류간에 유명한 신우선(申友善)이가 대팻밥 모자를 갖춰 쓰고 활개를 치며 내려온다. 형식은 자기 마음속을 꿰뚫어보지나 아니한가 하여 두 뺨이 한번 더 후끈하는 것을 겨우 참고 지어서 쾌활하게 웃으면서,
+
+\newpage
+
+\setlength{\sidebarwidth}{\dimexpr\foremargin-2em\relax}
+\setlength{\sidebartopsep}{\dimexpr-\uppermargin+2\baselineskip\relax}
+\setlength{\sidebarvsep}{.5ex}
+\renewcommand*\sidebarfont{\footnotesize}
+\renewcommand*\sidebarform{\RaggedRight}
+
+\section{sidebar}
+
+\begin{framed}
+\cs{sidebar}는 \cs{sidepar}와 유사한데 side column의 상단에서부터 배열한다.
+페이지가 넘어가지 않기 때문에 이 컬럼이 넘치면 이상한 결과가 될 수 있다.
+이 보기에서는 마치 주석과 비슷하게 번호를 붙이고 시작 위치를 상단으로 더 올려붙이는
+방법을 보였다. 이를 위하여 (preamble 참조) \cs{sidebar} 명령을 조금 수정했다.
+\end{framed}
+
+경성학교 영어 교사 이형식\sidebar{은 오후 두시 사년급 영어 시간을 마치고 내려쪼이는 유월 볕에 땀을 흘리면서 안동 김장로의 집으로 간다.} 김장로의 딸 선형(善馨)이가 명년 미국 유학을 가기 위하여 영어를 준비할 차로 이형식을 매일 한 시간씩 가정교사로 고빙\sidebar{하여 오늘 오후 세시부터 수업을 시작하게 되었음이라.}
+
+이형식은 아직 독신이라, 남의 \sidebar{여자와 가까이 교제하여 본 적이 없고 이렇게 순결한 청년이 흔히 그러한 모양으로 젊은 여자를} 대하면 자연 수줍은 생각이 나서 얼굴이 확확 달며 고개가 저절로 숙여진다. 남자로 생겨나서 이러함이 못생겼다면 못생겼다고도 하려니와, 여자를 보면 아무러한 핑계를 얻어서라도 가까이 가려 하고, 말 한마디라도 하여 보려 하는 잘난 사람들보다는 나으리라.
+
+형식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한다. 우선 처음 만나서 어떻게 인사를 할까. 남자 남자 간에 하는 모양으로, ‘처음 보입니다. 저는 이형식이올시다’ 이렇게 할까. 그러나 잠시라도 나는 가르치는 자요, 저는 배우는 자라, 그러면 미상불 \sidebar{무슨 차별이 있지나 아니할까.} 저편에서 먼저 내게 인사를 하거든 그제야 나도 인사를 하는 것이 마땅하지 아니할까. 그것은 그러려니와 교수하는 방법은 어떻게나 할는지. 어제 김장로에게 그 청탁을 들은 뒤로 지금껏 생각하건마는 무슨 묘방이 아니 생긴다. 가운데 책상을 하나 놓고, 거기 마주앉아서 가르칠까. 그러면 입김과 입김이 서로 마주치렷다. 혹 저편 히사시가미(양갈래로 딴 머릿단)가 내 이마에 스칠 때도 있으렷다. 책상 아래에서 무릎과 무릎이 가만히 마주 닿기도 하렷다. 이렇게 생각하고 형식은 얼굴이 붉어지며\sidebar{혼자 빙긋 웃었다. 아니 아니? 그러다가 만일 마음으로라도 죄를 범하게 되면 어찌하게.} 옳다? 될 수 있는 대로 책상에서 멀리 떠나 앉겠다. 만일 저편 무릎이 내게 닿거든 깜짝 놀라며 내 무릎을 치우리라. 그러나 내 입에서 무슨 냄새가 나면 여자에게 대하여 실례라, 점심 후에는 아직 담배는 아니 먹었건마는, 하고 손으로 입을 가리우고 입김을 후 내어 불어 본다. 그 입김이 손바닥에 반사되어 코로 들어가면 냄새의 유무를 시험할 수 있음이라. 형식은, 아뿔싸! 내가 어찌하여 이러한 생각을 하는가, 내 마음이 이렇게 약하던가 하면서 두 주먹을 불끈 쥐고 전신에 힘을 주어 이러한 약한 생각을 떼어 버리려 하나, 가슴속에는 이상하게 불길이 확확 일어난다. 이때에,
+
+“미스터 리, 어디로 가는가” \sidebar{하는 소리에 깜짝 놀라 고개를 들었다.} 쾌활하기로 동류간에 유명한 신우선(申友善)이가 대팻밥 모자를 갖춰 쓰고 활개를 치며 내려온다. 형식은 자기 마음속을 꿰뚫어보지나 아니한가 하여 두 뺨이 한번 더 후끈하는 것을 겨우 참고 지어서 쾌활하게 웃으면서,
+
+\newpage
+
+\setsidefootheight{\textheight}
+\setlength\sidefootwidth{\sidebarwidth}
+\renewcommand*\sidefootform{\RaggedRight}
+
+\section{sidefootnote}
+
+\begin{framed}
+이것은 \cs{footnotesinmargin}과는 다른 \cs{sidefootnote}라는 명령으로 식자한다.
+페이지의 하단을 기준으로 배열하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해당 페이지의 주석을 페이지
+우측 하단에 두려 할 때 쓴다. 여기서는 sidefootnote column의 길이를 늘리는 방법을 보였다.
+\end{framed}
+
+경성학교 영어 교사 이형식\sidefootnote{은 오후 두시 사년급 영어 시간을 마치고 내려쪼이는 유월 볕에 땀을 흘리면서 안동 김장로의 집으로 간다.} 김장로의 딸 선형(善馨)이가 명년 미국 유학을 가기 위하여 영어를 준비할 차로 이형식을 매일 한 시간씩 가정교사로 고빙\sidefootnote{하여 오늘 오후 세시부터 수업을 시작하게 되었음이라.}
+
+이형식은 아직 독신이라, 남의 \sidefootnote{여자와 가까이 교제하여 본 적이 없고 이렇게 순결한 청년이 흔히 그러한 모양으로 젊은 여자를} 대하면 자연 수줍은 생각이 나서 얼굴이 확확 달며 고개가 저절로 숙여진다. 남자로 생겨나서 이러함이 못생겼다면 못생겼다고도 하려니와, 여자를 보면 아무러한 핑계를 얻어서라도 가까이 가려 하고, 말 한마디라도 하여 보려 하는 잘난 사람들보다는 나으리라.
+
+형식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한다. 우선 처음 만나서 어떻게 인사를 할까. 남자 남자 간에 하는 모양으로, ‘처음 보입니다. 저는 이형식이올시다’ 이렇게 할까. 그러나 잠시라도 나는 가르치는 자요, 저는 배우는 자라, 그러면 미상불 \sidefootnote{무슨 차별이 있지나 아니할까.} 저편에서 먼저 내게 인사를 하거든 그제야 나도 인사를 하는 것이 마땅하지 아니할까. 그것은 그러려니와 교수하는 방법은 어떻게나 할는지. 어제 김장로에게 그 청탁을 들은 뒤로 지금껏 생각하건마는 무슨 묘방이 아니 생긴다. 가운데 책상을 하나 놓고, 거기 마주앉아서 가르칠까. 그러면 입김과 입김이 서로 마주치렷다. 혹 저편 히사시가미(양갈래로 딴 머릿단)가 내 이마에 스칠 때도 있으렷다. 책상 아래에서 무릎과 무릎이 가만히 마주 닿기도 하렷다. 이렇게 생각하고 형식은 얼굴이 붉어지며\sidefootnote{혼자 빙긋 웃었다. 아니 아니? 그러다가 만일 마음으로라도 죄를 범하게 되면 어찌하게.} 옳다? 될 수 있는 대로 책상에서 멀리 떠나 앉겠다. 만일 저편 무릎이 내게 닿거든 깜짝 놀라며 내 무릎을 치우리라. 그러나 내 입에서 무슨 냄새가 나면 여자에게 대하여 실례라, 점심 후에는 아직 담배는 아니 먹었건마는, 하고 손으로 입을 가리우고 입김을 후 내어 불어 본다. 그 입김이 손바닥에 반사되어 코로 들어가면 냄새의 유무를 시험할 수 있음이라. 형식은, 아뿔싸! 내가 어찌하여 이러한 생각을 하는가, 내 마음이 이렇게 약하던가 하면서 두 주먹을 불끈 쥐고 전신에 힘을 주어 이러한 약한 생각을 떼어 버리려 하나, 가슴속에는 이상하게 불길이 확확 일어난다. 이때에,
+
+“미스터 리, 어디로 가는가” \sidefootnote{하는 소리에 깜짝 놀라 고개를 들었다.} 쾌활하기로 동류간에 유명한 신우선(申友善)이가 대팻밥 모자를 갖춰 쓰고 활개를 치며 내려온다. 형식은 자기 마음속을 꿰뚫어보지나 아니한가 하여 두 뺨이 한번 더 후끈하는 것을 겨우 참고 지어서 쾌활하게 웃으면서,
+
+
+\end{document}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memhangul-common/memhangul-common.sty b/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memhangul-common/memhangul-common.sty
index 01fa1efcda..07fa9a8739 100644
--- a/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memhangul-common/memhangul-common.sty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memhangul-common/memhangul-common.sty
@@ -1,6 +1,6 @@
%% File `memhangul-common.sty`
%%
-%% (C) Copyright 2013-2021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C) Copyright 2013-2024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 This work may be distributed and/or modified under the
%% conditions of the LaTeX Project Public License, either version 1.3c
@@ -17,7 +17,7 @@
%%% 편, 장 섹션 타이틀 재설정
%%% 절의 섹션 타이틀은 수정하지 않음.
%%
-\ProvidesPackage{memhangul-common}[2022/11/04]
+\ProvidesPackage{memhangul-common}[2024/03/06]
\let\@CHAPAPP\@chapapp
\def\refreshprepostchapters{%
@@ -1023,7 +1023,8 @@
\makeoddhead{hangul}{}{}{\normalfont\small\rightmark~\makebox[2em][r]{\normalfont\normalsize\sffamily\thepage}}
\makeevenhead{hangul}{\makebox[2em][l]{\normalfont\normalsize\sffamily\thepage}~\normalfont\small\leftmark}{}{}
-%%%%%%%%%%%%%%%% chapterstyles %%%%%%%%%%%%%%%
+%%%%% chapter styles %%%%
+
\makechapterstyle{default}{%
\renewcommand{\post@chapter}{\chaptername}%
\renewcommand{\chapnamefont}{\normalfont\huge\bfseries}
@@ -1051,117 +1052,7 @@
\renewcommand*{\hchaptertitlehead}{\chaptername~\thechapter}
}
-\makechapterstyle{section}{%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chapternamenum}{\enskip}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bfseries}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thechapter\space}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
-%% for appendix
-\makechapterstyle{appendixsection}{%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chapnumfont\@chapapp}
- \renewcommand{\chapternamenum}{\enskip}
- \renewcommand{\prechapternum}{\chapnumfont\@chapapp}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bfseries}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thechapter\space}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
-\makechapterstyle{article}{%
- \renewcommand{\chapterheadstart}{\vspace{\beforechapskip}}
- \setlength{\beforechapskip}{3.5ex \@plus 1ex \@minus .2ex}
- \setlength{\afterchapskip}{2.3ex \@plus .2ex}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Large\bfseries}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Large\bfseries}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thechapter\quad}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
-\makechapterstyle{hangnum}{%
- \renewcommand{\chapnumfont}{\chaptitlefont}
- \settowidth{\chapindent}{\chapnumfont 999}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um}{%
- \noindent\llap{\makebox[\chapindent][l]{\chapnumfont \thechapter}}}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
-%\newlength{\chapindent}
-
-\makechapterstyle{companion}{%
- \chapterstyle{default}
- \renewcommand*{\chapnamefont}{\normalfont\LARGE\scshape}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raggedleft\chapnamefont \@chapapp}
- \renewcommand*{\prechapternum}{\raggedleft\chapnamefont \pre@chapter}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
- \setlength{\chapindent}{\marginparsep}
- \addtolength{\chapindent}{\marginparwidth}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begin{adjustwidth}{}{-\chapindent}
- \raggedleft \chaptitlefont ##1\par\nobreak
- \end{adjustwidth}}}
-
-%% for appendix.
-\makechapterstyle{appendixcompanion}{%
- \renewcommand{\chapnamefont}{\normalfont\LARGE\scshape}
- \renewcommand{\prechapternum}{\raggedleft\chapnamefont \@chapapp}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raggedleft\chapnamefont \pre@chapter}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setlength{\chapindent}{\marginparsep}
- \addtolength{\chapindent}{\marginparwidth}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begin{adjustwidth}{}{-\chapindent}
- \raggedleft \chaptitlefont ##1\par\nobreak
- \end{adjustwidth}}
-}
-
-\makechapterstyle{demo}{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centering}
- \renewcommand{\prechapternum}{\centering}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numtoName{\c@chapter}}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Huge\sffamily}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hrule\vskip\onelineskip \raggedleft \chaptitlefont ##1}
- \renewcommand{\afterchaptertitle}{\vskip\onelineskip \hrule\vskip \afterchapskip}
-}
-
-\makechapterstyle{demovar}{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centering}
- \renewcommand{\prechapternum}{\centering}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hNum{chapter}}
- \renewcommand{\postchapternum}{\post@chapter}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Huge\sffamily}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hrule\vskip\onelineskip \raggedleft \chaptitlefont ##1}
- \renewcommand{\afterchaptertitle}{\vskip\onelineskip \hrule\vskip \afterchapskip}
-}
-
-%% for appendix
-\makechapterstyle{appendixdemo}{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centering\chapnumfont\@chapapp}
- \renewcommand{\prechapternum}{\centering\chapnumfont\@chapapp}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Alph\c@chapter}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Huge\sffamily}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hrule\vskip\onelineskip \raggedleft \chaptitlefont ##1}
- \renewcommand{\afterchaptertitle}{\vskip\onelineskip \hrule\vskip \afterchapskip}
-}
-
+\RequirePackage{obchapterstyles}
%%%%%%%%%%%%%%%%%%%%%%%%%%%%%%%%%%%%%%%%%%%%%%%%
%%%%%%%%%%%%%% appendix %%%%%%%%%%%%%%%%%%%%%%%%%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memhangul-common/obchapterstyles.sty b/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memhangul-common/obchapterstyles.sty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ea9f0170aa
--- /dev/null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memhangul-common/obchapterstyles.sty
@@ -0,0 +1,520 @@
+%%% file `obchapterstyles.sty`
+%%% subpackage of oblivoir
+%%%
+%%% written by Kangsoo Kim, 2024
+%%%
+%%% chapter styles provided by oblivoir
+%%%
+\ProvidesPackage{obchapterstyles}[2024/03/06, chapter styles]
+%%%
+%%%%%%%%%%%%%%%% chapterstyles from memhangul %%%%%%%%%%%%%%%
+
+\makechapterstyle{section}{%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chapternamenum}{\enskip}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bfseries}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thechapter\space}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
+%% for appendix
+\makechapterstyle{appendixsection}{%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chapnumfont\@chapapp}
+ \renewcommand{\chapternamenum}{\enskip}
+ \renewcommand{\prechapternum}{\chapnumfont\@chapapp}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bfseries}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thechapter\space}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
+\makechapterstyle{article}{%
+ \renewcommand{\chapterheadstart}{\vspace{\beforechapskip}}
+ \setlength{\beforechapskip}{3.5ex \@plus 1ex \@minus .2ex}
+ \setlength{\afterchapskip}{2.3ex \@plus .2ex}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Large\bfseries}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Large\bfseries}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thechapter\quad}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
+\makechapterstyle{hangnum}{%
+ \renewcommand{\chapnumfont}{\chaptitlefont}
+ \settowidth{\chapindent}{\chapnumfont 999}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um}{%
+ \noindent\llap{\makebox[\chapindent][l]{\chapnumfont \thechapter}}}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
+%\newlength{\chapindent}
+
+\makechapterstyle{companion}{%
+ \chapterstyle{default}
+ \renewcommand*{\chapnamefont}{\normalfont\LARGE\scshape}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raggedleft\chapnamefont \@chapapp}
+ \renewcommand*{\prechapternum}{\raggedleft\chapnamefont \pre@chapter}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
+ \setlength{\chapindent}{\marginparsep}
+ \addtolength{\chapindent}{\marginparwidth}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begin{adjustwidth}{}{-\chapindent}
+ \raggedleft \chaptitlefont ##1\par\nobreak
+ \end{adjustwidth}}}
+
+%% for appendix.
+\makechapterstyle{appendixcompanion}{%
+ \renewcommand{\chapnamefont}{\normalfont\LARGE\scshape}
+ \renewcommand{\prechapternum}{\raggedleft\chapnamefont \@chapapp}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raggedleft\chapnamefont \pre@chapter}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setlength{\chapindent}{\marginparsep}
+ \addtolength{\chapindent}{\marginparwidth}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begin{adjustwidth}{}{-\chapindent}
+ \raggedleft \chaptitlefont ##1\par\nobreak
+ \end{adjustwidth}}
+}
+
+\makechapterstyle{demo}{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centering}
+ \renewcommand{\prechapternum}{\centering}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numtoName{\c@chapter}}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Huge\sffamily}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hrule\vskip\onelineskip \raggedleft \chaptitlefont ##1}
+ \renewcommand{\afterchaptertitle}{\vskip\onelineskip \hrule\vskip \afterchapskip}
+}
+
+\makechapterstyle{demovar}{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centering}
+ \renewcommand{\prechapternum}{\centering}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hNum{chapter}}
+ \renewcommand{\postchapternum}{\post@chapter}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Huge\sffamily}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hrule\vskip\onelineskip \raggedleft \chaptitlefont ##1}
+ \renewcommand{\afterchaptertitle}{\vskip\onelineskip \hrule\vskip \afterchapskip}
+}
+
+%% for appendix
+\makechapterstyle{appendixdemo}{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centering\chapnumfont\@chapapp}
+ \renewcommand{\prechapternum}{\centering\chapnumfont\@chapapp}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Alph\c@chapter}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Huge\sffamily}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hrule\vskip\onelineskip \raggedleft \chaptitlefont ##1}
+ \renewcommand{\afterchaptertitle}{\vskip\onelineskip \hrule\vskip \afterchapskip}
+}
+
+%%%%%% styles from ob-chapstyles %%%%%
+
+%% ob+
+%% bianchi,bringhurst,brotherton,chappell,culver,
+%% dash,demo2,demo3,ell,ger,lyhne,madsen,pedersen,
+%% southall,thatcher,veelo,verville,crosshead,
+%% dowding,komalike,ntglike,tandh,wilsondob
+%%
+
+\makechapterstyle{obbianchi}{%
+ \chapterstyle{default}
+ \renewcommand*{\chapnamefont}{\normalfont\Large\sffamily\itshape}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chapnamefont\centering\@chapapp}
+ \renewcommand*{\prechapternum}{\chapnamefont\centering 제}
+ \renewcommand*{\postchapternum}{\chapnamefont 장}
+ \renewcommand*{\hchaptertitlehead}{제\,\thechapter\,장}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textit{\thechapter}}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Huge\sffamily}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hrule\vskip\onelineskip \centering \chaptitlefont\textbf{##1}\par}
+ \renewcommand*{\afterchaptertitle}{\vskip\onelineskip \hrule\vskip
+ \afterchapskip}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
+ \vphantom{\chapnumfont \textit{9}}\afterchapternum}}
+
+\makechapterstyle{obbringhurst}{%
+ \chapterstyle{default}
+ \renewcommand*{\chapterheadstart}{}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hchaptertitlehead}{}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um}{}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raggedright\Large\scshape\MakeLowercase{##1}}
+ \memRTLraggedright\Large\scshape\MakeLowercase{##1}}
+ \renewcommand*{\afterchaptertitle}{%
+ \vskip\onelineskip \hrule\vskip\onelineskip}}
+
+\makechapterstyle{obbrotherton}{%
+ \chapterstyle{default}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hchaptertitlehead}{\numtoName{\c@chapter}}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 \ifanappendix \thechapter \else \numtoName{\c@chapter}\fi}}
+
+\makechapterstyle{obchappell}{%
+ \chapterstyle{default}
+ \setlength{\beforechapskip}{0pt}
+ \renewcommand*{\chapnamefont}{\large\centering}
+ \renewcommand*{\chapnumfont}{\large}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
+ \vphantom{\printchaptername \chapnumfont 1}
+ \afterchapternum
+ \vskip \onelineskip \vskip -\topskip}
+ \renewcommand*{\chaptitlefont}{\Large\itshape}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hrule\vskip\onelineskip \centering\chaptitlefont ##1}}
+
+\makechapterstyle{obculver}{%
+ \chapterstyle{default}
+ \chapterstyle{article}%
+ \renewcommand*{\thechapter}{\Roman{chapter}}
+ \renewcommand*{\printchapternum}{% center number/title
+ \centering\chapnumfont \thechapter\space\space}%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centering}
+ \renewcommand*{\clearforchapter}{}% no new page
+ \aliaspagestyle{chapter}{headings}}% no special pagestyle
+
+\makechapterstyle{obdash}{%
+ \chapterstyle{default}
+ \setlength{\beforechapskip}{5\onelineskip}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thechapter}{\arabic{chapter}}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large}
+ \settoheight{\midchapskip}{\chapnumfont 1}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entering \chapnumfont
+ \rule[0.5\midchapskip]{1em}{0.4pt} \thechapter\
+ \rule[0.5\midchapskip]{1em}{0.4pt}}
+ \renewcommand*{\afterchapternum}{\par\nobreak\vskip 0.5\onelineskip}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centering
+ \vphantom{\chapnumfont 1}\afterchapternum}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Large}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centering \chaptitlefont ##1}
+ \setlength{\afterchapskip}{2.5\onelineskip}}
+
+\makechapterstyle{obdemo2}{%
+ \chapterstyle{default}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centering}
+ \renewcommand*{\prechapternum}{\centering}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 \ifanappendix \thechapter \else \numtoName{\c@chapter}\fi}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Huge\sffamily}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hrule\vskip\onelineskip \raggedleft \chaptitlefont ##1}
+ \renewcommand*{\afterchaptertitle}{%
+ \vskip\onelineskip \hrule\vskip \afterchapskip}
+ \setlength{\beforechapskip}{3\baselineskip}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
+ \vphantom{\chapnumfont One}
+ \afterchapternum%
+ \vskip\topskip}
+ \setlength{\beforechapskip}{2\onelineskip}}
+
+\makechapterstyle{obdemo3}{%
+ \chapterstyle{default}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centering}
+ \renewcommand*{\prechapternum}{\centering}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itshape}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 \ifanappendix \thechapter \else \numtoName{\c@chapter}\fi}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Huge\sffamily}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hrule\vskip\onelineskip \raggedleft \chaptitlefont ##1}
+ \renewcommand*{\afterchaptertitle}{%
+ \vskip\onelineskip \hrule\vskip \afterchapskip}
+ \setlength{\beforechapskip}{0pt}
+ \setlength{\midchapskip}{2\onelineskip}
+ \setlength{\afterchapskip}{2\onelineskip}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
+ \vphantom{\chapnumfont One}
+ \afterchapternum%
+ \vskip\topskip}}
+
+\makechapterstyle{obell}{%
+ \chapterstyle{default}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sffamily}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huge\sffamily}
+ \settowidth{\chapindent}{\chapnumfont 111}
+ \renewcommand*{\chapterheadstart}{\begingroup
+ \vspace*{\beforechapskip}%
+ \begin{adjustwidth}{}{-\chapindent}%
+ \hrulefill
+ \smash{\rule{0.4pt}{15mm}}
+ \end{adjustwidth}\endgroup}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thechapter}{\arabic{chapter}}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um}{%
+ \begin{adjustwidth}{}{-\chapindent}
+ \hfill
+ \raisebox{10mm}[0pt][0pt]{\chapnumfont \thechapter}%
+ \hspace*{1em}
+ \end{adjustwidth}\vspace*{-3.0\onelineskip}}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vskip\onelineskip
+ \raggedleft {\chaptitlefont ##1}\par\nobreak}}
+
+\makechapterstyle{obger}{%
+ \chapterstyle{default}
+ \renewcommand*{\chapterheadstart}{\vspace*{\beforechapskip}
+ \mbox{}\\\mbox{}\rule[0pt]{\textwidth}{0.4pt}\par}
+ \setlength{\midchapskip}{20pt}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chaptitlefont ##1
+ \\\mbox{}\rule[5pt]{\textwidth}{0.4pt}}}
+
+\makechapterstyle{oblyhne}{% needs graphicx package
+ \chapterstyle{default}
+ \setlength{\beforechapskip}{1.5cm}
+ \setlength{\afterchapskip}{1cm}
+ \setlength{\midchapskip}{2cm}
+ \renewcommand*{\chapnamefont}{\normalfont\normalsize\scshape\raggedleft}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normalsize\bfseries\sffamily\raggedleft}
+ \renewcommand*{\prechapternum}{\chapnamefont Chapter}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um}{\makebox[0pt][l]{\hspace{0.2em}%
+ \resizebox{!}{2ex}{\chapnamefont\bfseries\sffamily\thechapter}}}
+ \renewcommand*{\afterchapternum}{\par\hspace{1.5cm}\hrule\vspace{0.2cm}}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vphantom{\chapnamefont 1}\afterchapternum}
+ \renewcommand*{\afterchaptertitle}{\vskip 0.2cm
+ \hrule\vskip\afterchapskip}}
+
+\makechapterstyle{obmadsen}{% requires graphicx package
+ \chapterstyle{default}
+% \renewcommand*{\chapnamefont}{%
+% \normalfont\Large\scshape\raggedleft}
+ \renewcommand*{\prechapternum}{\normalfont\Large\scshape\raggedleft}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itlefont}{%
+ \normalfont\Huge\bfseries\sffamily\raggedleft}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um}{%
+ \makebox[0pt][l]{\hspace{0.4em}
+ \resizebox{!}{4ex}{%
+ \chapnamefont\bfseries\sffamily\thechapter}
+ }%
+ }%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
+ \chapnamefont \phantom{\printchaptername \chapternamenum \printchapternum}
+ \afterchapternum %
+ }%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par\hspace{1.5cm}\hrule\vskip\midchapskip}}
+
+%\newcommand*{\colorchapnum}{}
+%\newcommand*{\colorchaptitle}{}
+\makechapterstyle{obpedersen}{%
+ \chapterstyle{default}
+ \setlength{\beforechapskip}{-20pt}
+ \setlength{\afterchapskip}{10pt}
+ \renewcommand*{\chapnamefont}{\normalfont\LARGE\itshape}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itshape\colorchapnum}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huge\itshape\colorchaptitle}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setlength{\midchapskip}{20mm}% was \numberheight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um}{%
+ \sidebar{\raisebox{0pt}[0pt][0pt]{\makebox[0pt][l]{%
+ \resizebox{!}{\midchapskip}{\chapnumfont\thechapter}}}}}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chaptitlefont ##1}}
+
+%% Thomas Dye's southall chapter style
+\makechapterstyle{obsouthall}{%
+ \chapterstyle{default}
+ \setlength{\afterchapskip}{5\baselineskip}
+ \setlength{\beforechapskip}{36pt}% \headindent
+ \setlength{\midchapskip}{\textwidth}% \rightblock
+ \addtolength{\midchapskip}{-\beforechapskip}
+ \renewcommand*{\chapterheadstart}{\vspace*{2\baselineskip}}
+%%% \renewcommand*{\chaptitlefont}{\huge\rmfamily\raggedright}
+ \renewcommand*{\chaptitlefont}{\huge\rmfamily\memRTLraggedright}
+ \renewcommand*{\chapnumfont}{\chaptitlefont}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um}{%
+ \begin{minipage}[t][\baselineskip][b]{\beforechapskip}
+ {\vspace{0pt}\chapnumfont%%%\figureversion{lining}
+ \thechapter}
+ \end{minipage}}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hfill\begin{minipage}[t]{\midchapskip}
+ {\vspace{0pt}\chaptitlefont ##1\par}\end{minipage}}
+ \renewcommand*{\afterchaptertitle}{%
+ \par\vspace{\baselineskip}%
+ \hrulefill \par\nobreak\noindent \vskip \afterchapskip}}
+
+\makechapterstyle{obthatcher}{%
+ \chapterstyle{default}
+ \renewcommand*{\chapterheadstart}{}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centerline{\chapnumfont{\@chapapp\ \thechapter}}}
+ \renewcommand*{\prechapternum}{\centerline{\chapnumfont Chapter\ \thechapter}}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scshape\MakeLowercase}
+ \renewcommand*{\printchapternum}{}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par\centerline{\parbox{0.5in}{\hrulefill}}\par}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
+ \vphantom{\chapnumfont \@chapapp 1}\par
+ \parbox{0.5in}{}\par}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large}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centering \chaptitlefont\MakeUppercase{##1}}}
+
+\makechapterstyle{obveelo}{%
+ \setlength{\afterchapskip}{40pt}
+ \renewcommand*{\chapterheadstart}{\vspace*{40pt}}
+ \renewcommand*{\afterchapternum}{\par\nobreak\vskip 25pt}
+ \renewcommand*{\chapnamefont}{\normalfont\LARGE\flushright}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HUGE\bfseries\flushright}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chapnamefont\MakeUppercase{\@chapapp}}
+ \renewcommand*{\prechapternum}{\chapnamefont\MakeUppercase{Chapter}}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setlength{\beforechapskip}{18mm}% \numberheight
+ \setlength{\midchapskip}{\paperwidth}% \barlength
+ \addtolength{\midchapskip}{-\textwidth}
+ \addtolength{\midchapskip}{-\spinemargin}
+ \renewcommand*{\printchapternum}{%
+ \makebox[0pt][l]{%
+ \hspace{.8em}%
+ \resizebox{!}{\beforechapskip}{\chapnumfont \thechapter}%
+ \hspace{.8em}%
+ \rule{\midchapskip}{\beforechapskip}%
+ }%
+ }%
+ \makeoddfoot{plain}{}{}{\thepage}}
+
+\makechapterstyle{obverville}{%
+ % \chapterstyle{default}
+ \setlength{\beforechapskip}{0pt}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um}{%
+ \hrule \vskip 0.5\onelineskip
+ \Huge \centering \thechapter.\ }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
+ \hrule \vskip 0.5\onelineskip
+ \Huge \centering}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setlength{\midchapskip}{0pt}
+ \renewcommand*{\printchaptertitle}[1]{%
+ ##1 \par
+ \vskip 0.5\onelineskip
+ \hrule}}
+
+\makechapterstyle{obcrosshead}{%
+ \setlength{\beforechapskip}{2\onelineskip}%
+ \renewcommand*{\chapterheadstart}{\vspace{\beforechapskip}}%
+ \setlength{\afterchapskip}{2\onelineskip \@plus .2\onelineskip
+ \@minus 0.2\onelineskip}%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LARGE\bfseries}%
+ \renewcommand*{\chaptitlefont}{\chapnumfont}%
+ \renewcommand*{\printchapternum}{%
+ \centering\chapnumfont \thechapter\quad}%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centering}}
+
+\makechapterstyle{obdowding}{%
+ \setlength{\beforechapskip}{2\onelineskip}%
+ \setlength{\afterchapskip}{1.5\onelineskip \@plus .1\onelineskip
+ \@minus 0.167\onelineskip}%
+ \renewcommand*{\chapnamefont}{\normalfont}%
+ \renewcommand*{\chapnumfont}{\chapnamefont}%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entering\chapnumfont \ifanappendix \thechapter
+ \else \numtoName{\c@chapter}\fi}%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itshape\huge\centering}%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
+ \vphantom{\printchaptername}\vskip\midchapskip}}
+
+\makechapterstyle{obkomalike}{%
+ \setlength{\beforechapskip}{2\onelineskip}%
+ \setlength{\afterchapskip}{1.5\onelineskip \@plus .1\onelineskip
+ \@minus 0.167\onelineskip}%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LARGE\sffamily\bfseries}%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thechapter\space\space}%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LARGE\sffamily\bfseries}}
+
+\makechapterstyle{obntglike}{%
+ \setlength{\beforechapskip}{50pt \@plus 20pt}%
+ \renewcommand*{\chapnamefont}{\normalfont\Large\bfseries}%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Large\bfseries}%
+ \renewcommand*{\chaptitlefont}{\normalfont\Large\bfseries}}
+
+\makechapterstyle{obtandh}{%
+ \setlength{\beforechapskip}{1\onelineskip}%
+ \setlength{\afterchapskip}{2\onelineskip \@plus .1\onelineskip
+ \@minus 0.167\onelineskip}%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bfseries}%
+ \renewcommand*{\printchapternum}{\chapnumfont \thechapter\quad}%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renewcommand*{\chaptitlefont}{\chapnumfont\raggedright}}
+ \renewcommand*{\chaptitlefont}{\chapnumfont\memRTLraggedright}}
+
+\makechapterstyle{obwilsondob}{%
+ \setlength{\beforechapskip}{2\onelineskip}%
+ \setlength{\afterchapskip}{4\onelineskip \@plus .1\onelineskip
+ \@minus 0.167\onelineskip}%
+% \renewcommand*{\printchaptername}{}%
+ \renewcommand*{\prechapternum}{}
+ \renewcommand*{\postchapternum}{}
+ \renewcommand*{\chapternamenum}{}%
+ \renewcommand*{\chapnumfont}{\normalfont\Huge\itshape}%
+ \renewcommand*{\printchapternum}{\raggedleft\chapnumfont \thechapter\quad}%
+ \renewcommand*{\afterchapternum}{}%
+ \renewcommand*{\chaptitlefont}{\chapnumfont}%
+ \renewcommand*{\printchapternonum}{\raggedleft}}
+
+
+\endinput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utf.cls b/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utf.cls
index 535b74dbd4..83bd23187c 100644
--- a/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utf.cls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utf.cls
@@ -1,6 +1,6 @@
%% File `oblivoir-utf.cls`
%%
-%% (C) Copyright 2006-2015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C) Copyright 2006-2024 Kangsoo Kim <modviv2k15 at gmail dot com>
%%
%% This work may be distributed and/or modified under the
%% conditions of the LaTeX Project Public License, either version 1.3c
@@ -11,7 +11,7 @@
%% version 2006/05/20 or later.
%%
\ProvidesClass{oblivoir-utf}
- [2020/02/10 v0.8.2 article-like class to typeset UTF-8 korean using memoir.]
+ [2024/03/06 v0.9 article-like class to typeset UTF-8 korean using memoir.]
%\typeout{oblivoir requires memoir, dhucs, and memhangul. 2008/10/23.}
%%% Acknowledgements: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xl.cls b/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xl.cls
index 6a884288f6..91a2014d19 100644
--- a/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xl.cls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xl.cls
@@ -1,6 +1,6 @@
%% File `oblivoir-xl.cls`
%%
-%% (C) Copyright 2006-2023 Kangsoo Kim <modviv2k15 at gmail dot com>
+%% (C) Copyright 2006-2024 Kangsoo Kim <modviv2k15 at gmail dot com>
%%
%% This work may be distributed and/or modified under the
%% conditions of the LaTeX Project Public License, either version 1.3c
@@ -14,7 +14,7 @@
%% depends upon Dohyun Kim's xetexko and the author's memhangul-x.
%%
\ProvidesClass{oblivoir-xl}
- [2023/03/08 v3.2.1 memoir-based class to typeset Korean]
+ [2024/03/06 v3.3 memoir-based class to typeset Korean]
\providecommand\@DisabledOption[1]{%
\typeout{[#1] option is deprecated}}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cls b/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cls
index 6ccea1b70c..731a8dd15c 100644
--- a/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cls
+++ b/language/korean/kotex-oblivoir/tex/oblivoir.cls
@@ -1,6 +1,6 @@
%% File `oblivoir.cls`
%%
-%% (C) Copyright 2006-2023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C) Copyright 2006-2024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 This work may be distributed and/or modified under the
%% conditions of the LaTeX Project Public License, either version 1.3c
@@ -10,7 +10,7 @@
%% and version 1.3c or later is part of all distributions of LaTeX
%% version 2006/05/20 or later.
%%
-\ProvidesClass{oblivoir}[2023/03/09 v3.2.1]
+\ProvidesClass{oblivoir}[2024/03/06 v3.3]
\RequirePackage{xkeyval}
\RequirePackage{xpa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