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Master/texmf-dist/doc/xe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autho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20-02-17 22:18:35 +0000
committe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20-02-17 22:18:35 +0000
commiteb3b2978f24f39de6a452f96aa80a3ebc645cc21 (patch)
treec11da0b1cac0cbac37fdfe7fc21e31c7f0ecbabb /Master/texmf-dist/doc/xetex
parentba5ea410b396b3df9584d93f2a9f1c20b7682d4b (diff)
xetexko (17feb20)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53826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xetex')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8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4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bin227528 -> 227251 bytes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28
4 files changed, 25 insertions, 15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index 35ac10544d0..3f4fe3a16c8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1,3 +1,11 @@
+2020-02-17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2.23
+
+ * xetexko-font.sty: unbatang/undotum as default hangul fonts;
+ suppress bx font warnings and make \bfseries work again;
+ use latex's newly introduced \@{rm,sf,tt,default}familyhook
+
2019-12-01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Version 2.22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index 808ba7b8a7a..4b9931cf3e7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1,4 +1,4 @@
-XeTeX-ko Package version 2.22 (2019/12/01)
+XeTeX-ko Package version 2.23 (2020/02/17)
=========================================
XeTeX-ko is a macro package for Xe(La)TeX which supports typesetting
@@ -75,7 +75,7 @@ spacing.
Load Hanja captions. Also adjusts spacing as [hangul] option does.
Note that [unfonts] option is removed starting with v2.10, and so
-Nanum TrueType will be used when no Hangul/Hanja font is declared.
+Un TrueType will be used when no Hangul/Hanja font is declared.
Hangul Font Command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index bf1e522d371..a84c7279191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index 8584e0e36a8..4fd17522348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65,7 +65,7 @@
\title{\xetexko\ 간단 매뉴얼}
\author{Dohyun Kim \normalsize <\texttt{nomos at ktug org}>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date{Version 2.22\quad 2019/12/01}
+\date{Version 2.23\quad 2020/02/17}
\maketitle
\begin{quote}\small
@@ -101,16 +101,16 @@
\item \hyperref[sec:fontopts]
{\cs{defaulthangulfontfeatures}와 \cs{defaulthanjafontfeatures}
명령이 생겼다.}
- \item[v2.9]---
- \item \hyperref[sec:fontcmds]
- {영문폰트에 한글·한자 자형이 없고 한글·한자 폰트도 따로 지시하지 않았다면
- 나눔 트루타입을 한글·한자 글꼴의 기본값으로 사용한다.}
\item[v2.10]---
\item 패키지 옵션 \texttt{[unfonts]}를 더는 지원하지 않는다. 이 옵션을
- 사용한 기존 문서는 기본 글꼴인 나눔 트루타입으로 식자될 것이다.
+ 사용한 기존 문서는 기본 글꼴인 은글꼴 트루타입으로 식자될 것이다.
\item[v2.13]---
\item \hyperref[sec:verttype]
{\texttt{horizontal} 환경이 추가되었다.}
+ \item[v2.23]---
+ \item \hyperref[sec:fontcmds]
+ {디폴트 한글 폰트가 나눔글꼴에서 은글꼴로 변경되었다.}
+
\end{itemize}
\end{quote}
@@ -143,7 +143,7 @@ EUC-KR이나 CP949 입력도 지원하는데, 다음과 같은 선언이 있으
\section{\xetexko\ 부르기}\label{sec:loading}
\xetexko\ 로드하기: \cs{usepackage\{xetexko\}} 혹은 \cs{usepackage\{kotex\}}.
-이 명령으로 fontspec 및 xunicode 패키지도 함께 불러들인다.
+이 명령으로 fontspec 패키지도 함께 불러들인다.
fontspec에 옵션을 주려면 \xetexko를 부르기 전에 fontspec을 따로 로드하면 된다.
\begin{plaintex}
@@ -152,10 +152,10 @@ fontspec에 옵션을 주려면 \xetexko를 부르기 전에 fontspec을 따로
패키지 옵션:
\begin{description}\hangulquotes
-\item[ hangul ] `제1장' `표' `차례' 등 한글 표제를 이용한다.
+\item[ hangul ] `제~1~장' `표' `차례' 등 한글 표제를 이용한다.
절 제목 이하에는 한글 표제가 붙지 않고 숫자로만 표현된다.
한글이 주된 언어라고 인식하여 줄간격 조정도 수행한다.
-\item[ hanja ] `第1章' `表' `目次' 등 한자 표제를 이용한다.
+\item[ hanja ] `第~1~章' `表' `目次' 등 한자 표제를 이용한다.
절 제목 이하에는 한자 표제가 붙지 않고 숫자로만 표현된다.
한글이 주된 언어라고 인식하여 줄간격 조정도 수행한다.
\end{description}
@@ -179,9 +179,8 @@ main/sans hangul/hanja 폰트에는 따로 \verb|Ligatures=TeX| 옵션을 지시
한글폰트를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영문폰트가 한글에도 사용된다.
한자폰트를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한글폰트가 한자에도 적용된다.
\LaTeX 에서는 영문폰트에 한글·한자 글리프가 없고 한글·한자 폰트도 따로
-지시하지 않았다면 \hemph{나눔 트루타입을 한글·한자 글꼴의 기본값}으로
-사용한다.\footnote{나눔 글꼴을 찾을 수 없다면 바탕/돋움 글꼴을 이용하고
- 그마저도 없다면 한글·한자가 식자되지 않을 뿐, 에러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지시하지 않았다면 \hemph{은바탕/은돋움 트루타입}을 한글·한자 글꼴의 기본값으로
+사용한다.
\begin{plaintex}
플레인텍이라면 다음처럼 한다.
@@ -418,7 +417,10 @@ CJK 구두점의 폭을 0.5em으로 강제설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폰트가 이런 기능을 제공해야만 가능한 일이다.\footnote{%
이런 기능을 제공하는 폰트로는 윈도즈~8에 번들된 맑은고딕이
있으며 공개폰트로는 은바탕, 함초롬~LVT, Source Han Sans (본고딕),
-Noto Sans CJK, 나눔명조옛한글, 나눔바른고딕옛한글 등이 있다.}
+Source Han Serif (본명조), Noto Sans CJK, Noto Serif CJK,
+나눔명조옛한글, 나눔바른고딕옛한글, KoPubWorld 바탕, KoPubWorld 돋움 등이 있다.
+또한 \textsf{\char"1112\char"119E\char"11AB글}에 번들된 함초롬 글꼴에도
+최근 옛한글 지원이 추가되었다.}
\begin{figure}
\begin{exa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