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autho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21-03-03 22:44:06 +0000
committe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21-03-03 22:44:06 +0000
commit55d12e426ead530a86b799bcf269c50c70e68f9f (patch)
treeff9a71b5af434d8d40e20ceef9dfc7b6e66645b1 /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
parentd3e0a69fed4336a821309707ba2f1d10a4b93b68 (diff)
luatexko (3mar21)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58085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
-rw-r--r--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14
-rw-r--r--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2
-rw-r--r--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bin325482 -> 328095 bytes
-rw-r--r--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61
4 files changed, 51 insertions, 26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index 993b9d0d014..e0dc310e650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ChangeLog
@@ -1,3 +1,17 @@
+2021-03-01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
+ Version 3.0
+
+ * luatexko.lua:
+ do not adjust interword glue after CJK characters
+ when current font is a monospaced font;
+ fix a bug wrt dotemph/ruby/sout position in vertical writing.
+
+ * luatexko.sty:
+ horizontal metrics of default Hangul monospaced font are
+ matched with those of Latin Modern Mono;
+ deprecated command \actualtext is now removed.
+
2020-07-27 Dohyun Kim <nomos at ktug org>
Version 2.9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index 5721c1047a2..204f8183bb0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README
@@ -1,4 +1,4 @@
-LuaTeX-ko Package version 2.9 (2020/07/27)
+LuaTeX-ko Package version 3.0 (2021/03/01)
===========================================
This is a Lua(La)TeX macro package that supports typesetting Korean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index 10bc1d0a278..a8b7ae9d402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pdf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index 0a5691b9ca1..ea7d4fc9389 100644
--- a/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luatex/luatexko/luatexko-doc.tex
@@ -31,7 +31,7 @@
}
fonts.protrusions.setups.notoserifcjk = notoserifcjkkr_hb
}
-\defaultfontfeatures+{Renderer=OpenType}
+\defaultfontfeatures+{Renderer=HarfBuzz}
\setmainfont{Latin Modern Roman}[Expansion] % for hb tlig
\setmainhangulfont{Noto Serif CJK KR}[
Scale=0.98,
@@ -85,7 +85,7 @@
RawFeature=vertical,
CompressPunctuations,
InterCharStretch=1pt,
- CharRaise=3.6pt,
+ CharRaise=1pt,
CharacterWidth=Full,
]
\newhangulfontface\rubyfont{Noto Serif CJK KR Medium}[
@@ -97,8 +97,9 @@
\def\XeTeX{\hologo{XeTeX}}
\usepackage[hidelinks]{hyperref}
-\edef\verbatim{\unexpanded\expandafter{\verbatim\linespread{1.1}\selectfont}}
-\edef\itemize{\unexpanded\expandafter{\itemize\small}}
+\AddToHook{env/itemize/begin}{\small}
+\AddToHook{env/verbatim/begin}{\linespread{1.1}}
+
\catcode`|=13 \protected\def|{\verb|\let\\=\textbackslash}
\def\nohyphen{\language\csname l@nohyphenation\endcsname}
\protected\def\cs#1{\texttt{\nohyphen \textbackslash\detokenize{#1}}}
@@ -123,7 +124,7 @@
\author{Dohyun Kim \normalsize |<nomos at ktug org>| \and
Soojin Nam \normalsize |<jsunam at gmail com>|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luatexko}>}
-\date{Version 2.9\quad 2020/07/27}
+\date{Version 3.0\quad 2021/03/01}
\maketitle
\begin{quote}
@@ -134,7 +135,7 @@
\section{부르기}\label{sec:loading}
-\hemph{\texlive\ 2020 이상}{ \small (\luatex\ v1.12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hemph{\texlive\ 2021 이상}{ \small (\luatex\ v1.12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luatexko\ 부르기: \cs{usepackage{luatexko}} 혹은 \cs{usepackage{kotex}}.%
\footnote{%
@@ -213,10 +214,10 @@ verbatim 코드를 식자할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으며,%
부연하건대, |\\language=\\l@nohyphenation| 상황에서 작동하지 않는
그밖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줄바꿈 허용, InterCharacter, InterHangul,
InterLatinCJK, CompressPunctuations, RemoveClassicSpaces,
- 한글^^b7한자 폰트 문자 다음의 공백 크기 조정 등. }
-문장부호가 고정폭 글꼴일 때에도 작동하지 않는다.%
-\footnote{%
- 또한 플레인텍에서는 영문글꼴을 트루타입/오픈타입으로 지정해야만 작동한다. }
+ 한글^^b7한자 폰트 문자 다음의 공백 크기 조정 등. 마지막의
+ 한글^^b7한자 다음의 공백 크기 조정은 영문자가 고정폭 글꼴일 때에도
+ 작동하지 않는다. }
+문장부호가 고정폭 글꼴일 때에도 작동하지 않는다.
영향 받는 문장부호들의 기본값은 다음과 같다:
\begin{verbatim}
[0x21] ! [0x27] ' [0x28] ( [0x29] )
@@ -341,10 +342,10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begin{verbatim}
[CharRaise=2pt]
\end{verbatim}
- 세로쓰기에서는 모든 글자들을 지정한 값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 세로쓰기에서 이 옵션 값을 고정길이{\small(가령 |pt| 단위)}로 주면
- 크기가 다른 폰트들간에 중앙정렬이 이루어진다.
- 세로쓰기에서 이 옵션을 주지 않으면 |0.5ex|가 기본값으로 동작한다.
+ 세로쓰기에서는 모든 글자들을 지정한 값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 \footnote{%
+ 세로쓰기에서는 이 옵션 값을 고정길이(가령 |pt| 단위)로 주어야
+ 크기가 다른 폰트들간에 중앙정렬이 유지된다. }
\item[RemoveClassicSpaces] \pkgkwd*{RemoveClassicSpaces}%
고문헌 조판시에 CJK 글자들 사이의 공백을 없애준다.%
@@ -353,10 +354,12 @@ fontspec의 글꼴 옵션 외에 \luatexko가 따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
\item[CompressPunctuations] \pkgkwd*{CompressPunctuations}%
CJK 구두점 {\small (낫표 따위)}의 글자폭을
- 반각으로 만든다. v2.0부터는 사용자가 지시하지 않는 한 자동으로 글자폭을
- 줄여주지 않는다.%
+ 반각으로 만든다.%
\footnote{%
- 플레인텍에서는 |+compresspunctuations|. }
+ 플레인텍에서는 |+compresspunctuations|.
+ }\,\footnote{%
+ v2.0부터는 사용자가 지시하지 않는 한 자동으로 글자폭을 줄여주지 않는다.
+ }
이 옵션은 |CharacterWidth=AlternateHalf| 내지 {\small (세로쓰기의 경우)}
|Vertical=HalfMetrics|와 거의 같은 기능을 한다.%
\footnote{%
@@ -439,16 +442,17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vmtx|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글꼴은 세로쓰기에 적합치 않은 글꼴이다.
|otfinfo -t <파일>| 명령으로 글꼴에 들어있는 테이블 정보를 알 수 있다. }\,%
\footnote{%
- 폰트 옵션 |Renderer=OpenType| 또는 |Renderer=HarfBuzz| 등
+ 폰트 옵션 |Renderer=HarfBuzz| 또는 |Renderer=OpenType| 등
(플레인텍에서는 |mode=harf| 옵션)을 주고
컴파일하여 HarfBuzz 모듈을 이용하려는 경우 세로쓰기가
현재로서는 지원되지 않는다. 세로쓰기를 하려면 이 옵션을 빼고 디폴트 값인
- |Renderer=Node| (플레인텍에서는 |mode=node|)를 사용하라.}
+ |Renderer=Node| (플레인텍에서는 |mode=node|)를 사용하라.}\,%
+\footnote{%
+ 세로쓰기에서는 \cs{typesetclassic}의 아종인 \cs{typesetvertical}이
+ 기본으로 셋팅되어 있다. 일종의 고문헌 조판으로 보는 것이다.
+}
세로쓰기에서 |CharRaise| 옵션의 효과에 대해서는 제\ref{sec:fontoption}절을
-참조할 것.
-
-세로쓰기에서는 \cs{typesetclassic}의 아종인 \cs{typesetvertical}이
-기본으로 셋팅되어 있다. 일종의 고문헌 조판으로 보는 것이다.
+참조.
\begin{figure}
\framebox[\linewidth]{
@@ -491,8 +495,7 @@ v2.0부터는 고문헌 조판에서 한글^^b7한자와 영문자가 붙어 나
환경을 이용한다. |<dimen>|은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지시한다.%
\footnote{%
플레인텍에서는 \cs{horizontal{<dimen>}} \ldots\ \cs{endhorizontal}. }
-가로쓰기 영역의 폰트 설정은 사용자의 몫이다.%
-\footnote{폰트 지시는 |horizontal| 환경 안에서 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가로쓰기 영역의 폰트 설정은 사용자의 몫이다.
\begin{figure}
\framebox[\linewidth]{
@@ -724,6 +727,14 @@ v2.0부터는 자동으로 수식 한글을 잡아주지 않는다.%
\section*{주요 변경 이력}
\begin{itemize}\linespread{1.1}\selectfont
+ \item[v3.0] ------
+ \item \hyperref[sec:fontoption]{세로쓰기에서 |CharRaise| 옵션은
+ 이제 글자들의 \dotemph{추가적인} 이동 길이를 나타낸다.}
+ \item 기본 로드되는 고정폭 한글 폰트(UnDotum)의 폭을
+ Latin Modern Mono 폰트에 맞추어 조정
+ \item \hyperref[sec:fontswitch]{영문자가 고정폭 글꼴일 때
+ 한글^^b7한자 다음에 공백 크기 조정을 하지 않음}
+ \item \cs{actualtext} 명령 제거
\item[v2.6] ------
\item \hyperref[sec:fontswitch]{\cs{hangulbyhangulfont} 및
\cs{hanjabyhanjafont}가 지역적 효력만 가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