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Master/texmf-dist/doc/xe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autho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14-05-04 21:44:14 +0000
committe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14-05-04 21:44:14 +0000
commit4559553627d1dd2997d023e0c69e33f24232c78f (patch)
tree2e773ec87238ce2297ea69d003d3f05699a2402b /Master/texmf-dist/doc/xetex
parent843b3bf150f006ebdf53321302f43ccbcb39a438 (diff)
xetexko (4may14)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33823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xetex')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7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2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bin223436 -> 218628 bytes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40
4 files changed, 28 insertions, 21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index 84617b4644c..5cce96b8786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1,3 +1,10 @@
+2014-03-28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2.5
+
+ * xetexko-font.sty: fixed a bug wrt hangul in preamble
+ * xetexko-vertical.sty: fixed a bug wrt 'charraise' of CJK symbols
+
2014-02-02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Version 2.4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index af2a535a404..b695f16a8ca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1,5 +1,5 @@
-XeTeX-ko Package version 2.4 (2014/02/02)
+XeTeX-ko Package version 2.4 (2014/03/28)
=========================================
XeTeX-ko is a macro package for Xe(La)TeX which supports typesetting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index 403f23e4871..220f4d27315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index c0083fad2ee..fc3a7b59ea1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52,7 +52,7 @@
\title{\xetexko\ 간단 매뉴얼}
\author{Dohyun Kim \normalsize <\texttt{nomos at ktug org}>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date{Version 2.4\quad\today}
+\date{Version 2.5\quad\today}
\maketitle
\begin{quote}\small
@@ -246,7 +246,7 @@ latin, hangul, hanja, prevfont 가운데 하나를 허용한다.
이 때 나눔고딕 글꼴에만 한글 마이너스 자간이 작동한다.
\dotemph{고정폭 글꼴을 제외한} 한글·한자 글꼴
명령에 이런 옵션을 쓸 수 있다.
-허용되는 옵션은 다음과 같다. 각 항목의 길이값은 기본값을 뜻한다.
+허용되는 옵션은 다음과 같다. 각 항목의 길이값은 디폴트값을 뜻한다.
\begin{description}\itemsep0pt
\item[hu]
영문자와 한글 사이 간격. 영문 괄호와 한글 사이 간격은 그 두 배이다. 0.06em.
@@ -338,13 +338,8 @@ latin, hangul, hanja, prevfont 가운데 하나를 허용한다.
\item[\cs{disablejamoautojosa}]
옛한글 자모에 한해서 자동조사 기능을 끈다.
-옛한글 자모 사용시 이를테면 \verb|[Mapping=tm-reorder]|\footnote{%
- \url{http://raw.github.com/dohyunkim/kotex-utils/master/tm-reorder.map}.
- 음절 끝의 방점을 음절 처음으로 옮기는 기능을 한다. 윈도8에 포함된
- 맑은고딕이나 최근 버전의 함초롬 LVT 글꼴로 옛한글을 조판할 때 필요할 수
- 있다. 이 맵핑 파일을 사용하려면 \texttt{teckit\_compile} 명령을 이용해서
- 미리 컴파일해두어야 한다.}
-글꼴 옵션을 주어 글자를 맵핑하려면 이 명령을 선언해두어야 정상 작동한다.
+옛한글 자모에 영향을 주는 \verb+Mapping+ 글꼴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면
+이 명령을 선언해두어야 정상 작동한다.
버전 2.1에서 새롭게 추가된 명령이다.
\item[\cs{disablecjksymbolspacing}]
@@ -355,8 +350,7 @@ CJK 구두점의 폭을 0.5em으로 강제설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item[\cs{disablehangulspacing}]
한글조판에 관련된 모든 미세간격을 영(zero)으로 돌린다. 한글 자간도,
영문자와 한글 사이 간격도, 구두점 위치 조정도, 구두점 사이의 간격도
-모두 작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CJK 글자 사이의 줄바꿈 허용만은 여전히
-동작한다.
+모두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CJK 글자 사이의 줄바꿈 허용만은 유지된다.
\item[\cs{disablehangulspacingandlinebreak}]
위 명령과 마찬가지로 모든 미세간격을 금지할 뿐만 아니라 CJK 글자 사이의
@@ -411,11 +405,14 @@ CJK 구두점의 폭을 0.5em으로 강제설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begin{figure}
\begin{example}
-\hfil\begin{vertical}{16em}
- \hangulfontspec[Vertical=RotatedGlyphs]{AdobeMyungjoStd-Medium.otf}
- \hangulmarks \hanjabyhangulfont \parindent-1em\leftskip1em
- \disablecjksymbolspacing
-\noindent 님의 침묵 {\small(The Silent Beloved)}
+ \verticalem=1.05em % hcr fonts' vertical em
+\hfil\begin{vertical}{16\verticalem}
+ \sffamily % hcr fonts do not have vrt2 feature
+ \hangulfontspec[RawFeature=vertical;+vert;+vhal,charraise=.5ex]
+ {HCR Dotum LVT}
+ \hanjabyhangulfont \parindent-\verticalem\leftskip\verticalem
+ \def\hellipsis{$\cdots\cdots$} % hcr fonts' ellipsis not good
+\noindent 님의 침묵 (The Silent Beloved)
\smallbreak
\hfil\hfil 한 용 운\hfil
\bigbreak
@@ -454,9 +451,10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cs{verticalem=1.05em}과 같은 선언을 미리 해두는 것이 좋다.
혹시 세로로 식자되지 않는 라틴문자 부분이 있다면
-\cs{vertlatin} 명령으로 감싸야 세로쓰기에 어울리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이때 인자는 박스로 처리되므로
-그 안에서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는다.
+베이스라인이 한글과 어울리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교정하려면
+\verb|charraise| 옵션을 한글 폰트에 준다.
+이 방법이 여의치 않으면 라틴문자 부분을 \cs{vertlatin} 명령으로 감쌀 수도
+있는데, 이때 인자가 박스로 처리되어 그 안에서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는다.
\medbreak
\begin{plaintex}
플레인텍이라면,
@@ -501,6 +499,8 @@ Tchinese도 제공하는데 중국어 번체 글꼴을 사용한다면 이 환
\usepackage{xetexko-hanging}
\end{verbatim}
\cs{hangingpunctuation} 명령은 버전 2.2 이후 불필요해졌다.
+글자 내밀기 기본값에 차이가 좀 있긴 하지만,
+microtype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으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begin{figure}
%\Large
@@ -528,7 +528,7 @@ Tchinese도 제공하는데 중국어 번체 글꼴을 사용한다면 이 환
수식 한글은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문서의 기본 글꼴을 따라가지만
굳이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이 명령은 플레인텍에서도 쓸 수 있다.
\begin{verbatim}
- \setmathhangulfont[ExternalLocation]{UnBatang}
+ \setmathhangulfont{NanumGothic}
\end{verbatim}
현재 한글만 쓸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한자도 수식에 직접 입력하려면 사용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