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Master/texmf-dist/doc/lua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autho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19-06-22 21:23:02 +0000
committe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19-06-22 21:23:02 +0000
commit3f444ab8318d583f7cadb0d135486a8b204b567c (patch)
tree5c50a3590cdcee7a6080bf09b1a355ceb0b482e2 /Master/texmf-dist/doc/luatex
parentaa7047f2124bed0dd8bf7be61b5d99517f233a1e (diff)
luatexko (22jun19)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51424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luatex')
-rw-r--r--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7
-rw-r--r--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2
-rw-r--r--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bin277917 -> 283439 bytes
-rw-r--r--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152
4 files changed, 99 insertions, 62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index 09a7df505cb..a4c035982ca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 -1,3 +1,10 @@
+2019-06-21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2.3
+
+ * luatexko.lua: prevent discretionary node after Kana;
+ provide lua functions deactivateall() and reactivateall().
+
2019-06-07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Version 2.2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index bdb97987b2c..b83a164f5bf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 -1,4 +1,4 @@
-LuaTeX-ko Package version 2.2 (2019/06/07)
+LuaTeX-ko Package version 2.3 (2019/06/21)
===========================================
This is a Lua(La)TeX macro package that supports typesetting Korean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index 96079dfcc4d..e42c173b792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index b7cb9f6e8b5..faa88eeeaa8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 -13,6 +13,7 @@
\usepackage[svgnames]{xcolor}
\usepackage[hangul]{luatexko}
\setmainhangulfont{Noto Serif CJK KR}[
+ Scale=0.98,
AutoFakeSlant,
Script=Hangul,
Language=Korean,
@@ -23,6 +24,7 @@
Expansion, Protrusion,
]
\setsanshangulfont{Noto Sans CJK KR}[
+ Scale=0.98,
Script=Hangul,
Language=Korean,
UprightFont=* DemiLight,
@@ -30,12 +32,15 @@
InterLatinCJK=.125em,
]
\setmonofont{Inconsolatazi4}[
+ Scale=0.98,
+ CharRaise=0.125ex,
Color=MidnightBlue,
]
\setmonohangulfont{Noto Sans CJK KR}[
+ Scale=0.98,
UprightFont=* DemiLight,
BoldFont=* Bold,
- CharRaise=-.2ex,
+ CharRaise=-.125ex,
Color=MidnightBlue,
]
\setmathhangulfont{Noto Sans CJK KR}[
@@ -72,7 +77,7 @@
\author{Dohyun Kim \normalsize |<nomos at ktug org>| \and
Soojin Nam \normalsize |<jsunam at gmail com>|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luatexko}>}
-\date{Version 2.2\quad 2019/06/07}
+\date{Version 2.3\quad 2019/06/21}
\maketitle
\begin{quote}\small
@@ -82,7 +87,6 @@
\item[v2.2] ------
\item \hyperref[sec:fontoption]{글꼴옵션 |InterCharStretch| 제공}
\item[v2.0] ------
- \item \hyperref[sec:packageopt]{패키지 옵션 |nofontspec| 제거}
\item \hyperref[sec:fontoption]{글꼴옵션 |PunctRaise|, |NoEmbeding| 제거}
\item \hyperref[sec:mathhangul]{수식 한글 글꼴을 자동으로 잡아주지 않음}
\item \cs{actualtext} 명령 작동 않음. 대신, 옛한글 텍스트 추출 자동 지원%
@@ -99,6 +103,7 @@
\smallskip
\section{부르기}\label{sec:loading}
+
\hemph{\texlive\ 2019 이상}{ \small (\luatex\ v1.10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luatexko\ 부르기: \cs{usepackage{luatexko}} 혹은 \cs{usepackage{kotex}}.%
@@ -110,6 +115,7 @@ BOM (Byte Order Mark)은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다.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section{패키지 옵션}\label{sec:packageopt}
+
패키지 옵션으로 |[hangul]|과 |[hanja]|가 제공된다.%
\footnote{%
|[nofontspec]| 옵션은 v2.0부터 더는 제공되지 않는다. }
@@ -119,10 +125,12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제~3 장''과 같은 방식으로 표시되며 절 제목 이하에는 붙지 않는다.
\section{글꼴명령}\label{sec:fontcmds}
+
\luatexko를 로드하면 fontspec 패키지를 자동으로 불러온다. 글꼴 설정에
대해서는 fontspec 문서를 참조.
-한국어 글꼴을 위해 새로 마련한 명령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글꼴을 위해 새로 마련한 명령은 다음과 같다.
+첫 두 줄, 즉 main/sans 글꼴들에는 |Ligatures=TeX| 옵션이 자동으로 주어진다.%
\footnote{%
\cs{adhochangulfont} \cs{adhochanjafont} \cs{addhocfallbackfont}는
마지막 줄 명령들의 다른 이름들이다. }\,%
@@ -141,10 +149,9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addhangulfontfeature \addhanjafontfeature \addfallbackfontfeature
\hangulfontspec \hanjafontspec \fallbackfontspec
\end{verbatim}
-첫 두 줄, 즉 main/sans hangul/hanja/fallback 글꼴에는
-|Ligatures=TeX| 옵션이 자동으로 주어진다.
\section{글꼴 대체}\label{sec:fontswitch}
+
원칙적으로 \luatexko는 지시된 글자가 영문폰트에 없으면 한글폰트에서,
한글폰트에도 없으면 한자폰트에서, 한자폰트에도 없으면 fallback
폰트에서 글자를 찾아 찍는다.
@@ -159,7 +166,7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문단 중간에서 사용해도 동작한다. 그러나 루아코드가 실행되므로
텍의 그룹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일정한 영문 문장부호들은 한글 폰트로 식자된다.
+일정한 영문 문장부호들은 한글 폰트로 식자된다.
즉, \cs{hangulpunctuations=1}이 기본으로 작동하고,
|0|을 지시해야 이 기능이 비로소 꺼진다.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 -179,15 +186,17 @@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0x2015] ― [0x2018] ‘ [0x2019] ’ [0x201C] “
[0x201D] ” [0x2026] … [0x203B] ※
\end{verbatim}
+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이 목록에 문자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인자는 콤마로 분리된 숫자 형식으로서 유니코드 코드포인트를 뜻한다.
+이들 명령은 문단 중간에서도 쓸 수 있지만,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begin{verbatim}
\registerpunctuations{45, "2D, `-}
\unregisterpunctuations{"2D, "2015}
\end{verbatim}
-이들 명령은 문단 중간에서도 쓸 수 있지만,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section{줄바꿈 허용}\label{sec:break}
+
어떤 글자 앞이나 뒤에서 줄바꿈을 허용하고 싶을 때 아래와 같이 명령을 준다.
\begin{verbatim}
\registerbreakableafter{"2460, "2461}
@@ -198,6 +207,7 @@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이들 문자 앞뒤 모두에서 줄바꿈이 되지 않는다.
\section{글꼴 옵션}\label{sec:fontoption}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다.%
\footnote{%
옛한글 식자를 위해서는 적어도 |Script=Hangul|
@@ -323,6 +333,24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end{description}
\section{고문헌}\label{sec:classic}
+
+\begin{figure}
+ \centering
+ \fbox{\parbox{37em}{\typesetclassic\sffamily
+ \addhangulfontfeature{CompressPunctuations}
+子曰:「學而時習之,不亦說乎?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par
+有子曰:「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鮮矣!不好犯上,而好作亂者,未之有也!
+君子務本,本立而道生;孝弟也者,其爲仁之本與?」\par
+子曰:「巧言令色,鮮矣仁!」\par
+曾子曰:「吾日三省吾身:爲人謀,而不忠乎?與朋友交,而不信乎?傳,
+不習乎?」\par
+子曰:「道千乘之國,敬事而信,節用而愛人,使民以時。」\par
+子曰:「弟子入則孝,出則弟;謹而信,汎愛衆;而親仁,行有餘力,則以學文。」
+ }}
+\caption{고문헌 조판 보기. typesetclassic 환경을 이용했다.}\label{fig:gomun}
+\end{figure}
+
고문헌 조판을 위해 |typesetclassic| 환경을 제공한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문서 전체에 적용하지 않는다면 그룹 안에서)
@@ -342,27 +370,11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플레인텍에서는 (문서 전체에 적용하지 않는다면 그룹 안에서)
\cs{typesetmodern}을 사용한다. }
-\begin{figure}
- \centering
- \fbox{\parbox{37em}{\typesetclassic\sffamily
- \addhangulfontfeature{CompressPunctuations}
-子曰:「學而時習之,不亦說乎?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par
-有子曰:「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鮮矣!不好犯上,而好作亂者,未之有也!
-君子務本,本立而道生;孝弟也者,其爲仁之本與?」\par
-子曰:「巧言令色,鮮矣仁!」\par
-曾子曰:「吾日三省吾身:爲人謀,而不忠乎?與朋友交,而不信乎?傳,
-不習乎?」\par
-子曰:「道千乘之國,敬事而信,節用而愛人,使民以時。」\par
-子曰:「弟子入則孝,出則弟;謹而信,汎愛衆;而親仁,行有餘力,則以學文。」
- }}
-\caption{고문헌 조판 보기. typesetclassic 환경을 이용했다.}\label{fig:gomun}
-\end{figure}
-
고문헌 조판 중 \luatexko가 글자 사이에 삽입하는 미세간격을
사용자가 영{\small(zero)}으로 강제하기 위해선 \cs{inhibitglue} 명령을 이용한다.
\section{세로쓰기}\label{sec:verttype}
+
세로쓰기는 폰트의 고급 오픈타입 속성을 이용하므로 폰트가 이를 지원해야
가능한 일이다. 폰트에 |Vertical=Alternates|와 |RawFeature=vertical| 옵션을
준다.%
@@ -378,12 +390,6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세로쓰기에서는 \cs{typesetclassic}의 아종인 \cs{typesetvertical}이
기본으로 셋팅되어 있다. 일종의 고문헌 조판으로 보는 것이다.
-문서의 일부를 세로쓰기하려면 \cs{begin{vertical}{<dimen>}} \ldots\ \cs{end{vertical}}
-환경을 이용한다. |<dimen>|으로 세로쓰기 박스의 높이를 지시한다.%
-\footnote{%
- 플레인텍에서는 \cs{vertical{<dimen>}} \ldots\ \cs{endvertical}. }
-그림~\ref{fig:vertical} 및 그림~\ref{fig:vertical2} 참조.
-
\begin{figure}
\framebox[\linewidth]{\begin{vertical}{20em}\sffamily
\addhangulfontfeature{Vertical=Alternates, RawFeature=vertical}
@@ -393,6 +399,12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caption{세로쓰기의 예. 박스 높이 |20em|을 지시했다.}\label{fig:vertical}
\end{figure}
+문서의 일부를 세로쓰기하려면 \cs{begin{vertical}{<dimen>}} \ldots\ \cs{end{vertical}}
+환경을 이용한다. |<dimen>|으로 세로쓰기 박스의 높이를 지시한다.%
+\footnote{%
+ 플레인텍에서는 \cs{vertical{<dimen>}} \ldots\ \cs{endvertical}. }
+그림~\ref{fig:vertical} 및 그림~\ref{fig:vertical2} 참조.
+
\begin{figure}
\framebox[\linewidth]{\begin{vertical}{17em}\sffamily
\addhangulfontfeature{Vertical=Alternates, CharRaise=3.2pt,
@@ -430,37 +442,8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플레인텍에서는 \cs{horizontal{<dimen>}} \ldots\ \cs{endhorizontal}. }
가로쓰기 영역의 폰트 설정은 사용자의 몫이다.
-\section{수식 한글}\label{sec:mathhangul}
-\begin{quote}
- |$가^{나^다}$|\quad$\Rightarrow\quad가^{나^다}$
-\end{quote}
-수식 한글 폰트를 설정하면 수식 모드에서도 한글을 {\small(hbox로 감싸지 않고)}
-직접 입력할 수 있다.%
-\footnote{%
- 플레인텍에서는 \cs{mathhangulfont=UnBatang}과 같이 설정한다.
- 또는 좀 더 그럴듯하게 하려면:\par
- \leftskip=3em\noindent
- |\\font\\texthangul="Noto Sans CJK KR DemiLight" at 10pt|\\
- |\\fon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Regular" at 7pt|\\
- |\\font\\scrip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Medium" at 5pt|\\
- |\\setmathhangulfonts\\texthangul\\scripthangul\\scriptscripthangul|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begin{verbatim}
- \setmathhangulfont{Noto Sans CJK KR}[
- SizeFeatures={
- {Size=-6, Font=* Medium},
- {Size=6-9, Font=* Regular},
- {Size=9-, Font=* DemiLight},
- } ]
-\end{verbatim}
-현재 한글만 쓸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한자도 수식에 직접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begin{verbatim}
- \setmathhangulblock{4E00}{9FC3}
-\end{verbatim}
-명령으로 유니코드 블럭을 추가 지정해야 한다.
-
\section{드러냄표}\label{sec:dotemph}
+
\cs{dotemph} 명령으로 \dotemph{드러냄표}%
를 이용한 강조를 할 수 있다. 기본은 글자 위에 점을 찍는 형태이나
다음과 같이 명령을 주어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기호를 드러냄표로 쓸 수
@@ -472,6 +455,7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②~|\def\dotemphchar{\bfseries ^^^^02d9}|: 드러냄표 기호 자체를 정의.
\section{루비}\label{sec:ruby}
+
루비를 달 수 있다. ruby 패키지가 이미 존재하지만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 새로 매크로를 제공한다.
\begin{quote}
@@ -507,6 +491,7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두 인자의 글자 수가 동일해야 한다.
\section{밑줄긋기}\label{sec:uline}
+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문제가 있음)}
명령을 따로 제공한다.
@@ -553,6 +538,7 @@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ymarker{노란색을 칠해서 강조한다}.
\section{자동조사}\label{sec:autojosa}
+
자동조사는 \kotex 과 동일하게 \cs{은} \cs{는} \cs{이} \cs{가} \cs{을} \cs{를}
\cs{와} \cs{과} \cs{로} \cs{으로} \cs{라} \cs{이라} 따위를 사용한다.
버전 1.3부터는 \cs{josaignoreparens=1}이 선언되어 있으면 자동조사는
@@ -567,7 +553,49 @@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홍길동(2001)\로|\quad$\Rightarrow$\quad 홍길동(2001)\로
\end{quote}
+\section{루아 모듈의 제거 및 복원}\label{sec:luamodule}
+
+루아 코드 |luatexko.deactivateall()|은 이상 언급한 \luatexko 의 거의 모든
+기능을 무력화한다. |luatexko.reactivateall()|은 이를 복원한다.%
+\footnote{수직 모드 (문단과 문단 사이)에서 사용할 것.
+ 수평 모드에서는 정상작동을 보장하지 못한다.}
+다른 패키지와 충돌할 때 시도해 볼 수 있다.
+전자의 함수에는 문자열을 인자로 줄 수도 있는데, 해당하는 다른 패키지의
+모듈들을 잠시 제거할 수 있다.
+
+\section{수식 한글}\label{sec:mathhangul}
+
+\begin{quote}
+ |$가^{나^다}$|\quad$\Rightarrow\quad가^{나^다}$
+\end{quote}
+수식 한글 폰트를 설정하면 수식 모드에서도 한글을 {\small(hbox로 감싸지 않고)}
+직접 입력할 수 있다.%
+\footnote{%
+ 플레인텍에서는 \cs{mathhangulfont=UnBatang}과 같이 설정한다.
+ 또는 좀 더 그럴듯하게 하려면:\par
+ \leftskip=3em\noindent
+ |\\font\\texthangul="Noto Sans CJK KR DemiLight" at 10pt|\\
+ |\\fon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Regular" at 7pt|\\
+ |\\font\\scrip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Medium" at 5pt|\\
+ |\\setmathhangulfonts\\texthangul\\scripthangul\\scriptscripthangul|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begin{verbatim}
+ \setmathhangulfont{Noto Sans CJK KR}[
+ SizeFeatures={
+ {Size=-6, Font=* Medium},
+ {Size=6-9, Font=* Regular},
+ {Size=9-, Font=* DemiLight},
+ } ]
+\end{verbatim}
+현재 한글만 쓸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한자도 수식에 직접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다음 명령으로 유니코드 블럭을 추가 지정해야 한다.
+\begin{verbatim}
+ \setmathhangulblock{4E00}{9FC3}
+\end{verbatim}
+
\section{한국어 항목 번호}\label{sec:hangulnums}
+
\kotex과 동일하게 항목 번호를 한국어 기호로 붙일 수 있다.%
\footnote{%
\cs{jaso} \cs{gana} \cs{ojaso} \cs{ogana} \cs{pjaso} \cs{pgana}
@@ -575,12 +603,14 @@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cs{hroman} \cs{hRoman} \cs{hNum} \cs{hanjanum} 따위를 사용한다. }
\section{입력 변환}\label{sec:noramlize}
+
\cs{luatexhangulnormalize=1}이라 지시하면 첫가끝 자모를 완성형 음절로,
|2|라면 완성형 음절을 첫가끝 자모로 인코딩 변환한다. |0|이 할당되면
인코딩 변환 기능이 꺼진다. \XeTeX의 \cs{XeTeXinputnormalization} 명령과
유사하나, 오직 한글과 일부 한자에 대해서만 정규화가 작동할 뿐이다.
\section{UHC 입력 인코딩}\label{sec:uhcencoding}
+
권장하지 않지만 불가피하게 입력 인코딩이 UHC (Unified Hangul Code)%
\footnote{%
CP949라고도 하며 EUC-KR을 포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