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language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authorNorbert Preining <norbert@preining.info>2022-06-23 03:00:50 +0000
committerNorbert Preining <norbert@preining.info>2022-06-23 03:00:50 +0000
commit00e67dfd87c53faeafcf0c9e66c8c2c7a410fcb8 (patch)
treeef301069afe23459e4f42b83386787a5aca10e5f /language
parentd6888fdb49e3ac954c2d436951f364d3a4a4b17d (diff)
CTAN sync 202206230300
Diffstat (limited to 'language')
-rw-r--r--language/korean/kotex-plain/doc/ChangeLog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plain/ChangeLog)13
-rw-r--r--language/korean/kotex-plain/tex/hangulcweb.tex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plain/hangulcweb.tex)0
-rw-r--r--language/korean/kotex-plain/tex/kotexplain.tex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plain/kotexplain.tex)2
-rw-r--r--language/korean/kotex-plain/tex/kotexutf-core.tex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plain/kotexutf-core.tex)133
-rw-r--r--language/korean/kotex-plain/tex/kotexutf.tex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plain/kotexutf.tex)4
-rw-r--r--language/korean/kotex-utf/contrib/kotex-varioref.sty48
-rw-r--r--language/korean/kotex-utf/doc/ChangeLog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hangeLog)22
-rw-r--r--language/korean/kotex-utf/doc/fig/yettext.pdfbin0 -> 81928 bytes
-rw-r--r--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pdfbin0 -> 3346501 bytes
-rw-r--r--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tex751
-rw-r--r--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utf-doc.pdf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pdf)bin7144630 -> 6768496 bytes
-rw-r--r--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utf-doc.tex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tex)836
-rw-r--r--language/korean/kotex-utf/doc/yettext.tex13
-rw-r--r--language/korean/kotex-utf/doc/yettext.txt13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cmap.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cmap.sty)8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enumerate.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enumerate.sty)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enumitem.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enumitem.sty)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gremph.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gremph.sty)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interword.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interword.sty)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paralist.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paralist.sty)2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sectsty.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sectsty.sty)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setspace.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setspace.sty)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trivcj.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trivcj.sty)2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ucshyper.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ucshyper.sty)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fn.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fn.sty)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kotex-logo.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contrib/kotex-logo.sty)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kotex-varioref.sty91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dhucs-nanumfont.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dhucs-nanumfont.sty)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dhucs.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dhucs.sty)5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hfontspec.default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hfontspec.default)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kosections-utf.sty145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kotex-sections.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kosections-utf.sty)155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kotex.cfg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kotex.cfg)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kotexutf.sty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kotexutf.sty)3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lucenc.dfu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lucenc.dfu)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lucuhcmj.fd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lucuhcmj.fd)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tex4ht/dhucs.4ht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tex4ht/dhucs.4ht)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tex4ht/dhucs.cfg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tex4ht/dhucs.cfg)0
-rw-r--r--language/korean/kotex-utf/tex/tex4ht/kosections-utf.4ht (renamed from language/korean/kotex-utf/tex4ht/kosections-utf.4ht)0
39 files changed, 1364 insertions, 909 deletions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plain/ChangeLog b/language/korean/kotex-plain/doc/ChangeLog
index 3fd7a31b87..eb356d27ee 100644
--- a/language/korean/kotex-plain/ChangeLog
+++ b/language/korean/kotex-plain/doc/ChangeLog
@@ -1,3 +1,16 @@
+2022-06-22 Kangsoo Kim
+
+ * Upload to CTAN
+
+2022-06-22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3.0.0
+
+ * kotexutf-core.tex: allow non-ascii characters in labels;
+ catcodes of UTF-8 trailing tokens ("80 to "BF) are now 13 (active);
+ UTF-8 first-byte token commands are now expandable (not protected);
+ adapt to hyperref update.
+
2015-10-13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Version 2.1.1a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plain/hangulcweb.tex b/language/korean/kotex-plain/tex/hangulcweb.tex
index 84a0ee26b6..84a0ee26b6 100644
--- a/language/korean/kotex-plain/hangulcweb.tex
+++ b/language/korean/kotex-plain/tex/hangulcweb.tex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plain/kotexplain.tex b/language/korean/kotex-plain/tex/kotexplain.tex
index 36ac8f555f..ba7fa57531 100644
--- a/language/korean/kotex-plain/kotexplain.tex
+++ b/language/korean/kotex-plain/tex/kotexplain.tex
@@ -24,7 +24,7 @@
%% 2007/06/24 1.0.2 lower multiple punctuations.
%% 2007/06/14 1.0.1 \hu was too normal a CS. use \dhucs@hu intead.
%%
-\ifx가가\else
+\ifx 가가\else
\input kotexutf
\expandafter\endinput
\fi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plain/kotexutf-core.tex b/language/korean/kotex-plain/tex/kotexutf-core.tex
index c183291560..0bf642f463 100644
--- a/language/korean/kotex-plain/kotexutf-core.tex
+++ b/language/korean/kotex-plain/tex/kotexutf-core.tex
@@ -1,7 +1,7 @@
%% File `kotexutf-core.tex`
%%
-%% Copyright (C) 2009-2015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Copyright (C) 2015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Copyright (C) 2009-2022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Copyright (C) 2015-2022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 This work may be distributed and/or modified under the
%% conditions of the LaTeX Project Public License, either version 1.3c
@@ -23,71 +23,116 @@
\def\unihangul@two@octets#1#2{%
\expandafter\unihangulchar\expandafter{%
\number\numexpr
- (`#1 - 192) * 64 +
- (`#2 - 128) \relax}}
+ (`#1 - 192) * 64 +
+ (`#2 - 128) \relax}}
\def\unihangul@three@octets#1#2#3{%
\expandafter\unihangulchar\expandafter{%
\number\numexpr
- (`#1 - 224) * 4096 +
- (`#2 - 128) * 64 +
- (`#3 - 128) \relax}}
+ (`#1 - 224) * 4096 +
+ (`#2 - 128) * 64 +
+ (`#3 - 128) \relax}}
\def\unihangul@four@octets#1#2#3#4{%
\expandafter\unihangulchar\expandafter{%
\number\numexpr
- (`#1 - 240) * 262144 +
- (`#2 - 128) * 4096 +
- (`#3 - 128) * 64 +
- (`#4 - 128) \relax}}
+ (`#1 - 240) * 262144 +
+ (`#2 - 128) * 4096 +
+ (`#3 - 128) * 64 +
+ (`#4 - 128) \relax}}
+
+\def\unihangul@ii@octs#1#2{%
+ \ifincsname
+ \string#1\string#2%
+ \else
+ \ifx\protect\relax
+ \ifcsname u8:\string#1\string#2\endcsname
+ \csname u8:\string#1\string#2\endcsname
+ \else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unihangul@two@octets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1%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2%
+ \fi
+ \else
+ \noexpand#1\noexpand#2%
+ \fi
+ \fi
+}
+\def\unihangul@iii@octs#1#2#3{%
+ \ifincsname
+ \string#1\string#2\string#3%
+ \else
+ \ifx\protect\relax
+ \ifcsname u8:\string#1\string#2\string#3\endcsname
+ \csname u8:\string#1\string#2\string#3\endcsname
+ \else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unihangul@three@octets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1%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2%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3%
+ \fi
+ \else
+ \noexpand#1\noexpand#2\noexpand#3%
+ \fi
+ \fi
+}
+\def\unihangul@iv@octs#1#2#3#4{%
+ \ifincsname
+ \string#1\string#2\string#3\string#4%
+ \else
+ \ifx\protect\relax
+ \ifcsname u8:\string#1\string#2\string#3\string#4\endcsname
+ \csname U8:\string#1\string#2\string#3\string#4\endcsname
+ \else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unihangul@four@octets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1%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2%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3%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
+ \expandafter\expandafter\expandafter#4%
+ \fi
+ \else
+ \noexpand#1\noexpand#2\noexpand#3\noexpand#4%
+ \fi
+ \fi
+}
\count@"80 \loop
- \uccode\count@\z@
- \lccode\count@\z@
- \catcode\count@=12
+ \uccode\count@\count@
+ \lccode\count@\count@
\ifnum\count@<"BF \advance\count@\@ne \repeat
\count@"C2 \loop
- \uccode\count@\z@
- \lccode\count@\z@
+ \uccode\count@\count@
+ \lccode\count@\count@
\begingroup
\lccode`\~\count@
- \lowercase{\endgroup
- \protected\def~##1{%
- \ifcsname U8:\string~\string##1\endcsname
- \csname U8:\string~\string##1\expandafter\endcsname
- \else
- \expandafter\unihangul@two@octets
- \expandafter~\expandafter##1%
- \fi }}
+ \lowercase{\endgroup \def~{\unihangul@ii@octs~}}
\ifnum\count@<"DF \advance\count@\@ne \repeat
\count@"E0 \loop
- \uccode\count@\z@
- \lccode\count@\z@
+ \uccode\count@\count@
+ \lccode\count@\count@
\begingroup
\lccode`\~\count@
- \lowercase{\endgroup
- \protected\def~##1##2{%
- \ifcsname U8:\string~\string##1\string##2\endcsname
- \csname U8:\string~\string##1\string##2\expandafter\endcsname
- \else
- \expandafter\unihangul@three@octets
- \expandafter~\expandafter##1\expandafter##2%
- \fi }}
+ \lowercase{\endgroup \def~{\unihangul@iii@octs~}}
\ifnum\count@<"EF \advance\count@\@ne \repeat
\count@"F0 \loop
- \uccode\count@\z@
- \lccode\count@\z@
+ \uccode\count@\count@
+ \lccode\count@\count@
\begingroup
\lccode`\~\count@
- \lowercase{\endgroup
- \protected\def~##1##2##3{%
- \ifcsname U8:\string~\string##1\string##2\string##3\endcsname
- \csname U8:\string~\string##1\string##2\string##3\expandafter\endcsname
- \else
- \expandafter\unihangul@four@octets
- \expandafter~\expandafter##1\expandafter##2\expandafter##3%
- \fi }}
+ \lowercase{\endgroup \def~{\unihangul@iv@octs~}}
\ifnum\count@<"F4 \advance\count@\@ne \repeat
%% subfont plane and char slot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plain/kotexutf.tex b/language/korean/kotex-plain/tex/kotexutf.tex
index 0e9d8076e3..c901945e91 100644
--- a/language/korean/kotex-plain/kotexutf.tex
+++ b/language/korean/kotex-plain/tex/kotexutf.tex
@@ -1,8 +1,9 @@
%% File `kotexutf.tex`
%%
+%% 2022.06.22 v3.0
%% 2010.01.04 v1.1
%%
-%% Copyright (C) 2010-2013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Copyright (C) 2010-2022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This work may be distributed and/or modified under the
%% conditions of the LaTeX Project Public License, either version 1.3c
@@ -23,6 +24,7 @@
\makeatletter
+\unless\ifdefined\@gobble \long\def\@gobble#1{}\fi
\unless\ifdefined\@tempcnta \newcount\@tempcnta\fi
\unless\ifdefined\@tempcntb \newcount\@tempcntb\fi
\unless\ifdefined\@empty \let\@empty\empty\fi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kotex-varioref.sty b/language/korean/kotex-utf/contrib/kotex-varioref.sty
deleted file mode 100644
index 3b84adf60c..0000000000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kotex-varioref.sty
+++ /dev/null
@@ -1,48 +0,0 @@
-%% File `kotex-varioref.sty`
-%%
-%% (C) Copyright 2008-2013 slomo
-%%
-%% This work may be distributed and/or modified under the
-%% conditions of the LaTeX Project Public License, either version 1.3c
-%% of this license or (at your option) any later version.
-%% The latest version of this license is in
-%% http://www.latex-project.org/lppl.txt
-%% and version 1.3c or later is part of all distributions of LaTeX
-%% version 2006/05/20 or later.
-%%
-\@ifpackageloaded{varioref}{}{\RequirePackage{varioref}[2006/05/13]}
-
-
-%
-% user interfaces
-%
-\renewcommand{\vref}[2][\reftextcurrent]
- {\vpageref[#1]{#2} \ref{#2}}
-\renewcommand{\vrefrange}[3][\reftextcurrent]
- {\vpagerefrange[#1]{#2}{#3}의 \reftextlabelrange{#2}{#3}}
-
-
-%
-% reftexts
-%
-\renewcommand{\reftextfaceafter}{다음 \pagename}%
-\renewcommand{\reftextfacebefore}{앞 \pagename}%
-\renewcommand{\reftextafter}{다음 \pagename}%
-\renewcommand{\reftextbefore}{앞 \pagename}%
-\renewcommand{\reftextcurrent}{현재 \pagename}%
-\renewcommand{\reftextfaraway}[1]{\pageref{#1}\pagename}%
-\renewcommand{\reftextpagerange}[2]{\pageref{#1}--\pageref{#2}\pagename}%
-\renewcommand{\reftextlabelrange}[2]{\ref{#1}에서 \ref{#2}}
-
-%
-% labelformats
-%
-\labelformat{part}{#1\partname}
-\labelformat{chapter}{#1\chaptername}
-\labelformat{section}{#1\sectionname}
-\labelformat{figure}{\figurename~#1}
-\labelformat{table}{\tablename~#1}
-\labelformat{footnote}{각주~#1}
-
-\endinput
-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hangeLog b/language/korean/kotex-utf/doc/ChangeLog
index 338a2ef678..6712629650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hangeLog
+++ b/language/korean/kotex-utf/doc/ChangeLog
@@ -1,3 +1,17 @@
+2022-06-22 Kangsoo Kim
+
+ * Upload to CTAN, version 3.0
+
+2022-06-22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3.0.0
+
+ * kotexutf.sty:
+ protect non-ascii characters in VerbatimOut environment;
+ revert hyperref bookmark patch of v2.1.1.
+
+ * dhucs-cmap.sty: prevent redundant ToUnicode entry.
+
2015-09-14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Version 2.1.2
@@ -9,7 +23,7 @@
Version 2.1.1
- * kotexutf.sty: unprotect protected chars for hyperref solving the bug
+ * kotexutf.sty: unprotect protected chars for hyperref solving the bug
reported at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10907
2015-04-19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34,13 +48,13 @@
2013-11-07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No version change
-
+
* kotexdoc.tex: revised for new Xindy related matters
2013-10-24 Kihwang Lee <leekh at ktug org>
No version change
-
+
* Uploaded to CTAN
2013-10-22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50,7 +64,7 @@
2013-10-21 Kihwang Lee <leekh at ktug org>
Version 2.0.0
-
+
* kotex-utf packaging, uploaded to https://github.com/kihwanglee/kotex-utf
2013-10-21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doc/fig/yettext.pdf b/language/korean/kotex-utf/doc/fig/yettext.pdf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1444e69a63
--- /dev/null
+++ b/language/korean/kotex-utf/doc/fig/yettext.pdf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pdf b/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pdf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e4173feaec
--- /dev/null
+++ b/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pdf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tex b/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tex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795088b4b1
--- /dev/null
+++ b/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tex
@@ -0,0 +1,751 @@
+%!TEX encoding = UTF-8 Unicode
+%!TEX program = arara
+% arara: pdflatex: {synctex: yes}
+%! arara: komkindex: {style: kotex}
+% arara: pdflatex: {synctex: yes}
+%%% file `kotexdoc.tex`
+%% Written by Kangsoo Kim <karnes at ktug kr>
+%%
+%% 2013/09/30
+%% 2013/11/07
+%% 2014/03/01, \ksnamedef
+%%
+%% part of ko.TeX v2.0
+%% LPPL, maintained.
+%
+\documentclass[a4paper,%
+ 10.5pt,%
+ amsmath,%
+% uset1font,%
+ chapter,%
+ twoside,%
+ openany,%
+ finemath,%
+ oldfontcommands]%
+{oblivoir}
+
+\usepackage{fancyvrb}
+\usepackage{eurosym}
+
+\ifPDFTeX
+ \SetHanjaFonts{uhcmj}{nanumgt}{nanumgt}
+ \usepackage[pdftex]{graphicx}
+ \SetGremphFonts{nanumgt}{nanumgt}
+ \usepackage[normalem]{ulem}
+ \usepackage{dhucs-trivcj}
+% \usepackage{dhucs-midkor}
+ \input sample-finemath-setup.tex
+ \usepackage[T1]{fontenc}
+ \renewcommand{\rmdefault}{nanummj}
+\else
+ \ifLuaOrXeTeX
+ \usepackage{xob-dotemph}
+ \setkormainfont(* ExtraBold)(*){NanumMyeongjo}(){HCR Batang LVT}
+ \def\다{\nobreak 다}
+\fi\fi
+
+\usepackage[x11names,dvipsnames,svgnames]{xcolor}
+
+\ifXeTeX
+ \usepackage[normalem]{ulem}
+\fi
+
+\usepackage[dbl4x6]{fapapersize}
+\usepackage{boxedminipage}
+
+\SetHangulspace{1.5}{1.1}
+
+\usepackage{hologo}
+\def\pdfTeX{\hologo{pdfTeX}}
+\def\pdfLaTeX{\hologo{pdfLaTeX}}
+\def\XeTeX{\hologo{XeTeX}}
+\def\XeLaTeX{\hologo{XeLaTeX}}
+\def\eTeX{\hologo{eTeX}}
+\def\LuaTeX{\hologo{LuaTeX}}
+\def\LuaLaTeX{\hologo{LuaLaTeX}}
+\usepackage{kotex-logo}
+
+\newcommand*\kotex{\texorpdfstring{\textsf{k}\kern-0.0625em\textit{o}\kern-1.5pt\lower.15ex\hbox{.}\kern-1pt\protect\TeX}{ko.TeX}}
+\def\ko{\textsf{k}\textit{o}}
+\def\kotexplain{\kotex-\hologo{plain}}
+\newcommand\kotexversion{v3.0}
+%\newcommand\kotexdate{2013년 11월}
+\newcommand\kotexdate{2021년 7월}
+
+%\usepackage[
+% backend=biber,
+% style=authoryear,
+% sortlocale=UTF-8,
+% natbib=true,
+% url=true,
+% doi=false,
+% eprint=false,
+%]{biblatex}
+%\addbibresource{kotexguide.bib}
+%\addbibresource{texbook1.bib}
+%\addbibresource{texbook3.bib}
+%
+
+\newenvironment{preamtext}{%
+ \section*{제1판 일러두기}
+}{\clearpage}
+
+\newenvironment{preamtexttwo}{%
+ \section*{제2판 일러두기}
+}{\clearpage}
+
+\newenvironment{preamtextthree}{%
+ \section*{제3판 일러두기}
+}{\par}
+
+\def\util#1{\texttt{#1}\index{Utilities!#1}\index{#1}}
+\def\pkg#1{\textsf{#1}\index{Packages!#1}}
+\def\option#1{\texttt{[#1]}\index{Options!#1}}
+\def\wi#1{#1\index{#1}}
+\def\thispkg{\kotex}
+\def\file#1{\texttt{#1}\index{Files!#1}}
+
+\def\OMEGA{$\mathrm{\Omega}$}
+
+\copypagestyle{part}{empty}
+
+\renewcommand\cftsectionaftersnumb{\hspace{1.2em}}
+\renewcommand\cftsubsectionaftersnumb{\hspace{1em}}
+
+\def\xample{예시}
+\renewcommand{\cmd}[1]{\cmdprint{#1}%
+ \index{Commands!\string\cmdprint{\string#1}}}
+
+\makeindex
+
+\begin{document}
+
+\frenchspacing
+
+\title{한국어 텍 \kotex}
+\author{김강수}
+\date{version 3.0\quad\kotexdate}
+
+\begin{titlingpage}
+\maketitle
+\end{titlingpage}
+
+\frontmatter
+
+\begin{preamtextthree}
+2013년에 \koTeX 이 CTAN에 등재되어, 주요 \TeX{} 배포판에 수용됨에 따라
+사실상 한국어 조판의 표준으로 자리잡은 지도 어언 수년이 흘렀다.
+이 기간 동안 \koTeX 은 특히 \XeTeX 과 \LuaTeX 을 중심으로 크게 발전하여
+2021년 현재 상업적인 출판에 무리없이 활용되어 높은 수준의 조판 품위를 보증할
+정도가 되었음을 모두가 인정하고 있다.
+저자들은 이를 매우 자랑스럽게 여기며, 버그 리포트와
+중요한 기여, 그리고 일상적 격려를 통하여 이를 지원해준 사용자와 기여자 모두에게
+깊은 감사를 표한다.
+
+\koTeX{} 문서 제3판에서는 \koTeX-utf 매뉴얼 부분을 분리하였고
+부분적인 가필과 수정을 행하였다. \koTeX-utf 사용법을 보려면
+\verb|texdoc kotex-utf|를 실행하라.
+
+\bigskip
+
+\hfill 2021년 7월 \par
+\hfill 대표필자 김강수 (識)
+
+\end{preamtextthree}
+\begin{preamtexttwo}
+2007년에 \kotex 이 만들어진 이후, 이 패키지는 사실상 한국어 문헌의
+조판과 식자에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패키지가 되었습니다.
+저자들은 이에 대해 매우 자랑스러움을 느끼고 있으며, 개선을 위해 고언을
+마다하지 않으신 사용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
+2007년 이후, 텍 사용환경에는 극적이라 해도 좋을 만한 변화가 초래되었습니다.
+특히 \XeTeX 이나 \LuaTeX 과 같은 새로운 엔진이 등장하여,
+한글 식자 문제에 있어 결정적인 진보를 이룬 것은 특기할 만한 것입니다.
+\kotex 의 저자들은 이와 같은 텍 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XeTeX-\ko, \LuaTeX-\ko와 같은 패키지를 개발하여 한글 사용을 더 쉽고 강력하게 만드는 데 헌신해왔습니다.
+
+이에 2013년에 접어든 지금, \kotex 을 전반적으로 정비하고 그 사용 설명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kotex 은 더 발전할 것이고, 더 훌륭한 한글 문헌의
+조판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
+이 문서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bigskip
+
+\hfill 2013년 9월
+
+\hfill (대표필자) 김강수 (識)
+
+\end{preamtexttwo}
+
+
+\begin{preamtext}
+\kotex 은 H\LaTeX 과 hangul-ucs가 결합하여 탄생한, 명실
+상부한 ``한국어(한글) 텍 시스템''입니다. ``한글 라텍(H\LaTeX)''은 1990년대 이후
+텍에서의 한글 사용에 \dotemph{사실상 표준}이었으며, hangul-ucs는
+한글 라텍의 현저한 영향 아래서 성장한 유니코드 한글 텍 매크로였던 것입니다.
+
+이제 한국텍학회(KTS)의 주도 아래, 한글 라텍과 hangul-ucs가
+하나의 매크로 시스템으로 통합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와 더불어 더욱 알차고 유용한 사용자 안내서를 작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
+한글 라텍의 표준 문서였던 ``한글 라텍 길잡이''(\wi{은광희})는 아마도 가장 많이
+읽힌 한글로 된 라텍 관련 문서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이 문서는 단순히 한글
+사용법을 넘어서서, 텍에 입문하는 데 있어서도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
+이 문서는 한글 라텍 길잡이를 바탕으로 \kotex 에 맞도록 개정하여
+쓴 것입니다. 감사의 말과 머리말은 거의 그대로 보존하였으며, \kotex 이
+등장하는 경과를 설명하는 소절을 하나 추가하는 정도에 그쳤습니다.
+다만 문체의 일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 일러두기와 감사의 말을 제외하고는
+경어체를 평어체로 고쳐썼습니다. 또한
+사용법에 있어서 한글 라텍 이후의 여러 가지 발전 사항을 새로운 편제로
+서술하려 하였습니다. 지나치게 기술적인 서술을 피하고 실제 사용자에게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데 이 문서의 목적이 있습니다.
+
+이 문서가 \kotex 을 사용하는 분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뜻하지 않은 잘못된 내용이나 실수, 빠진 내용, 오식을 바로잡아 주시면 더 나은
+사용자 안내서를 만드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bigskip
+\rightline{2007년 7월}
+\rightline{\wi{은광희} \wi{김도현} 김강수 (識)}
+
+\end{preamtext}
+
+\tableofcontents*
+
+
+\mainmatter
+\pagestyle{hangul}
+
+%\part{총론}
+
+\chapter{\kotex 에 관하여}
+
+\section{\kotex 의 구성}
+
+\kotex\footnote{\kotex은 텍스트
+ 상황에서 \texttt{ko.TeX}이라고 쓰고 ``케이오텍'' 또는
+ ``코리언 텍''이라고 읽는다. ``코텍'' 또는 ``코텍스''라고
+ 읽지 않기를 희망한다.
+ \texttt{ko}는 한국어를 의미하는
+ 국제부호에서 취한 것이다. \texttt{ko}를 소문자로 쓴다.}%
+은 한국어/한글 식자를 위한 \hologo{plainTeX}, \LaTeX\ 패키지군을 아울러 부르는 말이다.
+\wi{한국텍학회}(KTS; Korean \TeX\ Society)에서 공식적으로 개발을 후원하고 배포를 담당하고 있으며,
+핵심 기능의 주개발자인 \wi{김도현} 이외 많은 기여자들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
+2021년 현재, \kotex 과 그 관련 패키지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begin{enumerate}[(1)] \oblivoirlist
+\item \textbf{\kotex-plain}. \TeX 과 \LaTeX 에서 한글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매크로들과 \hologo{plainTeX}을 위한 스타일로 이루어져 있다.
+\item \textbf{\kotex-utf}. \eTeX, \pdfTeX\ 엔진 위에서 운영되는
+\LaTeX 에서 한글을 구현한 패키지이다. 은광희의 H\LaTeX 의 계보를 잇는
+\LaTeX\ 한글 패키지로서, H\LaTeX\ 스타일의 장절표제를 위한 \pkg{kotex-sections}를
+포함하고 있다.
+\item \textbf{cjk-\ko}. \eTeX, \pdfTeX\ 엔진 위에서 운영되는
+\LaTeX 을 위한 한글 패키지이며, \kotex-utf와 달리 Werner Lemberg의 \pkg{CJK} 패키지를
+이용하고 있다.
+\item \textbf{\XeTeX-\ko}. \XeTeX\ 엔진에 대응하는 한글 조판 패키지이다.
+\item \textbf{\LuaTeX-\ko}. \LuaTeX\ 엔진에 대응하는 한글 조판 패키지이다.
+\item \textbf{\koTeX-oblivoir}. \pkg{memoir} 클래스로 한글을 조판하기 위한 클래스와
+패키지의 묶음이다.
+\item \textbf{\koTeX-utilities}. 한글 처리에 필요한 유틸리티. 색인을 만들기 위한
+\util{makeindex}의 한글판 \util{komkindex}, \util{xindy}의 한글 모듈,
+그리고 \util{jamo-normalize} 등을 포함한다.
+%\item \textbf{\kotex-utf}. 유니코드 (UTF-8) 한글
+%식자 패키지로서, ``legacy \TeX\ 엔진'' ({\small \util{tex}, \util{latex}, \util{pdftex}, \util{pdflatex}을 실행하는 경우 운용되는 \TeX\ 엔진})에
+%대응한다. \LaTeX 을 위한 \pkg{dhucs}와 \hologo{plainTeX}을 위한 \pkg{kotexplain}, 그 부수파일들로 이루어져 있다.\index{dhucs}
+%\item \textbf{cjk-\ko}. Werner Lemberg의 \pkg{CJK} 패키지를 이용하여
+%유니코드 한글을 식자하는 패키지이다. legacy \TeX\ 엔진에 대응한다.
+%이 패키지는 그 기원과 동작이 \kotex 과는
+%제법 다르게 출발하였지만 \kotex 의 몇 가지 중요한 기능\explpunc.자동조사 등.\ 을 구현하고 있는 등, 여러 면에서 \kotex 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cmd{\usepackage\{kotex\}} 문법을 사용한다.
+%\item \textbf{\XeTeX-\ko}. \XeTeX\ 엔진에 대응하는 한글 식자 패키지이다.
+%\item \textbf{\LuaTeX-\ko}. \LuaTeX\ 엔진에 대응하는 한글 식자 패키지이다.
+%\item \textbf{oblivoir}. \pkg{memoir} 클래스를 이용하여 한글 문서를 작성하도록 도와주는 클래스와 패키지 묶음이다.
+%\item \textbf{\kotex\ utilities}. 한글 문서 작성에 필요한 유틸리티들이다.
+%예를 들면 색인을 만들기 위한 \util{komkindex}와 \util{xindy modules} 등이 포함되어 있다.
+\end{enumerate}
+
+위에 열거한 한글 패키지들은 모두 원칙적으로 유니코드(UTF-8) 한글을
+처리하는 것이다. 소위 `완성형 한글'을 지원하던 H\LaTeX 과 \koTeX-euc는
+현재 ``개발 중단(obsolete)'' 상태로 간주되며, 개발이 그친 상태 그대로
+별도로 보존되고 있다.
+
+\TeX\,Live로 배포하는 CTAN 등재 한글 글꼴 패키지가 있다.
+
+\begin{enumerate}[(1)]\oblivoirlist
+\item \textbf{nanumtype1}. 나눔명조와 나눔고딕 글꼴(원본은 트루타입)을 레거시
+텍에서도 쓸 수 있도록 \TeX\ 폰트로 변환한 글꼴 묶음이다. Type 1 포맷이며, TFM과
+FD 파일을 함께 제공한다. 패키지의 관리자는 김도현이다.
+\item \textbf{uhc}. 은광희의 H\LaTeX\ 기본 폰트였던 mf, type 1 글꼴이다. \koTeX-utf는
+명조체 한자 글꼴을 이 폰트를 이용하여 식자한다.
+\item \textbf{unfonts}. 은광희의 UHC 폰트를 트루타입으로 변환한 글꼴이다.
+드물게 보는 완전한 자유 한글 글꼴이며, \koTeX 의 개발 단계에서 사실상의
+표준 글꼴로 간주되었던 적이 있다. 현재 CTAN에 등재되어 트루타입 형식 그대로
+\XeTeX 과 \LuaTeX 에서 활용할 수 있다. \util{unfont-core}와 \util{unfonts-extra}라는
+두 개의 패키지로 등록되어 있다.
+\item \textbf{baekmuk}. 김정환의 백묵 글꼴로서, 저작권 관련 문제가 해결된
+후에 CTAN에 등재되었다.
+\end{enumerate}
+
+%다음 패키지는 이전 버전까지 \kotex 에 포함되어 있던 것들이나, 2.0 버전에서
+%제외되어 현재 ``개발 중단(obsolete)'' 상태로 간주되는 것들이다. 이 패키지들은
+%편의를 위하여 현재까지 \kotex\ 저장소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begin{enumerate}[(1)]
+%\item \textbf{kotex-euc}. EUC-KR 한글을 식자하는 패키지였다.
+%\wi{은광희}의 H\LaTeX\ 1.0.1의 \LaTeX\ 파트를 바탕으로 약간의 수정을 가한 상태로
+%\kotex\ 1.0에 포함되어 있었다.
+%\item \textbf{untype1}.\index{은글꼴 type 1} 은글꼴 type 1 폰트 묶음이다. 역시 ``개발중단''
+%상태이고 \kotex\ 2.0에서는 불필요하나 이 글꼴 묶음을 필요로 하는 분이 계실 것을 감안하여 당분간
+%\kotex\ 저장소를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footnote{참고로, 그동안 \kotex 은 편의를 위하여
+% 은글꼴 트루타입도 함께 배포해왔으나, 이것은 원래부터 \kotex 의 일부는 아니었고 단지
+% 은글꼴 트루타입을 기본 글꼴로 간주한 패키지가 존재했던 데서 연유한다.}
+%\item \textbf{kotex-euc-utils}. \pkg{kotex-euc} 패키지에 딸려 있는
+%유틸리티들이다. \util{hmakeindex}와 \util{hbibtex}으로 이루어져 있다.
+
+%이밖에 \kotex 의 일부는 아니지만 이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패키지는 다음과 같다.
+%\begin{enumerate}[(1)]
+%\item \textbf{nanumtype1}. CTAN에 등록되어 있는 (유니코드) 한글 type 1 글꼴이다. 패키지의 관리자는 \kotex 의 주개발자인 \wi{김도현}이다.
+%\end{enumerate}
+
+%\begin{figure}
+%\centering
+%\includegraphics[width=.95\linewidth]{fig/whatkotexconsistof}
+%\caption{\protect\kotex 의 연혁과 구성}\label{fig:consistsof}
+%\end{figure}
+
+\section{간단한 연혁}
+
+\subsection{\protect\kotex 의 탄생 (2007)}
+
+\begin{figure}[t]
+\centering
+\includegraphics[width=\linewidth]{fig/histkotex}
+\caption{\protect\kotex 의 탄생}\label{fig:hist}
+\end{figure}
+
+그림~\ref{fig:hist}\는 H\LaTeX 에서 출발하여 \kotex 에 이르는
+한글 텍의 발전 과정을 요약한 것이다.
+
+2007년 6월 30일, 한국텍학회 모임에서, \wi{은광희}\cntrdot \wi{김도현}\cntrdot 김강수 등
+한글 라텍 및 hangul-ucs의 저자들과 KTS 임원\cntrdot 회원 등이 모인 자리에서
+이 두 한글 매크로 패키지를 통합하여 \wi{통합 한글 텍 패키지}를 제작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이다. 이것은 그동안 한글 사용에 있어서 둘 이상의 패키지가
+존재함으로 인해 빚어진 혼란을 불식하고 향후 한글 텍/라텍의 발전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일보전진이었고, 한글 라텍으로부터
+오랜 시간 발전해 온 라텍에서의 한글 사용을 총체적으로 점검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는 결정이었다.
+
+그로부터 일 개월 정도의 작업을 통하여 \kotex\ 베타 버전이 공개되었다.
+\kotex 은 Unicode/UTF-8 인코딩과 EUC-KR을 모두 지원하기로 하였으나
+원칙적으로 향후의 발전 방향은 Unicode로 합의하였다. 또한 \wi{은광희}의
+UHC 글꼴을 발전시킨 `은글꼴 type 1'을 기본 글꼴로 채택하고 이를
+EUC-KR 버전에도 적용시킴으로써, 폰트를 둘러싼 이런저런 불편한 점을
+일소하였으며, pdf 제작 및 매크로의 호환성과 안정성에 있어서
+몇 가지 중요한 진보를 이루었다.
+
+\subsection{그 후의 발전}
+
+\kotex 은 \TeX\,Live\index{TeX Live}에 대응하여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2008년부터
+\TeX\,Live의 사설 저장소를 만들고 이를 통하여 \kotex 을 배포해왔다.
+이 시기의 중요한 사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egin{itemize}
+\item KTUG을 통해 이루어진 Hanyang PUA project의 결과, 고문헌
+조판에 필요한 유틸리티를 갖추게 되었다.
+\item \XeTeX-\ko와 \LuaTeX-\ko가 개발되었다.
+글꼴의 제약이 사라짐으로써 누리게 된 이점 때문에 사실상 \XeLaTeX 을
+한글 문헌 조판에서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pkg{oblivoir}의 \XeTeX 판인 \pkg{xoblivoir}가 별도로 개발되었다.
+\item \pkg{cjk-ko}, \pkg{nanumtype1}, \pkg{luatexko}, \pkg{xetexko}가 \TeX\,Live를 통해 배포되기 시작하였다.
+\end{itemize}
+
+현재 한글 문헌을 가장 안정적으로 조판할 수 있는 것은
+\XeTeX-\ko이다. \LuaTeX-\ko는 실험적인 성격이 강하고,
+레거시 텍을 위한 \kotex-utf는 하위호환성이나 특수한 상황\footnote{%
+ 모바일 기기에서 텍을 이용한다든가 하는 상황. 특히 \pkg{cjk-ko}는
+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정도가 되었다.
+특히 유니코드 텍 엔진의 등장은 \kotex 을 개발하면서 직면했던 많은 고민들,
+예컨대 글꼴 사용의 문제 같은 것을 일소할 수 있게 하였다.
+
+\section{\kotex 의 로고}
+
+\kotex 의 로고는 다음과 같다.
+\begin{center}
+\LARGE\kotex
+\end{center}
+\begin{boxedverbatim}
+\newcommand*\koTeX{%
+ \textsf{k}\kern-0.0625em\textit{o}\kern-0.11em%
+ \lower.15ex\hbox{.}\kern-0.1em\protect\TeX}
+\end{boxedverbatim}
+이 로고는 \kotex 의 견고함과 아름다움, 그리고 유연한 표현능력을 상징한다.
+\pkg{kotex-logo} 패키지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cmd{\usepackage\{kotex-logo\}}를
+선언하면 \cmd{\koTeX} 명령을 쓸 수 있다.
+
+\section{개발자와 라이선스}
+
+\kotex 의 주개발자는 다음과 같다. 개발자는 LPPL의 maintainer를 겸한다.
+\begin{description}\tightlist
+\item [\kotex-utf] \wi{김도현}, 김강수 (LPPL, maintained)
+\item [\XeTeX-\ko] \wi{김도현} (LPPL, maintained)
+\item [\LuaTeX-\ko] \wi{김도현} (LPPL, maintained)
+\item [cjk-\ko] \wi{김도현} (GPL, LPPL)
+\item [oblivoir] 김강수, 이기황 (LPPL, maintained)
+\item [\kotex-euc] \wi{은광희}, \wi{김도현}, 김강수 (obsolete)
+\item [untype1]\index{은글꼴 type 1} \wi{은광희}, \wi{박원규}, \wi{김도현}, 김강수 (obsolete)
+\end{description}
+
+\pkg{untype1}과 \pkg{cjk-ko}의 일부 파일을 제외한 모든 패키지가 LPPL 라이선스를 가진다.\footnote{참고로, untype1은 GPL이다.}
+
+\chapter{kotex.sty}
+
+\section{패키지 사용 선언}\label{sec:kotexsty}
+
+\kotex\ 전체를 통틀어 \pkg{kotex}이라는 패키지를 부르는 것으로
+한글 사용을 선언할 수 있다.
+이 패키지는 현재 동작하는 \TeX\ 엔진과 주어진 옵션에 따라 적절한
+\kotex\ 패키지를 불러오는 wrapper 역할을 한다.
+
+\begin{boxedverbatim}
+\usepackage[<options>]{kotex}
+\end{boxedverbatim}
+
+줄 수 있는 옵션은 실제 호출되는 한글 패키지의 기능과 동작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option{hangul}
+옵션은 특기할 만하며, 문서의 줄 간격, `이름' 등을 한글화한다.
+\option{hanja}도
+이와 비슷한데, 기본적으로 \option{hangul}을 적용한 후에 캡션 등을
+한자화한다.
+이 두 옵션은 모든 \kotex\ 패키지군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
+\begin{table}
+\centering
+\caption{실제로 동작하는 \kotex\ 패키지}\label{tab:engines}
+\begin{tabular}{c|c|c}
+\hline
+\cmd{\usepackage} & 대응 엔진 & 동작하는 패키지 \\ \hline \hline
+\cmd{[cjk]\{kotex\}} & \pdfLaTeX & \pkg{cjkutf8-ko} \\ \hline
+\cmd{...\{kotex\}} & \pdfLaTeX & \pkg{dhucs} \\ \hline
+\cmd{...\{kotex\}} & \XeLaTeX & \pkg{xetexko} \\ \hline
+\cmd{...\{kotex\}} & \LuaLaTeX & \pkg{luatexko} \\
+\hline
+\end{tabular}
+\end{table}
+
+\tref{tab:engines}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호출 명령을 주어도
+실제로 동작하는 한글 패키지가 어떤 것이냐 하는 것은 실행되는
+텍 엔진과 옵션에 따라 달라진다.
+
+\section{\protect\pdfLaTeX\ 또는 \LaTeX 으로 컴파일}
+
+\noindent\cmd{\usepackage[cjk]\{kotex\}}
+
+위와 같이 \option{cjk}가 주어지면 \pkg{cjk-ko} 패키지를 부른다.
+정확하게는 \pkg{cjkutf8-ko.sty}라는 파일을 불러온다.
+%추가할 수 있는 동작은 \option{hangul}, \option{hanja},
+%\option{nojosa}라는 공통 옵션 이외에 \option{usedotemph},
+%\option{usecjkt1font}가 있다. 각각의 의미와 동작에 대해서는
+%\Cref{chap:docu}에서 언급한 문서를 보라.
+
+\bigskip
+
+\noindent\cmd{\usepackage[utf]\{kotex\}}
+
+\koTeX-utf 패키지로 한글을 처리한다. 이것이 기본값이다.
+%\pkg{dhucs.sty}를 찾는다. 이것이 기본값이며,
+%이 문서의 제\,\ref{part:two}\,편에서 설명하는 것이 이 경우의
+%문서 작성법이다.
+%\XeTeX과 같은 새로운 엔진이 등장하기 전에
+%\kotex 이라 하면 \pkg{dhucs}를
+%통하여 \pdfLaTeX 으로 한글을 식자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었다.
+%기본값이므로 \option{utf}를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추가 옵션에 대해서는 이 문서의 해당 부분(제\,\ref{part:two}\,편)을 참고하라.
+
+\section{\XeLaTeX\ 또는 \LuaLaTeX 으로 컴파일}
+
+각각 \pkg{xetexko.sty}와 \pkg{luatexko.sty}를 찾는다.
+즉 \cmd{\usepacakge\{kotex\}}을 지정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util{xelatex}으로 문서를 컴파일한다면 전혀 다른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인 셈이다.
+
+이 엔진과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은 종래의 \pdfLaTeX 으로 작업하는 것과는
+몇몇 부분이 다르다. 따라서 해당 문서를 잘 읽고 이에 대응해야 한다.
+그러나 \option{hangul}, \option{hanja} 옵션은 여전히
+비슷한 의미로 동작한다.
+
+\section{엔진별 동작의 예시}
+
+어떤 문서를 작성하였고, 어떤 엔진으로 컴파일될지 모르는 상황이라면
+되도록 호환성있게 원본 자체를 작성하면 좋을 것이다.
+이럴 때 요긴하게 쓸 수 있는 패키지로 \pkg{iftex}이 있다.
+다음 보기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는 한 가지 예이다. (cjk-\ko를 이용하는
+경우는 예시에서 제외되었다.)
+
+\begin{boxedverbatim}
+\documentclass{article}
+
+\usepackage[hangul]{kotex}
+
+\usepackage{iftex}
+\ifPDFTeX
+ \usepackage{dhucs-nanumfont}
+\else\ifXeTeX
+ \setmainhangulfont{NanumMyeongjo}
+\else\ifLuaTeX
+ \setmainhangulfont{NanumMyeongjo}
+\fi\fi\fi
+\end{boxedverbatim}
+
+%\section{pdf 문서 작성을 위한 설정}\label{sec:makepdf}
+%
+%%\subsection{pdf bookmark}
+%%
+%%%\paragraph{pdf bookmark}
+%%
+%%\pkg{hyperref}에
+%%\option{pdfencoding = auto} 옵션을 지정하는 것으로 pdf bookmark 문제가
+%%모두 해결된다.\footnote{%
+%% 과거 \XeTeX 을 사용할 때는 \option{unicode} 옵션을 선언하지
+%% 않고 \LuaTeX 이나 \pdfTeX 에서는 \option{unicode}를 선언하도록
+%% 권장했다. 이 방법은 여전히 유효하나 \option{pdfencoding=auto}를
+%% 쓰면 엔진에 따라 옵션을 달리 주어야 할 필요가 없다.}
+%%\begin{verbatim}
+%%\usepackage{kotex}
+%%\usepackage{pdfencoding=auto,bookmarks]{hyperref}
+%%\end{verbatim}
+%%%여기서는 \option{unicode} 옵션이 반드시 지정되어야 한다.
+%%%\option{pdftex}은 컴파일 상황에 따라 \option{dvipdfmx}
+%%%또는 \option{dvips}를
+%%%지정할 수 있다.
+%%%
+%%%위의 예에 상당하는 컴파일 절차 예시는 다음과 같다.
+%%%\begin{verbatim}
+%%%$ (pdf)latex foo
+%%%$ (pdf)latex foo
+%%%$ (dvipdfmx foo)
+%%%\end{verbatim}
+%
+%\subsection{텍스트 검색과 추출}
+%pdf 문서의 텍스트 검색과 추출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것은 어떤 드라이버로 pdf를 생성하느냐에 따라 조금 달라지는데, 일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egin{description}
+%\item[dvipdfmx] type 1 글꼴을 매우 잘 처리하고
+%이로부터 검색 및 추출이 가능한 pdf를 만들어낸다. 별도의 조치가
+%필요없다.
+%\item[dvips] 트루타입을 처리하지 못하는 점 때문에 이전부터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었으나 type 1 폰트를 사용하는 한
+%검색 추출에 문제는 없다. 역시 별도의 조치가 필요없다.
+%\item[pdftex] 이때는 \cmd{\pdfgentounicode}를
+%활성화해주어야 한다.
+%\end{description}
+%그러므로 \wi{전처리부}(preamble)\explpunc.\cmd{\begin\{document\}} 명령이 놓이기 전.\ 에 다음과 같이 선언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begin{verbatim}
+%\ifpdf
+% \input glyphtounicode
+% \pdfgentounicode=1
+%\fi
+%\end{verbatim}
+%
+%어떤 드라이버를 사용하든 모두 포스트스크립트 윤곽선 글꼴이 사용되고,
+%pdf 북마크가 잘 만들어지며 한글 텍스트의 검색과 추출이 자유롭다.
+%
+%\paragraph{oblivoir}
+%\pkg{oblivoir}는 위의 절차를 모두 자동화해두었다.
+
+%\subsection{\LuaTeX, \XeTeX}
+%
+%이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 기본 output이 pdf 포맷이다.
+%pdf bookmark의 경우만이 문제가 되는데, \pkg{hyperref}을 사용할 때
+%\begin{verbatim}
+%pdfencoding = auto
+%\end{verbatim}
+%옵션을 쓰면 \pdfTeX, \XeTeX, \LuaTeX 을 불문하고 책갈피에서 한글이 깨지지 않게 해준다.
+%
+%과거에는 \XeTeX\ 사용시에 \option{unicode} 옵션을 주지 않아야 하는 데
+%주의해야 했으나 위와 같이 하면 자동적으로 처리된다.
+
+\chapter{문서와 도움말}\label{chap:docu}
+
+\koTeX 은 컴파일 엔진에 따라 동작하는 패키지가 다르다.
+각각의 패키지는 별도의 사용안내서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법에 대한 안내를 얻으려면 각 패키지별 문서들을 참조하여야 한다.
+문서를 읽을 때는 \TeX\,Live 유틸리티 \util{texdoc}을 이용한다.
+이 문서 자체는 명령행에서 \cmd{texdoc kotex}으로 읽을 수 있다.
+
+\begin{description}
+\item [\kotex-utf] kotex-utf-doc 문서를 찾아 읽는다. 명령행에서 \cmd{texdoc kotex-utf}
+명령을 내려 읽을 수 있다.
+\item [cjk-ko] cjk-ko-doc 문서를 찾아 읽는다. 명령행에서 \cmd{texdoc cjk-ko} 명령을 내리면 읽을 수 있다.
+\item [\XeTeX-\ko] xetexko-doc 문서를 찾아 읽는다. 명령행에서 \cmd{texdoc xetexko} 명령을 내리면 읽을 수 있다.
+\item [\LuaTeX-\ko] luatexko-doc 문서를 찾아 읽는다. 명령행에서 \cmd{texdoc luatexko} 명령을 내리면 읽을 수 있다.
+\item [oblivoir] memoir 안내서를 보아야 한다. 이것은
+\cmd{texdoc memman} 명령으로 읽을 수 있다.. 한편, 한글화 부분에 대한 사항을 참고하려면 \cmd{texdoc ultrasimple} 명령으로 볼 수 있는 문서를 참고한다.
+\end{description}
+
+%%2.0 버전에서 제외된 패키지들을 굳이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kotex-euc와 \pkg{untype1}의
+%사용법을 알려면 다음 문서를 참고하라.
+%
+%\begin{description}
+%\item [kotexguide] \kotex\ 0.1.0 사용자 설명서이다.
+%특히 \kotex-euc\index{Packages!kotex-euc}와 \pkg{untype1}\index{은글꼴 type 1}에 관한 방대한 사용 설명이 존재한다.
+%\pkg{kotex-euc}를 설치하면 포함되어 있다.
+%\end{description}
+
+
+\chapter{배포와 설치}
+
+\section{CTAN을 통한 배포}
+%현재 \kotex 은
+%\begin{enumerate}[(1)]
+%\item \wi{CTAN}\footnote{\url{http://ctan.tug.org}}에 등재
+%\item \kotex\ 사설 저장소\footnote{\url{http://ftp.ktug.org/KTUG/texlive}}를 통하여 배포
+%\end{enumerate}
+
+현재 \kotex\ 패키지군은 거의 모두
+CTAN에 등재되었다. CTAN을 통해 배포되는 패키지는 다음과 같다:
+\begin{quote}
+\pkg{kotex-utf}, \pkg{xetex-ko}, \pkg{luatex-ko},
+\pkg{cjk-ko}, \pkg{kotex-oblivoir}, \pkg{kotex-utils},
+\pkg{kotex-plain}, \pkg{nanumtype1}
+\end{quote}
+
+이 가운데, \pkg{kotex-plain}, \pkg{cjk-ko}, \pkg{xetex-ko},
+\pkg{kotex-utf}는 서로 필요로 하는 파일이 의존되어 있어 함께
+설치하는 것이 좋다. \pkg{luatex-ko}에서도 \pkg{xetex-ko}에서
+필요한 파일을 찾을 때가 있다.
+
+\hologo{pdfLaTeX}을 사용하려면 (다른 폰트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pkg{nanumtype1}이 필요하다. 이 역시
+CTAN을 통해 배포된다.
+
+%\kotex\ 패키지군 가운데 2013년 11월 현재 CTAN에 등재되어 있는 것은
+%\pkg{cjk-ko}, \pkg{xetexko}, \pkg{luatexko}, 세 종류이다.
+%이들은 \TeX\,Live\index{TeX Live} 배포판에도 포함되어 있다.
+%\pkg{nanumtype1} 패키지 역시 그러하다.
+
+%\kotex\ 사설 저장소에는 이보다 많은 패키지가 서비스되고 있다. \kotex-utf의
+%매크로와 유틸리티도
+%이곳에서 배포된다.\footnote{%
+% 멀지 않은 장래에 \pkg{dhucs}, 즉 \kotex-utf도 CTAN을 통하여 배포될 전망이다.}
+
+CTAN에 등재된 패키지들은 각 배포판의 패키지로서 배포된다. \TeX\,Live와
+MiK\TeX 에 \koTeX 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
+\TeX\,Live는 한글 관련 패키지와 유틸리티, 문서를 \pkg{collection-langkorean}이라는 콜렉션 패키지로 묶어서 배포한다.
+
+\section{github 저장소}
+
+\begin{itemize} \oblivoirlist
+\item \textbf{kotex-plain} \url{https://github.com/kihwanglee/kotex-plain}.
+\item \textbf{kotex-utf} \url{https://github.com/kihwanglee/kotex-plain}.
+\item \textbf{kotex-utils} \url{https://github.com/kihwanglee/kotex-utils}.
+\item \textbf{kotex-oblivoir} \url{https://github.com/kihwanglee/kotex-oblivoir}.
+\item \textbf{xetexko}. \url{https://github.com/dohyunkim/xetexko}.
+\item \textbf{luatexko}. \url{https://github.com/dohyunkim/luatexko}.
+\item \textbf{cjk-ko}. \url{https://github.com/dohyunkim/cjk-ko}.
+\end{itemize}
+
+\section{KTUG 사설 저장소}
+
+과거 \kotex 이 CTAN에 등재되기 전에 KTUG은 \kotex\ 사설 저장소를 운영하여 \TeX\,Live에서의 설치를 지원하였다(2008--2013).
+
+현재 사설 저장소는 CTAN에 등재하면서 제외된 \kotex-euc 파트와 은 글꼴(트루타입, type1) 및 KTUG에서 제작된 유용한 패키지와 유틸리티들을 추가적으로 서비스하는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에서 서비스되는 패키지는 \pkg{kotex-base}, \pkg{kotex-extra}, \pkg{jiwonlipsum}, \pkg{kotex-midkor}, \pkg{kotex-euc}인데 필수적인 패키지는 모두 CTAN으로 올라갔고 \kotex 의 기능을
+%확장하는 보충적인 패키지들이 사설 저장소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
+%CTAN에 등재된 패키지들은 \TeX\,Live, MiK\TeX\ 등의 텍 배포판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TeX\,Live를 설치한 경우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도
+%\kotex\ 관련 패키지를 설치 운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사설 저장소는 파일들을 몇 가지 ``설치용'' 패키지로 나누어서 제공한다.
+2014년 5월 현재 사설 저장소를 통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footnote{%
+ 여기서 `패키지'란 \LaTeX\ 매크로 패키지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 저장소에서 파일을 구분하는 단위를 말한다.}
+\begin{description} \tightlist
+%\item [\texttt{collection-kotex}] 중요한 설치 패키지를 한꺼번에 관리하기 위한
+%메타패키지이다. 여기에는 \file{kotex}, \file{kotex-utils}, \file{jiwonlipsum},
+%\file{kotex-dev}가 포함된다.
+%\item [\texttt{kotex}] \pkg{dhucs} 관련 파일의 묶음이다.
+%\item [\texttt{kotex-dev}] \pkg{oblivoir} 관련 파일 묶음이다.
+%\item [\texttt{kotex-utils}] \kotex 이 제공하는 유틸리티 프로그램과 스타일 패키지를 포함한다.
+\item [\texttt{kotex-euc}] 이전 버전 \kotex 의 euc-kr 한글 식자 관련 파트이다. 이 패키지를 사용하려면 \pkg{unfonts-base}가 필요하다.
+\item [\texttt{unfonts-base-type1}] 은글꼴 type 1과 트루타입이다.
+%kotex-base라는 이름은 종래 은글꼴이 \kotex 의 기본 글꼴이었던 데서 연유한다. 이 명칭은 지금 형편에 맞지 않으므로 추후 개명될 전망이다.
+은바탕, 은돋움, 은그래픽, 은타자 글꼴이 포함되어 있다.
+\item [\texttt{unfonts-other-type1}] 은글꼴 type 1과 트루타입으로 base에 포함되지 않은 것들이다.
+\item [\texttt{nanumbaruntype1}] 나눔바른고딕의 type 1 글꼴이다.
+\item [\texttt{kotex-midkor}] 옛한글 식자에 필요한 패키지와 폰트 묶음이다.
+\item [\texttt{jiwonlipsum}] lipsum의 한글화 버전이다.
+\item [\texttt{hcr-lvt}] 함초롬 LVT 글꼴 (트루타입).
+\item [\texttt{nanumttf}] 나눔 글꼴 (트루타입).
+\end{description}
+
+\kotex\ 사설 저장소는\index{ko.TeX repository} \TeX\,Live의 \util{tlmgr} 유틸리티를 통하여
+간단히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먼저 다음 명령을 내리면 저장소가 등록된다.
+\begin{verbatim}
+$ tlmgr repository add http://ftp.ktug.org/KTUG/texlive/tlnet/ ktug
+\end{verbatim}
+이제 이 저장소를 이용하기 위하여 \TeX\,Live의 texmf 트리 아래의 \file{tlpkg} 디렉터리(이를테면 \texttt{/usr/local/texlive/texmf-local/tlpkg})에
+\begin{boxedverbatim}
+ktug:*
+\end{boxedverbatim}
+이라는 내용을 갖는 \file{pinning.txt} 파일을 만들고
+\begin{verbatim}
+$ tlmgr install unfonts-base-type1
+$ tlmgr remove unfonts-base-type1
+\end{verbatim}
+명령을 통하여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
+%이 문서를 오류없이 컴파일하기 위해서는 KTUG 사설 저장소로부터 \pkg{kotex-midkor} 패키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
+%%
+%%\bigskip
+%%
+%%
+%%%다음 설치 패키지들도 함께 제공한다.
+%%%\begin{description} \tightlist
+%%%\item [\texttt{kotex-euc}] \pkg{kotex-euc}와 \pkg{kotexguide} 등 이전 버전에
+%%%포함되어 있던 파트를 서비스한다.
+%%%\item [\texttt{kotex-base}] \pkg{untype1}이다. 이름이 kotex-base로 되어 있는 것은
+%%%예전 버전에서 은글꼴 type 1이 기본 글꼴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이 명칭은 지금 형편에 맞지 않으므로
+%%%추후 개명될 전망이다.
+%%%은바탕, 은돋움, 은그래픽, 은타자 글꼴이 포함된다.
+%%%\item [\texttt{kotex-extra}] \pkg{untype1}의 extra 부분이다.
+%%%\end{description}
+%%
+%%이들 각각을 자신의 \TeX\,Live 시스템에 설치하려면
+%%\begin{verbatim}
+%%$ tlmgr install kotex-midkor
+%%\end{verbatim}
+%%와 같은 방식의 명령을 내리면 된다.
+
+%\section{\kotex\,Live}\index{ko.TeX Live}
+%
+%\wi{한국텍학회}와 \wi{KTUG}에서는 텍 시스템과 \kotex\ 설치와 운영에 곤란을 겪는
+%\wi{윈도우즈 운영체제} 사용자를 위하여 \TeX\,Live와 \kotex 을 한번에
+%설치할 수 있게 도와주는 설치 프로그램 \kotex\,Live를 제공하고 있다.\index{ko.TeX Live}
+%
+%저장소의 등록, 관리와 같은 번거로운 절차를 자동화하였고 한글 문서 작성에
+%필요한 도구와 예제를 제공한다. 윈도우즈 상에서 \kotex 을 설치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KTUG\footnote{\url{http://www.ktug.org}}을
+%방문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section{\TeX\,Live 이외의 텍 배포판의 경우}
+%
+%예컨대 윈도우즈의 MiK\TeX 과 같은 배포판이라면, 적어도 CTAN에 등재된
+%패키지는 설치가 가능하다. 즉 현재 \pkg{cjk-ko}, \pkg{xetex-ko}, \pkg{luatex-ko}, \pkg{kotex-utf}, \pkg{kotex-plain}, \pkg{kotex-oblivoir}
+%MiK\TeX 의 패키지매니저를 이용하여 설치 운용할 수 있다.\index{MiKTeX}
+%
+%\util{tlmgr}이 없는 텍 배포판이라도 \TeX\,Live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면 마찬가지로 \kotex 을 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적어도 \file{collection-langkorean}라는 콜렉션 패키지를 설치하면 된다.
+%
+%그 이외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kotex\ 패키지 저장소를 직접 방문하여 자신의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 이 글에서는 더 다루지 않겠다.
+
+
+\end{document}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pdf b/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utf-doc.pdf
index b303f400a1..6ad7a346cc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pdf
+++ b/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utf-doc.pdf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tex b/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utf-doc.tex
index 70f07fb777..0ba908ebb5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doc.tex
+++ b/language/korean/kotex-utf/doc/kotex-utf-doc.tex
@@ -3,6 +3,7 @@
% arara: pdflatex: {synctex: yes}
% arara: komkindex: {style: kotex}
% arara: pdflatex: {synctex: yes}
+%%
%%% file `kotexdoc.tex`
%% Written by Kangsoo Kim <karnes at ktug kr>
%%
@@ -10,7 +11,7 @@
%% 2013/11/07
%% 2014/03/01, \ksnamedef
%%
-%% part of ko.TeX v2.0
+%% part of ko.TeX v3.0
%% LPPL, maintained.
%
\documentclass[a4paper,%
@@ -33,7 +34,7 @@
\SetGremphFonts{nanumgt}{nanumgt}
\usepackage[normalem]{ulem}
\usepackage{dhucs-trivcj}
- \usepackage{dhucs-midkor}
+% \usepackage{dhucs-midkor}
\input sample-finemath-setup.tex
\usepackage[T1]{fontenc}
\renewcommand{\rmdefault}{nanummj}
@@ -56,6 +57,9 @@
\SetHangulspace{1.5}{1.1}
\usepackage{hologo}
+\usepackage{kotex-logo}
+\usepackage{ruby}
+\def\rubysep{-1ex}
\def\pdfTeX{\hologo{pdfTeX}}
\def\pdfLaTeX{\hologo{pdfLaTeX}}
\def\XeTeX{\hologo{XeTeX}}
@@ -66,9 +70,9 @@
\newcommand*\kotex{\texorpdfstring{\textsf{k}\kern-0.0625em\textit{o}\kern-1.5pt\lower.15ex\hbox{.}\kern-1pt\protect\TeX}{ko.TeX}}
\def\ko{\textsf{k}\textit{o}}
\def\kotexplain{\kotex-\hologo{plain}}
-\newcommand\kotexversion{v2.0}
+\newcommand\kotexversion{v3.0}
%\newcommand\kotexdate{2013년 11월}
-\newcommand\kotexdate{2014년 5월}
+\newcommand\kotexdate{2021년 7월}
%\usepackage[
% backend=biber,
@@ -84,14 +88,6 @@
%\addbibresource{texbook3.bib}
%
-\newenvironment{preamtext}{%
- \section*{일러두기}
-}{\clearpage}
-
-\newenvironment{preamtexttwo}{%
- \section*{제2판 일러두기}
-}{\clearpage}
-
\def\util#1{\texttt{#1}\index{Utilities!#1}\index{#1}}
\def\pkg#1{\textsf{#1}\index{Packages!#1}}
\def\option#1{\texttt{[#1]}\index{Options!#1}}
@@ -112,11 +108,13 @@
\makeindex
+\usepackage{kotex-varioref}
+
\begin{document}
\frenchspacing
-\title{한국어 텍 \kotex~\kotexversion~사용 설명서}
+\title{\kotex-utf~\kotexversion~사용 설명서}
\author{김강수}
\date{\kotexdate}
@@ -125,567 +123,35 @@
\end{titlingpage}
\frontmatter
-
-\begin{preamtexttwo}
-2007년에 \kotex 이 만들어진 이후, 이 패키지는 사실상 한국어 문헌의
-조판과 식자에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패키지가 되었습니다.
-저자들은 이에 대해 매우 자랑스러움을 느끼고 있으며, 개선을 위해 고언을
-마다하지 않으신 사용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
-2007년 이후, 텍 사용환경에는 극적이라 해도 좋을 만한 변화가 초래되었습니다.
-특히 \XeTeX 이나 \LuaTeX 과 같은 새로운 엔진이 등장하여,
-한글 식자 문제에 있어 결정적인 진보를 이룬 것은 특기할 만한 것입니다.
-\kotex 의 저자들은 이와 같은 텍 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XeTeX-\ko, \LuaTeX-\ko와 같은 패키지를 개발하여 한글 사용을 더 쉽고 강력하게 만드는 데 헌신해왔습니다.
-
-이에 2013년에 접어든 지금, \kotex 을 전반적으로 정비하고 그 사용 설명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kotex 은 더 발전할 것이고, 더 훌륭한 한글 문헌의
-조판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
-이 문서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bigskip
-
-\hfill 2013년 9월
-
-\hfill (대표필자) 김강수 (識)
-
-\end{preamtexttwo}
-
-\begin{preamtext}
-\kotex 은 H\LaTeX 과 hangul-ucs가 결합하여 탄생한, 명실
-상부한 ``한국어(한글) 텍 시스템''입니다. ``한글 라텍(H\LaTeX)''은 1990년대 이후
-텍에서의 한글 사용에 \dotemph{사실상 표준}이었으며, hangul-ucs는
-한글 라텍의 현저한 영향 아래서 성장한 유니코드 한글 텍 매크로였던 것입니다.
-
-이제 한국텍학회(KTS)의 주도 아래, 한글 라텍과 hangul-ucs가
-하나의 매크로 시스템으로 통합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와 더불어 더욱 알차고 유용한 사용자 안내서를 작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
-한글 라텍의 표준 문서였던 ``한글 라텍 길잡이''(\wi{은광희})는 아마도 가장 많이
-읽힌 한글로 된 라텍 관련 문서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이 문서는 단순히 한글
-사용법을 넘어서서, 텍에 입문하는 데 있어서도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
-이 문서는 한글 라텍 길잡이를 바탕으로 \kotex 에 맞도록 개정하여
-쓴 것입니다. 감사의 말과 머리말은 거의 그대로 보존하였으며, \kotex 이
-등장하는 경과를 설명하는 소절을 하나 추가하는 정도에 그쳤습니다.
-다만 문체의 일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 일러두기와 감사의 말을 제외하고는
-경어체를 평어체로 고쳐썼습니다. 또한
-사용법에 있어서 한글 라텍 이후의 여러 가지 발전 사항을 새로운 편제로
-서술하려 하였습니다. 지나치게 기술적인 서술을 피하고 실제 사용자에게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데 이 문서의 목적이 있습니다.
-
-이 문서가 \kotex 을 사용하는 분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뜻하지 않은 잘못된 내용이나 실수, 빠진 내용, 오식을 바로잡아 주시면 더 나은
-사용자 안내서를 만드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bigskip
-\rightline{2007년 7월}
-\rightline{\wi{은광희} \wi{김도현} 김강수 (識)}
-
-\end{preamtext}
-
\tableofcontents*
\mainmatter
\pagestyle{hangul}
-\part{총론}
-
-\chapter{\kotex 에 관하여}
-
-\section{\kotex 의 구성}
-
-\kotex\footnote{\kotex은 텍스트
- 상황에서 \texttt{ko.TeX}이라고 쓰고 ``케이오텍'' 또는
- ``코리언 텍''이라고 읽는다. ``코텍'' 또는 ``코텍스''라고
- 읽지 않기를 희망한다.
- \texttt{ko}는 한국어를 의미하는
- 국제부호에서 취한 것이다. \texttt{ko}를 소문자로 쓴다.}%
-은 한국어/한글 식자를 위한 \TeX, \LaTeX\ 패키지군을 아울러 부르는 말이다.
-\wi{한국텍학회}(KTS; Korean \TeX\ Society)에서 공식적으로 개발을 후원하고 배포를 담당하고 있으며,
-주개발자인 \wi{김도현} 이외 많은 기여자들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
-2013년 현재, \kotex 은 다음과 같은 패키지들을 총칭하는 것이다.
-\begin{enumerate}[(1)]
-\item \textbf{\kotex-utf}. 유니코드 (UTF-8) 한글
-식자 패키지로서, ``legacy \TeX\ 엔진'' ({\small \util{tex}, \util{latex}, \util{pdftex}, \util{pdflatex}을 실행하는 경우 운용되는 \TeX\ 엔진})에
-대응한다. \LaTeX 을 위한 \pkg{dhucs}와 \hologo{plainTeX}을 위한 \pkg{kotexplain}, 그 부수파일들로 이루어져 있다.\index{dhucs}
-\item \textbf{cjk-\ko}. Werner Lemberg의 \pkg{CJK} 패키지를 이용하여
-유니코드 한글을 식자하는 패키지이다. legacy \TeX\ 엔진에 대응한다.
-이 패키지는 그 기원과 동작이 \kotex 과는
-제법 다르게 출발하였지만 \kotex 의 몇 가지 중요한 기능\explpunc.자동조사 등.\ 을 구현하고 있는 등, 여러 면에서 \kotex 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cmd{\usepackage\{kotex\}} 문법을 사용한다.
-\item \textbf{\XeTeX-\ko}. \XeTeX\ 엔진에 대응하는 한글 식자 패키지이다.
-\item \textbf{\LuaTeX-\ko}. \LuaTeX\ 엔진에 대응하는 한글 식자 패키지이다.
-\item \textbf{oblivoir}. \pkg{memoir} 클래스를 이용하여 한글 문서를 작성하도록 도와주는 클래스와 패키지 묶음이다.
-\item \textbf{\kotex\ utilities}. 한글 문서 작성에 필요한 유틸리티들이다.
-예를 들면 색인을 만들기 위한 \util{komkindex}와 \util{xindy modules} 등이 포함되어 있다.
-\end{enumerate}
-다음 패키지는 이전 버전까지 \kotex 에 포함되어 있던 것들이나, 2.0 버전에서
-제외되어 현재 ``개발 중단(obsolete)'' 상태로 간주되는 것들이다. 이 패키지들은
-편의를 위하여 현재까지 \kotex\ 저장소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begin{enumerate}[(1)]
-\item \textbf{kotex-euc}. EUC-KR 한글을 식자하는 패키지였다.
-\wi{은광희}의 H\LaTeX\ 1.0.1의 \LaTeX\ 파트를 바탕으로 약간의 수정을 가한 상태로
-\kotex\ 1.0에 포함되어 있었다.
-\item \textbf{untype1}.\index{은글꼴 type 1} 은글꼴 type 1 폰트 묶음이다. 역시 ``개발중단''
-상태이고 \kotex\ 2.0에서는 불필요하나 이 글꼴 묶음을 필요로 하는 분이 계실 것을 감안하여 당분간
-\kotex\ 저장소를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footnote{참고로, 그동안 \kotex 은 편의를 위하여
- 은글꼴 트루타입도 함께 배포해왔으나, 이것은 원래부터 \kotex 의 일부는 아니었고 단지
- 은글꼴 트루타입을 기본 글꼴로 간주한 패키지가 존재했던 데서 연유한다.}
-%\item \textbf{kotex-euc-utils}. \pkg{kotex-euc} 패키지에 딸려 있는
-%유틸리티들이다. \util{hmakeindex}와 \util{hbibtex}으로 이루어져 있다.
-\end{enumerate}
-
-이밖에 \kotex 의 일부는 아니지만 이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패키지는 다음과 같다.
-\begin{enumerate}[(1)]
-\item \textbf{nanumtype1}. CTAN에 등록되어 있는 (유니코드) 한글 type 1 글꼴이다. 패키지의 관리자는 \kotex 의 주개발자인 \wi{김도현}이다.
-\end{enumerate}
+%\part{\kotex-utf 사용설명}\label{part:two}
-%\begin{figure}
-%\centering
-%\includegraphics[width=.95\linewidth]{fig/whatkotexconsistof}
-%\caption{\protect\kotex 의 연혁과 구성}\label{fig:consistsof}
-%\end{figure}
+\part{\kotex-utf 사용설명서}\label{part:two}
-\section{간단한 연혁}
+\section*{3.0에서 달라진 점}
+\addcontentsline{toc}{section}{3.0에서 달라진 점}
-\subsection{\protect\kotex 의 탄생 (2007)}
-
-\begin{figure}[t]
-\centering
-\includegraphics[width=\linewidth]{fig/histkotex}
-\caption{\protect\kotex 의 탄생}\label{fig:hist}
-\end{figure}
-
-그림~\ref{fig:hist}\는 H\LaTeX 에서 출발하여 \kotex 에 이르는
-한글 텍의 발전 과정을 요약한 것이다.
-
-2007년 6월 30일, 한국텍학회 모임에서, \wi{은광희}\cntrdot \wi{김도현}\cntrdot 김강수 등
-한글 라텍 및 hangul-ucs의 저자들과 KTS 임원\cntrdot 회원 등이 모인 자리에서
-이 두 한글 매크로 패키지를 통합하여 \wi{통합 한글 텍 패키지}를 제작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이다. 이것은 그동안 한글 사용에 있어서 둘 이상의 패키지가
-존재함으로 인해 빚어진 혼란을 불식하고 향후 한글 텍/라텍의 발전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일보전진이었고, 한글 라텍으로부터
-오랜 시간 발전해 온 라텍에서의 한글 사용을 총체적으로 점검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는 결정이었다.
-
-그로부터 일 개월 정도의 작업을 통하여 \kotex\ 베타 버전이 공개되었다.
-\kotex 은 Unicode/UTF-8 인코딩과 EUC-KR을 모두 지원하기로 하였으나
-원칙적으로 향후의 발전 방향은 Unicode로 합의하였다. 또한 \wi{은광희}의
-UHC 글꼴을 발전시킨 `은글꼴 type 1'을 기본 글꼴로 채택하고 이를
-EUC-KR 버전에도 적용시킴으로써, 폰트를 둘러싼 이런저런 불편한 점을
-일소하였으며, pdf 제작 및 매크로의 호환성과 안정성에 있어서
-몇 가지 중요한 진보를 이루었다.
-
-\subsection{그 후의 발전}
-
-\kotex 은 \TeX\,Live\index{TeX Live}에 대응하여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2008년부터
-\TeX\,Live의 사설 저장소를 만들고 이를 통하여 \kotex 을 배포해왔다.
-이 시기의 중요한 사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21년 7월의 \kotex\ 3.0에서 다음과 같은 점이 달라졌다.
\begin{itemize}
-\item KTUG을 통해 이루어진 Hanyang PUA project의 결과, 고문헌
-조판에 필요한 유틸리티를 갖추게 되었다.
-\item \XeTeX-\ko와 \LuaTeX-\ko가 개발되었다.
-글꼴의 제약이 사라짐으로써 누리게 된 이점 때문에 사실상 \XeLaTeX 을
-한글 문헌 조판에서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pkg{oblivoir}의 \XeTeX 판인 \pkg{xoblivoir}가 별도로 개발되었다.
-\item \pkg{cjk-ko}, \pkg{nanumtype1}, \pkg{luatexko}, \pkg{xetexko}가 \TeX\,Live를 통해 배포되기 시작하였다.
+\item 2020년 10월 이후의 \LaTeX\ 포맷의 변경에 따른 내부 코드의 수정
+\item \pkg{siunitx} 패키지와의 충돌 해결
+\item label에 한글 사용 가능
+\item 장절 표제의 형식을 다른 \koTeX\ 패키지 군과 일치하게 수정하고
+이전 형식을 사용하기 위한 \pkg{kotex-sections} 추가
\end{itemize}
-현재 한글 문헌을 가장 안정적으로 조판할 수 있는 것은
-\XeTeX-\ko이다. \LuaTeX-\ko는 실험적인 성격이 강하고,
-레거시 텍을 위한 \kotex-utf는 하위호환성이나 특수한 상황\footnote{%
- 모바일 기기에서 텍을 이용한다든가 하는 상황. 특히 \pkg{cjk-ko}는
-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정도가 되었다.
-특히 유니코드 텍 엔진의 등장은 \kotex 을 개발하면서 직면했던 많은 고민들,
-예컨대 글꼴 사용의 문제 같은 것을 일소할 수 있게 하였다.
-
-\section{\kotex 의 로고}
-
-\kotex 의 로고는 다음과 같다.
-\begin{center}
-\LARGE\kotex
-\end{center}
-\begin{boxedverbatim}
-\newcommand*\koTeX{%
- \textsf{k}\kern-0.0625em\textit{o}\kern-0.11em%
- \lower.15ex\hbox{.}\kern-0.1em\protect\TeX}
-\end{boxedverbatim}
-이 로고는 \kotex 의 견고함과 아름다움, 그리고 유연한 표현능력을 상징한다.
-\pkg{kotex-logo} 패키지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cmd{\usepackage\{kotex-logo\}}를
-선언하면 \cmd{\koTeX} 명령을 쓸 수 있다.
-
-\section{개발자와 라이선스}
-
-\kotex 의 주개발자는 다음과 같다. 개발자는 LPPL의 maintainer를 겸한다.
-\begin{description}\tightlist
-\item [\kotex-utf] \wi{김도현}, 김강수 (LPPL, maintained)
-\item [\XeTeX-\ko] \wi{김도현} (LPPL, maintained)
-\item [\LuaTeX-\ko] \wi{김도현} (LPPL, maintained)
-\item [cjk-\ko] \wi{김도현} (GPL, LPPL)
-\item [oblivoir] 김강수, 이기황 (LPPL, maintained)
-\item [\kotex-euc] \wi{은광희}, \wi{김도현}, 김강수 (obsolete)
-\item [untype1]\index{은글꼴 type 1} \wi{은광희}, \wi{박원규}, \wi{김도현}, 김강수 (obsolete)
-\end{description}
-
-\pkg{untype1}과 \pkg{cjk-ko}의 일부 파일을 제외한 모든 패키지가 LPPL 라이선스를 가진다.\footnote{참고로, untype1은 GPL이다.}
-
-\chapter{사용법 개관}
-
-\section{kotex.sty}\label{sec:kotexsty}
-
-\kotex\ 전체를 통틀어 \pkg{kotex}이라는 패키지가 기본으로 불린다.
-이 패키지는 현재 동작하는 \TeX\ 엔진과 주어진 옵션에 따라 적절한
-\kotex\ 패키지를 불러오는 wrapper 역할을 한다.
-
-\begin{boxedverbatim}
-\usepackage[<options>]{kotex}
-\end{boxedverbatim}
-
-줄 수 있는 옵션은 실제 호출되는 한글 패키지의 기능과 동작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option{hangul}
-옵션은 특기할 만하며, 문서의 줄 간격, `이름' 등을 한글화한다.
-\option{hanja}도
-이와 비슷한데, 기본적으로 \option{hangul}을 적용한 후에 캡션 등을
-한자화한다.
-이 두 옵션은 모든 \kotex\ 패키지군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
-\begin{table}
-\centering
-\caption{실제로 동작하는 \kotex\ 패키지}\label{tab:engines}
-\begin{tabular}{c|c|c}
-\hline
-\cmd{\usepackage} & 대응 엔진 & 동작하는 패키지 \\ \hline \hline
-\cmd{[cjk]\{kotex\}} & \pdfLaTeX & \pkg{cjkutf8-ko} \\ \hline
-\cmd{...\{kotex\}} & \pdfLaTeX & \pkg{dhucs} \\ \hline
-\cmd{...\{kotex\}} & \XeLaTeX & \pkg{xetexko} \\ \hline
-\cmd{...\{kotex\}} & \LuaLaTeX & \pkg{luatexko} \\
-\hline
-\end{tabular}
-\end{table}
-
-\tref{tab:engines}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호출 명령을 주어도
-실제로 동작하는 한글 패키지가 어떤 것이냐 하는 것은 실행되는
-텍 엔진과 옵션에 따라 달라진다.\footnote{%
- 이전까지 존재하던 \option{euc} 옵션은 \pkg{kotex-euc}를
- 로드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하위 호환성을 위하여 이 옵션은 (이 문서에서는
- 설명하지 않지만)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
-\section{\protect\pdfLaTeX\ 또는 \LaTeX 으로 컴파일}
-
-\noindent\cmd{\usepackage[cjk]\{kotex\}}
-
-위와 같이 \option{cjk}가 주어지면 \pkg{cjk-ko} 패키지를 부른다.
-정확하게는 \pkg{cjkutf8-ko.sty}라는 파일을 불러온다.
-추가할 수 있는 동작은 \option{hangul}, \option{hanja},
-\option{nojosa}라는 공통 옵션 이외에 \option{usedotemph},
-\option{usecjkt1font}가 있다. 각각의 의미와 동작에 대해서는
-\Cref{chap:docu}에서 언급한 문서를 보라.
-
-\bigskip
-
-\noindent\cmd{\usepackage[utf]\{kotex\}}
-
-\pkg{dhucs.sty}를 찾는다. 이것이 기본값이며,
-이 문서의 제\,\ref{part:two}\,편에서 설명하는 것이 이 경우의
-문서 작성법이다.
-\XeTeX과 같은 새로운 엔진이 등장하기 전에
-\kotex 이라 하면 \pkg{dhucs}를
-통하여 \pdfLaTeX 으로 한글을 식자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었다.
-기본값이므로 \option{utf}를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추가 옵션에 대해서는 이 문서의 해당 부분(제\,\ref{part:two}\,편)을 참고하라.
-
-\section{\XeLaTeX\ 또는 \LuaLaTeX 으로 컴파일}
-
-각각 \pkg{xetexko.sty}와 \pkg{luatexko.sty}를 찾는다.
-즉 \cmd{\usepacakge\{kotex\}}을 지정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util{xelatex}으로 문서를 컴파일한다면 전혀 다른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인 셈이다.
-
-이 엔진과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은 종래의 \pdfLaTeX 으로 작업하는 것과는
-몇몇 부분이 다르다. 따라서 해당 문서를 잘 읽고 이에 대응해야 한다.
-그러나 \option{hangul}, \option{hanja} 옵션은 여전히
-비슷한 의미로 동작한다.
-
-\section{엔진별 동작의 예시}
-
-어떤 문서를 작성하였고, 어떤 엔진으로 컴파일될지 모르는 상황이라면
-되도록 호환성있게 원본 자체를 작성하면 좋을 것이다.
-이럴 때 요긴하게 쓸 수 있는 패키지로 \pkg{iftex}이 있다.
-다음 보기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는 한 가지 예이다. (cjk-\ko를 이용하는
-경우는 예시에서 제외되었다.)
-
-\begin{boxedverbatim}
-\documentclass{article}
-
-\usepackage[hangul]{kotex}
-
-\usepackage{iftex}
-\ifPDFTeX
- \usepackage{dhucs-nanumfont}
-\else\ifXeTeX
- \setmainhangulfont{NanumMyeongjo}
-\else\ifLuaTeX
- \setmainhangulfont{NanumMyeongjo}
-\fi\fi\fi
-\end{boxedverbatim}
-
-\section{pdf 문서 작성을 위한 설정}\label{sec:makepdf}
-
-\subsection{pdf bookmark}
-
-%\paragraph{pdf bookmark}
-
-\pkg{hyperref}에
-\option{pdfencoding = auto} 옵션을 지정하는 것으로 pdf bookmark 문제가
-모두 해결된다.\footnote{%
- 과거 \XeTeX 을 사용할 때는 \option{unicode} 옵션을 선언하지
- 않고 \LuaTeX 이나 \pdfTeX 에서는 \option{unicode}를 선언하도록
- 권장했다. 이 방법은 여전히 유효하나 \option{pdfencoding=auto}를
- 쓰면 엔진에 따라 옵션을 달리 주어야 할 필요가 없다.}
-\begin{verbatim}
-\usepackage{kotex}
-\usepackage{pdfencoding=auto,bookmarks]{hyperref}
-\end{verbatim}
-%여기서는 \option{unicode} 옵션이 반드시 지정되어야 한다.
-%\option{pdftex}은 컴파일 상황에 따라 \option{dvipdfmx}
-%또는 \option{dvips}를
-%지정할 수 있다.
-%
-%위의 예에 상당하는 컴파일 절차 예시는 다음과 같다.
-%\begin{verbatim}
-%$ (pdf)latex foo
-%$ (pdf)latex foo
-%$ (dvipdfmx foo)
-%\end{verbatim}
-
-\subsection{텍스트 검색과 추출}
-pdf 문서의 텍스트 검색과 추출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것은 어떤 드라이버로 pdf를 생성하느냐에 따라 조금 달라지는데, 일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egin{description}
-\item[dvipdfmx] type 1 글꼴을 매우 잘 처리하고
-이로부터 검색 및 추출이 가능한 pdf를 만들어낸다. 별도의 조치가
-필요없다.
-\item[dvips] 트루타입을 처리하지 못하는 점 때문에 이전부터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었으나 type 1 폰트를 사용하는 한
-검색 추출에 문제는 없다. 역시 별도의 조치가 필요없다.
-\item[pdftex] 이때는 \cmd{\pdfgentounicode}를
-활성화해주어야 한다.
-\end{description}
-그러므로 \wi{전처리부}(preamble)\explpunc.\cmd{\begin\{document\}} 명령이 놓이기 전.\ 에 다음과 같이 선언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begin{verbatim}
-\ifpdf
- \input glyphtounicode
- \pdfgentounicode=1
-\fi
-\end{verbatim}
-
-어떤 드라이버를 사용하든 모두 포스트스크립트 윤곽선 글꼴이 사용되고,
-pdf 북마크가 잘 만들어지며 한글 텍스트의 검색과 추출이 자유롭다.
-
-\paragraph{oblivoir}
-\pkg{oblivoir}는 위의 절차를 모두 자동화해두었다.
-
-%\subsection{\LuaTeX, \XeTeX}
-%
-%이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 기본 output이 pdf 포맷이다.
-%pdf bookmark의 경우만이 문제가 되는데, \pkg{hyperref}을 사용할 때
-%\begin{verbatim}
-%pdfencoding = auto
-%\end{verbatim}
-%옵션을 쓰면 \pdfTeX, \XeTeX, \LuaTeX 을 불문하고 책갈피에서 한글이 깨지지 않게 해준다.
-%
-%과거에는 \XeTeX\ 사용시에 \option{unicode} 옵션을 주지 않아야 하는 데
-%주의해야 했으나 위와 같이 하면 자동적으로 처리된다.
-
-\chapter{문서와 도움말}\label{chap:docu}
-
-이 문서는 \kotex\ 전반에 대한 개괄적 사항을 언급하는 것과 더불어
-\kotex-utf 설명서(제\,\ref{part:two}\,편)를 겸한다. \kotex-utf 이외의 패키지,
-\XeTeX-\ko나 \LuaTeX-\ko의 경우 별도의 사용안내서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법에 대한 안내를 얻으려면 각 패키지별 문서들을 참조하여야 한다.
-문서를 읽을 때는 \TeX\,Live 유틸리티 \util{texdoc}을 이용한다.
-이 문서 자체는 명령행에서 \cmd{texdoc kotex}으로 읽을 수 있다.
-
-\begin{description}
-\item [cjk-ko] cjk-ko-doc 문서를 찾아 읽는다. 명령행에서 \cmd{texdoc cjk-ko} 명령을 내리면 읽을 수 있다.
-\item [\XeTeX-\ko] xetexko-doc 문서를 찾아 읽는다. 명령행에서 \cmd{texdoc xetexko} 명령을 내리면 읽을 수 있다.
-\item [\LuaTeX-\ko] luatexko-doc 문서를 찾아 읽는다. 명령행에서 \cmd{texdoc luatexko} 명령을 내리면 읽을 수 있다.
-\item [oblivoir] memoir 안내서를 보아야 한다. 이것은
-\cmd{texdoc memman} 명령으로 읽을 수 있다.. 한편, 한글화 부분에 대한 사항을 참고하려면 \cmd{texdoc ultrasimple} 명령으로 볼 수 있는 문서와 \cmd{texdoc memucs-manual}으로 볼 수 있는 문서를 함께 참고한다.
-\end{description}
-
-%2.0 버전에서 제외된 패키지들을 굳이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kotex-euc와 \pkg{untype1}의
-사용법을 알려면 다음 문서를 참고하라.
-
-\begin{description}
-\item [kotexguide] \kotex\ 0.1.0 사용자 설명서이다.
-특히 \kotex-euc\index{Packages!kotex-euc}와 \pkg{untype1}\index{은글꼴 type 1}에 관한 방대한 사용 설명이 존재한다.
-\pkg{kotex-euc}를 설치하면 포함되어 있다.
-\end{description}
-
-
-\chapter{배포와 설치}
-
-\section{CTAN을 통한 배포}
-%현재 \kotex 은
-%\begin{enumerate}[(1)]
-%\item \wi{CTAN}\footnote{\url{http://ctan.tug.org}}에 등재
-%\item \kotex\ 사설 저장소\footnote{\url{http://ftp.ktug.org/KTUG/texlive}}를 통하여 배포
-%\end{enumerate}
-
-2014년 5월 현재, \kotex\ 패키지군은 거의 모두
-CTAN에 등재되었다. CTAN을 통해 배포되는 패키지는 다음과 같다:
-\begin{quote}
-\pkg{kotex-utf}, \pkg{xetex-ko}, \pkg{luatex-ko},
-\pkg{cjk-ko}, \pkg{kotex-oblivoir}, \pkg{kotex-utils},
-\pkg{kotex-plain}
-\end{quote}
-
-이 가운데, \pkg{kotex-plain}, \pkg{cjk-ko}, \pkg{xetex-ko},
-\pkg{kotex-utf}는 서로 필요로 하는 파일이 의존되어 있어 함께
-설치하는 것이 좋다. \pkg{luatex-ko}에서도 \pkg{xetex-ko}에서
-필요한 파일을 찾을 때가 있다.
-
-\hologo{pdfLaTeX}을 사용하려면 (다른 폰트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pkg{nanumtype1}이 필요하다. 이 역시
-CTAN을 통해 배포된다.
-
-%\kotex\ 패키지군 가운데 2013년 11월 현재 CTAN에 등재되어 있는 것은
-%\pkg{cjk-ko}, \pkg{xetexko}, \pkg{luatexko}, 세 종류이다.
-%이들은 \TeX\,Live\index{TeX Live} 배포판에도 포함되어 있다.
-%\pkg{nanumtype1} 패키지 역시 그러하다.
-
-%\kotex\ 사설 저장소에는 이보다 많은 패키지가 서비스되고 있다. \kotex-utf의
-%매크로와 유틸리티도
-%이곳에서 배포된다.\footnote{%
-% 멀지 않은 장래에 \pkg{dhucs}, 즉 \kotex-utf도 CTAN을 통하여 배포될 전망이다.}
-
-CTAN에 등재된 패키지들은 각 배포판의 패키지로서 배포된다.
-\begin{description}
-\item [\TeX\,Live] 위에 언급된 모든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다.
-\item [MiK\TeX] \pkg{kotex-utils}를 제외한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다.
-\end{description}
-
-\TeX\,Live는 한글 관련 패키지와 유틸리티, 문서를 \pkg{collection-langkorean}이라는 콜렉션 패키지로 묶어서 배포한다.
-
-\section{KTUG 사설 저장소}
-
-과거 \kotex 이 CTAN에 등재되기 전에 KTUG은 \kotex\ 사설 저장소를 운영하여 \TeX\,Live에서의 설치를 지원하였다(2008--2013).
-
-현재 사설 저장소는 CTAN에 등재하면서 제외된 \kotex-euc 파트와 은 글꼴(트루타입, type1) 및 KTUG에서 제작된 유용한 패키지와 유틸리티들을 추가적으로 서비스하는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에서 서비스되는 패키지는 \pkg{kotex-base}, \pkg{kotex-extra}, \pkg{jiwonlipsum}, \pkg{kotex-midkor}, \pkg{kotex-euc}인데 필수적인 패키지는 모두 CTAN으로 올라갔고 \kotex 의 기능을
-%확장하는 보충적인 패키지들이 사설 저장소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
-%CTAN에 등재된 패키지들은 \TeX\,Live, MiK\TeX\ 등의 텍 배포판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TeX\,Live를 설치한 경우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도
-%\kotex\ 관련 패키지를 설치 운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사설 저장소는 파일들을 몇 가지 ``설치용'' 패키지로 나누어서 제공한다.
-2014년 5월 현재 사설 저장소를 통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footnote{%
- 여기서 `패키지'란 \LaTeX\ 매크로 패키지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 저장소에서 파일을 구분하는 단위를 말한다.}
-\begin{description} \tightlist
-%\item [\texttt{collection-kotex}] 중요한 설치 패키지를 한꺼번에 관리하기 위한
-%메타패키지이다. 여기에는 \file{kotex}, \file{kotex-utils}, \file{jiwonlipsum},
-%\file{kotex-dev}가 포함된다.
-%\item [\texttt{kotex}] \pkg{dhucs} 관련 파일의 묶음이다.
-%\item [\texttt{kotex-dev}] \pkg{oblivoir} 관련 파일 묶음이다.
-%\item [\texttt{kotex-utils}] \kotex 이 제공하는 유틸리티 프로그램과 스타일 패키지를 포함한다.
-\item [\texttt{kotex-euc}] 이전 버전 \kotex 의 euc-kr 한글 식자 관련 파트이다. 이 패키지를 사용하려면 \pkg{unfonts-base}가 필요하다.
-\item [\texttt{unfonts-base}] 은글꼴 type 1과 트루타입이다.
-%kotex-base라는 이름은 종래 은글꼴이 \kotex 의 기본 글꼴이었던 데서 연유한다. 이 명칭은 지금 형편에 맞지 않으므로 추후 개명될 전망이다.
-은바탕, 은돋움, 은그래픽, 은타자 글꼴이 포함되어 있다.
-\item [\texttt{unfonts-extra}] 은글꼴 type 1과 트루타입으로 base에 포함되지 않은 것들이다.
-\item [\texttt{nanumbaruntype1}] 나눔바른고딕의 type 1 글꼴이다.
-\item [\texttt{kotex-midkor}] 옛한글 식자에 필요한 패키지와 폰트 묶음이다.
-\item [\texttt{jiwonlipsum}] lipsum의 한글화 버전이다.
-\item [\texttt{kswrapfig}] Karnes가 작성한 패키지로서 그림 주변으로 텍스트가 흐르게 할 때 그림과 텍스트 간의 위치와 간격을 조절하는 명령을 제공한다.
-\item [\texttt{ob-chapstyles}] oblivoir 클래스에서 사용하는 장 표제의 예제를 포함하고 있다.
-\item [\texttt{hanjacnt}] 한자와 한글 카운터를 제공한다.
-\item [\texttt{arara-rules-ko}] komkindex, kotexindy, dvipdfmx를 위한 arara rules 파일.
-\item [\texttt{ktugbin}] \kotex\,Live에서 제공하던 유틸리티 몇 개를 설치한다. (Windows)
-\item [\texttt{texworks-config}] \kotex\,Live에서 제공하던 \TeX works 설정 파일. (Windows)
-\end{description}
-
-\kotex\ 사설 저장소는\index{ko.TeX repository} \TeX\,Live의 \util{tlmgr} 유틸리티를 통하여
-간단히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먼저 다음 명령을 내리면 저장소가 등록된다.
-\begin{verbatim}
-$ tlmgr repository add http://ftp.ktug.org/KTUG/texlive/tlnet/ ktug
-\end{verbatim}
-이제 이 저장소를 이용하기 위하여 \TeX\,Live의 texmf 트리 아래의 \file{tlpkg} 디렉터리(이를테면 \texttt{/usr/local/texlive/texmf-local/tlpkg})에
-\begin{boxedverbatim}
-ktug:*
-\end{boxedverbatim}
-이라는 내용을 갖는 \file{pinning.txt} 파일을 만들고
-\begin{verbatim}
-$ tlmgr install unfonts-base
-$ tlmgr remove unfonts-base
-\end{verbatim}
-명령을 통하여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
-이 문서를 오류없이 컴파일하기 위해서는 KTUG 사설 저장소로부터 \pkg{kotex-midkor} 패키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
-%%
-%%\bigskip
-%%
-%%
-%%%다음 설치 패키지들도 함께 제공한다.
-%%%\begin{description} \tightlist
-%%%\item [\texttt{kotex-euc}] \pkg{kotex-euc}와 \pkg{kotexguide} 등 이전 버전에
-%%%포함되어 있던 파트를 서비스한다.
-%%%\item [\texttt{kotex-base}] \pkg{untype1}이다. 이름이 kotex-base로 되어 있는 것은
-%%%예전 버전에서 은글꼴 type 1이 기본 글꼴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이 명칭은 지금 형편에 맞지 않으므로
-%%%추후 개명될 전망이다.
-%%%은바탕, 은돋움, 은그래픽, 은타자 글꼴이 포함된다.
-%%%\item [\texttt{kotex-extra}] \pkg{untype1}의 extra 부분이다.
-%%%\end{description}
-%%
-%%이들 각각을 자신의 \TeX\,Live 시스템에 설치하려면
-%%\begin{verbatim}
-%%$ tlmgr install kotex-midkor
-%%\end{verbatim}
-%%와 같은 방식의 명령을 내리면 된다.
-
-\section{\kotex\,Live}\index{ko.TeX Live}
-
-\wi{한국텍학회}와 \wi{KTUG}에서는 텍 시스템과 \kotex\ 설치와 운영에 곤란을 겪는
-\wi{윈도우즈 운영체제} 사용자를 위하여 \TeX\,Live와 \kotex 을 한번에
-설치할 수 있게 도와주는 설치 프로그램 \kotex\,Live를 제공하고 있다.\index{ko.TeX Live}
-
-저장소의 등록, 관리와 같은 번거로운 절차를 자동화하였고 한글 문서 작성에
-필요한 도구와 예제를 제공한다. 윈도우즈 상에서 \kotex 을 설치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KTUG\footnote{\url{http://www.ktug.org}}을
-방문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section{\TeX\,Live 이외의 텍 배포판의 경우}
-
-예컨대 윈도우즈의 MiK\TeX 과 같은 배포판이라면, 적어도 CTAN에 등재된
-패키지는 설치가 가능하다. 즉 현재 \pkg{cjk-ko}, \pkg{xetex-ko}, \pkg{luatex-ko}, \pkg{kotex-utf}, \pkg{kotex-plain}, \pkg{kotex-oblivoir}
-MiK\TeX 의 패키지매니저를 이용하여 설치 운용할 수 있다.\index{MiKTeX}
-
-\util{tlmgr}이 없는 텍 배포판이라도 \TeX\,Live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면 마찬가지로 \kotex 을 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적어도 \file{collection-langkorean}라는 콜렉션 패키지를 설치하면 된다.
-
-그 이외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kotex\ 패키지 저장소를 직접 방문하여 자신의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 이 글에서는 더 다루지 않겠다.
-
-\part{\kotex-utf 사용설명}\label{part:two}
-
\chapter{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section{개관}
\kotex-utf는 \wi{UTF-8} \wi{유니코드}로 입력되는 한글을 \LaTeX\ 문서에서
-식자하고 조판하게 하려는 스타일 패키지로서, 그 핵심 부분인 \pkg{dhucs}를
+식자하고 조판하게 하려는 스타일 패키지로서, 그 핵심 부분인 \pkg{kotex-utf.tex}을
\wi{김도현}이 작성하였다.
\section{첫번째 문서}
@@ -698,13 +164,7 @@ MiK\TeX 의 패키지매니저를 이용하여 설치 운용할 수 있다.\inde
\usepackage[hangul,nonfrench,finemath]{kotex}
\usepackage{dhucs-nanumfont}
-\usepackage{ifpdf}
-\ifpdf
- \usepackage[pdfencoding=auto,pdftex,colorlinks]{hyperref}
- \input glyphtounicode \pdfgentounicode=1
-\else
- \usepackage[unicode,dvipdfmx,colorlinks]{hyperref}
-\fi
+\usepackage[colorlinks]{hyperref}
\begin{document}
@@ -718,14 +178,13 @@ MiK\TeX 의 패키지매니저를 이용하여 설치 운용할 수 있다.\inde
제3행에서 \texttt{kotex} 패키지를 \cmd{\usepackage}한다.
\kotex 의 모든 패키지는 이 wapper를 통하여 호출된다.
-\pdfLaTeX 이 실행되고 \option{cjk}나 \option{euc}같은
-옵션이 없으면 이 스타일은 \pkg{dhucs}를 부른다.
-(\pageref{sec:kotexsty}페이지 \ref{sec:kotexsty}절을 보라.)
+\pdfLaTeX 이 실행되고, 옵션이 없으면 이 스타일은 \pkg{kotex-utf.sty}를 부른다.
+%(\pageref{\}페이지 \ref{sec:kotexsty}절을 보라.)
%또한 대부분의 contrib 패키지의 명칭은
%\texttt{dhucs-}로 시작한다.
-제8행 이후에서 \pkg{hyperref}\을 로드한다. 반드시
-\option{unicode} 옵션을 주어야 한다.
+제8행 이후에서 \pkg{hyperref}\을 로드한다.
+%반드시 \option{unicode} 옵션을 주어야 한다.
\wi{bookmarks} 설정은 \pkg{hyperref}의 default이므로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책갈피가 만들어진다. 만약 책갈피를 만들지 않고자 한다면
옵션에서 \verb|bookmarks=false|라고 한다.
@@ -737,15 +196,15 @@ MiK\TeX 의 패키지매니저를 이용하여 설치 운용할 수 있다.\inde
% 따라 불필요해졌으므로 \kotex 에서는 이 부가 패키지를 제공하지
% 않는다.}
-제7행 이후의 \verb|\ifpdf .. \else .. \fi| 구문은 pdf\LaTeX 의
-실행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설정을 하는 부분이다. 이 구문을
-사용하려면 \pkg{ifpdf}\가 필요하다.
-주로 컴파일 루트가 \util{pdflatex}으로부터 직접 \file{pdf}를 얻는
-것이 아니라 \util{dvipdfmx}를 이용하여 \file{dvi}를 \file{pdf} 변환하는
-방식으로 작업할 때를 위하여 이런 구문을 쓴다.
+%제7행 이후의 \verb|\ifpdf .. \else .. \fi| 구문은 pdf\LaTeX 의
+%실행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설정을 하는 부분이다. 이 구문을
+%사용하려면 \pkg{ifpdf}\가 필요하다.
+%주로 컴파일 루트가 \util{pdflatex}으로부터 직접 \file{pdf}를 얻는
+%것이 아니라 \util{dvipdfmx}를 이용하여 \file{dvi}를 \file{pdf} 변환하는
+%방식으로 작업할 때를 위하여 이런 구문을 쓴다.
-제9행은 pdf\LaTeX 에서 텍스트의 검색\cntrdot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행이다.
+%제9행은 pdf\LaTeX 에서 텍스트의 검색\cntrdot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행이다.
%DVIPDFM$x$를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없다.
%제4행부터 제8행까지는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꼭 지정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 -879,8 +338,8 @@ $ dvipdfmx firsttest
이를 위하여 이 패키지는 \option{hangul} 패키지 옵션을 제공한다.
이 옵션이 지시되면 한글 이름, 한글 장절표제 등을 활성화하고
행간을 한글에 알맞게 설정한다.
-또한, \wi{장절 명령}과 관련해서 %\kotex/euc와 동일한
-\cmd{\kscntformat} 명령이 작동한다.
+%또한, \wi{장절 명령}과 관련해서 %\kotex/euc와 동일한
+%\cmd{\kscntformat} 명령이 작동한다.
% <!-- 2014/03/01, ksnamedef -->
%\wi{한글 이름}과 관련해서 \cmd{\ksnamedef} 명령도 작동한다.
%이 명령의 의미와 사용법에 대해서는 \pageref{sec:names} 페이지의
@@ -949,15 +408,36 @@ $ dvipdfmx firsttest
\end{verbatim}
\subsection{장절명령}
-article 문서에서 한글 서식을 사용하면서 장절 표제의 ``제 1 절''과 같은 양식을
-쓰지 않으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매크로는 \thispkg 에
-\texttt{[hangul]} 옵션을 지정한 경우에만 쓸 수 있다.\footnote{%
- \cmd{\kscntformat} 명령은 \pkg{kotex-utf}에만 있는 명령이다.
- \XeTeX-\ko, \LuaTeX-\ko에서는 이 명령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 \pkg{oblivoir}에서는 (section 이하 수준의 장절명령에 대하여) 이 명령을 쓸 수 있다. \pkg{titlesec}이나 \pkg{sectsty} 패키지를 이용하여 간단히 바꾸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H\LaTeX 의 한글 서식에서 장절 표제는 \LaTeX\ 표준 패키지(\pkg{article},
+\pkg{book}, \pkg{report})의 section에 대하여
+``제~1~절''과 같은 양식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최근 \koTeX 의 주류가
+되어 가고 있는 \XeTeX-\ko 등에서는 단순히 ``1''만을 식자한다.
+\koTeX-utf는 일관성과 통일을 위하여 이전까지 내려오던 H\LaTeX\ 양식을
+버리고 더 단순한 형식을 사용하도록 수정하였다.
+
+\bigskip
+
+그러나 이전에 작성된 문서와 같이 전과 같은 장절 표제의 양식이 필요한 때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별도로 \pkg{kotex-sections} 패키지를 제공한다.
+즉, 예전 스타일의 장절 표제를 쓰려면
\begin{verbatim}
-\kscntformat{section}{}{}
+\usepackage{kotex-sections}
\end{verbatim}
+을 preamble에서 명시적으로 선언하라.
+특히 \cmd{\kscntformat}으로 장절 표제의 형식을 바꾸려 하는 경우에는
+이 패키지가 필수적이다.\footnote{%
+ \pkg{kotex-sections}는 \XeTeX-\ko나 \LuaTeX-\ko에서도
+ 적용할 수 있다.}
+
+%article 문서에서 한글 서식을 사용하면서 장절 표제의 ``제 1 절''과 같은 양식을
+%쓰지 않으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매크로는 \thispkg 에
+%\texttt{[hangul]} 옵션을 지정한 경우에만 쓸 수 있다.\footnote{%
+% \cmd{\kscntformat} 명령은 \pkg{kotex-utf}에만 있는 명령이다.
+% \XeTeX-\ko, \LuaTeX-\ko에서는 이 명령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 \pkg{oblivoir}에서는 (section 이하 수준의 장절명령에 대하여) 이 명령을 쓸 수 있다. \pkg{titlesec}이나 \pkg{sectsty} 패키지를 이용하여 간단히 바꾸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begin{verbatim}
+%\kscntformat{section}{}{}
+%\end{verbatim}
이 명령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begin{verbatim}
@@ -998,8 +478,9 @@ article 문서에서 한글 서식을 사용하면서 장절 표제의 ``제 1
설령 구현된다 하더라도 강조의 의미는 별로 드러나지 않는
장식적인 문자꼴이 되어버리고 만다.
\kotex-utf는 H\LaTeX\ 이래의 전통을 감안하여 \emph{기울인 글자체} 강조
-방식을 기본값으로 채택하고 있다.\footnote{%
- \pkg{xetex-ko}나 \pkg{luatex-ko}에서는 기울인 글자체를 이탤릭에 대응하여 쓰기 위해서 \texttt{ItalicFont, ItalicFeatures} 폰트 속성을 부여하여야 한다. 자세한 것은 \pkg{xetex-ko}의 문서를 참고하라.}
+방식을 기본값으로 채택하고 있다.
+%\footnote{%
+% \pkg{xetex-ko}나 \pkg{luatex-ko}에서는 기울인 글자체를 이탤릭에 대응하여 쓰기 위해서 \texttt{ItalicFont, ItalicFeatures} 폰트 속성을 부여하여야 한다. 자세한 것은 \pkg{xetex-ko}의 문서를 참고하라.}
\regremph
@@ -1037,7 +518,7 @@ article 문서에서 한글 서식을 사용하면서 장절 표제의 ``제 1
\hline
상점 & \verb|\dotemph| & \verb|\dotemph| \verb|\dotem|$^{a}$ & $^{a}$선언형 \\
고리상점 & \verb|\circemph|$^{*}$ & \verb|\circemph| \verb|\circem|$^{a}$ & $^{*}$\texttt{[hangul]}\\
-임의의 상점 & \verb|\useremph|$^{*}$ & & \\
+%임의의 상점 & \verb|\useremph|$^{*}$ & & \\
\hline
\end{tabular}
\end{center}
@@ -1045,26 +526,28 @@ article 문서에서 한글 서식을 사용하면서 장절 표제의 ``제 1
\texttt{\textbackslash dotemph} 명령으로
점을 한글 글자 위에 찍을 수 있다. \texttt{[hangul]} 옵션을 지시하면
\texttt{\textbackslash circemph}와 \texttt{\textbackslash dotemph}
-그리고 \texttt{\textbackslash useremph}, 세 개의 명령을 사용할 수 있고,
-이 가운데 \texttt{\textbackslash useremph}는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다.
-선언형은 제공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texttt{\textbackslash useremph},
+두 개의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고,
+%이 가운데 \texttt{\textbackslash useremph}는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다.
+%선언형은 제공하지 아니한다.
\begin{quote}
한글의 본 이름은 \dotemph{훈민정음}이다.\\
중요한 것은 \circemph{왜 사느냐}가 아니라 \circemph{어떻게 사느냐} 하는 문제이다.
\end{quote}
-\ifPDFTeX
-\renewcommand\useremphchar{\tiny★}
-\setlength\useremphraisedim{10pt}
-\useremph{사용자 정의 드러냄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
-\begin{verbatim}
-\renewcommand\useremphchar{\tiny★}
-\setlength\useremphraisedim{10pt}
-\useremph{사용자 정의 드러냄표}
-\end{verbatim}
-\fi
+%%\ifPDFTeX
+%%\def\useremphchar{\tiny★}
+%%\setlength\useremphraisedim{10pt}
+%%\useremph{사용자 정의 드러냄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
+%%\begin{verbatim}
+%%\renewcommand\useremphchar{\tiny★}
+%%\setlength\useremphraisedim{10pt}
+%%\useremph{사용자 정의 드러냄표}
+%%\end{verbatim}
+%%\fi
\subsubsection{\protect\uline{밑줄} 강조}\index{강조!밑줄}\label{sec:underline}
@@ -1355,19 +838,21 @@ hangpar, varhangpar
\verb|\Hnum{test}| & \Hnum{test} \\
\verb|\hroman{test}| & \hroman{test} \\
\verb|\hRoman{test}| & \hRoman{test} \\
+\verb|\hNum{test}| & \hNum{test} \\
+\verb|\hanjanum{test}| & \hanjanum{test} \\
\end{tabular}
\caption{한글식 카운터}\label{tab:kocounter}
\end{figure}
그림~\ref{tab:kocounter}\과 같은 한글 \wi{카운터 형식}을 제공한다.
-\texttt{[hangul]} 옵션을 주면 다음과 같은 카운터 형식을 몇 개 더
-사용할 수 있다.
-\begin{verbatim}
-\hNum{cnt}, \hanjanum{cnt}
-\end{verbatim}
-\verb|cnt| 값이 2일 때, 각각 \hNum{test}, \hanjanum{test}%
-%, \HArabic{test}
-로 표현된다.
+%\texttt{[hangul]} 옵션을 주면 다음과 같은 카운터 형식을 몇 개 더
+%사용할 수 있다.
+%\begin{verbatim}
+%\hNum{cnt}, \hanjanum{cnt}
+%\end{verbatim}
+%\verb|cnt| 값이 2일 때, 각각 \hNum{test}, \hanjanum{test}%
+%%, \HArabic{test}
+%로 표현된다.
\subsection{자동조사 명령}\index{자동조사}
@@ -1577,6 +1062,8 @@ $x$에 임의의 값이 주어지면 $f(x)$를 통해서 그 $x$에 대응하는
이 문서와 함께 제공되는 소스에 딸린 \file{sample-finemath-setup.tex}이라는
부수 파일을 열어보면 다른 값을 어떤 식으로 설정하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boxedverbatiminput{sample-finemath-setup.tex}
+
%\subsection{한글 폰트스펙}\label{sec:microtypo}
%
%한글 문서의 조판에서 영문 폰트와의 불일치 또는 부조화가 오래도록
@@ -1704,7 +1191,8 @@ pdf\TeX 이라는 엔진으로 margin kerning과 font expansion을
폰트 확장을 한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begin{enumerate}
-\item pdf\LaTeX 으로 컴파일할 것\footnote{참고로 \LuaTeX 은 \pdfTeX 의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
+\item pdf\LaTeX 으로 컴파일할 것
+%\footnote{참고로 \LuaTeX 은 \pdfTeX 의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
\item type 1 혹은 트루타입\cntrdot 오픈타입 글꼴이 사용될 것
\item \pkg{microtype}에 의한 설정이 활성화될 것
\end{enumerate}
@@ -1822,10 +1310,15 @@ pdf\TeX 이라는 엔진으로 margin kerning과 font expansion을
\section{한글 PDF 만들기}\label{sec:pdf}
-\pageref{sec:makepdf}페이지 \ref{sec:makepdf}절에서
-pdf 제작에 관한 사항을 개괄하였다. 여기서는 이 문제에 대하여
-조금 더 다루려고 한다.
+%\pageref{sec:makepdf}페이지 \ref{sec:makepdf}절에서
+%pdf 제작에 관한 사항을 개괄하였다. 여기서는 이 문제에 대하여
+%조금 더 다루려고 한다.
+
+version 3.0 문서를 읽고 있는 현재, \pdfTeX 이나 \util{dvipdfmx}를
+이용하여 한글 pdf를 제작하는 것은 거의 완벽하게 해결되어 있고, 사용자가
+별달리 신경쓸 것이 없어졌다.
+역사적으로,
한글 pdf 문서를 만드는 데 있어서 지금까지 요청되어 왔던 것은 대략
다음과 같\다.
\begin{itemize}
@@ -1847,24 +1340,27 @@ hyperref 설정은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item\label{itm:two} \verb|\hypersetup| 문장
\item\label{itm:three} \file{hyperref.cfg}에 미리 설정된 옵션
\end{enumerate}
-예컨대 한글 문서를 주로 작성하는 경우 hyperref의 \texttt{[unicode]}
-옵션이 필요하다. 그리고 클래스 자신이 hyperref을 스스로 로드하는
+%예컨대 한글 문서를 주로 작성하는 경우 hyperref의 \texttt{[unicode]}
+%옵션이 필요하다. 그리고
+클래스 자신이 hyperref을 스스로 로드하는
경우에는 (\ref{itm:one})이나 (\ref{itm:two})\과 같은 방법으로
이 옵션을 활성화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ref{itm:three})
방법을 사용한다. 즉 \file{hyperref.cfg}에 (\ref{itm:two})의 문장을
미리 적어넣어두는 것이다.
-\subsection{한글 책갈피}\index{pdf bookmark}
-pdf 문서 제작에 있어서 한글 책갈피(bookmark)가 필요하면,
-다음과 같이 한다.
-\begin{verbatim}
-\usepackage[pdfencoding=auto,<driver>,...]{hyperref}
-\end{verbatim}
-\pkg{hyperref}의 개선이 이루어짐에 따라, 한글 책갈피를 만들기 위해
-별도의 복잡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다만, 컴파일 루트에 따라서 \verb|<driver>|를
-명시해주어야 한다는 데 주의하면 된다. \verb|pdftex|, \verb|dvipdfm|,
-\verb|dvips| 등을 지정한다.\footnote{\XeTeX, \LuaTeX에서는 \texttt{<driver>}를 별도로 명시할 필요가 없다.}
+%\subsection{한글 책갈피}\index{pdf bookmark}
+%pdf 문서 제작에 있어서 한글 책갈피(bookmark)가 필요하면,
+%다음과 같이 한다.
+%\begin{verbatim}
+%\usepackage[pdfencoding=auto,<driver>,...]{hyperref}
+%\end{verbatim}
+%\pkg{hyperref}의 개선이 이루어짐에 따라, 한글 책갈피를 만들기 위해
+%별도의 복잡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다만, 컴파일 루트에 따라서 \verb|<driver>|를
+%%명시해주어야 한다는 데 주의하면 된다. \verb|pdftex|, \verb|dvipdfm|,
+%%\verb|dvips| 등을 지정한다.\footnote{\XeTeX, \LuaTeX에서는 \texttt{<driver>}를 별도로 명시할 필요가 없다.}
+%
\section{찾아보기와 참고문헌}
@@ -1908,6 +1404,8 @@ pdf 문서 제작에 있어서 한글 책갈피(bookmark)가 필요하면,
\pkg{dhhangul}과 같은 Lambda 패키지를 통하여 성공적인 실험을 행한 바가
있다.
+pdf\LaTeX 으로 조판하는 상황에서,
+(비록 CTAN에 업로드되지는 않았지만) KTUG 사설저장소를 통하여 배포하는
\pkg{dhucs-midkor}\는 옛한글, 즉 1933년 이전 표기법 문헌을
식자할 수 있게 한다.\footnote{%
현재 이 패키지를 사용 가능하게 하려면 \cmd{tlmgr install kotex-midkor}
@@ -1947,7 +1445,8 @@ pdf 문서 제작에 있어서 한글 책갈피(bookmark)가 필요하면,
\item \kotex 의 중요한 기여 중의 하나인 옛한글 관련 코드변환 유틸리티가
\kotex-utility로 제공된다. \util{jamo-normalize} 스크립트는 특히 유용하다.
\item \XeTeX-\ko와 \LuaTeX-\ko는 옛한글 처리 기능을 자연스럽게 탑재하고 있다.
-옛한글을 마치 현대한글을 쓰듯이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옛한글을 마치 현대한글을 쓰듯이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 현대적
+텍엔진을 이용하는 것이 현재 권장하는 바이다.
\end{enumerate}
%을 위해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제법 까다롭고
@@ -1975,11 +1474,15 @@ pdf 문서 제작에 있어서 한글 책갈피(bookmark)가 필요하면,
만약 현대한글까지 전부 첫가끝으로 바꾸지 않으면 현대한글 음절문자가
본문의 것과 똑같은 모양으로 찍힌다.
-\begin{verse}
-\ifPDFTeX\def\mymidkorfont{ogul} % or {obat}
-\else\ifLuaOrXeTeX \hangulfontspec[Script=Hangul]{HCR Dotum LVT}\fi\fi
-\IfFileExists{yettext.tex}{\input yettext}{}
-\end{verse}
+%\begin{verse}
+%\ifPDFTeX\def\mymidkorfont{ogul} % or {obat}
+%\else\ifLuaOrXeTeX \hangulfontspec[Script=Hangul]{HCR Dotum LVT}\fi\fi
+%\IfFileExists{yettext.tex}{\input yettext}{}
+%\end{verse}
+\bigskip
+\includegraphics{fig/yettext}
+
+\medskip
\pkg{dhucs-midkor}로 옛한글을 표현할 때 선택할 수 있는 글꼴은
바탕체와 굴림체 두 가지이다. 위의 예문은 굴림체로 식자되었고 이것이 디폴트이다.
@@ -2003,7 +1506,10 @@ pdf 문서 제작에 있어서 한글 책갈피(bookmark)가 필요하면,
로드하지 않아도 \texttt{\textbackslash japanese} 명령을
쓸 수 있다. 특히 \pkg{luatex-ko}는 자체에 ruby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본어 한자의 독음을 작은 가나 문자로 붙이는 것(루비)은 \pkg{CJK}의
-일부인 \pkg{ruby}\를 불러서 할 수 있다.
+일부인 \pkg{ruby}\를 불러서 할 수 있다.\index{루비}\footnote{\pkg{CJK}의
+\pkg{ruby}가 가진 몇 가지 문제점 때문에 \pkg{ksruby}라는 별도의
+패키지를 KTUG 사설저장소에서 제공한다. 루비가 중요한 문서라면 이
+패키지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일본어 또는 중국어 문단을 식자하려면 \pkg{dhucs-trivcj}를
로드하여야 한다.
@@ -2014,7 +1520,7 @@ pdf 문서 제작에 있어서 한글 책갈피(bookmark)가 필요하면,
\LaTeX~というのは、市販ソフト顏負けのきれいな文書が
作れる「文書整形ソフト」で、「ラテック」
もしくは「ラテフ」など変った読み方をします。
-ちょっとカタい言葉を使うと「組版~(くみはん)~ソフト」とも言います。
+ちょっとカタい言葉を使うと「\ruby{組版}{くみはん} ソフト」とも言います。
組版とは、活字を組んでページに印刷するための版を作る作業のことで英語で
タイプセッティング~(type setting)~と言います。
\end{japanese}
@@ -2110,6 +1616,14 @@ wadalab-unicode 글꼴과 arphic 글꼴(type 1)을 이용한다.
글꼴의 선택과 사용이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맡겨져 있으나, ``편의를 위하여'' 상세한 글꼴 설정이 없을 때
나눔 type 1이 한글 영역을 식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고 기억해두자.
+2021년 현재, nanumtype1은 \TeX\,Live를 통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거의 유일한
+\koTeX-utf 용 글꼴이 되어 있다. 한편, 은 글꼴 type 1은 한글 텍 사용자 그룹이
+별도로 운영하는 KTUG 사설 저장소를 통하여 이를 설치할 수 있다.
+
+이보다 더 많은 글꼴을 레거시 텍에서 활용하려면 \pageref{cha:truetype} 페이지의 제~\ref{cha:truetype}~절을
+참고할 수는 있지만, \XeTeX 이나 \LuaTeX 으로 트루타입을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오늘날
+이 방법은 낡은 것이 되었다.
+
\section{영역, 가족, \cntrdots}
\subsection{입력 문자의 영역}
@@ -2775,6 +2289,54 @@ questionlower = .15ex
은글꼴과 같은 특별한 글꼴이 아니라면 대부분의 경우 문장부호를 강제로 이동시킬 필요가 크지 않다.
+\section{varioref 한글 텍스트}\label{sec:vario}
+
+\pkg{varioref}\는 \cs{vref} 또는 \cs{vpageref} 명령을 제공하며
+예컨대
+\begin{verbatim}
+ ...\vref{fig:1}
+\end{verbatim}
+과 같은 입력이 ``Figure 1 on current page''과 같은 출력으로 나타나게 하는 패키지이다.
+여기서 ``on current page''와 같은 표현을 우리말화한 것이 \pkg{kotex-varioref} 패키지이며
+slomo가 처음 작성하여 \koTeX 에 포함되었다. \koTeX-utf 3.0에서 이를 더 개선하였다.
+
+사용자가 통제할 수 있는 문자열을 \vref{tab:vario}에 요약한다.
+
+\begin{table}[h]
+\centering
+\caption{varioref 텍스트 대치}\label{tab:vario}
+\begin{tabular}{ll|ll}
+\hline
+명칭 & 기본값 & 명칭 & 기본값 \\ \hline
+\texttt{pagename} & 페이지 & \texttt{aftertext} & 다음 \\
+\texttt{beforetext} & 앞 & \texttt{currentext} & 현재 \\
+\texttt{totext} & 에서 & \texttt{footnotename} & 각주 \\
+\texttt{figurename} & \cs{figurename} & \texttt{tablename} & \cs{tablename} \\ \hline
+\end{tabular}
+\end{table}
+
+예컨대 `페이지' 대신 `쪽'이라 하고 싶다면
+\begin{verbatim}
+\usepackage[pagename={쪽}]{kotex-varioref}
+\end{verbatim}
+과 같이 패키지 로드할 때에 옵션으로 지정하거나, 문서가 시작한 후라도
+\begin{verbatim}
+\kotexvarioreftexts{pagename={쪽}}
+\end{verbatim}
+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
+\cs{UItrue} 또는 \cs{UIfalse} 명령으로 예컨대 `현재 페이지\dotemph{의} 그림'과 같은
+표현에서 조사 `의'를 두거나 두지 않을 수 있는데, \cs{UIfalse}가 기본값이다.
+
+\begin{verbatim}
+ \kotexvarioreftexts{pagename=쪽}
+ \UItrue \vref{tab:vario}\를 보라.
+\end{verbatim}
+\begin{quote}
+\kotexvarioreftexts{pagename=쪽}
+\UItrue \vref{tab:vario}\를 보라.
+\end{quote}
+
\chapter{색인(찾아보기) 만들기}\label{sec:komkindex}
\section{색인 작성 유틸리티 \util{komkindex}}
@@ -2819,7 +2381,7 @@ $ komkindex(.pl) -s kotex foo
\cmd{\index}\texttt{\{색인!인덱스\}}라고 마크하면
이것은 ``색인''이라는 항목의 하위 항목으로 ``인덱스''라는
항목이 취급되도록 하라는 의미이다. 한편, \cmd{\index}\texttt{\{금서목록@인덱스\}}라고 마크하면, 항목의 엔트리는 ``인덱스''로 하되, 정렬 기준을 ``금서목록''에
-맞추라는 의미이다.
+맞추라는 의미이다.\index{금서목록@인덱스}
이밖에도 색인을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많은 방법이 있다.
문서에서 색인이 들어갈 위치에 다음 명령을 기록한다.
@@ -2847,7 +2409,7 @@ $ komkindex(.pl) -s kotex foo
참고로, \XeTeX 이나 \LuaTeX 에서 한글 색인을 작성하려면 다음 순서로 한다.
\begin{verbatim}
# xelatex foo
-# texindy -L korean -I omega foo.idx
+# texindy -L korean -C utf8 foo.idx
# xelatex foo
\end{verbatim}
\index{kotexindy}\index{Utilities!kotexindy}
@@ -3129,7 +2691,7 @@ $ jamo-normalize [option] <infile >outfile
\end{description}
%%%%% index
-
+\flushbottom
\printindex
\clearpage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doc/yettext.tex b/language/korean/kotex-utf/doc/yettext.tex
deleted file mode 100644
index a1cb17e0d5..0000000000
--- a/language/korean/kotex-utf/doc/yettext.tex
+++ /dev/null
@@ -1,13 +0,0 @@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ᄒᆞᆫᄉᆡᆼ 緣연分분이며 하ᄂᆞᆯ 모ᄅᆞᆯ 일이런가\\
-나 ᄒᆞ나 졈어 닛고 님 ᄒᆞ나 날 괴시니\\
-이 ᄆᆞ음 이 ᄉᆞ랑 견졸 ᄃᆡ 노여 업다\\
-平평生ᄉᆡᆼ애 願원ᄒᆞ요ᄃᆡ ᄒᆞᆫᄃᆡ 녜자 ᄒᆞ얏더니\\
-늙거야 무ᄉᆞ 일로 외오 두고 글이ᄂᆞᆫ고\\
-엇그제 님을 뫼셔 廣광寒한殿뎐에 올낫더니\\
-그 더ᄃᆡ 엇디ᄒᆞ야 下하界계예 ᄂᆞ려오니\\
-올 적의 비슨 머리 얼킈연 디 三삼年년이라\\
-臙연脂지粉분 잇ᄂᆡᆷᄂᆞᆫ 눌 위ᄒᆞ야 고이 ᄒᆞᆯ고\\
-ᄆᆞ음의 ᄆᆡ친 설음 疊텹疊텹이 ᄡᅡ여 이셔\\
-짓ᄂᆞ니 한숨이오 디ᄂᆞ니 눈믈이라\\
-人인心심은 有유限ᄒᆞᆫᄒᆞᆫᄃᆡ 시ᄅᆞᆷ도 그지업다 \ No newline at end of file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doc/yettext.txt b/language/korean/kotex-utf/doc/yettext.txt
deleted file mode 100644
index a927224cb9..0000000000
--- a/language/korean/kotex-utf/doc/yettext.txt
+++ /dev/null
@@ -1,13 +0,0 @@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ᄒᆞᆫᄉᆡᆼ 緣연分분이며 하ᄂᆞᆯ 모ᄅᆞᆯ 일이런가\\
-나 ᄒᆞ나 졈어 닛고 님 ᄒᆞ나 날 괴시니\\
-이 ᄆᆞ음 이 ᄉᆞ랑 견졸 ᄃᆡ 노여 업다\\
-平평生ᄉᆡᆼ애 願원ᄒᆞ요ᄃᆡ ᄒᆞᆫᄃᆡ 녜자 ᄒᆞ얏더니\\
-늙거야 무ᄉᆞ 일로 외오 두고 글이ᄂᆞᆫ고\\
-엇그제 님을 뫼셔 廣광寒한殿뎐에 올낫더니\\
-그 더ᄃᆡ 엇디ᄒᆞ야 下하界계예 ᄂᆞ려오니\\
-올 적의 비슨 머리 얼킈연 디 三삼年년이라\\
-臙연脂지粉분 잇ᄂᆡᆷᄂᆞᆫ 눌 위ᄒᆞ야 고이 ᄒᆞᆯ고\\
-ᄆᆞ음의 ᄆᆡ친 설음 疊텹疊텹이 ᄡᅡ여 이셔\\
-짓ᄂᆞ니 한숨이오 디ᄂᆞ니 눈믈이라\\
-人인心심은 有유限ᄒᆞᆫᄒᆞᆫᄃᆡ 시ᄅᆞᆷ도 그지업다 \ No newline at end of file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cmap.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cmap.sty
index 17e1fd0f6e..33e74428c3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cmap.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cmap.sty
@@ -11,10 +11,10 @@
%% version 2006/05/20 or later.
%%
\ProvidesPackage{dhucs-cmap}
- [2007/06/16 searchable PDF for dhucs upon pdftex]
+ [2021/03/01 searchable PDF for dhucs upon pdftex]
-\RequirePackage{ifpdf}
-\ifpdf\else\expandafter\endinput\fi
+\RequirePackage{iftex}
+\ifpdf\else\endinput\fi
\newcommand*\AddUniSubCmap{%
\ifdefined \now@jamo@printing
@@ -72,6 +72,7 @@
\fi
\pdffontattr\font@name{/ToUnicode
\csname dhucs-cmap-\h@ngulpl@ne\endcsname\space 0 R}%
+ \ifdefined\pdfnobuiltintounicode \pdfnobuiltintounicode\font@name \fi
}
\newcommand*\jamo@dh@cmap[1]{%
@@ -81,6 +82,7 @@
\fi
\pdffontattr\font@name{/ToUnicode
\csname dhucs-cmap-mid-#1\endcsname\space 0 R}%
+ \ifdefined\pdfnobuiltintounicode \pdfnobuiltintounicode\font@name \fi
}
\def\dhucs@define@newfont{\define@newfont\AddUniSubCmap\h@ngulpl@ne}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enumerate.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enumerate.sty
index 0e812b62fa..0e812b62fa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enumerate.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enumerate.sty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enumitem.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enumitem.sty
index 79c0c06be7..79c0c06be7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enumitem.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enumitem.sty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gremph.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gremph.sty
index 4cc0c12a6a..4cc0c12a6a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gremph.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gremph.sty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interword.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interword.sty
index 97c2cb37e9..97c2cb37e9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interword.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interword.sty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paralist.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paralist.sty
index 71a5827f1d..331912c51c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paralist.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paralist.sty
@@ -1,6 +1,6 @@
%% File `dhucs-paralist.sty`
%%
-%% Copyright (c) 2007-2013 Dohyun Kim <nomos at krug org>
+%% Copyright (c) 2007-2013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modification from dhucs-enumerate.sty by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 This work may be distributed and/or modified under the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sectsty.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sectsty.sty
index 235f0422b5..235f0422b5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sectsty.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sectsty.sty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setspace.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setspace.sty
index 8d54e2a29e..8d54e2a29e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setspace.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setspace.sty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trivcj.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trivcj.sty
index 0c4f65c052..5f804accd0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trivcj.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trivcj.sty
@@ -16,7 +16,7 @@
[2011/08/17 temporary chinese/japanese for dhucs]
%%%%%% luatex & xetex
-\ifx가가\relax
+\ifx 가가\relax
\newcommand*\trivcjtypesetting{%
\parindent1em
\let\nbs\nobreakspace %% see CJK.sty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ucshyper.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ucshyper.sty
index 5d393ccde7..5d393ccde7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ucshyper.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ucshyper.sty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fn.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fn.sty
index 8fb556a8ce..8fb556a8ce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dhucsfn.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dhucsfn.sty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kotex-logo.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kotex-logo.sty
index 9dd7d049df..9dd7d049df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contrib/kotex-logo.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kotex-logo.sty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kotex-varioref.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kotex-varioref.sty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2670928b12
--- /dev/null
+++ b/language/korean/kotex-utf/tex/contrib/kotex-varioref.sty
@@ -0,0 +1,91 @@
+%% File `kotex-varioref.sty`
+%%
+%% (C) Copyright 2008-2013 slomo
+%% 2022 Kangsoo Kim
+%%
+%% This work may be distributed and/or modified under the
+%% conditions of the LaTeX Project Public License, either version 1.3c
+%% of this license or (at your option) any later version.
+%% The latest version of this license is in
+%% http://www.latex-project.org/lppl.txt
+%% and version 1.3c or later is part of all distributions of LaTeX
+%% version 2006/05/20 or later.
+%%
+\ProvidesPackage{kotex-varioref}[2022/06/20 korean texts for varioref]
+\RequirePackage{l3keys2e}
+\@ifpackageloaded{varioref}{}{\RequirePackage{varioref}[2006/05/13]}
+
+\ExplSyntaxOn
+
+\keys_define:nn { kotexvarioref }
+{
+ pagename .tl_set:N = \pagename,
+ aftertext .tl_set:N = \kvr@aftertext,
+ beforetext .tl_set:N = \kvr@beforetext,
+ currenttext .tl_set:N = \kvr@currenttext,
+ totext .tl_set:N = \kvr@to,
+ footnotename .tl_set:N = \kvr@footnotename,
+ figurename .tl_set:N = \kvr@figurename,
+ tablename .tl_set:N = \kvr@tablename
+}
+
+\keys_set:nn { kotexvarioref }
+{
+ pagename = 페이지,
+ aftertext = 다음,
+ beforetext = 앞,
+ currenttext = 현재,
+ totext = 에서,
+ footnotename = 각주,
+ figurename = \figurename,
+ tablename = \tablename
+}
+
+\ProcessKeysOptions { kotexvarioref }
+
+\newif\ifUI\UIfalse
+\NewDocumentCommand \kvr@ui {}
+{
+ \ifUI 의\else\fi
+}
+
+\NewDocumentCommand \kotexvarioreftexts { m }
+{
+ \keys_set:nn { kotexvarioref } { #1 }
+}
+
+\ExplSyntaxOff
+
+%
+% user interfaces
+%
+\renewcommand{\vref}[2][\reftextcurrent]
+ {\vpageref[#1]{#2}\kvr@ui{} \ref{#2}}
+\renewcommand{\vrefrange}[3][\reftextcurrent]
+ {\vpagerefrange[#1]{#2}{#3}\kvr@ui{} \reftextlabelrange{#2}{#3}}
+
+
+%
+% reftexts
+%
+\renewcommand{\reftextfaceafter}{\kvr@aftertext{} \pagename}%
+\renewcommand{\reftextfacebefore}{\kvr@beforetext{} \pagename}%
+\renewcommand{\reftextafter}{\kvr@aftertext{} \pagename}%
+\renewcommand{\reftextbefore}{\kvr@beforetext{} \pagename}%
+\renewcommand{\reftextcurrent}{\kvr@currenttext{} \pagename}%
+\renewcommand{\reftextfaraway}[1]{\pageref{#1}\pagename}%
+\renewcommand{\reftextpagerange}[2]{\pageref{#1}--\pageref{#2}\pagename}%
+\renewcommand{\reftextlabelrange}[2]{\ref{#1}\kvr@to{} \ref{#2}}
+
+%
+% labelformats
+%
+\labelformat{part}{#1\partname}
+\labelformat{chapter}{#1\chaptername}
+\labelformat{section}{#1\sectionname}
+\labelformat{figure}{\kvr@figurename~#1}
+\labelformat{table}{\kvr@tablename~#1}
+\labelformat{footnote}{\kvr@footnotename{}~#1}
+
+\endinput
+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dhucs-nanumfont.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dhucs-nanumfont.sty
index c13f2b345e..c13f2b345e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dhucs-nanumfont.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dhucs-nanumfont.sty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dhucs.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dhucs.sty
index dc247f7c24..f9d01963c9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dhucs.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dhucs.sty
@@ -14,6 +14,7 @@
%% --------------------------------------------------------
%%
%% changelog:
+%% 2015/08/21 5.4.0 minor typo fix
%% 2009/03/05 5.0.0 wrapper for various engines
%% 2008/08/28 4.1.4 work around error under using babel package
%% 2008/05/26 4.1.3 fallback of hangul font family is now serif font
@@ -38,9 +39,9 @@
%%
\NeedsTeXFormat{LaTeX2e}
\ProvidesPackage{dhucs}
- [2012/11/08 v5.3.2 typesetting UTF-8 Korean documents]
+ [2015/08/21 v5.4 typesetting UTF-8 Korean documents]
-\ifx가가\else
+\ifx 가가\else
\DeclareOption*{\PassOptionsToPackage\CurrentOption{kotexutf}}
\ProcessOptions\relax
\RequirePackage{kotexutf}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hfontspec.default b/language/korean/kotex-utf/tex/hfontspec.default
index 662b6b9a6f..662b6b9a6f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hfontspec.default
+++ b/language/korean/kotex-utf/tex/hfontspec.default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tex/kosections-utf.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kosections-utf.sty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098c97a81b
--- /dev/null
+++ b/language/korean/kotex-utf/tex/kosections-utf.sty
@@ -0,0 +1,145 @@
+%% File `kosections-utf.tex`
+%%
+%% (C) Copyright 2007-2022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2022 Kangsoo Kim
+%%
+%% This work may be distributed and/or modified under the
+%% conditions of the LaTeX Project Public License, either version 1.3c
+%% of this license or (at your option) any later version.
+%% The latest version of this license is in
+%% http://www.latex-project.org/lppl.txt
+%% and version 1.3c or later is part of all distributions of LaTeX
+%% version 2006/05/20 or later.
+%%
+\ProvidesFile{kosections-utf}
+ [2022/06/20 hangul option to kotex/utf]
+
+%\def\hNum#1{\@hNum{\@nameuse{c@#1}}}
+%\def\@hNum#1{\ifcase#1\or 일\or 이\or 삼\or 사\or 오\or 육\or 칠\or
+% 팔\or 구\or 십\or 십일\or 십이\or 십삼\or 십사\or 십오\or 십육\or
+% 십칠\or 십팔\or 십구\or 이십\or 이십일\or 이십이\or 이십삼\or
+% 이십사\else\@ctrerr\fi}
+%\def\hanjanum#1{\@hanjanum{\@nameuse{c@#1}}}
+%\def\@hanjanum#1{\ifcase#1\or 一\or 二\or 三\or
+% 四\or 五\or 六\or 七\or 八\or 九\or 十\or
+% 十一\or 十二\or 十三\or 十四\or 十五\or
+% 十六\or 十七\or 十八\or 十九\or 二十\or
+% 二十一\or 二十二\or 二十三\or 二十四\else\@ctrerr\fi}
+%\def\HArabic#1{\@HArabic{\@nameuse{c@#1}}}
+%\def\@HArabic#1{\ifcase#1\or 1\rieul\or 2\jung\or 3\jong\or 4\jung\or 5\jung\or
+% 6\jong\or 7\rieul\or 8\rieul\or 9\jung\or 10\jong\or 11\rieul\or 12\jung\or
+% 13\jong\or 14\jung\or 15\jung\or 16\jong\or 17\rieul\or 18\rieul\or 19\jung\or
+% 20\jong\or 21\rieul\or 22\jung\or 23\jong\or 24\jung\else\@ctrerr\fi}
+
+%% 한글 기호문자 처리를 위한 정의들.
+%% 일부 클래스(예: memoir)에서 \textsubscript를 정의하고 있으므로,
+%% 여기서는 \TEXTsubscript로 정의한다. 만약 이 정의를 문서에서
+%% 사용하고 싶으면 \let\textsubscript\TEXTsubscript로 할 것.
+\protected\def\TEXTsubscript#1{%
+ \@TEXTsubscript{\selectfont#1}}
+\newcommand{\@TEXTsubscript}[1]{%
+ {\m@th\ensuremath{_{\mbox{\fontsize\sf@size\z@#1}}}}}%
+\DeclareUnicodeCharacter{00BC}% 1/4
+ {\textsuperscript1\kern-.45em\unihangulchar{65295}\kern-.45em\TEXTsubscript4}
+\DeclareUnicodeCharacter{00BD}% 1/2
+ {\textsuperscript1\kern-.45em\unihangulchar{65295}\kern-.45em\TEXTsubscript2}
+\DeclareUnicodeCharacter{00BE}% 3/4
+ {\textsuperscript3\kern-.45em\unihangulchar{65295}\kern-.45em\TEXTsubscript4}
+\DeclareUnicodeCharacter{02D0}% ː
+ {\unihangulchar{"02D0}}% 8251=0x203B
+\DeclareUnicodeCharacter{2025}% ‥
+ {\unihangulchar{"2025}}% 8251=0x203B
+\DeclareUnicodeCharacter{2015}% ―
+ {\nobreak\hskip\dhucs@hu\unihangulchar{"2015}\hskip\dhucs@hu\relax}% 8251=0x203B
+\DeclareUnicodeCharacter{2312}% ⌒
+ {\unihangulchar{"2312}}% 8251=0x203B
+\DeclareUnicodeCharacter{203B}% ※
+ {\unihangulchar{8251}}% 8251=0x203B
+
+%% konames-utf
+\RequirePackage{konames-utf}
+
+%% bangjom emphasis : extension. (inspired by hangul.sty)
+
+\def\circemphchar{˚}
+\def\dotemphchar{˙}
+\let\useremphchar\circemphchar
+\newdimen\raisedotdim\raisedotdim\z@
+\newdimen\dhucs@emph@width
+
+\def\put@dhucs@mphch@r#1{%
+ \ifnum\thish@ngul>\z@ %\ifnum\thish@ngul<\thr@@ % hangul or hanja
+ \rlap{\raise\dhucs@emph@raise
+ \hb@xt@\dhucs@emph@width{\normalfont\hss#1\hss}}%
+ \fi %\fi
+}
+\def\get@dhucs@mphheight#1{%
+ \ifdim\raisedotdim=\z@\relax
+ \settoheight{\dhucs@emph@raise}{#1}%
+ \addtolength{\dhucs@emph@raise}{-.4em}%
+ \else\let\dhucs@emph@raise\raisedotdim\fi
+}
+
+\protected\def\dotemph#1{\begingroup
+ \get@dhucs@mphheight{#1}%
+ \let\dhucs@emph\dhucs@dot@emph
+ #1\endgroup}
+
+\def\dhucs@dot@emph#1{%
+ \settowidth{\dhucs@emph@width}{#1}%
+ \put@dhucs@mphch@r{\dotemphchar}%
+}
+
+\protected\def\circemph#1{\begingroup
+ \get@dhucs@mphheight{#1}%
+ \let\dhucs@emph\dhucs@circ@emph
+ #1\endgroup}
+
+\def\dhucs@circ@emph#1{\leavevmode
+ \settowidth{\dhucs@emph@width}{#1}%
+ \put@dhucs@mphch@r{\circemphchar}%
+}
+
+\newdimen\useremphraisedim\useremphraisedim\z@
+
+\protected\def\useremph#1{\begingroup
+ \ifdim\useremphraisedim=\z@\relax
+ \settoheight{\dhucs@emph@raise}{#1}%
+ \addtolength{\dhucs@emph@raise}{-.4em}%
+ \else\let\dhucs@emph@raise\useremphraisedim\fi
+ \let\dhucs@emph\dhucs@user@emph
+ #1\endgroup}
+
+\def\dhucs@user@emph#1{\leavevmode
+ \settowidth{\dhucs@emph@width}{#1}%
+ \put@dhucs@mphch@r{\useremphchar}%
+}
+
+\g@addto@macro\pdfstringdefPreHook{%
+ \let\circemph\@firstofone
+ \let\useremph\@firstofone
+}
+
+%%% xspaceskip
+\@ifpackageloaded{dhucs-setspace}{}{\linespread{1.333}}
+\if@nonfrench
+ \xspaceskip=.5em plus .111em minus .1em
+\fi
+\skip\footins=\glueexpr\skip\footins/72*100\relax
+
+%%% interhchar
+%\setInterHangulSkip{-0.55pt}
+
+%%% makeidx를 쓰면 \see와 \seealso가 정의된다.
+%%% modified from kosections-euc.tex
+%%% See http://www.ktug.or.kr/jsboard/read.php?table=operate&no=22789
+\AtBeginDocument{%
+ \@ifundefined{see}{}{%
+ \renewcommand*\see[2]{#1\emph{\seename}}%
+ }
+ \@ifundefined{seealso}{}{%
+ \renewcommand*\seealso[2]{#1\emph{\alsoname}}%
+ }
+}
+
+\endinput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kosections-utf.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kotex-sections.sty
index 8a41519040..3b336c6529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kosections-utf.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kotex-sections.sty
@@ -1,7 +1,6 @@
-%% File `kosections-utf.tex`
+%% File `kotex-sections.tex`
%%
-%% (C) Copyright 2007-2013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C) 2014-2022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 This work may be distributed and/or modified under the
%% conditions of the LaTeX Project Public License, either version 1.3c
@@ -11,53 +10,16 @@
%% and version 1.3c or later is part of all distributions of LaTeX
%% version 2006/05/20 or later.
%%
-\ProvidesFile{kosections-utf}
- [2013/10/20 hangul option to kotex/utf]
-
-%\def\hNum#1{\@hNum{\@nameuse{c@#1}}}
-%\def\@hNum#1{\ifcase#1\or 일\or 이\or 삼\or 사\or 오\or 육\or 칠\or
-% 팔\or 구\or 십\or 십일\or 십이\or 십삼\or 십사\or 십오\or 십육\or
-% 십칠\or 십팔\or 십구\or 이십\or 이십일\or 이십이\or 이십삼\or
-% 이십사\else\@ctrerr\fi}
-%\def\hanjanum#1{\@hanjanum{\@nameuse{c@#1}}}
-%\def\@hanjanum#1{\ifcase#1\or 一\or 二\or 三\or
-% 四\or 五\or 六\or 七\or 八\or 九\or 十\or
-% 十一\or 十二\or 十三\or 十四\or 十五\or
-% 十六\or 十七\or 十八\or 十九\or 二十\or
-% 二十一\or 二十二\or 二十三\or 二十四\else\@ctrerr\fi}
-%\def\HArabic#1{\@HArabic{\@nameuse{c@#1}}}
-%\def\@HArabic#1{\ifcase#1\or 1\rieul\or 2\jung\or 3\jong\or 4\jung\or 5\jung\or
-% 6\jong\or 7\rieul\or 8\rieul\or 9\jung\or 10\jong\or 11\rieul\or 12\jung\or
-% 13\jong\or 14\jung\or 15\jung\or 16\jong\or 17\rieul\or 18\rieul\or 19\jung\or
-% 20\jong\or 21\rieul\or 22\jung\or 23\jong\or 24\jung\else\@ctrerr\fi}
-
-%% 한글 기호문자 처리를 위한 정의들.
-%% 일부 클래스(예: memoir)에서 \textsubscript를 정의하고 있으므로,
-%% 여기서는 \TEXTsubscript로 정의한다. 만약 이 정의를 문서에서
-%% 사용하고 싶으면 \let\textsubscript\TEXTsubscript로 할 것.
-\protected\def\TEXTsubscript#1{%
- \@TEXTsubscript{\selectfont#1}}
-\newcommand{\@TEXTsubscript}[1]{%
- {\m@th\ensuremath{_{\mbox{\fontsize\sf@size\z@#1}}}}}%
-\DeclareUnicodeCharacter{00BC}% 1/4
- {\textsuperscript1\kern-.45em\unihangulchar{65295}\kern-.45em\TEXTsubscript4}
-\DeclareUnicodeCharacter{00BD}% 1/2
- {\textsuperscript1\kern-.45em\unihangulchar{65295}\kern-.45em\TEXTsubscript2}
-\DeclareUnicodeCharacter{00BE}% 3/4
- {\textsuperscript3\kern-.45em\unihangulchar{65295}\kern-.45em\TEXTsubscript4}
-\DeclareUnicodeCharacter{02D0}% ː
- {\unihangulchar{"02D0}}% 8251=0x203B
-\DeclareUnicodeCharacter{2025}% ‥
- {\unihangulchar{"2025}}% 8251=0x203B
-\DeclareUnicodeCharacter{2015}% ―
- {\nobreak\hskip\dhucs@hu\unihangulchar{"2015}\hskip\dhucs@hu\relax}% 8251=0x203B
-\DeclareUnicodeCharacter{2312}% ⌒
- {\unihangulchar{"2312}}% 8251=0x203B
-\DeclareUnicodeCharacter{203B}% ※
- {\unihangulchar{8251}}% 8251=0x203B
+\ProvidesFile{kotex-sections}
+ [2022/06/20 0.3.1 chapter/section styles from HLaTeX]
%% konames-utf
-\RequirePackage{konames-utf}
+%\RequirePackage{konames-utf}
+\@ifpackageloaded{konames-utf}{}{%
+ \RequirePackage{konames-utf}
+}
+
+\newdimen\kosecldim\kosecldim=2.3em
%% 단원의 한글화
%% =============
@@ -344,13 +306,13 @@
\@ifclassloaded{book}{
\renewcommand*\l@section{%
\settowidth{\@tempdima}{\pre@sectioncnt\post@sectioncnt}%
- \addtolength{\@tempdima}{2.3em}%
+ \addtolength{\@tempdima}{\kosecldim}%
\@dottedtocline{1}{1em}{\@tempdima}}%1.5em 2.3em
}{}
\@ifclassloaded{report}{
\renewcommand*\l@section{%
\settowidth{\@tempdima}{\pre@sectioncnt\post@sectioncnt}%
- \addtolength{\@tempdima}{2.3em}%
+ \addtolength{\@tempdima}{\kosecldim}%
\@dottedtocline{1}{1em}{\@tempdima}}%1.5em 2.3em
}{}
@@ -463,86 +425,23 @@
\fi
}{}
-%% bangjom emphasis : extension. (inspired by hangul.sty)
-
-\def\circemphchar{˚}
-\def\dotemphchar{˙}
-\let\useremphchar\circemphchar
-\newdimen\raisedotdim\raisedotdim\z@
-\newdimen\dhucs@emph@width
-
-\def\put@dhucs@mphch@r#1{%
- \ifnum\thish@ngul>\z@ %\ifnum\thish@ngul<\thr@@ % hangul or hanja
- \rlap{\raise\dhucs@emph@raise
- \hb@xt@\dhucs@emph@width{\normalfont\hss#1\hss}}%
- \fi %\fi
-}
-\def\get@dhucs@mphheight#1{%
- \ifdim\raisedotdim=\z@\relax
- \settoheight{\dhucs@emph@raise}{#1}%
- \addtolength{\dhucs@emph@raise}{-.4em}%
- \else\let\dhucs@emph@raise\raisedotdim\fi
-}
-
-\protected\def\dotemph#1{\begingroup
- \get@dhucs@mphheight{#1}%
- \let\dhucs@emph\dhucs@dot@emph
- #1\endgroup}
-
-\def\dhucs@dot@emph#1{%
- \settowidth{\dhucs@emph@width}{#1}%
- \put@dhucs@mphch@r{\dotemphchar}%
-}
-
-\protected\def\circemph#1{\begingroup
- \get@dhucs@mphheight{#1}%
- \let\dhucs@emph\dhucs@circ@emph
- #1\endgroup}
-
-\def\dhucs@circ@emph#1{\leavevmode
- \settowidth{\dhucs@emph@width}{#1}%
- \put@dhucs@mphch@r{\circemphchar}%
-}
-
-\newdimen\useremphraisedim\useremphraisedim\z@
-
-\protected\def\useremph#1{\begingroup
- \ifdim\useremphraisedim=\z@\relax
- \settoheight{\dhucs@emph@raise}{#1}%
- \addtolength{\dhucs@emph@raise}{-.4em}%
- \else\let\dhucs@emph@raise\useremphraisedim\fi
- \let\dhucs@emph\dhucs@user@emph
- #1\endgroup}
-
-\def\dhucs@user@emph#1{\leavevmode
- \settowidth{\dhucs@emph@width}{#1}%
- \put@dhucs@mphch@r{\useremphchar}%
-}
-
-\g@addto@macro\pdfstringdefPreHook{%
- \let\circemph\@firstofone
- \let\useremph\@firstofone
-}
-
-%%% xspaceskip
-\@ifpackageloaded{dhucs-setspace}{}{\linespread{1.333}}
-\if@nonfrench
- \xspaceskip=.5em plus .111em minus .1em
-\fi
-
-%%% interhchar
-\setInterHangulSkip{-0.55pt}
-%%% makeidx를 쓰면 \see와 \seealso가 정의된다.
-%%% modified from kosections-euc.tex
-%%% See http://www.ktug.or.kr/jsboard/read.php?table=operate&no=22789
+%%% from xetexko.sty
\AtBeginDocument{%
- \@ifundefined{see}{}{%
- \renewcommand*\see[2]{#1\emph{\seename}}%
- }
- \@ifundefined{seealso}{}{%
- \renewcommand*\seealso[2]{#1\emph{\alsoname}}%
- }
+ \@ifpackageloaded{hyperref}{%
+ \pdfstringdefDisableCommands{%
+ \def\는{는}%
+ \def\은{은}%
+ \def\을{을}%
+ \def\를{를}%
+ \def\와{와}%
+ \def\과{과}%
+ \def\가{가}%
+ \def\이{이}%
+ \def\라{라}%
+ \def\으{으}%
+ \def\로{로}%
+ }}{}
}
\endinput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kotex.cfg b/language/korean/kotex-utf/tex/kotex.cfg
index a6389e4e5e..a6389e4e5e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kotex.cfg
+++ b/language/korean/kotex-utf/tex/kotex.cfg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kotexutf.sty b/language/korean/kotex-utf/tex/kotexutf.sty
index 7b784a770c..f1e6e73cf5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kotexutf.sty
+++ b/language/korean/kotex-utf/tex/kotexutf.sty
@@ -1,6 +1,7 @@
%% File `kotexutf.sty`
%%
-%% Copyright (C) 2012-2013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Copyright (C) 2012-2022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Copyright (C) 2015-2022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 This work may be distributed and/or modified under the
%% conditions of the LaTeX Project Public License, either version 1.3c
@@ -10,9 +11,9 @@
%% and version 1.3c or later is part of all distributions of LaTeX
%% version 2006/05/20 or later.
%%
-\NeedsTeXFormat{LaTeX2e}
+\NeedsTeXFormat{LaTeX2e}[2022/06/01]
\ProvidesPackage{kotexutf}
- [2015/07/18 v2.1.1 typesetting UTF-8 Korean documents]
+ [2022/06/22 v3.0.0 typesetting UTF-8 Korean documents]
\newif\if@nonfrench
\newif\if@hangul
@@ -34,6 +35,13 @@
\input kotexutf-core
+% care about fancyvrb's VerbatimOut env
+\def\kotex@make@utfviii@other{%
+ \count@"80 \loop \catcode\count@=12 \ifnum\count@<"BF \advance\count@\@ne \repeat
+ \count@"C2 \loop \catcode\count@=12 \ifnum\count@<"F4 \advance\count@\@ne \repeat
+}
+\AddToHook{env/VerbatimOut/begin}{\kotex@make@utfviii@other}
+
% modified from lucenc.def
\DeclareFontEncoding{LUC}{}{}
%\DeclareFontSubstitution{LUC}{utbt}{m}{n}
@@ -103,14 +111,10 @@
\def\dhucs@temp@hanjafont {#2}%
}
-\protected\edef\normalfont{%
- \unexpanded{%
- \let\dhucs@temp@hangulfont\dhucs@undefined
- \let\dhucs@temp@hanjafont \dhucs@undefined
- }%
- \unexpanded\expandafter{\normalfont}%
+\AddToHook{normalfont}{%
+ \let\dhucs@temp@hangulfont\dhucs@undefined
+ \let\dhucs@temp@hanjafont \dhucs@undefined
}
-\let\reset@font\normalfont
%% now print out \unihangulchar
\newcommand*\unihangulchar@@@{%
@@ -511,9 +515,9 @@
\unless\ifdefined\pdfstringdefPreHook
\let\pdfstringdefPreHook\@empty\fi
\g@addto@macro\pdfstringdefPreHook{%
- \unihangul@unprotect@range{C2}{DF}{two}%
- \unihangul@unprotect@range{E0}{EF}{three}%
- \unihangul@unprotect@range{F0}{F4}{four}%
+% \unihangul@unprotect@range{C2}{DF}{two}%
+% \unihangul@unprotect@range{E0}{EF}{three}%
+% \unihangul@unprotect@range{F0}{F4}{four}%
\let\unihangulchar\HyPsd@unichar
\let\makejosa\@secondoftwo
\let\dotemph\@firstofone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lucenc.dfu b/language/korean/kotex-utf/tex/lucenc.dfu
index 172cc95e93..172cc95e93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lucenc.dfu
+++ b/language/korean/kotex-utf/tex/lucenc.dfu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lucuhcmj.fd b/language/korean/kotex-utf/tex/lucuhcmj.fd
index 091d8c9ce1..091d8c9ce1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lucuhcmj.fd
+++ b/language/korean/kotex-utf/tex/lucuhcmj.fd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tex4ht/dhucs.4ht b/language/korean/kotex-utf/tex/tex4ht/dhucs.4ht
index 650184fa84..650184fa84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tex4ht/dhucs.4ht
+++ b/language/korean/kotex-utf/tex/tex4ht/dhucs.4ht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tex4ht/dhucs.cfg b/language/korean/kotex-utf/tex/tex4ht/dhucs.cfg
index 8c8f57f282..8c8f57f282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tex4ht/dhucs.cfg
+++ b/language/korean/kotex-utf/tex/tex4ht/dhucs.cfg
diff --git a/language/korean/kotex-utf/tex4ht/kosections-utf.4ht b/language/korean/kotex-utf/tex/tex4ht/kosections-utf.4ht
index c26be1caf9..c26be1caf9 100644
--- a/language/korean/kotex-utf/tex4ht/kosections-utf.4ht
+++ b/language/korean/kotex-utf/tex/tex4ht/kosections-utf.4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