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options
autho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19-12-02 21:59:15 +0000 |
---|---|---|
committe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19-12-02 21:59:15 +0000 |
commit | f58d4b958330582b934733bf6f354281b5ac381b (patch) | |
tree | 3b827844587dafde6f666cd2076a2270dd59c5de /Master/texmf-dist/doc | |
parent | e3ab92df447cf11f30d0c6e59d7877d938209c83 (diff) |
xetexko (2dec19)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53002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6 | ||||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2 | ||||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 bin | 222439 -> 227528 bytes | |||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61 |
4 files changed, 46 insertions, 23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index 239b61d1416..35ac10544d0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1,3 +1,9 @@ +2019-12-01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2.22 + + * xetexko-font.sty: expl3 deprecation removals + 2018-08-08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Version 2.21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index d50dbd36764..808ba7b8a7a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1,4 +1,4 @@ -XeTeX-ko Package version 2.21 (2018/08/08) +XeTeX-ko Package version 2.22 (2019/12/01) ========================================= XeTeX-ko is a macro package for Xe(La)TeX which supports typesetting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inary files differindex 408ce290b7b..bf1e522d371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index 46fd76a4f91..8584e0e36a8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7,15 +7,20 @@ \documentclass[a4paper]{article} \usepackage[hmargin=3.8cm]{geometry} \usepackage[hangul]{xetexko} +\defaultfontfeatures+{Script=Hangul, Language=Korean} \setmainhangulfont{Noto Serif CJK KR}[ - Script=Hangul, Language=Korean, - UprightFont=* Light, - BoldFont=* Bold, + UprightFont=* Light, BoldFont=* Bold, ] \setsanshangulfont{Noto Sans CJK KR}[ - Script=Hangul, Language=Korean, UprightFont=* DemiLight, ] +\setmathhangulfont{Noto Sans CJK KR}[ + SizeFeatures={ + {Size=-6, Font=* Medium}, + {Size=6-9, Font=*}, + {Size=9-, Font=* DemiLight}, + }, +] \usepackage{xetexko-hanging, hologo, xcolor, ulem} \usepackage[bookmarksnumbered,hidelinks]{hyperref} @@ -54,12 +59,13 @@ \def\hemph#1{\textsf{\bfseries #1}} \def\hparen#1{{\small\hangulparens(#1)}} \def\hparens#1{\leavevmode\unskip---{\small #1}---\ignorespaces} +\def\keyword#1{\leavevmode\marginpar{\hfuzz\maxdimen\footnotesize\cs{#1}}} \begin{document} \title{\xetexko\ 간단 매뉴얼} \author{Dohyun Kim \normalsize <\texttt{nomos at ktug org}>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date{Version 2.21\quad 2018/08/08} +\date{Version 2.22\quad 2019/12/01} \maketitle \begin{quote}\small @@ -186,6 +192,7 @@ main/sans hangul/hanja 폰트에는 따로 \verb|Ligatures=TeX| 옵션을 지시 \end{verbatim} \end{plaintex} +\keyword{fallbackhanjafont}% \cs{fallbackhanjafont}를 정의해두면 \hemph{한자 글꼴에도 없는 한자}를 이 글꼴에서 찾아 식자한다. \verb|\newfontfamily| 명령 등으로 정의한다. @@ -214,6 +221,7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참고로, 한자와 한글을 같은 글꼴로 식자하고 싶을 때 글꼴 설정을 번거롭게 두 번 할 필요 없이 한글 글꼴만 설정한 뒤 간단히 +\keyword{hanjabyhangulfont}% \cs{hanjabyhangulfont}를 선언하면 된다.% \footnote{앞 절의 main/sans 글꼴 명령들과 달리 한글 폰트가 자동으로 한자에도 적용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어쨌든 이미 한자 폰트가 지정돼 있는 @@ -442,24 +450,25 @@ Noto Sans CJK, 나눔명조옛한글, 나눔바른고딕옛한글 등이 있다. \section{세로쓰기}\label{sec:verttype} 세로쓰기를 위한 글꼴 지정은 다음과 같다. -역시 고급 오픈타입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폰트가 이를 지원해야 한다.% -\footnote{만일 폰트의 세로쓰기 글자폭이 가로쓰기와 다르다면 +역시 고급 오픈타입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폰트가 이를 지원해야 한다.% +\footnote{폰트의 세로쓰기 글자폭이 가로쓰기와 다르다면 \cs{verticalem=1.05em} 같은 선언을 미리 해두는 게 좋다.} \begin{verbatim} - \setmainhangulfont{Adobe Myungjo Std}[ Vertical=RotatedGlyphs ] + \setmainhangulfont{Noto Sans CJK KR}[ + Vertical=Alternates, RawFeature=vertical ] \end{verbatim} +\keyword{verticaltypesetting}% 문서 전체를 세로쓰기할 때 \cs{verticaltypesetting}을 선언하면 -면주는 그대로 두고 본문만 세로쓰기한다.\footnote{당연히 면주의 글꼴에는 +면주는 그대로 두고 본문만 세로쓰기한다.\footnote{면주의 글꼴에는 \texttt{Vertical} 옵션이 없어야 할 것이다. 면주 글꼴을 따로 지정하는 것은 사용자의 몫이다. } -문서의 일부를 세로쓰기 하려면 vertical 환경을 이용한다. +문서의 일부를 세로쓰기 하려면 \verb|vertical| 환경을 이용한다.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보통 그 뒤에 세로쓰기에 사용할 글꼴 명령이 온다. \begin{figure} \begin{example} \hfil\begin{vertical}{16em} - \sffamily\addhangulfontfeatures{Vertical=RotatedGlyphs,CharRaise=.5ex, + \sffamily\addhangulfontfeatures{Vertical=Alternates,CharRaise=.5ex, RawFeature=vertical} \hanjabyhangulfont \parindent-1em\leftskip1em \noindent 님의 침묵 (The Silent Beloved) @@ -480,7 +489,8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begin{verbatim} \begin{vertical}{12em} - \hangulfontspec{Adobe Myungjo Std}[ Vertical=RotatedGlyphs ] + \hangulfontspec{Noto Sans CJK KR}[ + Vertical=Alternates, RawFeature=vertical ] 세로쓰기로 식자할 부분 \end{vertical} \end{verbatim} @@ -493,24 +503,25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begin{plaintex} 플레인텍이라면, \begin{verbatim} - \vertical{16em}\hangulfont="Adobe Myungjo Std:vertical" + \vertical{16em}\hangulfont="Noto Sans CJK KR:vertical;+vert" 세로쓰기로 식자할 부분 \endvertical \end{verbatim} \end{plaintex} -세로쓰기 도중에 문서의 일부를 가로쓰기하려면 horizontal 환경을 이용하라. +세로쓰기 도중에 문서의 일부를 가로쓰기로 삽입하려면 +\verb|horizontal| 환경을 이용한다.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주어야 한다. 가로쓰기 영역의 폰트 설정은 사용자의 몫이다. \section{고문헌·일본어·중국어} 띄어쓰기가 없는 옛문헌이나 일본어 단락 따위를 삽입할 때 -japanese 혹은 chinese 환경을 선언하는 것이 좋다. +\verb|japanese| 혹은 \verb|chinese| 환경을 선언하는 것이 좋다. 들여쓰기\footnote {들여쓰기 기본값은 japanese는 1em 이고 chinese는 2em 이다.} 및 자간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입력한 불필요한 공백도 없애준다. -Schinese 환경은 chinese의 다른 이름이다. -Tchinese도 제공하는데 중국어 번체 글꼴을 사용한다면 이 환경을 이용하라. +\verb|Schinese| 환경은 chinese의 다른 이름이다. +\verb|Tchinese|도 제공하는데 중국어 번체 글꼴을 사용한다면 이 환경을 이용하라. 일반적으로 우리 고문헌 조판에는 japanese 환경이 더 적합하다. \begin{figure} @@ -526,9 +537,9 @@ Tchinese도 제공하는데 중국어 번체 글꼴을 사용한다면 이 환 \caption{고문헌 조판 보기. japanese 환경을 이용했다.}\label{fig:ancientdoc} \end{figure} +\keyword{inhibitglue}% \cs{inhibitglue} 명령은 일본어 등 환경에서 가끔 유용한데, -해당 지점에 자동 삽입되는 공백을 영(zero)으로 -만들어준다. +해당 지점에 자동 삽입되는 공백을 영(zero)으로 만들어준다. \section{매달린 구두점} 마침표, 쉼표, 인용부호를 판면 바깥에 식자하여 행 끝에 매달리게 만든다. @@ -565,7 +576,11 @@ microtype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으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수식 한글은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문서의 기본 글꼴을 따라가지만 굳이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이 명령은 플레인텍에서도 쓸 수 있다. \begin{verbatim} - \setmathhangulfont{NanumGothic} + \setmathhangulfont{Noto Sans CJK KR}[ + SizeFeatures={ {Size=-6, Font=* Medium}, + {Size=6-9, Font=*}, + {Size=9-, Font=* DemiLight} } + ] \end{verbatim} 현재 한글만 쓸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한자도 수식에 직접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 -588,6 +603,7 @@ microtype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으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end{verbatim} \section{드러냄표} +\keyword{dotemph}% \dotemph{드러냄표} 강조도 \kotex 과 대동소이하다. 기본은 글자 위에 점을 찍는 형태이나 다음 명령을 이용해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기호를 드러냄표로 쓸 수 있다. @@ -620,7 +636,8 @@ microtype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으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플레인텍에서는 패키지 로드 후 사용자가 \cs{xetexkoulemsupport} 명령을 내려주어야 한다. \end{plaintex} -%\hfill \fboxsep=-\fboxrule \fbox{\vbox to1em{\hbox to1em{\hss}\vss}} + +\hfill \fboxsep=-\fboxrule \fbox{\vbox to1em{\hbox to1em{\hss}\vss}} \end{docu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