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Master/texmf-dist/doc/la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autho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20-03-14 21:01:21 +0000
committerKarl Berry <karl@freefriends.org>2020-03-14 21:01:21 +0000
commit58c4ce1681c0ba0f511802729b1409b92a864617 (patch)
tree1979db7169a2800b64a53be8756252699f30e0d5 /Master/texmf-dist/doc/latex
parent5539e90b9707a375e00782a39510a63435afd840 (diff)
kotex-oblivoir (14mar20)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54302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Diffstat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latex')
-rw-r--r--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14
-rw-r--r--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91
-rw-r--r--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pdfbin223149 -> 0 bytes
-rw-r--r--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bin0 -> 230610 bytes
-rw-r--r--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renamed from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tex)314
-rw-r--r--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test.tex (renamed from 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doc/oblivoir-test.tex)61
6 files changed, 262 insertions, 218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index ab21d7db9d0..c969d9c9d62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ChangeLog
@@ -1,3 +1,17 @@
+2020-02-09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 Version 2.2
+
+ * Full integration of oblivoir.cls and xoblivoir.cls.
+ * Bug fixes.
+ * oblivoir.cls: version 2.2
+ * oblivoir-utf.cls: version 0.8.2
+ * oblivoir-xl.cls: version 0.8.4
+ * memhangul-x.sty: version 11.11
+ * xetex-var.sty: version 0.14
+ * xob-font.sty: version 0.8
+ * xob-lwarp.sty: new file
+
2017-02-03 Kihwang Lee <leekh at ktug org>
Version 2.1.8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index 0193ea7739e..a91b290d9e9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README
@@ -1,16 +1,15 @@
-kotex-oblivoir
-==============
+kotex-oblivoir, v2.2
+====================
Introduction
------------
-This package contains the oblivoir class, a document class based on
-the memoir class for typesetting Korean documents. kotex-oblivoir
+This package contains the oblivoir class, a document class based on
+the memoir class for typesetting Korean documents. kotex-oblivoir
comes with two sub-packages memhangul-ucs and memhangul-x
-that provide interfaces between the memoir class and the Korean typesetting
-packages.
+that provide interfaces between the memoir class and the Korean typesetting packages.
-kotex-oblivoir belongs to the ko.TeX, a comprehensive Korean typesetting
+kotex-oblivoir belongs to the ko.TeX, a comprehensive Korean typesetting
system together with packages kotex-utf, kotex-plain, kotex-utils,
cjk-ko, xetexko, and luatexko.
@@ -20,47 +19,7 @@ Dependencies
kotex-oblivoir depends on the following packages to function:
* memoir: base class
-* kotex-utf: Korean typesetting
-
-Files
------
-
-### TeXinputs
-
- oblivoir-base.cls -> tex/latex/kotex-oblivoir/
- oblivoir-xlua.cls -> tex/latex/kotex-oblivoir/
- oblivoir.cls -> tex/latex/kotex-oblivoir/
- xoblivoir.cls -> tex/latex/kotex-oblivoir/
- memhangul-ucs/10_5.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fapapersize.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hfontsel.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hfontspec.nanum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memhangul-common.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memhangul-patch.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memhangul-ucs.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memucs-enumerate.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memucs-gremph.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memucs-interword.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memucs-setspace.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nanumfontsel.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ob-koreanappendix.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ob-nokoreanappendix.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ucs/ob-toclof.sty -> tex/latex/kotex-oblvoir/memhangul-ucs/
- memhangul-x/memhangul-x.sty -> tex/latex/kotex-oblivoir/memhangul-x/
- memhangul-x/memucs-interword-x.sty -> tex/latex/kotex-oblivoir/memhangul-x/
- memhangul-x/xetexko-var.sty -> tex/latex/kotex-oblivoir/memhangul-x/
- memhangul-x/xob-amssymb.sty -> tex/latex/kotex-oblivoir/memhangul-x/
- memhangul-x/xob-font.sty -> tex/latex/kotex-oblivoir/memhangul-x/
- memhangul-x/xob-dotemph.sty -> tex/latex/kotex-oblivoir/memhangul-x/
- memhangul-x/xob-hyper.sty -> tex/latex/kotex-oblivoir/memhangul-x/
- memhangul-x/xob-paralist.sty -> tex/latex/kotex-oblivoir/memhangul-x/
-
-### Documents
-
- README (this file) -> doc/latex/kotex-oblivoir/
- doc/oblivoir-simpledoc.pdf -> doc/latex/kotex-oblivoir/
- doc/oblivoir-simpledoc.tex -> doc/latex/kotex-oblivoir/
- doc/oblivoir-text.tex -> doc/latex/kotex-oblivoir/
+* ko.TeX: Korean typesetting
Usage
-----
@@ -71,38 +30,11 @@ Call `oblivoir.cls` with class options as follows:
### Class options
-Oblivoir inherits many options from the memoir and underlying
-Korean typesetting packages in addition to its own class options.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ass options, please refer
+Oblivoir inherits many options from the memoir and underlying
+Korean typesetting packages in addition to its own class options.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ass options, please refer
to the included documentation (written in Korean).
-### Specifying Korean fonts
-
-Specifying Korean fonts in oblivoir class depends on the Korean
-typesetting packages being used when compiling a document.
-
-With kotex-utf package, you can use `\SetHangulFonts`, `\SetHanjaFonts`,
-`\SetAdhocFonts`.
-
-You can use fontspec package style commands when typesetting Korean
-using XeTeX-ko or LuaTeX-ko as follows:
-
- \setmainfont[<Options>]{<Font Name>}
- \setsansfont[<Options>]{<Font Name>}
- \setmonofont[<Options>]{<Font Name>}
- \setmainhangulfont[<Options>]{FontName}
- \setsanshangulfont[<Options>]{FontName}
- \setmonohangulfont[<Options>]{FontName}
- \setmainhanjafont[<Options>]{FontName}
- \setsanshanjafont[<Options>]{FontName}
- \setmonohanjafont[<Options>]{FontName}
-
-Oblivoir class also has its own commands for specifying Korean fonts.
-
- \setkormainfont[<basename>](<Regular>)(<Bold>)(<Italic>)
- \setkorsansfont[<basename>](<Regular>)(<Bold>)(<Italic>)
- \setkormonofont[<basename>](<Regular>)(<Bold>)(<Italic>)
-
### Sample document
Please refer to the `oblivoir-test.tex` file provided by this package.
@@ -110,7 +42,7 @@ Please refer to the `oblivoir-test.tex` file provided by this package.
License
-------
-kotex-oblivoir is licensed under the LaTeX Project Public
+kotex-oblivoir is licensed under the LaTeX Project Public
License (LPPL) version 1.3c or later.
Contacts
@@ -118,4 +50,3 @@ Contacts
Please report any errors or suggestions to the package maintainer,
Kihwang Lee <leekh at ktug.org>.
-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pdf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pdf
deleted file mode 100644
index 8863e70e992..00000000000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pdf
+++ /dev/null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0..7b1184120f0
--- /dev/null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pdf
Binary files differ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tex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index 562a9f01908..adcec4cc165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doc/oblivoir-simpledoc.tex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simpledoc.tex
@@ -15,6 +15,7 @@
footnote,
nobookmarks,
microtype,
+% lwarp
]{oblivoir}
\usepackage{fapapersize}
@@ -54,7 +55,7 @@
\setobmonofont(Menlo)[Scale=.9]
\setobmainfont(Minion Pro)
\setobsansfont(Myriad Pro)
- \setkomainfont[KoPubBatang ](Light)(Bold)
+ \setkomainfont[KoPubWorldBatang ](Light)(Bold)
}
\newcommand\xobclass{x\-ob\-liv\-oir\oblivoirallowbreak}
@@ -64,7 +65,28 @@
\pagestyle{ruled}
-\usepackage{tabu}
+%%%\usepackage{tabu}
+%%%%%%% tabu-fix 2020/02
+%%%\RequirePackage{etoolbox}
+%%%\makeatletter
+%%%\patchcmd
+%%% \tabu@startpboxmeasure
+%%% {\bgroup\begin{varwidth}}%
+%%% {\bgroup
+%%% \iftabu@spread\color@begingroup\fi\begin{varwidth}}%
+%%% {}{}
+%%%\def\@tabarray{\m@th\def\tabu@currentgrouptype{\currentgrouptype}\@ifnextchar[\@array{\@array[c]}}
+\usepackage{tabularx}
+%
+%%%% \pdfelapsedtime bug 2019-12-15
+%\patchcmd
+% \tabu@message@etime
+% {\the\pdfelapsedtime}%
+% {\pdfelapsedtime}%
+% {}{}
+%%
+%%
+%\makeatother
\IfpxlTeX*{p,x}
{
@@ -73,9 +95,9 @@
\begin{document}
-\title{초간단 \obclass{} v2.1 사용법}
+\title{초간단 \obclass{} v2.2 사용법}
-\date{2015년 4월}
+\date{2020년 2월}
\author{x-ob-liv-oir }
@@ -179,15 +201,20 @@ oblivoir의 핵심 기능을 정의한 서브스타일로서만 유지된다.
부른다. 이 한글 패키지들을 (편의상) \obclass의 한글 드라이버라고 한다.
\begin{center}
-\begin{tabu}to.75\columnwidth{X|X|X}
+%\begin{tabu}to.75\columnwidth{X|X|X}
+\begin{tabularx}{.75\columnwidth}{X|X|X}
\hline
oblivoir 옵션 & 텍 엔진 & 한글 식자 패키지 \\ \hline
no option & \hologo{pdfLaTeX} & \koTeX-utf \\
no option & \hologo{XeLaTeX} & \XeTeX-\ko \\
no option & \hologo{LuaLaTeX} & \LuaTeX-\ko \\ \hline
-\end{tabu}
+%\end{tabu}
+\end{tabularx}
\end{center}
+2020년 이후, 이 가운데 \hologo{pdfLaTeX} 지원 브랜치는 더이상 개발을 진행하지 않고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만을 유지한다.
+
\section{옵션들}
\subsection{memoir 옵션}
@@ -210,7 +237,7 @@ ms, showtrims
\begin{description}
\item [\koTeX-utf] hangul, \uline{hanja}, nojosa, \uline{nonfrench}, \uline{finemath}, \uline{strictcharcheck}
-\item [\XeTeX-\ko] hangul, hanja, unfonts.\footnote{unfonts 옵션은 \obclass에서 조금 다르게 동작하므로 아래 해당 부분을 참고할 것.}
+\item [\XeTeX-\ko] hangul, hanja, %unfonts.\footnote{unfonts 옵션은 \obclass에서 조금 다르게 동작하므로 아래 해당 부분을 참고할 것.}
\item [\LuaTeX-\ko] hangul, hanja, unfonts
\item [cjk-\ko] hangul, hanja, nojosa, \uline{usedotemph}, \uline{usecjkt1font}. usecjkt1font 옵션은 uset1font로 입력해도 받아들인다.
\end{description}
@@ -229,9 +256,10 @@ ms, showtrims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item [dhucs] \koTeX-utf로 한글을 표현한다. \hologo{pdfLaTeX}에서 디폴트이며 memhangul-ucs는
이 패키지를 의도하고 작성된 것이다.
+\item [polyglossia] 이 옵션이 주어지면 \koTeX 을 로드하지 않는다. 그 대신 \textsf{polyglossia}를 로드하고 이에 의존한 한글 식자를 준비한다.
\end{description}
-따라서, 다음 옵션들은 해당하는 드라이버에서만 의미를 갖는다.
+다음 옵션들은 해당하는 드라이버에서만 의미를 갖는다.
\begin{description}
\item [strictcharcheck] \koTeX-utf. 엄격한 문자 검사.
\item [finemath] \koTeX-utf. 한글 간격 미세 조정.
@@ -260,7 +288,8 @@ ms, showtrims
\item [chapter] \verb|\chapter| 명령을 제대로 쓸 수 있게 해준다. 이 옵션이 없으면 \obclass는 \verb|\section|부터 시작하는 문서라고 간주하고 식자하지만 \verb|\chapter|에서 에러를 내지는 않는다.
\item [kosection] \verb|\section|에 대하여 ``제''와 ``절''을 찍어주도록 하는 옵션이다.
\item [amsmath] amsmath.sty와 amssymb.sty를 미리 로드해주는 옵션이다.
-\item [adjustmath] 한글 문서의 행간격이 벌어짐으로 인해서 display 수식의 전후에 너무 많은 공백이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
+%\item [adjustmath] 한글 문서의 행간격이 벌어짐으로 인해서 display 수식의 전후에 너무 많은 공백이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
+\item [mathdisp] v2.2 버전에서 디스플레이 수식과 본문의 간격을 oblivoir 식으로 재설정하는 것이 디폴트가 되었다. 이전에는 \verb|adjustmath| 옵션을 부여해야 동작하던 기능이 디폴트가 된 것이다. 이 기능을 배제하고 수식과 본문의 간격을 memoir와 amsmath가 설정하는 그대로 두려면 이 옵션을 부여한다.
\item [arabicfront] \verb|\frontmatter| 부분의 페이지 숫자를 아라비아 숫자로 찍는다. 기본값은 로만 숫자.
\item [footnote] 각주 번호와 숫자를 한국식으로 식자한다.
\item [figtabcapt] 그림과 표에 \cnm{그림 1}과 같은 방식으로 캡션을 단다.
@@ -274,6 +303,7 @@ ms, showtrims
\item [quotespacing] quote, quotation 환경의 줄간격을 `좁은 줄간격'으로 줄인다.
\item [nanum] 나눔명조/나눔고딕 트루타입 글꼴을 기본 글꼴로 사용하도록 설정한다.
\item [hcr] 함초롬 LVT 글꼴을 기본 글꼴로 사용하도록 설정한다.
+\item [lwarp] \textsf{lwarp}를 이용하여 HTML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설정을 활성화하는 옵션이다.
\end{description}
\bigskip
@@ -300,8 +330,8 @@ ms, showtrims
다음 옵션들은 현재 큰 의미를 지니지 않는 것들이다. 대부분 \koTeX 의 발전과 더불어 \obclass에서 특별히 지정할 필요가 없어졌다.
\begin{description}
-\item [unfonts] 은 글꼴을 사용하게 한다. 레거시 텍에서는 untype1이고 새로운 텍 엔진에서는 은글꼴 트루타입이 기본 글꼴이 된다.
-\item [nounfonts] 은 글꼴을 사용하지 않게 한다. 이것이 디폴트이다.
+%\item [unfonts] 은 글꼴을 사용하게 한다. 레거시 텍에서는 untype1이고 새로운 텍 엔진에서는 은글꼴 트루타입이 기본 글꼴이 된다.
+%\item [nounfonts] 은 글꼴을 사용하지 않게 한다. 이것이 디폴트이다.
\item [latinquote] 따옴표를 라틴 글꼴에서 찍도록 강제하는 옵션이었다. 현재는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는다.
\item [oldhangul] 옛한글 식자를 위한 옵션이었다. 현재는 이 옵션이 없어도 옛한글을 잘 처리한다.
\item [nowinname] 은글꼴을 위해서 마련된 옵션이었으나 현재는 무의미하다.
@@ -379,7 +409,8 @@ gremph는 \koTeX-utf에서 \verb|\usepackage{dhucs-gremph}|를 선언한 경우
\subsection{\XeTeX-\ko, \LuaTeX-\ko}
-한글 드라이버들은 라틴 문자 폰트와 한글/한자 폰트를 분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한글 드라이버들은 라틴 문자 폰트와 별도로 한글/한자 폰트를 지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분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 \footnote{%
% 한글과 라틴 문자을 분리하지 않으려 할 경우, fontspec 패키지의
% \texttt{\textbackslash{}fontspec} 명령 등을 사용할 수
@@ -419,16 +450,16 @@ gremph는 \koTeX-utf에서 \verb|\usepackage{dhucs-gremph}|를 선언한 경우
이 명령의 옵션으로 \verb|[Ligatures=TeX]|을 주면 \verb|``|, \verb|---|와 같은
입력이 ``, ---와 같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텍 소스에는 이런 이른바 텍 리거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 옵션을 지정하는 것이 좋다. 최신 버전의 fontspec은 이 옵션을 자동으로 붙여주며,
-아래 설명할 \cs{setkomainfont} 등의 명령을 써도 역시 이 옵션은 자동으로 붙는다.
+일반적이므로 이 옵션을 지정하는 것이 좋은데, 최신 버전의 fontspec은 이 옵션을 자동으로 붙여주며,
+아래 설명할 \cs{setkomainfont} 등의 명령을 써도 역시 이 옵션은 자동으로 붙기 때문에 별다른 고려를 하지 않아도 좋다.
%\XeTeX 에서 \verb|[Mapping=tex-text]| 옵션을
%써도 좋은데 이 옵션은 \LuaTeX 에서는 무의미하므로 양쪽에 통용되는 \verb|[Ligatures=TeX]|을
%쓰도록 하자. 따라서
만약 \ct{TeX Gyre Termes}를 라틴 문자 세리프 글꼴로 쓰려 한다면,
\begin{verbatim}
-\setmainfont[Ligatures=TeX]{TeX Gyre Termes}
+\setmainfont{TeX Gyre Termes}
\end{verbatim}
-와 같이 지정하면 된다.
+으로 충분하다.
\paragraph{한글과 한자}
한글 폰트는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설정한다. 자세한 사항은 \xetexko, \luatexko\ 매뉴얼을 참고하라.
@@ -674,25 +705,25 @@ bolditalic 폰트를 별도로 지정하려 한다면 아래에서 설명할 fea
\end{verbatim}
\paragraph{base name을 사용하여 공통 부분 줄여쓰기}
-KoPubBatang체 같은 경우, 글꼴 가족이 서로 다른 다음 세 폰트가 있다.
+KoPubWorldBatang체 같은 경우, 글꼴 가족이 서로 다른 다음 세 폰트가 있다.
\begin{verbatim}
-KoPubBatangLight.ttf KoPubBatangLight KoPubBatang Light
-KoPubBatangMedium.ttf KoPubBatangMedium KoPubBatang Medium
-KoPubBatangBold.ttf KoPubBatangBold KoPubBatang Bold
+KoPubWorldBatangLight.ttf KoPubWorldBatangLight KoPubWorldBatang Light
+KoPubWorldBatangMedium.ttf KoPubWorldBatangMedium KoPubWorldBatang Medium
+KoPubWorldBatangBold.ttf KoPubWorldBatangBold KoPubWorldBatang Bold
\end{verbatim}
이 글꼴은 앞부분 이름은 같지만 Regular/Bold에 대응하는 글꼴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의 같은 부분을 base name으로 지정하고 나머지 부분을 각각 써넣는 방식으로
글꼴을 지정할 수 있다.
\begin{verbatim}
-\setkomainfont[KoPubBatang](Light)(Bold)
+\setkomainfont[KoPubWorldBatang](Light)(Bold)
\end{verbatim}
이것은
\begin{verbatim}
-\setkomainfont(KoPubBatangLight)(KoPubBatangBold)
+\setkomainfont(KoPubWorldBatangLight)(KoPubWorldBatangBold)
\end{verbatim}
를 줄여쓴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탤릭 폰트는 지정하지 않은 보기인데, 원한다면 세번째 괄호 옵션에
써넣을 수 있다. 단, 이 방법을 쓸 때는 별표(*)를 사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별표를 사용하였을 때
-KoPubBatang*이라는 이름의 폰트를 찾으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KoPubWorldBatang*이라는 이름의 폰트를 찾으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서울시체를 본문 글꼴로 하고 바탕 글꼴용 한자는 한양해서를 쓰고 싶다면(실제 해보면 그다지 어울리지 않지만) 어떻게 할 수 있을까?
\begin{verbatim}
@@ -711,6 +742,11 @@ KoPubBatang*이라는 이름의 폰트를 찾으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장평을 95\%로 하고 자간을 5\% 줄이는 예이다. 여기에 쓸 수 있는 feature에 관해서는
fontspec 설명서와 \xetexko, \luatexko\ 설명서를 참고하라.
+옛한글을 식자하려면 (지원되는 폰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feature 옵션을 추가하여야 할 수 있다.
+\begin{verbatim}
+\setkomainfont(Noto Serif CJK KR)[Script=Hangul,Renderer=OpenType]
+\end{verbatim}
+
다섯번째 옵션 인자는 한자의 base name이다. 네번째 없이 다섯번째만 올 수 없으므로 이것을
설정하려면
\begin{verbatim}
@@ -718,14 +754,15 @@ fontspec 설명서와 \xetexko, \luatexko\ 설명서를 참고하라.
\end{verbatim}
와 같이 적어도 네번째 옵션 인자를 (비우더라도) 지정해야 할 것이다.
-\paragraph{ExternalLocation}
+\paragraph{파일 이름으로 찾기}
폰트를 그 이름(full name 또는 Postscript name)으로 지정하지 않고 파일 이름으로 찾으려 할 때,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먼저 옵션 인자로 \texttt{ExternalLocation}을 선언하는 방법이다. 이 때는 확장자를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
+먼저 옵션 인자로 \texttt{ExternalLocation}을 선언하는 방법이다. 이 때는 확장자를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현재 \textsf{fontspec}은 이 방법을 지원하기는 하지만 권장하지는 않는다.
\begin{verbatim}
\setkomainfont(HANBatang-LVT)[ExternalLocation]
\end{verbatim}
-파일 이름을 그대로 적어주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하면 \texttt{ExternalLocation}과 똑같이 동작한다.
+파일 이름을 그대로 적어주는 방법이 있다. 즉 확장자를 붙여서 파일 이름 자체를 지정하는 방법이다. 이것이 권장하는 방법이 되었다.
\begin{verbatim}
\setkomainfont(HANBatang-LVT.ttf)
\end{verbatim}
@@ -760,9 +797,12 @@ fontspec 설명서와 \xetexko, \luatexko\ 설명서를 참고하라.
\subsection{기정의 폰트 세트}
클래스 옵션으로 \texttt{[nanum]}을 지정하면 본문이 나눔명조와 나눔고딕으로 식자된다.\footnote{%
- \LuaTeX-\ko는 아무 옵션이 없어도 nanumtype1으로 본문을 표시하지만 \XeTeX-\ko에서는
- 한글 부분이 비어 나온다. 이 옵션을 주면 \LuaTeX-\ko 에서도 nanumtype1이 아니라 트루타입을 쓰게 된다.}
-나눔명조에 없는 한자는 나눔고딕에서 가져다가 찍는다.
+\XeTeX 이나 \LuaTeX 에서는 은 바탕을 기본 글꼴로 하고 있다. \hologo{pdfTeX}을 위한
+kotex-utf의 경우는 여전히 nanumtype1이다.}
+%\footnote{%
+% \LuaTeX-\ko는 아무 옵션이 없어도 nanumtype1으로 본문을 표시하지만 \XeTeX-\ko에서는
+% 한글 부분이 비어 나온다. 이 옵션을 주면 \LuaTeX-\ko 에서도 nanumtype1이 아니라 트루타입을 쓰게 된다.}
+%나눔명조에 없는 한자는 나눔고딕에서 가져다가 찍는다.
클래스 옵션 \texttt{[hcr]}은 함초롬 LVT 바탕, 함초롬 LVT 돋움 글꼴을 본문 글꼴로 사용하게 한다.
\texttt{[Script=Hangul]}을 지정하여 옛한글도 잘 처리하게 한다.\footnote{%
@@ -770,91 +810,93 @@ fontspec 설명서와 \xetexko, \luatexko\ 설명서를 참고하라.
그밖의 폰트에서 옛한글을 처리하게 하려면(예를 들어 Malgun Gothic, UnBatang 등)
feature 추가 옵션으로 \texttt{[Script=Hangul]}을 지정할 수 있다.}
-클래스 옵션 \texttt{[unfonts]}는 은 바탕, 은 돋움, 은 타자, 은 그래픽을 이용하여 본문 글꼴을 식자하게 한다.
-\texttt{[gremph]}일 때 바탕글꼴의 이탤릭이 은 그래픽으로 찍힌다. 또한 이 옵션은 \texttt{[Script=Hangul]}을
-자동으로 추가하여 옛한글을 은 바탕으로 잘 처리할 수 있게 하였다. 은 글꼴을 옵션으로 주지 않고 \cs{setkomainfont} 명령으로 주려면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HCR 글꼴과 달리 자동으로 폰트 이름을 보고 \texttt{[Script=Hangul]}을 삽입하지 않으므로 feature 옵션에 지정한다. base name을 ``UnBatang''으로 하고 확장자를 잇대어 쓰도록
-다음처럼 정의할 수 있다.
-\begin{verbatim}
-\setkomainfont[UnBatang](.ttf)(Bold.ttf)[Script=Hangul]
-\end{verbatim}
-은 그래픽을 이탤릭 대용으로 쓰려 한다면,
-\begin{verbatim}
-\setkomainfont[Un](Batang.ttf)(BatangBold.ttf)%
- (Graphic.ttf)[Script=Hangul]
-\end{verbatim}
-이름의 공통부분(base name)이 ``Un''밖에 없으니까 이렇게 할 수밖에 없다. 은 그래픽은 한자가 나오지 않는데
-필요하다면 한자 글꼴 지정을 잇대어 하면 된다. 실제로 해보자면,
-\begin{verbatim}
-\setkomainfont[Un](Batang.ttf)(BatangBold.ttf)(Graphic.ttf)%
- [Script=Hangul][UnBatang](.ttf)(Bold.ttf)(.ttf)
-\end{verbatim}
-한자는 은 그래픽이 아니라 은 바탕에서 찾아서 찍게 한 것이다.
+%클래스 옵션 \texttt{[unfonts]}는 은 바탕, 은 돋움, 은 타자, 은 그래픽을 이용하여 본문 글꼴을 식자하게 한다.
+%\texttt{[gremph]}일 때 바탕글꼴의 이탤릭이 은 그래픽으로 찍힌다. 또한 이 옵션은 \texttt{[Script=Hangul]}을
+%자동으로 추가하여 옛한글을 은 바탕으로 잘 처리할 수 있게 하였다. 은 글꼴을 옵션으로 주지 않고 \cs{setkomainfont} 명령으로 주려면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HCR 글꼴과 달리 자동으로 폰트 이름을 보고 \texttt{[Script=Hangul]}을 삽입하지 않으므로 feature 옵션에 지정한다. base name을 ``UnBatang''으로 하고 확장자를 잇대어 쓰도록
+%다음처럼 정의할 수 있다.
+%\begin{verbatim}
+%\setkomainfont[UnBatang](.ttf)(Bold.ttf)[Script=Hangul]
+%\end{verbatim}
+%은 그래픽을 이탤릭 대용으로 쓰려 한다면,
+%\begin{verbatim}
+%\setkomainfont[Un](Batang.ttf)(BatangBold.ttf)%
+% (Graphic.ttf)[Script=Hangul]
+%\end{verbatim}
+%이름의 공통부분(base name)이 ``Un''밖에 없으니까 이렇게 할 수밖에 없다. 은 그래픽은 한자가 나오지 않는데
+%필요하다면 한자 글꼴 지정을 잇대어 하면 된다. 실제로 해보자면,
+%\begin{verbatim}
+%\setkomainfont[Un](Batang.ttf)(BatangBold.ttf)(Graphic.ttf)%
+% [Script=Hangul][UnBatang](.ttf)(Bold.ttf)(.ttf)
+%\end{verbatim}
+%한자는 은 그래픽이 아니라 은 바탕에서 찾아서 찍게 한 것이다.
\subsection{폰트 설정 명령 (\protect\cs{setkor...} 명령군)}
이전 버전의 oblivoir에서는 다음 세 명령을 제공하였다.
이 명령군도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데 그것은 이전에 작성된 문서와의 호환성을 위해서이다.
+이 명령군에 대해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
\begin{boxedverbatim}
\setkormainfont(<Bold>)(<Italic>){<Regular>}
\setkorsansfont(<Bold>)(<Italic>){<Regular>}
\setkormonofont(<Bold>)(<Italic>){<Regular>}
\end{boxedverbatim}
-이 명령들도 한자 지정을 위하여 확장가능하다.
-\begin{boxedverbatim}
-\setkormainfont(<Bold>)(<Italic>){<Regular>}%
- (<HJbold>)(<HJitalic>){<HJregular>}
-\end{boxedverbatim}
-
-괄호 옵션 인자와 중괄호 인자가 있다는 점과 bold, italic, regular의 순서가
-\cs{setkomainfont}와 다르다는 데 주의하라.
-이전 버전에 비하여 확장된 기능은 feature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begin{boxedverbatim}
-\setkormainfont(Bold)(Italic){Regular}[Feature]
-\end{boxedverbatim}
-이런 식으로 마지막 옵션 인자로 feature를 지정하면 유효하다.
-
-한글과 한자 사이에는 적어도 괄호 인자가 하나는 와야 구별된다.
-\begin{verbatim}
-\setkormainfont{HCR Batang LVT}(){HYhaeseo}
-\end{verbatim}
-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은 오류이다.
-\begin{verbatim}
-\setkormainfont{HCR Batang LVT}[]{HYhaeseo}
-\end{verbatim}
-한글 feature를 지정하고 한자도 지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해야 한다.
-\begin{verbatim}
-\setkormainfont{HCR Batang LVT}[...](){HYhaeseo}
-\end{verbatim}
-
-한편, \cs{setkormainfont} 다음 문자가 \texttt{[}이면
-\begin{boxedverbatim}
-\setkormainfont[ ... ]{한글 폰트이름}[ ... ]{한자 폰트이름}
-\end{boxedverbatim}
-이것은 앞의 두 인자에 대하여 \cs{setmainhangulfont}를 실행하고
-뒤의 두 인자에 대하여 \cs{setmainhanjafont}를 실행하게 하는 것으로
-이전 버전과 같다. 이 명령은 반드시 \texttt{[}로 시작해야 하며
-한글과 한자의 경계는 [ ]로 이루어지므로 예컨대
-다음과 같은 코딩은 오류를 일으키지 않는다.
-\begin{verbatim}
-\setkormainfont[]{Hangul}[]{Hanja}
-\end{verbatim}
-
-그리고 \cs{setkormainfont} 다음 문자가 \texttt{*}이면
-\texttt{ExternalLocation}으로 실행되는 것도 이전과 같다.
-파일 이름을 직접 써넣는 것이 좋으므로 거의 필요없는 명령이 되었지만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위하여 이 기능을 유지시켜 두었다.
-단, \cs{setkormainfont*()} 형식과는 쓸 수 없고 \cs{setkormainfont*[]} 형식으로만
-가능하게 기능이 제한되었다. 이 명령은 앞으로 사용하지 않기를 바란다.
-\begin{boxedverbatim}
-\setkormainfont*{한글 폰트 이름}
-\end{boxedverbatim}
-
-이상에서 설명한 \cs{setkor...} 명령군 대신 새로 도입한 \cs{setko...} 명령군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사용법이 훨씬 간단해졌기 때문이다.\footnote{%
- 내부적으로 \cs{setkormainfont} 명령들은 \cs{setmainhangulfont}와 \cs{setmainhanjafont}를
- 부르고, \cs{setkomainfont} 명령들은 \cs{setkormainfont}를 부른다.}
-
+%이 명령들도 한자 지정을 위하여 확장가능하다.
+%\begin{boxedverbatim}
+%\setkormainfont(<Bold>)(<Italic>){<Regular>}%
+% (<HJbold>)(<HJitalic>){<HJregular>}
+%\end{boxedverbatim}
+%
+%괄호 옵션 인자와 중괄호 인자가 있다는 점과 bold, italic, regular의 순서가
+%\cs{setkomainfont}와 다르다는 데 주의하라.
+%이전 버전에 비하여 확장된 기능은 feature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begin{boxedverbatim}
+%\setkormainfont(Bold)(Italic){Regular}[Feature]
+%\end{boxedverbatim}
+%이런 식으로 마지막 옵션 인자로 feature를 지정하면 유효하다.
+%
+%한글과 한자 사이에는 적어도 괄호 인자가 하나는 와야 구별된다.
+%\begin{verbatim}
+%\setkormainfont{HCR Batang LVT}(){HYhaeseo}
+%\end{verbatim}
+%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은 오류이다.
+%\begin{verbatim}
+%\setkormainfont{HCR Batang LVT}[]{HYhaeseo}
+%\end{verbatim}
+%한글 feature를 지정하고 한자도 지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해야 한다.
+%\begin{verbatim}
+%\setkormainfont{HCR Batang LVT}[...](){HYhaeseo}
+%\end{verbatim}
+%
+%한편, \cs{setkormainfont} 다음 문자가 \texttt{[}이면
+%\begin{boxedverbatim}
+%\setkormainfont[ ... ]{한글 폰트이름}[ ... ]{한자 폰트이름}
+%\end{boxedverbatim}
+%이것은 앞의 두 인자에 대하여 \cs{setmainhangulfont}를 실행하고
+%뒤의 두 인자에 대하여 \cs{setmainhanjafont}를 실행하게 하는 것으로
+%이전 버전과 같다. 이 명령은 반드시 \texttt{[}로 시작해야 하며
+%한글과 한자의 경계는 [ ]로 이루어지므로 예컨대
+%다음과 같은 코딩은 오류를 일으키지 않는다.
+%\begin{verbatim}
+%\setkormainfont[]{Hangul}[]{Hanja}
+%\end{verbatim}
+%
+%그리고 \cs{setkormainfont} 다음 문자가 \texttt{*}이면
+%\texttt{ExternalLocation}으로 실행되는 것도 이전과 같다.
+%파일 이름을 직접 써넣는 것이 좋으므로 거의 필요없는 명령이 되었지만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위하여 이 기능을 유지시켜 두었다.
+%단, \cs{setkormainfont*()} 형식과는 쓸 수 없고 \cs{setkormainfont*[]} 형식으로만
+%가능하게 기능이 제한되었다. 이 명령은 앞으로 사용하지 않기를 바란다.
+%\begin{boxedverbatim}
+%\setkormainfont*{한글 폰트 이름}
+%\end{boxedverbatim}
+%
+%이상에서 설명한 \cs{setkor...} 명령군 대신 새로 도입한 \cs{setko...} 명령군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사용법이 훨씬 간단해졌기 때문이다.\footnote{%
+% 내부적으로 \cs{setkormainfont} 명령들은 \cs{setmainhangulfont}와 \cs{setmainhanjafont}를
+% 부르고, \cs{setkomainfont} 명령들은 \cs{setkormainfont}를 부른다.}
+%
%이후의 설명은 \verb|\setkormainfont|에 대해서만 한다. 다른 두
%명령의 사용법은 동일하다.
%
@@ -1003,7 +1045,7 @@ fontspec 설명서와 \xetexko, \luatexko\ 설명서를 참고하라.
%문장 중간에서 한글 및 한자 폰트를 일부 바꾸어 써야 할 때가 있다. 이 경우에는 \xetexko 의
%\verb|\hangulfontspec| 명령을 이용하면 매우 간편하게 이를 실현할 수 있다.
-\subsection{ExternalLocation에 관한 첨언}
+\subsection{파일 이름으로 찾기에 관한 첨언}
폰트를 호출하는 이름은 앞서 설명한 \util{otfinfo -i}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full name이나 Postscript name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러나 부득이한 경우
@@ -1048,15 +1090,16 @@ ExternalLocation으로 호출할 수 있을 것이다. 리눅스에서는 모르
\item texmf.cnf의 OSFONTDIR 변수를 수작업으로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폰트를 ``파일 이름으로'' 찾게 하기 위해 필요하다.
-Windows의 \TeX\,Live라면 이것을 잘 설정하여 주므로 사용자가 신경쓸 것이 없으나
-경우에 따라 이 변수를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맥의 경우,
-/usr/local/texlive/2015/texmf.cnf 파일을 열어서\footnote{/usr/local/texlive/2015/texmf/web2c/texmf.cnf를
-수정해서는 안된다.} 다음 내용을 자신의 환경에 맞게 써넣으면 될 것이다.
-\begin{verbatim}
-OSFONTDIR = {/Library/Fonts;~/Library/Fonts;/System/Library/Fonts;}
-\end{verbatim}
+%Windows의 \TeX\,Live라면 이것을 잘 설정하여 주므로 사용자가 신경쓸 것이 없으나
+%경우에 따라 이 변수를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맥의 경우,
+%/usr/local/texlive/2015/texmf.cnf 파일을 열어서\footnote{/usr/local/texlive/2015/texmf/web2c/texmf.cnf를
+%수정해서는 안된다.}
+%다음 내용을 자신의 환경에 맞게 써넣으면 될 것이다.
+%\begin{verbatim}
+%OSFONTDIR = {/Library/Fonts;~/Library/Fonts;/System/Library/Fonts;}
+%\end{verbatim}
-\item ExternalLocation으로 폰트를 호출한다는 것은 kpathsearch를 이용한다는
+\item 파일 이름으로 폰트를 호출한다는 것은 kpathsearch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texmf 트리 아래에 해당 폰트를 가져다두고 mktexlsr해도 그
폰트에 접근할 수 있다.
@@ -1191,6 +1234,14 @@ oblivoir에서 제공된다.
\end{boxedverbatim}
\texttt{[showtrims]} 옵션이 주어져 있다면 crop 선이 함께 나타날 것이다.
+\textsf{fapapersize}에 기정의 용지 설정이 몇 가지 있다.
+\begin{description} \tightlist
+\item [mum] 국판. (148mm$\times$210mm). 여백 25mm.
+\item [newmum] 신국판. (154mm$\times$225mm). 여백 25mm.
+\item [1in] \hologo{plainTeX}에서처럼 1in 오프셋을 설정한 판면. 여백 1in.
+\item [dbl4x6] 4$\times$6 배판. (190mm$\times$260mm). 여백 30mm.
+\end{description}
+
\subsection{enumerate}
enumerate 패키지의 enumerate 아이템 항목 머리 설정은
@@ -1224,7 +1275,7 @@ xob-paralist를 로드한다.\footnote{%
\marginpar{\fbox{xe(lua)tex}}
\XeTeX과 \LuaTeX 의 경우는 graphicx 패키지에 대한 명시적인 호출이 없어도
-png, jpg, pdf 그림을 잘 불러온다. 즉 \obclass가 알맞게 이 패키지를 호출하여준다.
+png, jpg, pdf 그림을 잘 불러온다. %즉 \obclass가 알맞게 이 패키지를 호출하여준다.
% 이 패키지들을 명시적으로
% 호출하고자 한다면 옵션 없이 로드하든가 \texttt{[xetex]} 옵션을 준다.
% default가 \texttt{[xetex]}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하는데,
@@ -1264,6 +1315,18 @@ png, jpg, pdf 그림을 잘 불러온다. 즉 \obclass가 알맞게 이 패키
\hfill “소절 \myREF{sec:font}{sec:폰트}\를 보라.”
\end{minipage}
+\subsection{문장부호}
+
+이 패키지가 제공하는 문장부호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begin{itemize}
+\item \verb|\bnm|, \verb|\snm|, \verb|\cnm|, \verb|\ccnm|. 각각 \bnm{제목}, \snm{제목}, \cnm{제목}, \ccnm{제목}과 같이 식자된다.
+\item \verb|\obldots|. \verb|\obellipsis|. 각각 \obldots, \obellipsis와 같이 식자된다. 한글 패키지 \koTeX 이 로드되면 \verb|\ldots|의 모양이 \ldots와 같이 바뀌기 때문에 영문서의 \verb|\ldots|는 \verb|\obldots|로 식자할 \obldots 수 있다. \verb|\obellipsis|는 행이 나뉘어지지 않는 여섯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말출임표이다.
+\item \verb|\cntrdot|, \verb|\cntrdots|. 각각 \cntrdot, \cntrdots로 식자한다.
+\item \verb|\expldash|, \verb|\explpunc|. 이것은 설명을 위하여 삽입하는 괘선\expldash 을 표현하기 위한 매크로이다. \verb|\explpunc|의 사용법이 조금 특별하므로 주의하라. \verb*|\explpunc.some text.\ | \explpunc.some text.\ 와 같이 입력한다. 이 사용법이 복잡하다면 \verb|\expldash|를 두 번 쓰는 방법이 있다.
+\end{itemize}
+
+
\subsection{방점}
\koTeX 에서는 \texttt{\textbackslash dotemph} 명령의 방점\footnote{%
@@ -1371,6 +1434,24 @@ oblivoir가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페이지 스타일로 \texttt{hangul}
\pagestyle{hangul}
\end{boxedverbatim}
+\section{HTML 제작}
+
+\textsf{lwarp}를 이용하여 HTML을 제작하려면 문서에 \textsf{lwarp}
+옵션을 주고 작성한다. 그 후,
+\begin{verbatim}
+lwarpmk html <file>.tex
+\end{verbatim}
+명령을 실행한다. MathJax 수식을 위해서는
+\begin{verbatim}
+\documentclass[lwarp,lwarpoption={mathjax}]{oblivoir}
+\end{verbatim}
+와 같이 옵션을 줄 수 있다.
+
+모든 문서가 원하는 모양대로 HTML로 만들어지지 않을 것이다. 특히
+사용자화하여 복잡한 환경이나 명령을 만들어 쓴 경우에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올 수도 있음에 주의하라. 이 클래스의 \verb|lwarp| 옵션은
+단지 \verb|lwarpmk| 명령을 부르기 위한 준비를 도와주는 것뿐이다.
+
\section{샘플 문서}
이 작은 안내서에 더하여 간단한 \obclass\ 샘플 문서를 하나 제공한다.
@@ -1537,6 +1618,11 @@ Lua\TeX 과 \XeTeX 이라는 유니코드 텍 엔진의 등장은, 이러한 모
더 잘 구현할 수 있는 바탕이 갖추어진 것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section{변경 이력}
+
+2020년의 2.2 버전은 그 동안 알려진 몇 가지 버그를 수정하고 약간의 기능을
+추가하는 데 그쳤다.
+
% \section{알려진 문제점}
% 아래 문제점과 버그들은 다음 버전에서 해결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doc/oblivoir-test.tex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test.tex
index cdefcb06bbb..58952054f1c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doc/oblivoir-test.tex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oblivoir/oblivoir-test.tex
@@ -1,6 +1,6 @@
%!TEX encoding = UTF-8 Unicode
% arara: xelatex
-% arara: komkindex
+% arara: texindy: { language: Korean, codepage: utf8 }
% arara: xelatex
%%
%% 이 파일은 oblivoir 패키지 문서의 일부로서, oblivoir 클래스의 여러 기능을
@@ -8,6 +8,7 @@
%% pdflatex, xelatex, lualatex으로 컴파일할 수 있습니다. (결과의 완전한 동일성은
%% 보장하지 못합니다.)
%%
+%% 2020/02/05.
%% 2015/04/22. memoir url 수정
%% 2014/06/15. 부분 수정.
%% 2013/09/28. xoblivoir ver2 버전으로 포팅.
@@ -18,7 +19,7 @@
%% public domain.
%%
-\documentclass[demo,chapter,openany,amsmath,gremph,adjustmath]{oblivoir}
+\documentclass[demo,chapter,openany,amsmath,gremph,lwarp]{oblivoir}
%%% amsmath 옵션은 amsmath, amssymb 패키지를 로드해준다..
%% display overfullrule
@@ -35,7 +36,7 @@
\setmainfont{TeX Gyre Pagella}
\setsansfont[Scale=.95]{TeX Gyre Heros}
%% \setkomain/sansfont : see oblivoir-simpledoc.
- \setkomainfont[HCRBatangLVT]()(-Bold)()
+ \setkomainfont(HCRBatangLVT)(*-Bold)(UnGraphic)
\setkosansfont[NanumGothic]()[](HCRDotumLVT)
%% 수학 폰트
% \usepackage{unicode-math}
@@ -63,11 +64,16 @@
\usepackage{cite}
-\ifPDFTeX
+%\ifPDFTeX
\usepackage{graphicx}
-\fi
-\usepackage[dvipsnames]{xcolor}
+%\fi
%% pdf 정보
+\makeatletter
+\if@lwarp
+\usepackage{xcolor}
+\def\epigraph#1#2{#1\quad #2}
+\else
+\usepackage[dvipsnames]{xcolor}
\hypersetup{%
bookmarks=true,%
plainpages=false,%
@@ -75,6 +81,8 @@
pdfauthor={Karnes Kim},%
pdfcreator={Karnes Kim}
}
+\fi
+\makeatother
\nonfrenchspacing
%% nonfrench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xspaceskip도 정해주자.
@@ -331,6 +339,9 @@
작성되었다. 이 문서의 원본은 memhangul을 개발하던 당시
테스트용으로 사용된 바, 가장 먼저 만들어진 oblivoir 문서이다.
+현재는 |oblivoir|와 |xoblivoir|가 사실상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
+|xoblivoir|라 한 것은 모두 |oblivoir|로 바꾸어도 된다.
+
해당 문단의 여백에 사용되고 있는 명령이 나와 있으므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xoblivoir 사용설명서를 작성하기 어려운 것이
기본적인 것은 모두 memoir에 바탕을 두고 있는 데다가
@@ -343,7 +354,7 @@
이 문서는 다음 순서로 컴파일할 수 있다. |$ENGINE|은 \util{pdflatex}, \util{xelatex}, \util{lualatex} 가운데 하나이고
|$JOBNAME|은 파일 이름(\texttt{xobtesttest})이다.
한편, 색인을 만드는 유틸리티 |$MAKEINDEXENGINE|은 \util{pdflatex} 상황에서는
-\util{komkindex}이고 그밖의 경우에는 \util{kotexindy}이다.
+\util{komkindex}이고 그밖의 경우에는 \util{texindy}이다.
\begin{verbatim}
# $ENGINE $JOBNAME
@@ -612,7 +623,7 @@ memoir 패키지의 인덱스 만들기의 특징 때문이다. 처음 한 번
기능이 있다.}
verse, quote와 같은 환경을 조금 바꾸어서 행간을 약간 줄여주는
기능이 있다. 이 부분에서 \dispcmd{adjustfloatfnspacing}을 불러보겠다.
-\showcommand{adjustfloatfnspacing}
+\showcommand{adjustfloatfnspacing}%
다음번 각주는 행간이 조금 달라져야 한다.
\adjustfloatfnspacing
float 안에 놓인 것과 같아지도록.\footnote{%
@@ -933,16 +944,18 @@ y=e^x \text{라면}, \qquad y'=e^x
이다.
또, $y=\log x$의 도함수를 구해본다.
-\begin{displaymath}
-\begin{split}
+%\begin{displaymath}
+%\[
+\begin{align*}
y' &= \lim_{h\to0}\frac{\log(x+h)-\log x}{h} \\
&= \lim_{h\to0}\frac{1}{h}\log\left(1+ \frac{h}{x}\right) \\
&= \frac{1}{x}\lim_{h\to0}\frac{x}{h}\log\left(1+\frac{h}{x}\right) \\
&= \frac{1}{x}\lim_{\frac{h}{x}\to0}\log\left(1+\frac{h}{x}\right)^{\frac{x}{h}} \\
&= \frac{1}{x}\log e \\
&= \frac{1}{x}.
-\end{split}
-\end{displaymath}
+\end{align*}
+%\]
+%\end{displaymath}
따라서,
\[
@@ -1081,15 +1094,15 @@ $G'(x) \ge 0$. 따라서 $G(x) \ge 0$임을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begin{figure}
\centering
\begin{minipage}{.75\textwidth}
-\begin{tabbing}
-1111\=11111111111111111111\= \kill
-(1) \> 대상기호(상수) \> $ c_{1}, c_{2}, c_{3}, c_{4}, \ldots $ \\
-(2) \> 함수기호 \> $ f_{1}, f_{2}, f_{3}, f_{4}, \ldots $ \\
-(3) \> 술어기호 \> $ P_{1}, P_{2}, P_{3}, P_{4}, \ldots $ \\
-(4) \> 자유변수 \> $ a_{1}, a_{2}, a_{3}, a_{4}, \ldots $ \\
-(5) \> 속박변수 \> $ x_{1}, x_{2}, x_{3}, x_{4}, \ldots $ \\
-(6) \> 논리기호 \> $ \land, \lor, \rightarrow, \lnot, \forall, \exists $
-\end{tabbing}
+%\begin{tabbing}
+%1111\=11111111111111111111\= \kill \\
+%(1) \> 대상기호(상수) \> $ c_{1}, c_{2}, c_{3}, c_{4}, \ldots $ \\
+%(2) \> 함수기호 \> $ f_{1}, f_{2}, f_{3}, f_{4}, \ldots $ \\
+%(3) \> 술어기호 \> $ P_{1}, P_{2}, P_{3}, P_{4}, \ldots $ \\
+%(4) \> 자유변수 \> $ a_{1}, a_{2}, a_{3}, a_{4}, \ldots $ \\
+%(5) \> 속박변수 \> $ x_{1}, x_{2}, x_{3}, x_{4}, \ldots $ \\
+%(6) \> 논리기호 \> $ \land, \lor, \rightarrow, \lnot, \forall, \exists $
+%\end{tabbing}
\end{minipage}
\caption{기본 기호}\label{fig:syms}
\end{figure}
@@ -1271,10 +1284,10 @@ $0$이라는 최소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진실이 되나 실수의 모
거의 같은 결과를 얻게끔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문서는 \hologo{pdfLaTeX}, \hologo{XeLaTeX}, \hologo{LuaLaTeX} 어느 것으로도 컴파일된다. \showcommand{hologo}
-\section{kotexindy에 관하여}
-찾아보기를 만들려면 |kotexindy|를 사용하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section{texindy에 관하여}
+찾아보기를 만들려면 |texindy|를 사용하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begin{verbatim}
-$ kotexindy memucstest.idx
+$ texindy -L korean -C utf8 oblivor-test.idx
\end{verbatim}
찾아보기를 찍는 명령은 |\printindex|이다. \showcommand{print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