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autho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13-07-05 23:55:33 +0000
committe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13-07-05 23:55:33 +0000
commit4a56770b3b932b512c21adb07c84d34889d67a39 (patch)
tree3c436b68f7970ea15b905ef0f1ddb5d7962c1ea1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parente22e6d4f6c2ac15ae91ed7f0e0af0aa35900deb0 (diff)
xetexko (4jul13)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31108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rw-r--r--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152
1 files changed, 82 insertions, 70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index 80bb8b20de1..1886d9df545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1,8 +1,8 @@
%% !tex program = xelatex
-%% written by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public domain
%%
-%% $Id: xetexko-doc.tex,v 1.53 2012/11/12 14:56:11 nomos Exp $
+%% xetexko-doc.tex
+%%
+%%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documentclass[a4paper]{article}
\usepackage{typearea}
@@ -11,9 +11,7 @@
\setmainhangulfont[Ligatures=TeX,quoteraise=.1em]{NanumMyeongjo}
\setmainhanjafont[Path,BoldFont=*Bold]{UnBatang}
\setsanshangulfont[Ligatures=TeX]{NanumGothic}
-\usepackage{metalogo}
-\usepackage{xcolor}
-\usepackage{ulem}
+\usepackage{metalogo,xcolor,ulem}
\usepackage[bookmarksnumbered]{hyperref}
\def\dotemphraise{0.2em}
@@ -24,26 +22,27 @@
\def\kotex{\logoko\kern-.1ex .\kern-.1667em \TeX}
\pdfstringdefDisableCommands{\def\XeTeX{XeTeX}\def\xetexko{XeTeX-ko}}
\renewcommand*\descriptionlabel[1]{\hspace\labelsep\ttfamily\bfseries
- \color{red!70!black}#1}
+ \color{blue!50!black}#1}
+\def\grayhrule{\color{white!80!black}\hrule height2pt\color{black}}
+\def\grayvrule{\color{white!80!black}\vrule width2pt\color{black}}
\newenvironment{plaintex}
- {\par\medskip\leavevmode\hbox\bgroup
- \color{white!80!black}\vrule width2pt\color{black}\kern1em
- \vbox\bgroup\hsize=\dimexpr\textwidth-12pt\relax
- \small
+ {\par\medskip\leavevmode\hbox\bgroup\grayvrule\kern1em
+ \vbox\bgroup\hsize=\dimexpr\textwidth-12pt\relax\small
}{\egroup\egroup\par\medskip}
\newenvironment{example}
- {\leavevmode\hbox\bgroup
- \color{white!80!black}\vrule width2pt\color{black}\kern1em
- \vbox\bgroup\hsize=\dimexpr\textwidth-24pt\relax
- }{\egroup\kern1em\color{white!80!black}\vrule width2pt\color{black}\egroup}
-\def\cs#1{\texttt{\color{red!70!black}\textbackslash #1}}
+ {\leavevmode\hbox\bgroup\grayvrule
+ \vbox\bgroup\hsize\dimexpr\textwidth-4pt\relax
+ \grayhrule\kern1em\leftskip1em\rightskip1em
+ }{\par\kern1em\grayhrule\egroup\grayvrule\egroup}
+\def\cs#1{\texttt{\color{blue!50!black}\textbackslash #1}}
\def\hemph#1{\textsf{\bfseries #1}}
\parindent0pt
\begin{document}
\title{\xetexko\ 간단 매뉴얼}
-\author{김 도 현 <\url{nomos at ktug org}>}
-\date{Version 2.0\quad\today}
+\author{Dohyun Kim \normalsize <\texttt{nomos at ktug org}> \and
+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date{Version 2.1\quad\today}
\maketitle
\begin{quote}\small
@@ -303,6 +302,17 @@ CJK 문자 직후의 쉼표 뒤에 들어가는 간격. 0pt.
혹시 있을지 모를 예기치 못한 기능간 충돌에 대비하여 자동조사 기능을
끄는 명령을 제공하고 있다.
+ \item[\cs{disablejamoautojosa}]
+옛한글 자모에 한해서 자동조사 기능을 끈다.
+옛한글 자모 사용시 이를테면 \verb|[Mapping=tm-reorder]|\footnote{%
+ \url{http://raw.github.com/dohyunkim/kotex-utils/master/tm-reorder.map}.
+ 음절 끝의 방점을 음절 처음으로 옮기는 기능을 한다. 윈도8에 포함된
+ 맑은고딕이나 최근 버전의 함초롬 LVT 글꼴로 옛한글을 조판할 때 필요할 수
+ 있다. 이 맵핑 파일을 사용하려면 \texttt{teckit\_compile} 명령을 이용해서
+ 미리 컴파일해두어야 한다.}
+글꼴 옵션을 주어 글자를 맵핑하려면 이 명령을 선언해두어야 정상 작동한다.
+버전 2.1에서 새롭게 추가된 명령이다.
+
\item[\cs{disablecjksymbolspacing}]
CJK 구두점이나 괄호의 폭을 0.5em으로 강제설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xetexko는 낡은 고정폭 한글 폰트들을 고려하여 이 기능을 구현하였으나
@@ -327,6 +337,26 @@ CJK 구두점이나 괄호의 폭을 0.5em으로 강제설정하는 것을 방
\end{description}
\section{옛한글}
+
+\begin{figure}
+ \begin{example}
+ \hangulfontspec[YetHangul]{HCR Dotum LVT}
+ \hanjabyhangulfont%\parindent1em
+ \obeylines\centering
+뎨 가ᄂᆞᆫ 뎌 각시 본 듯도 ᄒᆞᆫ뎌이고.
+天텬上상白ᄇᆡᆨ玉옥京경을 엇디ᄒᆞ야 離니別별ᄒᆞ고
+ᄒᆡ 다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ᄂᆞᆫ고
+\medbreak
+어와 네여이고 내 ᄉᆞ셜 드러보오.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ᄒᆞᆫ가마ᄂᆞᆫ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ᄉᆡ
+나도 님을 미더 군 ᄠᅥ디 전혀 업서
+이ᄅᆡ야 교ᄐᆡ야 어ᄌᆞ러이 구돗ᄯᅥᆫ디
+반기시ᄂᆞᆫ ᄂᆞᆺ비치 녜와 엇디 다ᄅᆞ신고.
+ \end{example}
+ \caption{옛한글 조판 보기}\label{fig:yethangul}
+\end{figure}
+
옛한글을 사용하기 위해선 \verb|Script=Hangul| 옵션을 주는 것으로 족하다.
호환성을 위해서 \verb|YetHangul| 옵션도 제공한다.
옛한글 식자는 고급 오픈타입 기능을 이용하므로
@@ -344,29 +374,29 @@ CJK 구두점이나 괄호의 폭을 0.5em으로 강제설정하는 것을 방
\end{verbatim}
\end{plaintex}
-\begin{figure}
- \begin{example}
- \hangulfontspec[YetHangul]{HCR Dotum LVT}
- \hanjabyhangulfont\parindent1em
-뎨 가ᄂᆞᆫ 뎌 각시 본 듯도 ᄒᆞᆫ뎌이고.
-天텬上상白ᄇᆡᆨ玉옥京경을 엇디ᄒᆞ야 離니別별ᄒᆞ고
-ᄒᆡ 다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ᄂᆞᆫ고
+\section{세로쓰기}
-어와 네여이고 내 ᄉᆞ셜 드러보오.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ᄒᆞᆫ가마ᄂᆞᆫ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ᄉᆡ
-나도 님을 미더 군 ᄠᅥ디 전혀 업서
-이ᄅᆡ야 교ᄐᆡ야 어ᄌᆞ러이 구돗ᄯᅥᆫ디
-반기시ᄂᆞᆫ ᄂᆞᆺ비치 녜와 엇디 다ᄅᆞ신고.
-누어 ᄉᆡᆼ각ᄒᆞ고 니러 안자 혜여ᄒᆞ니
-내 몸의 지은 죄 뫼ᄀᆞ티 ᄡᅡ혀시니
-하ᄂᆞᆯ히라 원망ᄒᆞ고 사ᄅᆞᆷ이라 허믈ᄒᆞ랴
-셜워 플텨 혜니 造조物믈의 타시로다.
- \end{example}
- \caption{옛한글 조판 보기}\label{fig:yethangul}
+\begin{figure}
+\begin{example}
+\hfil\begin{vertical}{16em}
+ \hangulfontspec[Vertical=RotatedGlyphs]{Adobe Myungjo Std}
+ \hangulmarks \hanjabyhangulfont \parindent-1em\leftskip1em
+\noindent 님의 침묵 {\small(The Silent Beloved)}
+\smallbreak
+\hfil\hfil 한 용 운\hfil
+\bigbreak
+님은 갓슴니다 아아 사랑하는나의님은 갓슴니다\par
+푸른산빗을깨치고 단풍나무숩을향하야난 적은길을 거러서 참어떨치고 갓슴니다\par
+黃金의꽃가티 굿고빗나든 옛盟誓는 차듸찬띠끌이되야서 한숨의 微風에 나러갓슴니다\par
+날카로은 첫〈키쓰〉의追憶은 나의運命의指針을 돌너노코 뒷거름처서 사러젓슴니다\par
+\hellipsis\par
+아아 님은갓지마는 나는 님을보내지 아니하얏슴니다\par
+제곡조를못이기는 사랑의노래는 님의沈默을 휩싸고돔니다\par
+\end{vertical}\hfil
+\end{example}
+\caption{세로쓰기 보기}\label{fig:vertical}
\end{figure}
-\section{세로쓰기}
세로쓰기를 위한 글꼴 지정은 다음과 같다.
역시 고급 오픈타입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폰트가 이를 지원해야 한다.
@@ -393,29 +423,7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cs{vertlatin} 명령으로 감싸야 세로쓰기에 어울리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이때 인자는 박스로 처리되므로
그 안에서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는다.
-
-\begin{figure}
-\begin{example}
-\hfil\begin{vertical}{16em}
- \hangulfontspec[Vertical=RotatedGlyphs]{Adobe Myungjo Std}
- \hangulmarks \hanjabyhangulfont \parindent-1em\leftskip1em
-\noindent 님의 침묵 {\small(The Silent Beloved)}
-\smallbreak
-\hfil\hfil 한 용 운\hfil
-\bigbreak
-님은 갓슴니다 아아 사랑하는나의님은 갓슴니다\par
-푸른산빗을깨치고 단풍나무숩을향하야난 적은길을 거러서 참어떨치고 갓슴니다\par
-黃金의꽃가티 굿고빗나든 옛盟誓는 차듸찬띠끌이되야서 한숨의 微風에 나러갓슴니다\par
-날카로은 첫〈키쓰〉의追憶은 나의運命의指針을 돌너노코 뒷거름처서 사러젓슴니다\par
-\hellipsis\par
-아아 님은갓지마는 나는 님을보내지 아니하얏슴니다\par
-제곡조를못이기는 사랑의노래는 님의沈默을 휩싸고돔니다\par
-\end{vertical}\hfil
-\end{example}
-\caption{세로쓰기 보기}\label{fig:vertical}
-\end{figure}
-
-\medskip
+\medbreak
\begin{plaintex}
플레인텍이라면,
\begin{verbatim}
@@ -425,15 +433,7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end{verbatim}
\end{plaintex}
-
\section{일본어·중국어·고문헌}
-띄어쓰기가 없는 옛문헌이나 일본어 단락 따위를 삽입할 때
-japanese 혹은 chinese 환경을 선언하는 것이 좋다.
-들여쓰기\footnote {들여쓰기 기본값은 japanese는 1em 이고 chinese는 2em 이다.}
-및 자간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입력한 불필요한 공백도 없애준다.
-Schinese 환경은 chinese의 다른 이름이다.
-Tchinese도 제공하는데 중국어 번체 글꼴을 사용한다면 이 환경을 이용하라.
\begin{figure}
\begin{example}
@@ -449,6 +449,14 @@ Tchinese도 제공하는데 중국어 번체 글꼴을 사용한다면 이 환
\caption{고문헌 조판 보기}\label{fig:ancientdoc}
\end{figure}
+띄어쓰기가 없는 옛문헌이나 일본어 단락 따위를 삽입할 때
+japanese 혹은 chinese 환경을 선언하는 것이 좋다.
+들여쓰기\footnote {들여쓰기 기본값은 japanese는 1em 이고 chinese는 2em 이다.}
+및 자간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입력한 불필요한 공백도 없애준다.
+Schinese 환경은 chinese의 다른 이름이다.
+Tchinese도 제공하는데 중국어 번체 글꼴을 사용한다면 이 환경을 이용하라.
+
\cs{inhibitglue} 명령은 일본어 등 환경에서 가끔 유용한데,
해당 지점에 자동 삽입되는 공백을 영(zero)으로
만들어준다.
@@ -546,6 +554,10 @@ Tchinese도 제공하는데 중국어 번체 글꼴을 사용한다면 이 환
\section{hyperref}
hyperref 패키지는 \verb+[unicode]+ 옵션 없이 쓴다.
-\hfill □
+
+\begin{flushright}
+ \fboxsep=-\fboxrule
+ \fbox{\vbox to1em{\hbox to1em{\hss}\vss}}
+\end{flushright}
\end{doc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