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options
autho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15-01-19 23:43:56 +0000 |
---|---|---|
committe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15-01-19 23:43:56 +0000 |
commit | 926f2c34911c1cb78939e8f1047aaf14e1bb9d2e (patch) | |
tree | 9d2db387a5a8520c3ee785454fe62ac96394ff58 /Master/texmf-dist/doc/xetex | |
parent | b6574e6c71befc9e13ec7be5107ebc9104256269 (diff) |
xetexko (19jan15)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36097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xetex')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13 | ||||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7 | ||||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 bin | 197642 -> 198351 bytes | |||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35 |
4 files changed, 34 insertions, 21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index d8da5d7a530..2b50f350949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1,3 +1,16 @@ +2015-01-18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2.11 + + * xetexko-space.sty: fix a bug regarding xoblivoir and ulem + +2015-01-16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2.10 + + * xetexko.sty, xetexko-font.sty: package option [unfonts] is removed + * *.sty: minor fixes and updated copyright year + 2014-08-04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Version 2.9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index 3582ae0f0b3..68b43a5abb7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1,4 +1,4 @@ -XeTeX-ko Package version 2.9 (2014/08/04) +XeTeX-ko Package version 2.11 (2015/01/18) ========================================= XeTeX-ko is a macro package for Xe(La)TeX which supports typesetting @@ -74,9 +74,8 @@ spacing. [hanja] Load Hanja captions. Also adjusts spacing as [hangul] option does. - [unfonts] -Load font setting predefined for Un TrueType fonts available at -http://kldp.net/projects/unfonts/. +Note that [unfonts] option is removed starting with v2.10, and so +Nanum TrueType will be used when no Hangul/Hanja font is declared. Hangul Font Command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inary files differindex 0fba5658bfa..fb031f65a66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index 576c7c9ad66..d74da26e6f4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10,10 +10,11 @@ \setmainhangulfont{KoPubBatang_Pro Light.otf}[ BoldFont=KoPubBatang_Pro Bold.otf, ] -\setsanshangulfont{Source Han Sans}[ +\setsanshangulfont{Source Han Sans K}[ + CharRaise=-0.1ex, % BASE? Script=Hangul, Language=Korean, UprightFont=* Normal, - BoldFont=* Bold Bold ] % <----- +] \usepackage{xetexko-hanging, hologo, xcolor, ulem} \usepackage[bookmarksnumbered,hidelinks]{hyperref} @@ -57,7 +58,7 @@ \title{\xetexko\ 간단 매뉴얼} \author{Dohyun Kim \normalsize <\texttt{nomos at ktug org}>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date{Version 2.9\quad 2014/08/04} +\date{Version 2.11\quad 2015/01/18} \maketitle \begin{quote}\small @@ -68,8 +69,6 @@ \item[v2.0]--- \item \hyperref[sec:loading] {플레인텍에서 xetexko.tex이 아니라 xetexko.sty를 불러야 한다.} - \item \hyperref[sec:loading] - {\texttt{[unfonts]} 옵션이 없으면 은글꼴을 자동으로 부르지 않는다.} \item \hyperref[sec:symbolfont] {CJK 기호문자를 \hparen{한자가 아니라} 한글 글꼴에서 찾는 것이 기본값이 되었다.} @@ -78,7 +77,7 @@ 추가했다.} \item[v2.2]--- \item \hyperref[sec:fontopts] - {글꼴 옵션 \texttt{charraise}를 추가했다.} + {글꼴 옵션 \texttt{CharRaise}를 추가했다.} \item \hyperref[sec:fontcmds] {\cs{fallbackhanjafont} 명령을 인식한다.} \item \hyperref[sec:etccmds] @@ -99,6 +98,9 @@ \item \hyperref[sec:fontcmds] {영문폰트에 한글·한자 자형이 없고 한글·한자 폰트도 따로 지시하지 않았다면 나눔 트루타입을 한글·한자 글꼴의 기본값으로 사용한다.} + \item[v2.10]--- + \item 패키지 옵션 \texttt{[unfonts]}를 더는 지원하지 않는다. 이 옵션을 + 사용한 기존 문서는 기본 글꼴인 나눔 트루타입으로 식자될 것이다. \end{itemize} \end{quote} @@ -147,8 +149,6 @@ fontspec에 옵션을 주려면 \xetexko를 부르기 전에 fontspec을 따로 \item[ hanja ] `第1章' `表' `目次' 등 한자 표제를 이용한다. 절 제목 이하에는 한자 표제가 붙지 않고 숫자로만 표현된다. 한글이 주된 언어라고 인식하여 줄간격 조정도 수행한다. -\item[ unfonts ] 은글꼴을 불러온다. \hemph{이 옵션이 없으면 - 사용자가 한글 글꼴을 지정해야} 할 수 있다. \end{description} @@ -203,7 +203,7 @@ main/sans hangul/hanja 폰트에는 따로 \verb|Ligatures=TeX| 옵션을 지시 fontspec 패키지의 \verb+\newfontfamily+ \verb+\newfontface+ 명령에 해당한다. \begin{verbatim} - \addhangulfontfeature{Color=FF0000,interhchar=-.1em} + \addhangulfontfeature{Color=FF0000,InterHangul=-.1em} \addhanjafontfeature {Color=00FF00} \end{verbatim} fontspec의 \verb+\addfontfeature+ 명령을 구현한 것이다. @@ -269,7 +269,7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dotemph{고정폭 글꼴을 제외한} 한글·한자 글꼴 명령에 미세 간격 옵션을 쓸 수 있다. \begin{verbatim} - \setsanshangulfont{NanumGothic}[interhchar=-.04em] + \setsanshangulfont{NanumGothic}[InterHangul=-.04em] \end{verbatim} 이 때 나눔고딕 글꼴에만 한글 마이너스 자간이 작동한다. 허용되는 옵션은 다음과 같으며 기본값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모두 0pt이다. @@ -348,10 +348,10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LaTeX 에서는 한글·한자 글꼴의 기본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begin{verbatim} - \defaulthangulfontfeatures {hu=.1em, interhchar=-.1em} - \defaulthangulfontfeatures+{hu=.1em, interhchar=-.1em} - \defaulthanjafontfeatures {hu=.1em} - \defaulthanjafontfeatures +{hu=.1em} + \defaulthangulfontfeatures {InterLatinCJK=.1em, InterHangul=-.1em} + \defaulthangulfontfeatures+{InterLatinCJK=.1em, InterHangul=-.1em} + \defaulthanjafontfeatures {InterLatinCJK=.1em} + \defaulthanjafontfeatures +{InterLatinCJK=.1em} \end{verbatim} fontspec 패키지의 \cs{defaultfontfeatures}에 상응하는 것이지만, 오직 이 절에서 언급한 옵션들만 인식하며 나머지는 무시된다는 점을 유의하라. @@ -405,8 +405,9 @@ CJK 구두점의 폭을 0.5em으로 강제설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옛한글을 사용하기 위해선 \verb|Script=Hangul| 옵션을 주는 것으로 족하다. 옛한글 식자는 고급 오픈타입 기능을 이용하므로 폰트가 이런 기능을 제공해야만 가능한 일이다.\footnote{% -\today\ 현재, 이런 기능을 제공하는 폰트로는 윈도즈~8에 번들된 맑은고딕이 -있으며 공개폰트로는 은바탕과 함초롬~LVT 글꼴이 있다.} +이런 기능을 제공하는 폰트로는 윈도즈~8에 번들된 맑은고딕이 +있으며 공개폰트로는 은바탕, 함초롬~LVT, Source Han Sans (본고딕), +Noto Sans CJK 등이 있다.} \begin{figure} \begin{example} @@ -481,7 +482,7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end{verbatim} 혹시 세로로 식자되지 않는 라틴문자 부분이 있다면 베이스라인이 한글과 어울리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교정하려면 -\verb|charraise| 옵션을 한글 폰트에 준다.\footnote{% +\verb|CharRaise| 옵션을 한글 폰트에 준다.\footnote{% 이 방법이 여의치 않으면 라틴문자 부분을 \cs{vertlatin} 명령으로 감쌀 수도 있는데, 이때 인자가 박스로 처리되어 그 안에서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는다.} \medbrea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