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options
autho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21-05-15 20:41:39 +0000 |
---|---|---|
committe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21-05-15 20:41:39 +0000 |
commit | f27d9675d05c741c22a86bb33a672fa73b701617 (patch) | |
tree | 7fc078d88206fbd72c65229d70c70942f7a4e54e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 | |
parent | 449b126a17ce3ea3c78f166b93b59470ffa01abf (diff) |
xetexko (15may21)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59215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6 | ||||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2 | ||||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 bin | 250218 -> 254362 bytes | |||
-rw-r--r--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76 |
4 files changed, 44 insertions, 40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index 3d2c82eba23..8bd1ebb2125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1,3 +1,9 @@ +2021-05-15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3.4 + + * internal changes regarding font-switching method + 2021-04-20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Version 3.3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index 4d0dfb8182e..9cae875e93d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1,4 +1,4 @@ -XeTeX-ko Package version 3.3 (2021/04/20) +XeTeX-ko Package version 3.4 (2021/05/15) ========================================= XeTeX-ko is a macro package for Xe(La)TeX which supports typesetting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inary files differindex baec8abd9f7..d20c61d0da8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index 37e1e49f7fa..3aad0c1b2bf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61,8 +61,8 @@ \def\hemph#1{\textsf{\bfseries #1}} \def\hparen#1{{\small\hangulparens(#1)}} \let\hparens\hparen -\def\keyword#1{\leavevmode\marginpar{\hfuzz\maxdimen\footnotesize\cs{#1}}} -\def\vernote#1{\leavevmode\marginpar{\hfuzz\maxdimen\footnotesize{\color{red}☜ v#1}}} +\def\keyword#1{\cs{#1}\marginpar{\hfuzz\maxdimen\footnotesize{\color{blue!70}\cs{#1}}}} +\def\vernote#1{v#1\marginpar{\hfuzz\maxdimen\footnotesize{\color{red}☜ v#1}}} \hangingpunctuations @@ -70,7 +70,7 @@ \title{\xetexko\ 간단 매뉴얼} \author{Dohyun Kim \normalsize <\texttt{nomos at ktug org}>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date{Version 3.3\quad 2021/04/20} +\date{Version 3.4\quad 2021/05/15} \maketitle \begin{quote}\small @@ -146,7 +146,7 @@ main/sans hangul/hanja 폰트에는 따로 \verb|Ligatures=TeX| 옵션을 지시 \bigskip -※ 버전 3.1부터 플레인텍에 주요 변경사항이 있다:\vernote{3.1}% +※ \vernote{3.1} 및 \vernote{3.4}부터 플레인텍에 주요 변경사항이 있다: \begin{plaintex} 플레인텍에서도 기본값으로 은바탕을 한글에 사용한다. 한글폰트를 지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begin{verbatim} @@ -154,22 +154,20 @@ main/sans hangul/hanja 폰트에는 따로 \verb|Ligatures=TeX| 옵션을 지시 \hangulfont="[UnBatang]:mapping=tex-text" at 10pt \hanjafont ="Naver Dictionary:mapping=tex-text" at 10pt \end{verbatim} - 그런데 3.1 버전부터는 이렇게 하면 문서 중간에 영문글꼴을 바꾸더라도 - \cs{hangulfont} 선언시의 영문글꼴이 계속 적용되도록 바뀌었다. - 그래서 다음과 같은 새로운 명령을 제공한다. + \sout{그런데 3.1 버전부터는 이렇게 하면 문서 중간에 영문글꼴을 바꾸더라도 + \cs{hangulfont} 선언시의 영문글꼴이 계속 적용되도록 바뀌었다.} + 또한 다음과 같은 새로운 명령을 제공한다. \begin{verbatim} - \tt \sethangulfont\untaza ="[UnTaza.ttf]" at 10pt \sethanjafont \undotum="[UnDotum.ttf]" at 10pt - \def\tt{\untaza\undotum} + \expandafter\def\expandafter\tt\expandafter{\tt\untaza\undotum} \end{verbatim} - 이 경우 \cs{untaza}, \cs{undotum} 명령에 \cs{set...font} 실행시의 현재폰트 명령이 - 자동으로 포함된다. 뒤에서 설명할 글꼴옵션이 포함되는 것과 같은 개념이다. + \sout{이 경우 \cs{untaza}, \cs{undotum} 명령에 \cs{set...font} 실행시의 현재폰트 명령이 + 자동으로 포함된다. 뒤에서 설명할 글꼴옵션이 포함되는 것과 같은 개념이다.} 그리하여 예의 \cs{tt} 명령으로 이제 한글, 한자, 영문 글꼴을 동시에 바꿀 수 있게 된다. \end{plaintex} -\keyword{fallbackhanjafont}% -\cs{fallbackhanjafont}를 정의해두면 \hemph{한자 글꼴에도 없는 한자}를 +\keyword{fallbackhanjafont}를 정의해두면 \hemph{한자 글꼴에도 없는 한자}를 이 글꼴에서 찾아 식자한다. \cs{newfontfamily} 명령 등으로 정의한다. \section{글꼴 명령 (계속)} @@ -197,8 +195,7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참고로, 한자와 한글을 같은 글꼴로 식자하고 싶을 때 글꼴 설정을 번거롭게 두 번 할 필요 없이 한글 글꼴만 설정한 뒤 간단히 -\keyword{hanjabyhangulfont}% -\cs{hanjabyhangulfont}를 선언하면 된다.% +\keyword{hanjabyhangulfont}를 선언하면 된다.% \footnote{프리앰블의 main/sans/mono 글꼴 명령들과 달리 새로 지정한 한글 폰트가 한자에도 자동으로 적용되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 -225,16 +222,16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item[cjksymbols] CJK 구두점, 괄호 및 상징기호 \end{description} -종전에\vernote{3.0} +종전에 라틴숫자에 적용되던 \verb|nums| 옵션과 라틴 인용부호에 적용되던 \verb|quotes| 옵션이 -3.0 버전부터는 +\vernote{3.0}부터는 각각 \verb|alphs| 옵션과 \verb|parens| 옵션에 통합되었음에 유의하라. -또한\vernote{3.0} en dash, em dash가 종래 \verb|colons|에 속하던 것이 이제 +또한 en dash, em dash가 종래 \verb|colons|에 속하던 것이 이제 \verb|hyphens|에 속하게 되었다. 기본값은 다음 명령을 준 것과 동일하다. -v3.0부터\vernote{3.0} 괄호류의 기본글꼴이 한글이 되었음도 유의하라. +\vernote{3.0}부터 괄호류의 기본글꼴이 한글이 되었음도 유의하라. \begin{verbatim} \xetexkofontregime {latin}% [ puncts=prevfont, colons=prevfont, @@ -285,7 +282,7 @@ v3.0부터\vernote{3.0} 괄호류의 기본글꼴이 한글이 되었음도 유 기본값은 \verb|0pt|. 고정폭 글꼴에서도 이 옵션은 작동한다. \end{description} -3.0 버전부터는\vernote{3.0} 다음 옵션들이 아무 효과도 가져오지 않게 +\vernote{3.0}부터는 다음 옵션들이 아무 효과도 가져오지 않게 변경되었음을 주의하라. \begin{verbatim} lowerperiod lowerquestion @@ -311,9 +308,9 @@ v3.0부터\vernote{3.0} 괄호류의 기본글꼴이 한글이 되었음도 유 한자폰트 옵션을 서로 달리 지시할 수 있다. \end{plaintex} -종전에 한글·한자 글꼴의 옵션 기본값을 지정하던\vernote{3.0} +종전에 한글·한자 글꼴의 옵션 기본값을 지정하던 \cs{defaulthangulfontfeatures} 및 \cs{defaulthanjafontfeatures} 명령이 -3.0 버전부터는 +\vernote{3.0}부터는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게 변경되었음에 유의하라. 폰트옵션의 수가 적어졌기 때문에 이 명령의 유용성도 거의 사라졌다고 판단했다. @@ -336,8 +333,7 @@ v3.0부터\vernote{3.0} 괄호류의 기본글꼴이 한글이 되었음도 유 \cs{nocompresspunctuations}는 이 명령과 동의어이다.\\ 반대로 - \keyword{compresspunctuations}% - \cs{compresspunctuations}는 반각을 강제하라는 명령이다. + \keyword{compresspunctuations}는 반각을 강제하라는 명령이다. 이것이 기본값이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따로 선언할 필요가 없다. \item[\cs{disablehangulspacing}] @@ -359,7 +355,7 @@ v3.0부터\vernote{3.0} 괄호류의 기본글꼴이 한글이 되었음도 유 } \end{description} -3.0 버전부터는\vernote{3.0} 종전의 +\vernote{3.0}부터는 종전의 \cs{disableautojosa} 및 \cs{disablejamoautojosa} 명령이 아무 기능도 하지 않게 변경되었음을 유의하라. @@ -411,8 +407,8 @@ Source Han Serif (본명조), Noto Sans CJK, Noto Serif CJK, \setmainhangulfont{Noto Sans CJK KR}[ Vertical=Alternates, RawFeature=vertical ] \end{verbatim} -\keyword{verticaltypesetting}% -문서 전체를 세로쓰기할 때 \cs{verticaltypesetting}을 선언하면 + +문서 전체를 세로쓰기할 때 \keyword{verticaltypesetting}을 선언하면 면주는 그대로 두고 본문만 세로쓰기한다.\footnote{면주의 글꼴에는 \texttt{vertical} 옵션이 없어야 할 것이다. 면주 글꼴을 따로 지정하는 것은 사용자의 몫이다. } @@ -482,10 +478,9 @@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주어야 한 \verb|typesetclassic| 환경은 고문헌 조판에 적합한 환경이다. -불필요한 공백을 없애주는 기능은\vernote{3.0} -3.0 버전부터는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keyword{removeclassicspaces}% -\cs{removeclassicspaces} 명령을 주어야 CJK 글자간 공백을 +불필요한 공백을 없애주는 기능은 +\vernote{3.0}부터는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keyword{removeclassicspaces} 명령을 주어야 CJK 글자간 공백을 제거하기 시작한다. 간단한 일본어, 중국어 문단 정도를 식자하는 데도 이 환경을 이용할 수 있으나 @@ -505,8 +500,7 @@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주어야 한 \end{plaintex} -\keyword{inhibitglue}% -\cs{inhibitglue} 명령은 +\keyword{inhibitglue} 명령은 해당 지점에 자동 삽입되는 공백을 영(zero)으로 만들어준다. 현대문서 조판에는 \verb|typesetmodern| 환경이 쓰인다. 이 환경은 기본값이므로 @@ -554,13 +548,12 @@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주어야 한 \section{매달린 구두점} \hemph{하이픈을 제외한} 문장부호들를 판면 바깥에 식자하여 행 끝에 매달리게 만들 수 있다. -3.0 버전부터는\vernote{3.0} \keyword{hangingpunctuations}% -\cs{hangingpunctuations} 명령으로 활성화한다. +\vernote{3.0}부터는 \keyword{hangingpunctuations} 명령으로 활성화한다. \cs{hangingpunctuation}은 이 명령과 동의어이다. 당분간 xetexko-hanging.sty을 로드하는 것으로도 활성화되도록 해 두었다. 이렇게 활성화되면 기본값으로 온점, 반점, 고리점, 모점에 대해서 전부 내밀기가 작동한다. -3.2 버전부터는\vernote{3.2}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부호를 원하는 만큼 판면 밖으로 내밀 수 있다. +\vernote{3.2}부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부호를 원하는 만큼 판면 밖으로 내밀 수 있다. \begin{verbatim} \sethangingratio"28=0.5 % \sethangingratio"3002=1 % @@ -602,7 +595,7 @@ microtype 패키지의 protrusion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begin{quote} \verb|$가^{나^다}$|\quad$\Rightarrow\quad가^{나^다}$ \end{quote} -3.0 버전부터는\vernote{3.0} +\vernote{3.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한글을 잡아주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다음과 같이 명시적으로 선언해야 한다. \begin{verbatim} \setmathhangulfont{Noto Sans CJK KR}[ @@ -645,7 +638,7 @@ microtype 패키지의 protrusion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end{verbatim} \section{드러냄표} -\keyword{dotemph}% +\keyword{dotemph} 명령을 사용하는 \dotemph{드러냄표} 강조도 \kotex 과 대동소이하다. 기본은 글자 위에 점을 찍는 형태이나 다음 명령을 이용해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기호를 드러냄표로 쓸 수 있다. @@ -675,7 +668,7 @@ microtype 패키지의 protrusion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section{밑줄긋기} \LaTeX 에서는 \uwave{ulem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만으로 자동 지원된다. -\cs{xetexkoulemsupport} 명령이 \vernote{3.3}3.3 버전부터 부활하였으므로 +\cs{xetexkoulemsupport} 명령이 \vernote{3.3}부터 부활하였으므로 플레인텍에서는 이 명령을 명시해야 할 경우가 있을 것이다. @@ -687,6 +680,11 @@ microtype 패키지의 protrusion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begin{small}\linespread{1.2}\selectfont \begin{description}\itemsep=0pt + \item[v3.4] 2021-05-15 + \begin{itemize} + \item \hyperref[sec:fontcmds] + {글꼴 전환 방식의 내부적 변화 및 그에 따른 플레인텍 한글 폰트 명령의 의미 변경} + \end{itemize} \item[v3.3] 2021-04-20 \begin{itemize} \item \cs{xetexkoulemsupport} 명령 부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