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rw-r--r--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118
1 files changed, 71 insertions, 47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index 2201e567457..513d9217e10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 -7,18 +7,22 @@
%% public domain
\documentclass[a4paper]{article}
-\usepackage{typearea}
+\usepackage[hmargin=3.9cm]{geometry}
\usepackage[hangul]{luatexko}
\usepackage{luamplib}
\setmainhangulfont[
- InterLatinCJK=.125em,
- QuoteRaise=.1em,
+ Ligatures=TeX,
Expansion,
- ]{NanumMyeongjo}
-\setmainhanjafont{UnBatang}
+ InterLatinCJK=.125em,
+ UprightFont=* Light,
+ BoldFont=* Bold,
+]{KoPubBatang_Pro}
\setsanshangulfont[
+ Ligatures=TeX,
InterLatinCJK=.125em,
- ]{NanumGothic}
+ UprightFont=* Light,
+ BoldFont=* Bold,
+]{KoPubDotum_Pro}
\usepackage[svgnames]{xcolor}
\usepackage{hologo}
\def\luatex{\hologo{LuaTeX}}
@@ -30,31 +34,37 @@
\linespread{1.1}\selectfont\color{MidnightBlue}}}
\edef\itemize{\unexpanded\expandafter{\itemize\small}}
\catcode`|=13 \def|{\verb|\color{MidnightBlue}} %|
-\def\luatexko{\luatex-k$o$}
+\def\logoko{\textsf{k}\kern-.0625em\textit{o}}
+\def\luatexko{\luatex-\logoko}
\def\texlive{\TeX\ Live}
-\def\kotex{\textsf{k}\kern-.1em \textit{o}\kern-.1ex .\kern-.1667em \TeX}
+\def\kotex{\logoko\kern-.1ex .\kern-.1667em \TeX}
\edef\section#1{\unexpanded\expandafter{\section{\empty}\vskip-5pt\hrule\nobreak\vskip5pt}}
\def\hemph#1{\textsf{\bfseries #1}}
\begin{document}
\title{\luatexko\ 간단 매뉴얼}
-\author{Dohyun Kim \normalsize <|nomos at ktug org|> \and
- \normalsize <|http://github.com/dohyunkim/luatexko|>}
-\date{Version 1.2\quad\today}
+\author{Dohyun Kim \normalsize |<nomos at ktug org>| \and
+ \normalsize |<http://github.com/dohyunkim/luatexko>|}
+\date{Version 1.3\quad\today}
\maketitle
\begin{quote}\small
- For summary introduction in English, please see |README| file in this package.
+ For a summary introduction in English, please see |README| file.
주요 변경 사항:
\begin{itemize}\itemsep=0pt
\item 플레인텍에서도 luatexko.sty을 불러야 한다.
\item 패키지 옵션 |unfonts|가 선언되지 않으면 은글꼴을 자동으로
부르지 않는다.
- \item 글꼴 옵션에 |QuoteRaise|가 추가되었다. 또한 옵션값을
- |<dimen>|으로 지시한다.
+ \item 글꼴 옵션값을 |<dimen>|으로 지시한다.
\item 세로쓰기를 더 이상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
\item \MP\ 코드를 넣으려면 luamplib 패키지를 불러야 한다.
+ \item[1.3] ------
+ \item fallbackfont 계열의 명령이 추가되었다.
+ \item |\hangulpunctuations| 선언 및 관련 매크로가 추가되었고, 대신
+ |QuoteRaise| 옵션이 없어졌다.
+ \item |\josaignoreparens=1|이 선언되면 자동조사 결정시 괄호 부분을
+ 무시한다.
\end{itemize}
\end{quote}
@@ -83,20 +93,21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한국어 글꼴을 위해 새로 마련한 명령은 다음과 같다.
\begin{verbatim}
- \setmainhangulfont \setmainhanjafont
- \setsanshangulfont \setsanshanjafont
- \setmonohangulfont \setmonohanjafont
- \newhangulfontfamily \newhanjafontfamily
- \addhangulfontfeature \addhanjafontfeature
- \hangulfontspec \hanjafontspec
+ \setmainhangulfont \setmainhanjafont \setmainfallbackfont
+ \setsanshangulfont \setsanshanjafont \setsansfallbackfont
+ \setmonohangulfont \setmonohanjafont \setmonofallbackfont
+ \newhangulfontfamily \newhanjafontfamily \newfallbackfontfamily
+ \addhangulfontfeature \addhanjafontfeature \addfallbackfontfeature
+ \hangulfontspec \hanjafontspec \fallbackfontspec
\end{verbatim}
-|\adhochangulfont| |\adhochanjafont|는 각각 |\hangulfontspec|
-|\hanjafontspec|의 다른 이름이다.
+|\adhochangulfont| |\adhochanjafont| |\addhocfallbackfont|는 각각
+|\hangulfontspec| |\hanjafontspec| |\fallbackfontspec|의 다른 이름이다.
\begin{itemize}\item[]
플레인텍에서 한글 글꼴 설정은 영문 글꼴 지정하는 방식과 거의 같다.
\begin{verbatim}
\hangulfont=UnDotum\relax
\hanjafont=UnDotum at 14pt
+ \fallbackfont=HanaMinB at 12pt
\hangulfont=UnDotum scaled 2000
\hanjafont{HCR Batang LVT}\relax
\hangulfont={HCR Batang LVT:script=hang;+dlig} at 12pt
@@ -105,14 +116,26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section{}
원칙적으로 \luatexko에서는 영문폰트에 지정한 글자가 없으면 한글폰트에서,
-한글폰트에도 없으면 한자폰트에서 글자를 찾아 찍는다. 기존 \kotex과는
-글꼴 대체 방식이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한글폰트에도 없으면 한자폰트에서, \hemph{한자폰트에도 없으면 fallback
+폰트에서} 글자를 찾아 찍는다. 기존 \kotex과는 글꼴 대체 방식이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hanjabyhanjafont=1|을 선언하면 한자는 우선 한자글꼴로
식자한다. |0|을 선언하면 원래 방식으로 되돌아간다. 이 명령은 문단
중간에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문단 중에 사용되었다면
그 문단의 처음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hangulpunctuations=1|을 선언하면 영문 \hemph{문장부호들을 한글 폰트로}
+식자한다. |0|을 지시하면 원래 상태로 되돌린다.
+|[hangul]| 옵션을 주면 |\hangulpunctuations=1|이 자동으로 선언된다.
+이 선언에 의해 영향 받는 문장부호들을 다음처럼 지정할 수 있다.
+인자는 콤마로 연결된 숫자 형식으로서 유니코드 코드포인트를 뜻한다.
+\begin{verbatim}
+ \registerpunctuations{45, "2D, `-}
+ \unregisterpunctuations{"2D, "2015}
+\end{verbatim}
+
+
\section{}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다.\footnote{ 옛한글 식자를 위해서는
@@ -122,8 +145,7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begin{figure}
\fboxsep=1em
\fbox{\vbox{\hsize\dimexpr\linewidth-2.1em\relax
-% \fontspec[Script=Hangul]{malgungothic}
- \fontspec[Script=Hangul]{HCR Dotum LVT}
+ \fontspec[Script=Hangul]{malgungothic}
\centering
뎨 가ᄂᆞᆫ 뎌 각시 본 듯도 ᄒᆞᆫ뎌이고.\\
天텬上상白ᄇᆡᆨ玉옥京경을 엇디ᄒᆞ야 離니別별ᄒᆞ고\\
@@ -158,18 +180,6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InterLatinCJK=0.125em]
\end{verbatim}
-\item[PunctRaise] 한글 또는 한자 다음에 라틴 구두점이 왔을 때 그 세로
-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begin{verbatim}
- [PunctRaise=-0.125em]
-\end{verbatim}
-
-\item[QuoteRaise] 한글 또는 한자 주변에 라틴 인용부호나 \hemph{괄호}가 왔을 때
- 그 세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begin{verbatim}
- [QuoteRaise=0.125em]
-\end{verbatim}
-
\item[CharRaise] 글자의 세로 위치를
{\addhangulfontfeature{CharRaise=.3em}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로써 주변에 식자되는 다른 글꼴과 조화를 이루게 한다.
@@ -177,6 +187,13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CharRaise=0.1em]
\end{verbatim}
+\item[PunctRaise] 한글 또는 한자 다음에 라틴 구두점---마침표에
+ 한한다---이 왔을 때 그 세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 |\hangulpunctuations|로 인해 거의 쓸 일이 없게 되었다.
+\begin{verbatim}
+ [PunctRaise=-0.125em]
+\end{verbatim}
+
\item[Protrusion] 특정 글자가 행 끌에 왔을 때 판면 바깥으로 끌어내는
기능이다. Lua\LaTeX의 기본값은 구두점들만 완전히 글자내밀기 한다. 즉
hanging punctuation이 작동한다.
@@ -261,15 +278,14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luatex 에서는 아직 \hemph{세로쓰기를 지원하지 않는다}.%
\footnote{굳이 세로쓰기를 실험해보고자 한다면 |ttx -t vmtx <폰트>.ttf|
명령의 결과물인 |<폰트>.ttx| 파일을 현재 디렉토리에 두어야 한다. 그런 다음
- |\string\begin\string{vertical\string}\string{<dimen>\string}
- ...\string\end\string{vertical\string}| 환경을 이용하라. ttx에 대해선
+ |\string\begin\string{vertical\string}\string{<dimen>\string}...\string\end\string{vertical\string}| 환경을 이용하라. ttx에 대해선
\url{http://sourceforge.net/projects/fonttools/} 참조.
문서 전체에 대해 세로쓰기를 하려면 이 환경을 쓰는 대신
|\string\verticaltypesetting| 명령을 전처리부에 선언한다.}
\section{}
전처리부에서 |\usepackage{luamplib}|을 선언하면 \MP\ 코드를 문서 중간에 삽입할 수 있다.
-한글이나 수식은 |btex| ... |etex| 안에 넣어야 한다. 그림~\ref{fig:mplib} 참조.
+한글이나 수식은 |btex| $\ldots$ |etex| 안에 넣어야 한다. 그림~\ref{fig:mplib} 참조.
\begin{figure}
\setbox0\hbox{%
@@ -357,6 +373,18 @@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자동조사는 \kotex 과 동일하게 |\은| |\는| |\이| |\가| |\을| |\를|
|\와| |\과| |\로| |\으로| |\라| |\이라| 따위를 사용한다. 문장 중에서도
작동할 뿐만 아니라 플레인텍도 지원한다.
+버전 1.3부터는 |\josaignoreparens=1|이 선언되어 있으면 자동조사는
+\hemph{괄호 부분을 건너뛰고} 그 앞 글자에 매칭한다.
+|0|이 선언되면 원래 방식으로 돌아간다.
+\begin{quote}
+ |\josaignoreparens=1| \josaignoreparens=1 \\
+ |홍길동(1992)\는|\quad$\Rightarrow$\quad 홍길동(1992)\는\\
+ |홍길동(2001)\로|\quad$\Rightarrow$\quad 홍길동(2001)\로
+ \medbreak
+ |\josaignoreparens=0| \josaignoreparens=0 \\
+ |홍길동(1992)\는|\quad$\Rightarrow$\quad 홍길동(1992)\는\\
+ |홍길동(2001)\로|\quad$\Rightarrow$\quad 홍길동(2001)\로
+\end{quote}
\section{}
항목 번호를 한국어 기호로 붙일 수 있다. \kotex과 동일하게 |\jaso|
@@ -378,17 +406,13 @@ hyperref 패키지는 |[unicode]| 옵션을 주어야 한다.
권장하지 않지만 불가피하게 입력 인코딩이 UHC {\small(CP949라고도 하며
EUC-KR을 포함한다)}인 파일을 처리할 때는 |\luatexuhcinputencoding=1|을
선언한다. |0|을 할당하면 다시 UTF-8 입력으로 간주한다.
-\XeTeX의 |\XeTeXinputencoding| 명령과 유사하나 오직 한글만 처리할 수
+\XeTeX의 |\XeTeXinputencoding| 명령과 유사하나 오직 한국어 문자만 처리할 수
있어 \XeTeX의 그것에 비해 기능이 한참 모자란다.
\section{}
마찬가지로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불가피하게 파일 이름이 UHC로 인코딩되어
있다면 |\luatexuhcfilenames=1|을 선언한다. |0|을 할당하면 다시 UTF-8
이름으로 간주한다. 윈도 계열 운영체제에서만 문제될 것이다.
-
-\begin{flushright}
- \fboxsep=-\fboxrule
- \fbox{\vbox to 1em{\hbox to 1em{\hss}\vss}}
-\end{flushright}
+\hfill \fboxsep=-\fboxrule \fbox{\vbox to 1em{\hbox to 1em{\hss}\vss}}
\end{doc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