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Master/texmf-dist/doc/latex/lshort-korean/README.ko
blob: 9642b7b227324c1f9ee26c6818f5a0617690104b (plai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UTF-8 *-

The Not So Short Introduction to LaTeX2e : Korean translation
--------------------------------------------------
	by Tobias Oetiker <oetiker@ee.ethz.ch>
	
	tr. by Karnes Kim and 이기황, 샘처럼, MIKA, 김지운
	

lshort-kr이란?
============
	lshort-kr(LaTeX2e 입문)은 
	Tobias Oetiker의 `The Not So Short Introduction to LaTeX2e' 4.17의 
	한국어 번역본입니다.
	원본은 CTAN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CTAN:info/lshort
	번역의 대본은 영문판을 사용했습니다.
	번역자는 김강수, 이기황, 샘처럼, MIKA, 김지운입니다.
	
Distribution
==========
	공식 배포처는 다음 사이트입니다.
	   http://faq.ktug.or.kr/faq/lshort-kr

	배포되는 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PDF 파일 : lshort-kr.pdf
	   소스     : lshort-kr-4.17.tar.gz
		
Versions
=========
	현재 배포되는 버전은 ver 4.17kr-2 (2005/11/05) 버전입니다.

Print
=========
	배포되는 PDF 파일을 열어서 인쇄합니다.
	
How to Compile
============
  배포되는 PDF는 한겨레결체를 이용하지만
  소스를 컴파일하면 은글꼴을 본문글꼴로 사용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컴파일하기 위해서는 다음이 필요합니다.
	
		TeX System(latex)
		LaTeX2e
		은글꼴
		dhucs
		
	한글은 dhucs/unicode 를 사용합니다. dhucs/unicode의
	설치와 설정에 관해서는 KTUG(http://www.ktug.or.kr)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PDF 파일을 얻기 위해서는 dvipdfmx를 이용하십시오.

  lshort-kr.pdf를 얻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
  
   -. Windows/MiKTeX의 경우
  
   $> compile.bat

   -. Linux/teTeX의 경우

   $> make lshort-kr.pdf

Licenses
========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를 따릅니다.
	cf. http://www.gnu.org/copyleft/fdl.html

Suggestions, Corrections
================
	한글판에 대한 제안이나 의견, 수정은 전자우편을 이용하시거나 KTUG 게시판에
	써주시기 바랍니다.
	
		E-mail : info@mail.ktug.or.kr
		Web    : http://www.ktug.or.kr/

Acknowledgement
=============
  * 문서의 역자 후기에 기록된 모든 분들과 이 글을 읽어주실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 번역본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2005.11.03. KTUG lshort translation t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