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options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xetex')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11 | ||||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2 | ||||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 bin | 254326 -> 254038 bytes | |||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216 |
4 files changed, 132 insertions, 97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index 3bf0a6d42f1..486d2ddf12a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1,3 +1,14 @@ +2021-06-10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3.6 + + * LaTeX 2021/06/01 or later is required. + * vertical/horizontal environments now honor empty argument, which + means natural width. + * new LaTeX environment: verticaltypesetting + * new plain TeX commands: \beginverticaltypesetting and + \endverticaltypesetting + 2021-05-20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Version 3.5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index 4c6fb27c108..85460162172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1,4 +1,4 @@ -XeTeX-ko Package version 3.5 (2021/05/20) +XeTeX-ko Package version 3.6 (2021/06/10) ========================================= XeTeX-ko is a macro package for Xe(La)TeX which supports typesetting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inary files differindex 40ea182bffa..654bedda959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index 7969d1ca5a1..fed8d24e1b3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38,20 +38,21 @@ \def\grayhrule{{\color{white!80!black}\hrule height2pt}} \def\grayvrule{{\color{white!80!black}\vrule width 2pt}} \newenvironment{plaintex} - {\setbox0=\vbox\bgroup\hsize=\dimexpr\textwidth-12pt\relax - \hrule width0pt\kern5pt\par\small - \parindent0pt } - {\par \vskip-\lastskip\kern5pt\hrule width0pt\egroup \par\medskip\par + {\par\medskip + \setbox0=\vbox\bgroup\kern5pt\leftskip15pt \small + \parindent0pt } + {\par \kern5pt\egroup \dimen0=\dimexpr\pagegoal-\pagetotal\relax - \ifdim\dimen0<2\baselineskip\relax \dimen0\maxdimen \fi + \ifdim\dimen0<\baselineskip\relax \dimen0\maxdimen \fi \ifdim\ht0<\dimen0 - \hbox{\grayvrule\kern10pt\box0}% + \hbox{\grayvrule \box0}% \else \setbox2=\vsplit0 to\dimen0 \lineskip0pt - \ifvoid2 \else\hbox{\grayvrule\kern10pt\box2}\fi - \ifvoid0 \else\hbox{\grayvrule\kern10pt\box0}\fi - \fi \par\medskip\par } + \ifvoid2 \else\hbox{\grayvrule \box2}\fi + \ifvoid0 \else\hbox{\grayvrule \box0}\fi + \fi \par\smallskip + } \newenvironment{example} {\hbox\bgroup\grayvrule \vbox\bgroup\hsize\dimexpr\textwidth-4pt\relax @@ -61,7 +62,7 @@ \def\hemph#1{\textsf{\bfseries #1}} \def\hparen#1{{\small\hangulparens(#1)}} \let\hparens\hparen -\def\keyword#1{\cs{#1}\marginpar{\hfuzz\maxdimen\footnotesize{\color{blue!70}\cs{#1}}}} +\def\keyword#1{\cs{#1}\marginpar{\hfuzz\maxdimen\footnotesize{\color{blue!80}\cs{#1}}}} \def\vernote#1{v#1\marginpar{\hfuzz\maxdimen\footnotesize{\color{red}☜ v#1}}} \hangingpunctuations @@ -73,7 +74,7 @@ \title{\xetexko\ 간단 매뉴얼} \author{Dohyun Kim \normalsize <\texttt{nomos at ktug org}>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date{Version 3.5\quad 2021/05/20} +\date{Version 3.6\quad 2021/06/10} \maketitle \begin{quote}\small @@ -88,21 +89,21 @@ BOM (Byte Order Mark)은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다. EUC-KR이나 CP949 입력도 지원하는데, 다음과 같은 선언이 있으면 된다. \begin{verbatim} - \XeTeXinputencoding="korean" - \XeTeXdefaultencoding="korean" + \XeTeXinputencoding="korean" + \XeTeXdefaultencoding="korean" \end{verbatim} \section{\XeTeX\ 자체 기능} \XeTeX 은 자체적으로 유니코드를 잘 지원하므로 \xetexko 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한글을 찍는 데 문제가 없다. \begin{verbatim} - \usepackage{fontspec} - \setmainfont{UnBatang} - \setsansfont{UnDotum} - \setmonofont{UnTaza} - \XeTeXlinebreaklocale="ko" - \XeTeXlinebreakpenalty=50 - \XeTeXlinebreakskip=0pt plus.1ex minus.05ex + \usepackage{fontspec} + \setmainfont{UnBatang} + \setsansfont{UnDotum} + \setmonofont{UnTaza} + \XeTeXlinebreaklocale="ko" + \XeTeXlinebreakpenalty=50 + \XeTeXlinebreakskip=0pt plus.1ex minus.05ex \end{verbatim} 하지만 이렇게 사용하면 영문자와 한글이 같은 글꼴로 식자될 뿐만 아니라, 한글 사이 자간이나 영문자와 한글 사이 간격 따위의 \xetexko 가 제공하는 @@ -130,15 +131,15 @@ fontspec에 옵션을 주려면 \xetexko를 부르기 전에 fontspec을 따로 \section{글꼴 명령}\label{sec:fontcmds} \begin{verbatim} - \setmainfont {Linux Libertine} - \setmainhangulfont{NanumMyeongjo} - \setmainhanjafont {UnBatang} + \setmainfont {Linux Libertine} + \setmainhangulfont{NanumMyeongjo} + \setmainhanjafont {UnBatang} \end{verbatim} 각 명령의 의미는 이름이 뜻하는 그대로이며, fontspec 매뉴얼에 따라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다음 명령들도 제공한다. \begin{verbatim} - \setsansfont \setsanshangulfont \setsanshanjafont - \setmonofont \setmonohangulfont \setmonohanjafont + \setsansfont \setsanshangulfont \setsanshanjafont + \setmonofont \setmonohangulfont \setmonohanjafont \end{verbatim} main/sans hangul/hanja 폰트에는 따로 \verb|Ligatures=TeX| 옵션을 지시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주어진다. @@ -177,23 +178,23 @@ main/sans hangul/hanja 폰트에는 따로 \verb|Ligatures=TeX| 옵션을 지시 \section{글꼴 명령 (계속)} \begin{verbatim} - \hangulfontspec{NanumGothic}[Ligatures=TeX] - \hanjafontspec {UnGungseo}[Ligatures=TeX] + \hangulfontspec{NanumGothic}[Ligatures=TeX] + \hanjafontspec {UnGungseo}[Ligatures=TeX] \end{verbatim} 임시로 사용할 한글·한자 글꼴을 지시한다. \cs{adhochangulfont}와 \cs{adhochanjafont}는 이들 명령의 다른 이름이다. \begin{verbatim} - \newhangulfontfamily\myhangul{NanumGothic}[Ligatures=TeX] - \newhanjafontfamily \myhanja {UnGungseo}[Ligatures=TeX] - \newhangulfontface \myhangul{NanumGothic Bold}[Ligatures=TeX] - \newhanjafontface \myhanja {UnDotumBold}[Ligatures=TeX] + \newhangulfontfamily\myhangul{NanumGothic}[Ligatures=TeX] + \newhanjafontfamily \myhanja {UnGungseo}[Ligatures=TeX] + \newhangulfontface \myhangul{NanumGothic Bold}[Ligatures=TeX] + \newhanjafontface \myhanja {UnDotumBold}[Ligatures=TeX] \end{verbatim} fontspec 패키지의 \cs{setfontfamily} \cs{setfontface} 명령에 해당한다. \begin{verbatim} - \addhangulfontfeature{Color=FF0000,InterHangul=-.1em} - \addhanjafontfeature {Color=00FF00} + \addhangulfontfeature{Color=FF0000,InterHangul=-.1em} + \addhanjafontfeature {Color=00FF00} \end{verbatim} fontspec의 \cs{addfontfeature} 명령을 구현한 것이다.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 -208,7 +209,7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section{기호 글꼴 명령}\label{sec:symbolfont} 라틴 문자나 CJK 기호를 어떤 폰트로 식자할 것인가를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 \begin{verbatim} - \xetexkofontregime{hangul}[parens=latin, puncts=prevfont] + \xetexkofontregime{hangul}[parens=latin, puncts=prevfont] \end{verbatim} 모든 라틴 문자와 CJK 기호들을 원칙적으로 한글 폰트로 식자하되, 괄호류는 라틴 폰트로 찍고 마침표 따위는 현재 폰트를 따라간다는 의미이다. @@ -238,23 +239,23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기본값은 다음 명령을 준 것과 동일하다. \vernote{3.0}부터 괄호류의 기본글꼴이 한글이 되었음도 유의하라. \begin{verbatim} - \xetexkofontregime {latin}% - [ puncts=prevfont, colons=prevfont, - parens=hangul, cjksymbols=hangul ] + \xetexkofontregime {latin}% + [ puncts=prevfont, colons=prevfont, + parens=hangul, cjksymbols=hangul ] \end{verbatim} \begin{plaintex} 플레인텍에서는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LaTeX에서도 쓸 수 있다. \begin{verbatim} - \latinalphs \hangulalphs \hanjaalphs \prevfontalphs - \latinparens \hangulparens \hanjaparens \prevfontparens - \latincolons \hangulcolons \hanjacolons \prevfontcolons - \latinhyphens \hangulhyphens \hanjahyphens \prevfonthyphens - \latinpuncts \hangulpuncts \hanjapuncts \prevfontpuncts - \latincjksymbols \hangulcjksymbols \hanjacjksymbols \prevfontcjksymbols + \latinalphs \hangulalphs \hanjaalphs \prevfontalphs + \latinparens \hangulparens \hanjaparens \prevfontparens + \latincolons \hangulcolons \hanjacolons \prevfontcolons + \latinhyphens \hangulhyphens \hanjahyphens \prevfonthyphens + \latinpuncts \hangulpuncts \hanjapuncts \prevfontpuncts + \latincjksymbols \hangulcjksymbols \hanjacjksymbols \prevfontcjksymbols \end{verbatim} 다음 명령은 이상의 모든 라틴 문자를 식자할 폰트를 지시한다. \begin{verbatim} - \latinmarks \hangulmarks \hanjamarks \prevfontmarks + \latinmarks \hangulmarks \hanjamarks \prevfontmarks \end{verbatim} \end{plaintex} @@ -262,7 +263,7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dotemph{고정폭 글꼴을 제외한} 한글·한자 글꼴 명령에 미세 간격 옵션을 쓸 수 있다. 예컨대 \begin{verbatim} - \setsanshangulfont{NanumGothic}[InterHangul=-.04em] + \setsanshangulfont{NanumGothic}[InterHangul=-.04em] \end{verbatim} 이 때 나눔고딕 글꼴에 한글 마이너스 자간이 작동한다. @@ -303,9 +304,9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begin{plaintex} 플레인텍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기본값은 \LaTeX에서와 같다. \begin{verbatim} - \def\xetexkohu{0.05em } - \def\xetexkointerhchar{-0.04em } - \def\xetexkocharraise{-0.1ex } + \def\xetexkohu{0.05em } + \def\xetexkointerhchar{-0.04em } + \def\xetexkocharraise{-0.1ex } \end{verbatim} 이것들을 선언해두고나서 \cs{hangulfont} 명령 등으로 글꼴을 지정하면 기 정의된 옵션들이 한글폰트 명령에 자동 포함된다. @@ -395,13 +396,10 @@ Source Han Serif (본명조), Noto Sans CJK, Noto Serif CJK, \end{figure} \begin{verbatim} - \setmainhangulfont{Malgun Gothic}[ Script=Hangul ] + \setmainhangulfont{Malgun Gothic}[ Script=Hangul ] \end{verbatim} \begin{plaintex} -플레인텍이라면, -\begin{verbatim} - \hangulfont="Malgun Gothic:script=hang" at 10pt -\end{verbatim} +플레인텍이라면, \cs{hangulfont="Malgun Gothic:script=hang" at 10pt}. \end{plaintex} \section{세로쓰기}\label{sec:verttype} @@ -409,8 +407,8 @@ Source Han Serif (본명조), Noto Sans CJK, Noto Serif CJK, 세로쓰기를 위한 글꼴 지정은 다음과 같다. 역시 고급 오픈타입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폰트가 이를 지원해야 한다. \begin{verbatim} - \setmainhangulfont{Noto Sans CJK KR}[ - Vertical=Alternates, RawFeature=vertical ] + \newhangulfontfamily\vertfont{Noto Sans CJK KR} + [Vertical=Alternates, RawFeature=vertical] \end{verbatim} 문서 전체를 세로쓰기할 때 \keyword{verticaltypesetting}을 선언하면 @@ -418,8 +416,15 @@ Source Han Serif (본명조), Noto Sans CJK, Noto Serif CJK, \texttt{vertical} 옵션이 없어야 할 것이다. 면주 글꼴을 따로 지정하는 것은 사용자의 몫이다. } +\vernote{3.6}부터 \verb|verticaltypesetting| 환경을 이용하여 +몇몇 페이지만 세로쓰기로 조판할 수 있다. +역시 면주는 가로로 조판되며, 환경의 앞뒤에서 쪽나눔이 행해진다. + 문서의 일부를 세로쓰기 하려면 \verb|vertical| 환경을 이용한다.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vertical 환경에는 세로쓰기 박스의 높이를 인자로 준다. +\vernote{3.6}부터는 만약 인자가 비어있거나 \cs{empty}이면 +본문을 한 줄짜리 박스로 식자하도록 했다. 이때 높이는 natural height가 된다. + \begin{figure} \begin{example} \hfil\begin{vertical}{18em} @@ -443,8 +448,7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end{vertical}\hfil \end{example} \caption{\linespread{1.2}\selectfont - 세로쓰기 보기.\quad - \sffamily\small + 세로쓰기 보기. Noto Sans CJK KR 글꼴을 이용했다. 이 글꼴의 세로쓰기 어간이 1em으로 매우 커서 \cs{spaceskip=0.5em plus.25em minus.125em}을 강제했다. \texttt{CharRaise=.5ex}도 글꼴 옵션에 추가했다. @@ -454,30 +458,42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end{figure} \begin{verbatim} - \begin{vertical}{12em} - \hangulfontspec{Noto Sans CJK KR}[ - Vertical=Alternates, RawFeature=vertical ] - 세로쓰기로 식자할 부분 - \end{vertical} + \begin{vertical}{12em} + \vertfont + \hanjabyhangulfont + 세로쓰기로 植字할 부분 + \end{vertical} \end{verbatim} + 혹시 세로로 식자되지 않는 라틴문자 부분이 있다면 베이스라인이 한글과 어울리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교정하려면 \verb|CharRaise| 옵션을 한글 폰트에 준다.\footnote{% + 세로쓰기에서는 일반적으로 \texttt{CharRaise} 옵션을 주는 쪽이 권장된다. 이 방법이 여의치 않으면 라틴문자 부분을 \cs{vertlatin} 명령으로 감쌀 수도 - 있는데, 이때 인자가 박스로 처리되어 그 안에서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는다.} -\medbreak + 있는데, 이때 인자가 박스로 처리되어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는다.} + +세로쓰기 도중에 문서의 일부를 가로쓰기로 삽입하려면 +\verb|horizontal| 환경을 이용한다.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준다. +\vernote{3.6}부터는 만약 인자가 비어있거나 \cs{empty}이면 +본문을 한 줄짜리 박스로 식자하도록 했다. 이때 너비는 당연히 natural width가 된다. + \begin{plaintex} -플레인텍이라면, + 플레인텍에서 문서 전체를 세로쓰기하려면 문서 첫머리에 \cs{verticaltypesetting}. + + 몇몇 페이지만 세로로 쓰려면 \cs{beginverticaltypesetting} \ldots\ \cs{endverticaltypesetting}. + + 문서 일부를 세로쓰기하려면 가령, \begin{verbatim} - \vertical{16em}\hangulfont="Noto Sans CJK KR:vertical;+vert" - 세로쓰기로 식자할 부분 - \endvertical + \vertical{} + \hangulfont="Noto Sans CJK KR:vertical;+vert" + \hanjabyhangulfont + 세로쓰기로 植字할 부분 + \endvertical \end{verbatim} + + 세로쓰기 중에 잠시 가로로 식자하려면 \cs{horizontal\{\}} \ldots\ \cs{endhorizontal}. \end{plaintex} -세로쓰기 도중에 문서의 일부를 가로쓰기로 삽입하려면 -\verb|horizontal| 환경을 이용한다.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주어야 한다. -가로쓰기 영역의 폰트 설정은 사용자의 몫이다. \section{고문헌 조판} @@ -497,11 +513,11 @@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주어야 한 \begin{plaintex} 플레인텍에서는 다음 방식으로 사용한다. - \begin{verbatim} +\begin{verbatim} \begingroup \typesetclassic ... \endgroup - \end{verbatim} +\end{verbatim} \end{plaintex} @@ -526,8 +542,8 @@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주어야 한 \sffamily\typesetclassic \analect \end{example} -\caption{고문헌 조판 보기.\quad - \sffamily\small +\caption{\linespread{1.2}\selectfont + 고문헌 조판 보기. typesetclassic 환경을 이용했다. \cs{removeclassicspaces}도 선언했다. }\label{fig:ancientdoc} @@ -542,8 +558,8 @@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주어야 한 \analect \end{vertical}\hfil \end{example} - \caption{고문헌 세로쓰기 조판 보기.\quad - \sffamily\small + \caption{\linespread{1.2}\selectfont + 고문헌 세로쓰기 조판 보기. vertical 환경을 이용했다. \cs{hangingpunctuations}가 선언되어 있어서 구두점이 행 끝에 걸린 것을 볼 수 있다. @@ -603,29 +619,29 @@ microtype 패키지의 protrusion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vernote{3.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한글을 잡아주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다음과 같이 명시적으로 선언해야 한다. \begin{verbatim} - \setmathhangulfont{Noto Sans CJK KR}[ - SizeFeatures={ {Size=-6, Font=* Medium}, - {Size=6-9, Font=*}, - {Size=9-, Font=* DemiLight} } - ] + \setmathhangulfont{Noto Sans CJK KR}[ + SizeFeatures={ {Size=-6, Font=* Medium}, + {Size=6-9, Font=*}, + {Size=9-, Font=* DemiLight} } + ] \end{verbatim} \begin{plaintex} 플레인텍에서는 \cs{mathhangulfont="[UnBatang.ttf]"}와 같이 설정한다. 또는 좀 더 그럴듯하게 하려면:\par \leftskip=3em\noindent - \begin{verbatim} - \font\texthangul="Noto Sans CJK KR DemiLight" at 10pt - \fon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Regular" at 7pt - \font\scrip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Medium" at 5pt - \setmathhangulfonts\texthangul\scripthangul\scriptscripthangul - \end{verbatim} +\begin{verbatim} + \font\texthangul="Noto Sans CJK KR DemiLight" at 10pt + \fon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Regular" at 7pt + \font\scrip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Medium" at 5pt + \setmathhangulfonts\texthangul\scripthangul\scriptscripthangul +\end{verbatim} \end{plaintex} 현재 한글만 쓸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한자도 수식에 직접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begin{verbatim} - \setmathhangulblock{4E00}{9FC3} + \setmathhangulblock{4E00}{9FC3} \end{verbatim} 명령으로 유니코드 블럭을 추가 지정해야 한다. @@ -637,9 +653,9 @@ microtype 패키지의 protrusion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cs{jong} \cs{jung} \cs{rieul} 중 하나를 미리 선언해 둘 수 있다. 이를테면, \begin{verbatim} - \def\mypage{페이지\jung} - \def\mypage{쪽\jong} - \def\mystar{별\rieul} + \def\mypage{페이지\jung} + \def\mypage{쪽\jong} + \def\mystar{별\rieul} \end{verbatim} \section{드러냄표} @@ -648,8 +664,8 @@ microtype 패키지의 protrusion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기본은 글자 위에 점을 찍는 형태이나 다음 명령을 이용해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기호를 드러냄표로 쓸 수 있다. \begin{verbatim} - \def\dotemphraise{0.4em } - \def\dotemphchar{\bfseries ^^^^02d9} + \def\dotemphraise{0.4em } + \def\dotemphchar{\bfseries ^^^^02d9} \end{verbatim} 전자는 드러냄표를 피강조 글자 위로 끌어올리는 길이를, 후자는 드러냄표 기호 자체를 정의한다. @@ -680,11 +696,19 @@ microtype 패키지의 protrusion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hfill \fboxsep=-\fboxrule \fbox{\vbox to1em{\hbox to1em{\hss}\vss}} \bigskip +\centerline{\hfil\vrule width.5\textwidth height.4pt \relax\hfil} \section*{주요 변경 이력} \begin{small}\linespread{1.2}\selectfont \begin{description}\itemsep=0pt + \item[v3.6] 2021-06-10 + \begin{itemize} + \item \hyperref[sec:verttype] + {\cs{verticaltypesetting}을 환경으로도 쓸 수 있다}. + \item \hyperref[sec:verttype] + {\texttt{vertical} 및 \texttt{horizontal} 환경의 인자를 비워둘 수 있다}. + \end{itemize} \item[v3.4] 2021-05-15 \begin{itemize} \item \hyperref[sec:fontcm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