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13
1 files changed, 9 insertions, 4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index e8cf4d87427..6606b819e4f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58,7 +58,7 @@
\title{\xetexko\ 간단 매뉴얼}
\author{Dohyun Kim \normalsize <\texttt{nomos at ktug org}>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date{Version 2.12\quad 2015/03/26}
+\date{Version 2.13\quad 2015/06/16}
\maketitle
\begin{quote}\small
@@ -101,6 +101,9 @@
\item[v2.10]---
\item 패키지 옵션 \texttt{[unfonts]}를 더는 지원하지 않는다. 이 옵션을
사용한 기존 문서는 기본 글꼴인 나눔 트루타입으로 식자될 것이다.
+ \item[v2.13]---
+ \item \hyperref[sec:verttype]
+ {\texttt{horizontal} 환경이 추가되었다.}
\end{itemize}
\end{quote}
@@ -133,8 +136,7 @@ EUC-KR이나 CP949 입력도 지원하는데, 다음과 같은 선언이 있으
\section{\xetexko\ 부르기}\label{sec:loading}
\xetexko\ 로드하기: \cs{usepackage\{xetexko\}} 혹은 \cs{usepackage\{kotex\}}.
-이 명령으로 fontspec 및 xunicode 패키지도 함께 불려온다.
-종전과 달리 xltxtra 패키지를 함께 부르지 않음을 주의할 것.
+이 명령으로 fontspec 및 xunicode 패키지도 함께 불러들인다.
fontspec에 옵션을 주려면 \xetexko를 부르기 전에 fontspec을 따로 로드하면 된다.
\begin{plaintex}
@@ -436,7 +438,7 @@ Noto Sans CJK, 나눔명조옛한글, 나눔바른고딕옛한글 등이 있다.
\end{verbatim}
\end{plaintex}
-\section{세로쓰기}
+\section{세로쓰기}\label{sec:verttype}
세로쓰기를 위한 글꼴 지정은 다음과 같다.
역시 고급 오픈타입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 -494,6 +496,9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endvertical
\end{verbatim}
\end{plaintex}
+세로쓰기 도중에 문서의 일부를 가로쓰기하려면 horizontal 환경을 이용하라.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주어야 한다.
+가로쓰기 영역의 폰트 설정은 사용자의 몫이다.
\section{고문헌·일본어·중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