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options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latex/cjk-ko/cjk-ko-doc.tex')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cjk-ko/cjk-ko-doc.tex | 48 |
1 files changed, 27 insertions, 21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cjk-ko/cjk-ko-doc.tex b/Master/texmf-dist/doc/latex/cjk-ko/cjk-ko-doc.tex index af68f9a24e8..742769ab9da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cjk-ko/cjk-ko-doc.tex +++ b/Master/texmf-dist/doc/latex/cjk-ko/cjk-ko-doc.tex @@ -1,7 +1,7 @@ %% $Id: cjk-ko-doc.tex,v 1.10 2013/02/26 01:40:15 nomos Exp $ %% public domain -\documentclass[b5paper]{article} +\documentclass[dvipdfmx,b5paper]{article} \usepackage{geometry} \usepackage[cjk,hangul,usedotemph]{kotex} \usepackage{xcolor} @@ -14,8 +14,8 @@ \linespread{1.3} \title{\cjkko\ 간단 매뉴얼} -\author{김도현\quad \texttt{nomos at ktug or kr}} -\date{Version 1.0\quad\today} +\author{김도현\quad \texttt{nomos at ktug org}} +\date{Version 1.1\quad\today} \begin{document} \maketitle @@ -44,7 +44,7 @@ \item 영문자와 한글의 조화 추구~--- 예: 한글 글자 크기 조정 허용 \item 기초적인 자동조사 기능 \item 오로지 \dotemph{현대 한국어} 문서를 위한 패키지~--- - 중세한글, 일본어, 중국어는 지원하지 않는다 + 중세한글, 일본어, 중국어는 지원하지 않는다. \end{itemize} \section{Package options} @@ -54,16 +54,17 @@ \item[패키지 옵션]: \begin{itemize} \item[\texttt{cjk}] \TeX\ Live에선 이 옵션이 없으면 kotexutf\,가 - 로드된다 + 로드된다. 단, \verb|kotexutf.sty| 파일을 찾을 수 없다면 + 이 옵션이 없더라도 \cjkko\ 패키지를 부른다. \item[\texttt{hangul}] 한글 캡션, 줄 간격, 단어 간격, frenchspacing 등의 조정이 이루어진다. 문서의 주된 언어가 한글이라고 선언하는 옵션 \item[\texttt{hanja}] \verb|[hangul]| $+$ 한자 캡션 \item[\texttt{nojosa}] 자동조사 기능 끄기. 이 옵션을 주더라도 - 자동조사 명령이 에러를 내는 건 아니다 + 자동조사 명령이 에러를 내는 건 아니다. \item[\texttt{usedotemph}] \cs{dotemph} 명령 허용\\ --- 이 옵션은 ulem 패키지도 부르므로 \uline{밑줄 긋기} 가능 \item[\texttt{usecjkt1font}] 영문자도 한글 글꼴---나눔폰트---로 식자. - 라틴 알파벳이 거의 없는 소설책 따위에 유용할 수 있다 + 라틴 알파벳이 거의 없는 소설책 따위에 유용할 수 있다. \end{itemize} \end{description} @@ -72,21 +73,21 @@ \item[\cs{CJKscale}] 한글만 글자크기 조정 \begin{itemize}\leftskip-1cm \item 예: \cs{CJKscale\{0.95\}} - \item \verb|[usecjkt1font]| 옵션과는 같이 쓸 수 없다 + \item \verb|[usecjkt1font]| 옵션과는 같이 쓸 수 없다. \item \verb|[hangul]| 옵션 아래서는 단어 간격, 줄 간격, 들여쓰기 크기도 자동 조정 - \item 전처리부에서만 쓸 수 있다 + \item 전처리부에서만 쓸 수 있다. \end{itemize} \item[\cs{lowerCJKchar}] 한글만 아래로 끌어내려 식자 \begin{itemize}\leftskip-1cm \item 예: \cs{lowerCJKchar\{-0.07em\} \% 끌어올려 식자} - \item \verb|[usecjkt1font]| 옵션과는 같이 쓸 수 없다 - \item 전처리부에서만 쓸 수 있다 + \item \verb|[usecjkt1font]| 옵션과는 같이 쓸 수 없다. + \item 전처리부에서만 쓸 수 있다. \end{itemize} \item[\cs{dotemph}] \dotemph{드러냄표} \begin{itemize}\leftskip-1cm \item 예: \cs{dotemph\{드러냄표\}} - \item \verb|[usedotemph]| 옵션 아래에서만 쓸 수 있다 + \item \verb|[usedotemph]| 옵션 아래에서만 쓸 수 있다. \item \koTeX 과 마찬가지로 \cs{dotemphraise} \cs{dotemphchar} 명령 재정의 가능 \end{itemize} @@ -97,11 +98,11 @@ \begin{itemize} \item \koTeX 과 마찬가지로 \cs{은} \cs{는} \cs{이} \cs{가} \cs{을} \cs{를} \cs{와} \cs{과} \cs{로} \cs{으로} \cs{라} - \cs{이라}\,를 쓸 수 있다 + \cs{이라}\,를 쓸 수 있다. \item \cs{ref} \cs{pageref} \cs{cite} 뒤에서만 정상 동작 \item 아스키문자 뒤에서만 정상 동작 \item 한글 뒤에는 \cs{jong} \cs{jung} \cs{rieul} 명령을 - 첨가해 바로잡을 수 있다\par + 첨가해 바로잡을 수 있다.\par \begin{itemize} \item[예:] \cs{cite\{hong\}}\cs{을} \ldots\\ \hskip1.3em\ \cs{bibitem[홍길동}\cs{jong]\{hong\}} @@ -130,12 +131,17 @@ \item[\cs{hanjanum}] 一 二 三 四 五 六 七 八 九 十 十一 十二 $\cdots$ 二十四 \end{itemize} -\section{License etc.} - \begin{itemize} - \item GPL~--- \verb|cjkutf8-*| 파일의 라이선스는 CJK 패키지와 - 같을 수밖에 없다. - \item LPPL~--- \verb|ko*| 파일들은 \koTeX\ 패키지에서 유래한다 - \item \cjkko\ CVS~--- \url{http://cvs.ktug.or.kr/viewcvs/ko.TeX/cjk-ko/} - \end{itemize} +\section{License} +\begin{itemize} + \item GPL~--- \verb|cjkutf8-*| 파일의 라이선스는 CJK 패키지와 + 같을 수밖에 없다. + \item LPPL~--- \verb|ko*| 파일들은 \koTeX\ 패키지에서 유래한다. + %\item \cjkko\ CVS~--- \url{http://cvs.ktug.or.kr/viewcvs/ko.TeX/cjk-ko/} +\end{itemize} + +\begin{flushright} + \fboxsep=-\fboxrule + \fbox{\vbox to1em{\hbox to1em{\hss}\vss}} +\end{flushright} \end{docu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