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options
autho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19-12-02 21:59:03 +0000 |
---|---|---|
committe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19-12-02 21:59:03 +0000 |
commit | e3ab92df447cf11f30d0c6e59d7877d938209c83 (patch) | |
tree | 93d078c0389b9ec1a0d22e9233ab44bfe4c21b73 /Master/texmf-dist/doc | |
parent | 5344a5f028fbeed57e885525fa06a1b168a6dd3b (diff) |
luatexko (2dec19)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53001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
-rw-r--r-- | 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 7 | ||||
-rw-r--r-- | 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 2 | ||||
-rw-r--r-- | 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 bin | 288860 -> 291555 bytes | |||
-rw-r--r-- | 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 179 |
4 files changed, 121 insertions, 67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index 38e815ea960..68169c3efbe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 -1,3 +1,10 @@ +2019-12-01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2.5 + + * luatexko.lua: start to support luahbtex + * luatexko.sty: 2020 expl3 deprecation removals + 2019-08-01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Version 2.4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index 1284ed2271e..9f57e298285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 -1,4 +1,4 @@ -LuaTeX-ko Package version 2.4 (2019/08/01) +LuaTeX-ko Package version 2.5 (2019/12/01) =========================================== This is a Lua(La)TeX macro package that supports typesetting Korean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Binary files differindex 0eb5a5078fc..91e26a46747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index 517fe4d2ed4..b0785e692bc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 -43,6 +43,7 @@ Expansion, Protrusion=notoserifcjk, ] \setsanshangulfont{Noto Sans CJK KR}[ + \ifluahbtex Renderer=OpenType\fi, Scale=0.98, Script=Hangul, Language=Korean, @@ -83,7 +84,14 @@ \edef\verbatim{\unexpanded\expandafter{\verbatim\linespread{1.1}\selectfont}} \edef\itemize{\unexpanded\expandafter{\itemize\small}} \catcode`|=13 \protected\def|{\verb|\let\\=\textbackslash} -\protected\def\cs#1{\texttt{\language=1 \textbackslash\detokenize{#1}}} +\def\nohyphen{\language\csname l@nohyphenation\endcsname} +\protected\def\cs#1{\texttt{\nohyphen \textbackslash\detokenize{#1}}} +\protected\def\pkgkwd#1#{\leavevmode + \ifx\relax#1\relax \expandafter\luatexkopkgkwd + \else \expandafter\luatexkopkgkwdX \fi} +\def\luatexkopkgkwd#1{\texttt{\nohyphen \string#1}\luatexkopkgkwdX{#1}} +\def\luatexkopkgkwdX#1{\marginpar{% + \hfuzz\maxdimen \texttt{\nohyphen \footnotesize \string#1}}} \def\logoko{\textsf{k}\kern-.0625em\textit{o}} \def\luatexko{\luatex-\logoko} \def\texlive{\TeX\ Live} @@ -96,13 +104,15 @@ \author{Dohyun Kim \normalsize |<nomos at ktug org>| \and Soojin Nam \normalsize |<jsunam at gmail com>|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luatexko}>} -\date{Version 2.4\quad 2019/08/01} +\date{Version 2.5\quad 2019/12/01} \maketitle \begin{quote}\small For a summary introduction in English, please see |README| file. \begin{itemize}\linespread{1.1}\selectfont + \item[v2.5] ------ + \item LuaHB\TeX\ 지원 \item[v2.2] ------ \item \hyperref[sec:fontoption]{글꼴옵션 |InterCharStretch| 제공} \item[v2.0] ------ @@ -135,7 +145,7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section{패키지 옵션}\label{sec:packageopt} -패키지 옵션으로 |[hangul]|과 |[hanja]|가 제공된다.% +패키지 옵션으로 \pkgkwd{hangul}과 \pkgkwd{hanja}가 제공된다.% \footnote{% |[nofontspec]| 옵션은 v2.0부터 더는 제공되지 않는다. } 행간격 조정이 행해지며 @@ -145,8 +155,8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section{글꼴명령}\label{sec:fontcmds} -\luatexko를 로드하면 fontspec 패키지를 자동으로 불러온다. 글꼴 설정에 -대해서는 fontspec 문서를 참조. +\luatexko를 로드하면 fontspec 패키지를 자동으로 불러온다. 글꼴 설정은 +fontspec 문서를 참조. 한국어 글꼴을 위해 새로 마련한 명령은 다음과 같다. 첫 두 줄, 즉 main/sans 글꼴들에는 |Ligatures=TeX| 옵션이 자동으로 주어진다.% @@ -159,6 +169,13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cs{hangulfont=UnDotum\relax}\\ \cs{hanjafont=UnDotum at 14pt}\\ \cs{fallbackfont=HanaMinB at 12pt} } +\pkgkwd*{\setmainhangulfont}% +\pkgkwd*{\setsanshangulfont}% +\pkgkwd*{\setmonohangulfont}% +\pkgkwd*{\newhangulfontfamily}% +\pkgkwd*{\newhangulfontface}% +\pkgkwd*{\addhangulfontfeature}% +\pkgkwd*{\hangulfontspec}% \begin{verbatim} \setmainhangulfont \setmainhanjafont \setmainfallbackfont \setsanshangulfont \setsanshanjafont \setsansfallbackfont @@ -179,22 +196,23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footnote{% 은글꼴 트루타입은 \texlive에 포함되어 있다. } -하지만 \cs{hangulbyhangulfont=1}을 선언하면 한글은 우선 한글폰트로 -식자한다. 또한 \cs{hanjabyhanjafont=1}을 선언하면 한자는 우선 한자폰트로 +하지만 \pkgkwd{\hangulbyhangulfont}|=1|을 선언하면 한글은 우선 한글폰트로 +식자한다. 또한 \pkgkwd{\hanjabyhanjafont}|=1|을 선언하면 한자는 우선 한자폰트로 식자한다. 두 경우 모두 |0|을 선언하면 원래 방식으로 되돌아간다. 문단 중간에서 사용해도 동작한다. 그러나 루아코드가 실행되므로 텍의 그룹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일정한 영문 문장부호들은 한글 폰트로 식자된다. -즉, \cs{hangulpunctuations=1}이 기본으로 작동하고, +즉, \pkgkwd{\hangulpunctuations}|=1|이 기본으로 작동하고, |0|을 지시해야 이 기능이 비로소 꺼진다.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footnote{% - 좀 더 정확히 말하면 \cs{language=1} 상황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 부연하건대, \cs{language=1}인 상황에서 작동하지 않는 그밖의 기능들은 - 다음과 같다: 줄바꿈 허용, InterCharacter, InterHangul, InterLatinCJK, - CompressPunctuations, RemoveClassicSpaces, - 한글^^b7한자 폰트 문자 다음에 오는 공백의 크기 조정 등. }\,% + 정확히 말하자면 |\\language=\\l@nohyphenation|, 즉 하이프네이션이 + 허용 안 되는 상황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 부연하건대, |\\language=\\l@nohyphenation| 상황에서 작동하지 않는 + 그밖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줄바꿈 허용, InterCharacter, InterHangul, + InterLatinCJK, CompressPunctuations, RemoveClassicSpaces, + 한글^^b7한자 폰트 문자 다음의 공백 크기 조정 등. }\,% \footnote{% 또한 플레인텍에서는 영문글꼴을 트루타입/오픈타입으로 지정해야만 작동한다. } 영향 받는 문장부호들의 기본값은 다음과 같다: @@ -208,7 +226,9 @@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이 목록에 문자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인자는 콤마로 분리된 숫자 형식으로서 유니코드 코드포인트를 뜻한다. -이들 명령은 문단 중간에서도 쓸 수 있지만,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이들 명령은 문단 중간에서도 쓸 수 있지만,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pkgkwd*{\registerpunctuations}% +\pkgkwd*{\unregisterpunctuations} \begin{verbatim} \registerpunctuations{45, "2D, `-} \unregisterpunctuations{"2D, "2015} @@ -216,7 +236,9 @@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section{줄바꿈 허용}\label{sec:break} -어떤 글자 앞이나 뒤에서 줄바꿈을 허용하고 싶을 때 아래와 같이 명령을 준다. +어떤 글자 앞이나 뒤에서 줄바꿈을 허용하고 싶을 때 아래와 같이 명령을 준다.% +\pkgkwd*{\registerbreakableafter}% +\pkgkwd*{\registerbreakablebefore} \begin{verbatim} \registerbreakableafter{"2460, "2461} \registerbreakablebefore{"2460, "2461} @@ -271,7 +293,8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end{figure} \begin{description} - \item[InterHangul] {\addhangulfontfeature{InterHangul=.5ex}한글 글자 + \item[InterHangul] \pkgkwd*{InterHangul}% + {\addhangulfontfeature{InterHangul=.5ex}한글 글자 사이의 자간}. 아래는 $-0.04$em 만큼 한글 자간을 지시한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interhangul=<dimen>|. } @@ -279,7 +302,8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InterHangul=-0.04em] \end{verbatim} -\item[InterLatinCJK] 한글 또는 한자와 Latin문자 사이의 자간을 설정한다.% +\item[InterLatinCJK] \pkgkwd*{InterLatinCJK}% + 한글 또는 한자와 Latin문자 사이의 자간을 설정한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interlatincjk=<dimen>|. } 한글^^b7한자 다음에 라틴 문자가 오는 경우 원래는 줄바꿈이 되지 않지만 @@ -288,7 +312,8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InterLatinCJK=0.25em] \end{verbatim} -\item[InterCharacter] CJK 글자들 사이의 자간을 지시한다.% +\item[InterCharacter] \pkgkwd*{InterCharacter}% + CJK 글자들 사이의 자간을 지시한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intercharacter=<dimen>|. } fontspec의 |LetterSpace| 옵션과 기능이 유사하지만, 옛한글을 깨뜨리는 등의 @@ -297,15 +322,16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InterCharacter=.125em] \end{verbatim} -\item[InterCharStretch] CJK 글자간 가변공백{\small(글루)}의 - stretch 값을 지시한다.% +\item[InterCharStretch] \pkgkwd*{InterCharStretch}% + CJK 글자간 가변공백{\small(글루)}의 stretch 값을 지시한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intercharstretch=<dimen>|. } \begin{verbatim} [InterCharStretch=0.5pt] \end{verbatim} -\item[CharRaise] 글자의 세로 위치를 +\item[CharRaise] \pkgkwd*{CharRaise}% + 글자의 세로 위치를 {\addhangulfontfeature{CharRaise=.3em}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로써 주변에 식자되는 다른 글꼴과 조화를 이루게 한다.% \footnote{% @@ -318,11 +344,13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크기가 다른 폰트들간에 중앙정렬이 이루어진다. 세로쓰기에서 이 옵션을 주지 않으면 |0.5ex|가 기본값으로 동작한다. -\item[RemoveClassicSpaces] 고문헌 조판시에 CJK 글자들 사이의 공백을 없애준다.% +\item[RemoveClassicSpaces] \pkgkwd*{RemoveClassicSpaces}% + 고문헌 조판시에 CJK 글자들 사이의 공백을 없애준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removeclassicspaces|. } -\item[CompressPunctuations] CJK 구두점 {\small (낫표 따위)}의 글자폭을 +\item[CompressPunctuations] \pkgkwd*{CompressPunctuations}% + CJK 구두점 {\small (낫표 따위)}의 글자폭을 반각으로 만든다. v2.0부터는 사용자가 지시하지 않는 한 자동으로 글자폭을 줄여주지 않는다.% \footnote{% @@ -333,7 +361,8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플레인텍에서는 각각 |+halt| 및 |+vhal|이다. 이들과 완전 동일하진 않다. 가령 U+3002 (\char"3002) 처리의 경우.} -\item[Protrusion] 특정 글자가 행 끌에 왔을 때 판면 바깥으로 끌어내는 +\item[Protrusion] \pkgkwd*{Protrusion}% + 특정 글자가 행 끌에 왔을 때 판면 바깥으로 끌어내는 기능이다. Lua\TeX은 기본값으로 온점 반점 등을 완전 글자내밀기 한다. |Protrusion|은 |Protrusion=default|와 같은 뜻이다.% \footnote{% @@ -344,7 +373,8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leftskip=3em\noindent \cs{directlua{ fonts.protrusions.setups.default[0x201C] = { 1, 0 } }} } -\item[Expansion] 판면의 균일한 조판을 위해 글자들을 미세하게 늘이거나 +\item[Expansion] \pkgkwd*{Expansion}% + 판면의 균일한 조판을 위해 글자들을 미세하게 늘이거나 줄이는 기능이다. |Expansion|은 |Expansion=default|와 마찬가지 뜻이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expansion=default|. } @@ -373,7 +403,7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caption{고문헌 조판 보기. typesetclassic 환경을 이용했다.}\label{fig:gomun} \end{figure} -고문헌 조판을 위해 |typesetclassic| 환경을 제공한다.% +고문헌 조판을 위해 \pkgkwd{typesetclassic} 환경을 제공한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문서 전체에 적용하지 않는다면 그룹 안에서) \cs{typesetclassic}을 사용한다. @@ -387,25 +417,31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또한 불필요한 공백이 오더라도 자동으로 제거해주지 않으므로 이런 경우 사용자가 |RemoveClassicSpaces| 옵션을 주어야 한다. -|typesetmodern|은 고문헌 조판 중에 잠깐 현대 한국어를 조판하는 데 사용한다.% +\pkgkwd{typesetmodern} 환경은 고문헌 조판 중에 잠깐 현대 한국어를 조판하는 데 +사용한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문서 전체에 적용하지 않는다면 그룹 안에서) \cs{typesetmodern}을 사용한다. } -고문헌 조판 중 \luatexko가 글자 사이에 삽입하는 미세간격을 -사용자가 영{\small(zero)}으로 강제하기 위해선 \cs{inhibitglue} 명령을 이용한다. +고문헌 조판 중 \luatexko가 글자 사이에 삽입하는 미세간격을 사용자가 +영{\small(zero)}으로 강제하기 위해선 \pkgkwd{\inhibitglue} 명령을 이용한다. \section{세로쓰기}\label{sec:verttype} 세로쓰기는 폰트의 고급 오픈타입 속성을 이용하므로 폰트가 이를 지원해야 -가능한 일이다. 폰트에 |Vertical=Alternates|와 |RawFeature=vertical| 옵션을 -준다.% +가능한 일이다. 폰트에 |Vertical=Alternates|와 \pkgkwd{RawFeature=vertical} +옵션을 준다.% \footnote{% 이는 플레인텍에서 |vertical;+vert| 옵션을 주는 것과 같다. 사실 |vertical|을 선언하면 |vert|는 자동으로 켜지도록 해 두었다. }\,% \footnote{% |vmtx|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글꼴은 세로쓰기에 적합치 않은 글꼴이다. - |otfinfo -t <파일>| 명령으로 글꼴에 들어있는 테이블 정보를 알 수 있다. } + |otfinfo -t <파일>| 명령으로 글꼴에 들어있는 테이블 정보를 알 수 있다. }\,% +\footnote{% + 폰트 옵션 |Renderer=OpenType| 등(플레인텍에서는 |mode=harf| 옵션)을 주고 + |luahblatex|으로 컴파일하여 Harfbuzz 모듈을 이용하려는 경우 세로쓰기가 + 현재로서는 지원되지 않는다. 세로쓰기를 하려면 이 옵션을 빼고 디폴트 값인 + |Renderer=Node| (플레인텍에서는 |mode=node|)를 사용하라.} 세로쓰기에서 |CharRaise| 옵션의 효과에 대해서는 제\ref{sec:fontoption}절을 참조할 것. @@ -414,7 +450,7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begin{figure} \framebox[\linewidth]{\begin{vertical}{19.6em}\sffamily - \addhangulfontfeature{Vertical=Alternates, RawFeature=vertical} + \addhangulfontfeature{Renderer=Node, Vertical=Alternates, RawFeature=vertical} \linespread{1.5}\selectfont \hunmintxt \end{vertical}} @@ -423,9 +459,10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begin{figure} \framebox[\linewidth]{\begin{vertical}{18.62em}\sffamily - \addhangulfontfeature{Vertical=Alternates, RemoveClassicSpaces, + \addhangulfontfeature{Renderer=Node, Vertical=Alternates, RemoveClassicSpaces, InterCharStretch=1pt, CompressPunctuations, RawFeature=vertical} \linespread{1.5}\selectfont + \parindent=-1em \leftskip=1em \analectstext \end{vertical}} \caption{세로쓰기의 다른 예. 박스 높이 |19em|을 지시했다. @@ -434,18 +471,19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넉넉하게 주는 것이 좋다.}\label{fig:vertical3} \end{figure} -문서의 일부를 세로쓰기하려면 \cs{begin{vertical}{<dimen>}} \ldots\ \cs{end{vertical}} +문서의 일부를 세로쓰기하려면 +|\begin{|\pkgkwd{vertical}|}{<dimen>}| \ldots\ |\end{vertical}| 환경을 이용한다. |<dimen>|으로 세로쓰기 박스의 높이를 지시한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cs{vertical{<dimen>}} \ldots\ \cs{endvertical}. } 그림~\ref{fig:vertical},~\ref{fig:vertical3} 및 \ref{fig:vertical2} 참조. 문서 전체를 세로쓰기한다면 이 환경을 쓰는 대신 -\cs{verticaltypesetting} 명령을 전처리부에 선언한다. +\pkgkwd{\verticaltypesetting} 명령을 전처리부에 선언한다. 이때 면주는 가로로 식자되며 면주 폰트의 설정은 사용자의 몫이다. 세로쓰기 도중에 문서의 일부를 가로쓰기하려면 -\cs{begin{horizontal}{<dimen>}} \ldots\ \cs{end{horizontal}} +|\begin{|\pkgkwd{horizontal}|}{<dimen>}| \ldots\ |\end{horizontal}| 환경을 이용한다. |<dimen>|은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지시한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cs{horizontal{<dimen>}} \ldots\ \cs{endhorizontal}. } @@ -454,7 +492,7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begin{figure} \framebox[\linewidth]{\begin{vertical}{16.66em}\sffamily - \addhangulfontfeature{Vertical=Alternates, CharRaise=3.2pt, + \addhangulfontfeature{Renderer=Node, Vertical=Alternates, CharRaise=3.2pt, CompressPunctuations, CharacterWidth=Full, RawFeature=vertical} \parindent-1em\leftskip1em \linespread{1.5}\selectfont \spaceskip=.5em plus.25em minus.125em @@ -480,34 +518,35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section{드러냄표}\label{sec:dotemph} -\cs{dotemph} 명령으로 \dotemph{드러냄표}% +\pkgkwd{\dotemph} 명령으로 \dotemph{드러냄표}% 를 이용한 강조를 할 수 있다. 기본은 글자 위에 점을 찍는 형태이나 다음과 같이 명령을 주어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기호를 드러냄표로 쓸 수 있다. \medskip -①~|\def\dotemphraise{0.4em }|: 드러냄표를 피강조 글자 위로 끌어올리는 길이 +①~|\def|\pkgkwd{\dotemphraise}|{0.4em }|: +드러냄표를 피강조 글자 위로 끌어올리는 길이 -②~|\def\dotemphchar{\bfseries ^^^^02d9}|: 드러냄표 기호 자체를 정의. +②~|\def|\pkgkwd{\dotemphchar}|{\bfseries ^^^^02d9}|: 드러냄표 기호 자체를 정의. \section{루비}\label{sec:ruby} 루비를 달 수 있다. ruby 패키지가 이미 존재하지만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 새로 매크로를 제공한다. \begin{quote} - \cs{ruby{漢字}{한자}}\quad$\Rightarrow$\quad\ruby{漢字}{한자} + \pkgkwd{\ruby}|{漢字}{한자}|\quad$\Rightarrow$\quad\ruby{漢字}{한자} \end{quote} 이처럼 글자별로 따로 루비를 달 필요가 없다. 관련 설정은 다음처럼 한다. \medskip -①~\cs{rubyfont}: 루비를 식자할 폰트를 지시해 둔다. 기본값은 현재 폰트% +①~\pkgkwd{\rubyfont}: 루비를 식자할 폰트를 지시해 둔다. 기본값은 현재 폰트% \footnote{% 루비는 글자 크기가 작기 때문에 본문 폰트보다 약간 굵은 폰트로 지정하는 것이 좋다. } -②~|\def\rubysize{0.6}|: 루비 글자 크기를 본문 글자 크기에 대한 비율로 -지정% +②~|\def|\pkgkwd{\rubysize}|{0.6}|: +루비 글자 크기를 본문 글자 크기에 대한 비율로 지정%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루비의 글꼴크기를 따로 조정해주지 않는다. 사용자가 \cs{rubyfont}를 설정할 때 크기도 함께 지시하도록 한다. @@ -515,21 +554,28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leftskip=3em\noindent |\\font\\rubyfont=UnBatang at \\rubysize em| } -③~|\def\rubysep{0.1ex}|: 루비와 본문 글자 사이의 간격을 지정 +③~|\def|\pkgkwd{\rubysep}|{0.1ex}|: 루비와 본문 글자 사이의 간격을 지정 -④~\cs{rubynooverlap}: 루비의 폭이 본문 글자의 폭보다 클 때 루비가 이웃 +④~\pkgkwd{\rubynooverlap}: 루비의 폭이 본문 글자의 폭보다 클 때 루비가 이웃 글자들 위로 삐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본문 글자의 흐름을 중시하여 -\cs{rubyoverlap}을 기본값으로 하였으므로 이는 따로 선언할 필요가 없다. +\pkgkwd{\rubyoverlap}을 기본값으로 하였으므로 이는 따로 선언할 필요가 없다. \medskip 한편, 연속된 본문 글자들에 각각 한 글자씩 루비를 달고자 한다면 -\cs{xxruby{...}{...}} 명령을 사용한다. 글자들 사이에 줄바꿈이 허용된다. +\pkgkwd{\xxruby}|{...}{...}| 명령을 사용한다. 글자들 사이에 줄바꿈이 허용된다. 두 인자의 글자 수가 동일해야 한다. \section{밑줄긋기}\label{sec:uline}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문제가 있음)} -명령을 따로 제공한다.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문제가 있음)} +명령을 따로 제공한다.% +\pkgkwd*{\uline}% +\pkgkwd*{\sout}% +\pkgkwd*{\uuline}% +\pkgkwd*{\xout}% +\pkgkwd*{\uwave}% +\pkgkwd*{\dashuline}% +\pkgkwd*{\dotuline} \def\RA{\>$\Rightarrow$\>} \begin{tabbing} @@ -546,12 +592,13 @@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관련하여 다음 설정을 할 수 있다. \medskip -①~|\def\ulinedown{0.5ex}|: 밑줄을 베이스라인 아래로 끌어내리는 정도 +①~|\def|\pkgkwd{\ulinedown}|{0.5ex}|: 밑줄을 베이스라인 아래로 끌어내리는 정도 -②~|\def\ulinewidth{0.04em}|: 밑줄의 굵기 +②~|\def|\pkgkwd{\ulinewidth}|{0.04em}|: 밑줄의 굵기 \medskip -사실 위 밑줄 양식들을 만드는 데는 예외없이 \cs{markoverwith} 명령이 사용되었다. +사실 위 밑줄 양식들을 만드는 데는 예외없이 +\pkgkwd{\markoverwith} 명령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를 이용해 원하는 양식을 만들 수 있다. 가령 노란색 마커펜을 흉내내려면,% \footnote{% @@ -577,7 +624,7 @@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자동조사는 \kotex 과 동일하게 \cs{은} \cs{는} \cs{이} \cs{가} \cs{을} \cs{를} \cs{와} \cs{과} \cs{로} \cs{으로} \cs{라} \cs{이라} 따위를 사용한다. -버전 1.3부터는 \cs{josaignoreparens=1}이 선언되어 있으면 자동조사는 +버전 1.3부터는 \pkgkwd{\josaignoreparens}|=1|이 선언되어 있으면 자동조사는 \hemph{괄호 부분을 건너뛰고} 그 앞 글자에 매칭한다. |0|이 선언되면 원래 방식으로 돌아간다. \begin{quote} @@ -614,7 +661,8 @@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fon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Regular" at 7pt|\\ |\\font\\scrip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Medium" at 5pt|\\ |\\setmathhangulfonts\\texthangul\\scripthangul\\scriptscripthangul|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pkgkwd*{\setmathhangulfont} \begin{verbatim} \setmathhangulfont{Noto Sans CJK KR}[ SizeFeatures={ @@ -623,9 +671,9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Size=9-, Font=* DemiLight}, } ] \end{verbatim} -현재 한글만 쓸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한자도 수식에 직접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다음 명령으로 유니코드 블럭을 추가 지정해야 한다. +현재 한글만 쓸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한자도 수식에 직접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다음 명령으로 유니코드 블럭을 추가 지정해야 한다.% +\pkgkwd*{\setmathhangulblock} \begin{verbatim} \setmathhangulblock{4E00}{9FC3} \end{verbatim} @@ -638,9 +686,9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cs{onum} \cs{pnum} \cs{oeng} \cs{peng} \cs{hnum} \cs{Hnum} \cs{hroman} \cs{hRoman} \cs{hNum} \cs{hanjanum} 따위를 사용한다. } -\section{입력 변환}\label{sec:noramlize} +\section{입력 변환}\label{sec:normalize} -\cs{luatexhangulnormalize=1}이라 지시하면 첫가끝 자모를 완성형 음절로, +\pkgkwd{\luatexhangulnormalize}|=1|이라 지시하면 첫가끝 자모를 완성형 음절로, |2|라면 완성형 음절을 첫가끝 자모로 인코딩 변환한다. |0|이 할당되면 인코딩 변환 기능이 꺼진다. \XeTeX의 \cs{XeTeXinputnormalization} 명령과 유사하나, 오직 한글과 일부 한자에 대해서만 정규화가 작동할 뿐이다. @@ -650,15 +698,14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권장하지 않지만 불가피하게 입력 인코딩이 UHC (Unified Hangul Code)% \footnote{% CP949라고도 하며 EUC-KR을 포함한다. }% -로 되어 있는 파일을 처리할 때는 -\cs{luatexuhcinputencoding=1}을 선언한다. -|0|을 할당하면 다시 UTF-8 입력으로 간주한다. -\XeTeX의 \cs{XeTeXinputencoding} 명령과 유사하나, 오직 한국어 문자만 처리할 수 -있다.% +로 되어 있는 파일을 처리할 때는 \pkgkwd{\luatexuhcinputencoding}|=1|을 선언한다. +|0|을 할당하면 다시 UTF-8 입력으로 간주한다. \XeTeX의 \cs{XeTeXinputencoding} +명령과 유사하나, 오직 한국어 문자만 처리할 수 있다.% \footnote{% 윈도 운영체제에서의 한글 파일이름 불러오기 기능은 v2.0부터는 제공하지 않는다. 대신 |luatex -cmdx ...|, |lualatex -cmdx ...|와 같이 컴파일시 명령행에 |-cmdx| 옵션을 주면 된다고 하니 테스트해 보시기 바란다. } + \hfill \fboxsep=-\fboxrule \fbox{\vbox to 1em{\hbox to 1em{\hss}\vss}} \end{docu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