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options
autho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19-06-22 21:23:02 +0000 |
---|---|---|
committe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19-06-22 21:23:02 +0000 |
commit | 3f444ab8318d583f7cadb0d135486a8b204b567c (patch) | |
tree | 5c50a3590cdcee7a6080bf09b1a355ceb0b482e2 /Master/texmf-dist/doc/luatex | |
parent | aa7047f2124bed0dd8bf7be61b5d99517f233a1e (diff) |
luatexko (22jun19)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51424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luatex')
-rw-r--r-- | 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 7 | ||||
-rw-r--r-- | 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 2 | ||||
-rw-r--r-- | 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 bin | 277917 -> 283439 bytes | |||
-rw-r--r-- | 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 152 |
4 files changed, 99 insertions, 62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index 09a7df505cb..a4c035982ca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 -1,3 +1,10 @@ +2019-06-21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2.3 + + * luatexko.lua: prevent discretionary node after Kana; + provide lua functions deactivateall() and reactivateall(). + 2019-06-07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Version 2.2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index bdb97987b2c..b83a164f5bf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 -1,4 +1,4 @@ -LuaTeX-ko Package version 2.2 (2019/06/07) +LuaTeX-ko Package version 2.3 (2019/06/21) =========================================== This is a Lua(La)TeX macro package that supports typesetting Korean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Binary files differindex 96079dfcc4d..e42c173b792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index b7cb9f6e8b5..faa88eeeaa8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 -13,6 +13,7 @@ \usepackage[svgnames]{xcolor} \usepackage[hangul]{luatexko} \setmainhangulfont{Noto Serif CJK KR}[ + Scale=0.98, AutoFakeSlant, Script=Hangul, Language=Korean, @@ -23,6 +24,7 @@ Expansion, Protrusion, ] \setsanshangulfont{Noto Sans CJK KR}[ + Scale=0.98, Script=Hangul, Language=Korean, UprightFont=* DemiLight, @@ -30,12 +32,15 @@ InterLatinCJK=.125em, ] \setmonofont{Inconsolatazi4}[ + Scale=0.98, + CharRaise=0.125ex, Color=MidnightBlue, ] \setmonohangulfont{Noto Sans CJK KR}[ + Scale=0.98, UprightFont=* DemiLight, BoldFont=* Bold, - CharRaise=-.2ex, + CharRaise=-.125ex, Color=MidnightBlue, ] \setmathhangulfont{Noto Sans CJK KR}[ @@ -72,7 +77,7 @@ \author{Dohyun Kim \normalsize |<nomos at ktug org>| \and Soojin Nam \normalsize |<jsunam at gmail com>|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luatexko}>} -\date{Version 2.2\quad 2019/06/07} +\date{Version 2.3\quad 2019/06/21} \maketitle \begin{quote}\small @@ -82,7 +87,6 @@ \item[v2.2] ------ \item \hyperref[sec:fontoption]{글꼴옵션 |InterCharStretch| 제공} \item[v2.0] ------ - \item \hyperref[sec:packageopt]{패키지 옵션 |nofontspec| 제거} \item \hyperref[sec:fontoption]{글꼴옵션 |PunctRaise|, |NoEmbeding| 제거} \item \hyperref[sec:mathhangul]{수식 한글 글꼴을 자동으로 잡아주지 않음} \item \cs{actualtext} 명령 작동 않음. 대신, 옛한글 텍스트 추출 자동 지원% @@ -99,6 +103,7 @@ \smallskip \section{부르기}\label{sec:loading} + \hemph{\texlive\ 2019 이상}{ \small (\luatex\ v1.10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luatexko\ 부르기: \cs{usepackage{luatexko}} 혹은 \cs{usepackage{kotex}}.% @@ -110,6 +115,7 @@ BOM (Byte Order Mark)은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다.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section{패키지 옵션}\label{sec:packageopt} + 패키지 옵션으로 |[hangul]|과 |[hanja]|가 제공된다.% \footnote{% |[nofontspec]| 옵션은 v2.0부터 더는 제공되지 않는다. } @@ -119,10 +125,12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제~3 장''과 같은 방식으로 표시되며 절 제목 이하에는 붙지 않는다. \section{글꼴명령}\label{sec:fontcmds} + \luatexko를 로드하면 fontspec 패키지를 자동으로 불러온다. 글꼴 설정에 대해서는 fontspec 문서를 참조. -한국어 글꼴을 위해 새로 마련한 명령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글꼴을 위해 새로 마련한 명령은 다음과 같다. +첫 두 줄, 즉 main/sans 글꼴들에는 |Ligatures=TeX| 옵션이 자동으로 주어진다.% \footnote{% \cs{adhochangulfont} \cs{adhochanjafont} \cs{addhocfallbackfont}는 마지막 줄 명령들의 다른 이름들이다. }\,% @@ -141,10 +149,9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addhangulfontfeature \addhanjafontfeature \addfallbackfontfeature \hangulfontspec \hanjafontspec \fallbackfontspec \end{verbatim} -첫 두 줄, 즉 main/sans hangul/hanja/fallback 글꼴에는 -|Ligatures=TeX| 옵션이 자동으로 주어진다. \section{글꼴 대체}\label{sec:fontswitch} + 원칙적으로 \luatexko는 지시된 글자가 영문폰트에 없으면 한글폰트에서, 한글폰트에도 없으면 한자폰트에서, 한자폰트에도 없으면 fallback 폰트에서 글자를 찾아 찍는다. @@ -159,7 +166,7 @@ CP949 인코딩에 관해서는 제\ref{sec:uhcencoding}절 참조. 문단 중간에서 사용해도 동작한다. 그러나 루아코드가 실행되므로 텍의 그룹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일정한 영문 문장부호들은 한글 폰트로 식자된다. +일정한 영문 문장부호들은 한글 폰트로 식자된다. 즉, \cs{hangulpunctuations=1}이 기본으로 작동하고, |0|을 지시해야 이 기능이 비로소 꺼진다.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 -179,15 +186,17 @@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0x2015] ― [0x2018] ‘ [0x2019] ’ [0x201C] “ [0x201D] ” [0x2026] … [0x203B] ※ \end{verbatim} +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이 목록에 문자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인자는 콤마로 분리된 숫자 형식으로서 유니코드 코드포인트를 뜻한다. +이들 명령은 문단 중간에서도 쓸 수 있지만,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begin{verbatim} \registerpunctuations{45, "2D, `-} \unregisterpunctuations{"2D, "2015} \end{verbatim} -이들 명령은 문단 중간에서도 쓸 수 있지만, 전역적 효과를 가진다. \section{줄바꿈 허용}\label{sec:break} + 어떤 글자 앞이나 뒤에서 줄바꿈을 허용하고 싶을 때 아래와 같이 명령을 준다. \begin{verbatim} \registerbreakableafter{"2460, "2461} @@ -198,6 +207,7 @@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이들 문자 앞뒤 모두에서 줄바꿈이 되지 않는다. \section{글꼴 옵션}\label{sec:fontoption}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다.% \footnote{% 옛한글 식자를 위해서는 적어도 |Script=Hangul| @@ -323,6 +333,24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end{description} \section{고문헌}\label{sec:classic} + +\begin{figure} + \centering + \fbox{\parbox{37em}{\typesetclassic\sffamily + \addhangulfontfeature{CompressPunctuations} +子曰:「學而時習之,不亦說乎?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par +有子曰:「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鮮矣!不好犯上,而好作亂者,未之有也! +君子務本,本立而道生;孝弟也者,其爲仁之本與?」\par +子曰:「巧言令色,鮮矣仁!」\par +曾子曰:「吾日三省吾身:爲人謀,而不忠乎?與朋友交,而不信乎?傳, +不習乎?」\par +子曰:「道千乘之國,敬事而信,節用而愛人,使民以時。」\par +子曰:「弟子入則孝,出則弟;謹而信,汎愛衆;而親仁,行有餘力,則以學文。」 + }} +\caption{고문헌 조판 보기. typesetclassic 환경을 이용했다.}\label{fig:gomun} +\end{figure} + 고문헌 조판을 위해 |typesetclassic| 환경을 제공한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문서 전체에 적용하지 않는다면 그룹 안에서) @@ -342,27 +370,11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플레인텍에서는 (문서 전체에 적용하지 않는다면 그룹 안에서) \cs{typesetmodern}을 사용한다. } -\begin{figure} - \centering - \fbox{\parbox{37em}{\typesetclassic\sffamily - \addhangulfontfeature{CompressPunctuations} -子曰:「學而時習之,不亦說乎?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par -有子曰:「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鮮矣!不好犯上,而好作亂者,未之有也! -君子務本,本立而道生;孝弟也者,其爲仁之本與?」\par -子曰:「巧言令色,鮮矣仁!」\par -曾子曰:「吾日三省吾身:爲人謀,而不忠乎?與朋友交,而不信乎?傳, -不習乎?」\par -子曰:「道千乘之國,敬事而信,節用而愛人,使民以時。」\par -子曰:「弟子入則孝,出則弟;謹而信,汎愛衆;而親仁,行有餘力,則以學文。」 - }} -\caption{고문헌 조판 보기. typesetclassic 환경을 이용했다.}\label{fig:gomun} -\end{figure} - 고문헌 조판 중 \luatexko가 글자 사이에 삽입하는 미세간격을 사용자가 영{\small(zero)}으로 강제하기 위해선 \cs{inhibitglue} 명령을 이용한다. \section{세로쓰기}\label{sec:verttype} + 세로쓰기는 폰트의 고급 오픈타입 속성을 이용하므로 폰트가 이를 지원해야 가능한 일이다. 폰트에 |Vertical=Alternates|와 |RawFeature=vertical| 옵션을 준다.% @@ -378,12 +390,6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세로쓰기에서는 \cs{typesetclassic}의 아종인 \cs{typesetvertical}이 기본으로 셋팅되어 있다. 일종의 고문헌 조판으로 보는 것이다. -문서의 일부를 세로쓰기하려면 \cs{begin{vertical}{<dimen>}} \ldots\ \cs{end{vertical}} -환경을 이용한다. |<dimen>|으로 세로쓰기 박스의 높이를 지시한다.% -\footnote{% - 플레인텍에서는 \cs{vertical{<dimen>}} \ldots\ \cs{endvertical}. } -그림~\ref{fig:vertical} 및 그림~\ref{fig:vertical2} 참조. - \begin{figure} \framebox[\linewidth]{\begin{vertical}{20em}\sffamily \addhangulfontfeature{Vertical=Alternates, RawFeature=vertical} @@ -393,6 +399,12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caption{세로쓰기의 예. 박스 높이 |20em|을 지시했다.}\label{fig:vertical} \end{figure} +문서의 일부를 세로쓰기하려면 \cs{begin{vertical}{<dimen>}} \ldots\ \cs{end{vertical}} +환경을 이용한다. |<dimen>|으로 세로쓰기 박스의 높이를 지시한다.% +\footnote{% + 플레인텍에서는 \cs{vertical{<dimen>}} \ldots\ \cs{endvertical}. } +그림~\ref{fig:vertical} 및 그림~\ref{fig:vertical2} 참조. + \begin{figure} \framebox[\linewidth]{\begin{vertical}{17em}\sffamily \addhangulfontfeature{Vertical=Alternates, CharRaise=3.2pt, @@ -430,37 +442,8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플레인텍에서는 \cs{horizontal{<dimen>}} \ldots\ \cs{endhorizontal}. } 가로쓰기 영역의 폰트 설정은 사용자의 몫이다. -\section{수식 한글}\label{sec:mathhangul} -\begin{quote} - |$가^{나^다}$|\quad$\Rightarrow\quad가^{나^다}$ -\end{quote} -수식 한글 폰트를 설정하면 수식 모드에서도 한글을 {\small(hbox로 감싸지 않고)} -직접 입력할 수 있다.% -\footnote{% - 플레인텍에서는 \cs{mathhangulfont=UnBatang}과 같이 설정한다. - 또는 좀 더 그럴듯하게 하려면:\par - \leftskip=3em\noindent - |\\font\\texthangul="Noto Sans CJK KR DemiLight" at 10pt|\\ - |\\fon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Regular" at 7pt|\\ - |\\font\\scrip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Medium" at 5pt|\\ - |\\setmathhangulfonts\\texthangul\\scripthangul\\scriptscripthangul|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begin{verbatim} - \setmathhangulfont{Noto Sans CJK KR}[ - SizeFeatures={ - {Size=-6, Font=* Medium}, - {Size=6-9, Font=* Regular}, - {Size=9-, Font=* DemiLight}, - } ] -\end{verbatim} -현재 한글만 쓸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한자도 수식에 직접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begin{verbatim} - \setmathhangulblock{4E00}{9FC3} -\end{verbatim} -명령으로 유니코드 블럭을 추가 지정해야 한다. - \section{드러냄표}\label{sec:dotemph} + \cs{dotemph} 명령으로 \dotemph{드러냄표}% 를 이용한 강조를 할 수 있다. 기본은 글자 위에 점을 찍는 형태이나 다음과 같이 명령을 주어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기호를 드러냄표로 쓸 수 @@ -472,6 +455,7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②~|\def\dotemphchar{\bfseries ^^^^02d9}|: 드러냄표 기호 자체를 정의. \section{루비}\label{sec:ruby} + 루비를 달 수 있다. ruby 패키지가 이미 존재하지만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 새로 매크로를 제공한다. \begin{quote} @@ -507,6 +491,7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두 인자의 글자 수가 동일해야 한다. \section{밑줄긋기}\label{sec:uline} +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문제가 있음)} 명령을 따로 제공한다. @@ -553,6 +538,7 @@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ymarker{노란색을 칠해서 강조한다}. \section{자동조사}\label{sec:autojosa} + 자동조사는 \kotex 과 동일하게 \cs{은} \cs{는} \cs{이} \cs{가} \cs{을} \cs{를} \cs{와} \cs{과} \cs{로} \cs{으로} \cs{라} \cs{이라} 따위를 사용한다. 버전 1.3부터는 \cs{josaignoreparens=1}이 선언되어 있으면 자동조사는 @@ -567,7 +553,49 @@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홍길동(2001)\로|\quad$\Rightarrow$\quad 홍길동(2001)\로 \end{quote} +\section{루아 모듈의 제거 및 복원}\label{sec:luamodule} + +루아 코드 |luatexko.deactivateall()|은 이상 언급한 \luatexko 의 거의 모든 +기능을 무력화한다. |luatexko.reactivateall()|은 이를 복원한다.% +\footnote{수직 모드 (문단과 문단 사이)에서 사용할 것. + 수평 모드에서는 정상작동을 보장하지 못한다.} +다른 패키지와 충돌할 때 시도해 볼 수 있다. +전자의 함수에는 문자열을 인자로 줄 수도 있는데, 해당하는 다른 패키지의 +모듈들을 잠시 제거할 수 있다. + +\section{수식 한글}\label{sec:mathhangul} + +\begin{quote} + |$가^{나^다}$|\quad$\Rightarrow\quad가^{나^다}$ +\end{quote} +수식 한글 폰트를 설정하면 수식 모드에서도 한글을 {\small(hbox로 감싸지 않고)} +직접 입력할 수 있다.% +\footnote{% + 플레인텍에서는 \cs{mathhangulfont=UnBatang}과 같이 설정한다. + 또는 좀 더 그럴듯하게 하려면:\par + \leftskip=3em\noindent + |\\font\\texthangul="Noto Sans CJK KR DemiLight" at 10pt|\\ + |\\fon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Regular" at 7pt|\\ + |\\font\\scriptscripthangul="Noto Sans CJK KR Medium" at 5pt|\\ + |\\setmathhangulfonts\\texthangul\\scripthangul\\scriptscripthangul|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begin{verbatim} + \setmathhangulfont{Noto Sans CJK KR}[ + SizeFeatures={ + {Size=-6, Font=* Medium}, + {Size=6-9, Font=* Regular}, + {Size=9-, Font=* DemiLight}, + } ] +\end{verbatim} +현재 한글만 쓸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한자도 수식에 직접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다음 명령으로 유니코드 블럭을 추가 지정해야 한다. +\begin{verbatim} + \setmathhangulblock{4E00}{9FC3} +\end{verbatim} + \section{한국어 항목 번호}\label{sec:hangulnums} + \kotex과 동일하게 항목 번호를 한국어 기호로 붙일 수 있다.% \footnote{% \cs{jaso} \cs{gana} \cs{ojaso} \cs{ogana} \cs{pjaso} \cs{pgana} @@ -575,12 +603,14 @@ ulem 패키지가 \luatexko와 궁합이 잘 맞지 않아{\small (줄바꿈에 \cs{hroman} \cs{hRoman} \cs{hNum} \cs{hanjanum} 따위를 사용한다. } \section{입력 변환}\label{sec:noramlize} + \cs{luatexhangulnormalize=1}이라 지시하면 첫가끝 자모를 완성형 음절로, |2|라면 완성형 음절을 첫가끝 자모로 인코딩 변환한다. |0|이 할당되면 인코딩 변환 기능이 꺼진다. \XeTeX의 \cs{XeTeXinputnormalization} 명령과 유사하나, 오직 한글과 일부 한자에 대해서만 정규화가 작동할 뿐이다. \section{UHC 입력 인코딩}\label{sec:uhcencoding} + 권장하지 않지만 불가피하게 입력 인코딩이 UHC (Unified Hangul Code)% \footnote{% CP949라고도 하며 EUC-KR을 포함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