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options
autho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14-05-23 22:45:34 +0000 |
---|---|---|
committer | Karl Berry <karl@freefriends.org> | 2014-05-23 22:45:34 +0000 |
commit | 2c719299c63607a5ae8f19f0c2c74b00dbf0df48 (patch) | |
tree | 68d38b89ed3a1bf1be99d787141537816d1643d2 | |
parent | 165e738a511a660c3d5db4ab2c69972042bc6e9d (diff) |
kotex-utf (23may14)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34238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ChangeLog | 7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kotexdoc.pdf | bin | 7132348 -> 7144630 bytes | |||
-rw-r--r-- | 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kotexdoc.tex | 294 |
3 files changed, 193 insertions, 108 deletions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ChangeLog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ChangeLog index f84c885db95..a2a4f52132a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ChangeLog @@ -1,3 +1,10 @@ +2014-05-12 Kangsoo Kim <karnes at ktug org> + + No version change + + * kotexdoc.tex: improved the description on ksnamedef, and added footnotes + for using \XeTeX and \LuaTeX + 2013-11-08 Kihwang Lee <leekh at ktug org> Version 2.0.1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kotexdoc.pdf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kotexdoc.pdf Binary files differindex 84a4fb688b7..b303f400a11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kotexdoc.pdf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kotexdoc.pdf diff --git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kotexdoc.tex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kotexdoc.tex index 0b06ae95c25..70f07fb777b 100644 --- a/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kotexdoc.tex +++ b/Master/texmf-dist/doc/latex/kotex-utf/kotexdoc.tex @@ -1,13 +1,14 @@ %!TEX encoding = UTF-8 Unicode %!TEX program = arara -% arara: pdflatex: {options: -synctex=1} -% arara: komkindex -% arara: pdflatex: {options: -synctex=1} +% arara: pdflatex: {synctex: yes} +% arara: komkindex: {style: kotex} +% arara: pdflatex: {synctex: yes} %%% file `kotexdoc.tex` %% Written by Kangsoo Kim <karnes at ktug kr> %% %% 2013/09/30 %% 2013/11/07 +%% 2014/03/01, \ksnamedef %% %% part of ko.TeX v2.0 %% LPPL, maintained. @@ -66,7 +67,8 @@ \def\ko{\textsf{k}\textit{o}} \def\kotexplain{\kotex-\hologo{plain}} \newcommand\kotexversion{v2.0} -\newcommand\kotexdate{2013년 11월} +%\newcommand\kotexdate{2013년 11월} +\newcommand\kotexdate{2014년 5월} %\usepackage[ % backend=biber, @@ -435,31 +437,34 @@ EUC-KR 버전에도 적용시킴으로써, 폰트를 둘러싼 이런저런 불 \section{pdf 문서 작성을 위한 설정}\label{sec:makepdf} -\subsection{Legacy \TeX} +\subsection{pdf bookmark} -\paragraph{pdf bookmark} +%\paragraph{pdf bookmark} \pkg{hyperref}에 -\option{unicode} 옵션을 지정하는 것으로 pdf bookmark 문제가 -모두 해결된다. +\option{pdfencoding = auto} 옵션을 지정하는 것으로 pdf bookmark 문제가 +모두 해결된다.\footnote{% + 과거 \XeTeX 을 사용할 때는 \option{unicode} 옵션을 선언하지 + 않고 \LuaTeX 이나 \pdfTeX 에서는 \option{unicode}를 선언하도록 + 권장했다. 이 방법은 여전히 유효하나 \option{pdfencoding=auto}를 + 쓰면 엔진에 따라 옵션을 달리 주어야 할 필요가 없다.} \begin{verbatim} \usepackage{kotex} -\usepackage{ifpdf} -\usepackage{pdftex,unicode,bookmarks]{hyperref} -\end{verbatim} -여기서는 \option{unicode} 옵션이 반드시 지정되어야 한다. -\option{pdftex}은 컴파일 상황에 따라 \option{dvipdfmx} -또는 \option{dvips}를 -지정할 수 있다. - -위의 예에 상당하는 컴파일 절차 예시는 다음과 같다. -\begin{verbatim} -$ (pdf)latex foo -$ (pdf)latex foo -$ (dvipdfmx foo) +\usepackage{pdfencoding=auto,bookmarks]{hyperref} \end{verbatim} +%여기서는 \option{unicode} 옵션이 반드시 지정되어야 한다. +%\option{pdftex}은 컴파일 상황에 따라 \option{dvipdfmx} +%또는 \option{dvips}를 +%지정할 수 있다. +% +%위의 예에 상당하는 컴파일 절차 예시는 다음과 같다. +%\begin{verbatim} +%$ (pdf)latex foo +%$ (pdf)latex foo +%$ (dvipdfmx foo) +%\end{verbatim} -\paragraph{텍스트 검색과 추출} +\subsection{텍스트 검색과 추출} pdf 문서의 텍스트 검색과 추출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것은 어떤 드라이버로 pdf를 생성하느냐에 따라 조금 달라지는데, 일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487,16 +492,17 @@ pdf 북마크가 잘 만들어지며 한글 텍스트의 검색과 추출이 자 \paragraph{oblivoir} \pkg{oblivoir}는 위의 절차를 모두 자동화해두었다. -\subsection{\LuaTeX, \XeTeX} - -이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 기본 output이 pdf 포맷이다. -pdf bookmark의 경우만이 문제가 되는데, \pkg{hyperref}을 사용할 때 -\begin{itemize} -\item \XeTeX: \option{unicode}를 지정하지 않는다. -\item \LuaTeX: \option{unicode}를 지정한다. -\end{itemize} -는 사실만을 기억하면 될 것이다. -물론 \pkg{oblivoir}라면 이 모두가 자동화되어 있다. +%\subsection{\LuaTeX, \XeTeX} +% +%이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 기본 output이 pdf 포맷이다. +%pdf bookmark의 경우만이 문제가 되는데, \pkg{hyperref}을 사용할 때 +%\begin{verbatim} +%pdfencoding = auto +%\end{verbatim} +%옵션을 쓰면 \pdfTeX, \XeTeX, \LuaTeX 을 불문하고 책갈피에서 한글이 깨지지 않게 해준다. +% +%과거에는 \XeTeX\ 사용시에 \option{unicode} 옵션을 주지 않아야 하는 데 +%주의해야 했으나 위와 같이 하면 자동적으로 처리된다. \chapter{문서와 도움말}\label{chap:docu} @@ -528,14 +534,14 @@ pdf bookmark의 경우만이 문제가 되는데, \pkg{hyperref}을 사용할 \chapter{배포와 설치} -\section{배포 방식} -현재 \kotex 의 배포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어 있다. -\begin{enumerate}[(1)] -\item \wi{CTAN}\footnote{\url{http://ctan.tug.org}}에 등재 -\item \kotex\ 사설 저장소\footnote{\url{http://ftp.ktug.org/KTUG/texlive}}를 통하여 배포 -\end{enumerate} +\section{CTAN을 통한 배포} +%현재 \kotex 은 +%\begin{enumerate}[(1)] +%\item \wi{CTAN}\footnote{\url{http://ctan.tug.org}}에 등재 +%\item \kotex\ 사설 저장소\footnote{\url{http://ftp.ktug.org/KTUG/texlive}}를 통하여 배포 +%\end{enumerate} -2013년 11월 현재, \kotex\ 패키지군은 거의 모두 +2014년 5월 현재, \kotex\ 패키지군은 거의 모두 CTAN에 등재되었다. CTAN을 통해 배포되는 패키지는 다음과 같다: \begin{quote} \pkg{kotex-utf}, \pkg{xetex-ko}, \pkg{luatex-ko}, @@ -561,34 +567,28 @@ CTAN을 통해 배포된다. %이곳에서 배포된다.\footnote{% % 멀지 않은 장래에 \pkg{dhucs}, 즉 \kotex-utf도 CTAN을 통하여 배포될 전망이다.} -현재 사설 저장소에서 서비스되는 패키지는 \pkg{kotex-base}, \pkg{kotex-extra}, \pkg{jiwonlipsum}, \pkg{kotex-midkor}, \pkg{kotex-euc}인데 필수적인 패키지는 모두 CTAN으로 올라갔고 \kotex 의 기능을 -확장하는 보충적인 패키지들이 사설 저장소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CTAN에 등재된 패키지들은 각 배포판의 패키지로서 배포된다. +\begin{description} +\item [\TeX\,Live] 위에 언급된 모든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다. +\item [MiK\TeX] \pkg{kotex-utils}를 제외한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다. +\end{description} -CTAN에 등재된 패키지들은 \TeX\,Live, MiK\TeX\ 등의 텍 배포판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TeX\,Live를 설치한 경우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도 -\kotex\ 관련 패키지를 설치 운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eX\,Live는 한글 관련 패키지와 유틸리티, 문서를 \pkg{collection-langkorean}이라는 콜렉션 패키지로 묶어서 배포한다. -\section{\kotex\ 사설 저장소의 이용 방법} +\section{KTUG 사설 저장소} -\kotex\ 사설 저장소는\index{ko.TeX repository} \TeX\,Live의 \util{tlmgr} 유틸리티를 통하여 -간단히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먼저 다음 명령을 내리면 저장소가 등록된다. -\begin{verbatim} -$ tlmgr repository add http://ftp.ktug.org/KTUG/texlive/2013 kotex -\end{verbatim} -이제 이 저장소를 이용하기 위하여 \TeX\,Live의 texmf 트리 아래의 \file{tlpkg} 디렉터리에 -\begin{boxedverbatim} -kotex:* -\end{boxedverbatim} -이라는 내용을 갖는 \file{pinning.txt} 파일을 만들고 -\begin{verbatim} -$ tlmgr install collection-kotex -\end{verbatim} -명령을 통하여 \kotex\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다. +과거 \kotex 이 CTAN에 등재되기 전에 KTUG은 \kotex\ 사설 저장소를 운영하여 \TeX\,Live에서의 설치를 지원하였다(2008--2013). -\bigskip +현재 사설 저장소는 CTAN에 등재하면서 제외된 \kotex-euc 파트와 은 글꼴(트루타입, type1) 및 KTUG에서 제작된 유용한 패키지와 유틸리티들을 추가적으로 서비스하는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에서 서비스되는 패키지는 \pkg{kotex-base}, \pkg{kotex-extra}, \pkg{jiwonlipsum}, \pkg{kotex-midkor}, \pkg{kotex-euc}인데 필수적인 패키지는 모두 CTAN으로 올라갔고 \kotex 의 기능을 +%확장하는 보충적인 패키지들이 사설 저장소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 +%CTAN에 등재된 패키지들은 \TeX\,Live, MiK\TeX\ 등의 텍 배포판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TeX\,Live를 설치한 경우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도 +%\kotex\ 관련 패키지를 설치 운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설 저장소는 파일들을 몇 가지 ``설치용'' 패키지로 나누어서 제공한다.\footnote{% +사설 저장소는 파일들을 몇 가지 ``설치용'' 패키지로 나누어서 제공한다. +2014년 5월 현재 사설 저장소를 통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footnote{% 여기서 `패키지'란 \LaTeX\ 매크로 패키지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저장소에서 파일을 구분하는 단위를 말한다.} \begin{description} \tightlist @@ -598,29 +598,61 @@ $ tlmgr install collection-kotex %\item [\texttt{kotex}] \pkg{dhucs} 관련 파일의 묶음이다. %\item [\texttt{kotex-dev}] \pkg{oblivoir} 관련 파일 묶음이다. %\item [\texttt{kotex-utils}] \kotex 이 제공하는 유틸리티 프로그램과 스타일 패키지를 포함한다. +\item [\texttt{kotex-euc}] 이전 버전 \kotex 의 euc-kr 한글 식자 관련 파트이다. 이 패키지를 사용하려면 \pkg{unfonts-base}가 필요하다. +\item [\texttt{unfonts-base}] 은글꼴 type 1과 트루타입이다. +%kotex-base라는 이름은 종래 은글꼴이 \kotex 의 기본 글꼴이었던 데서 연유한다. 이 명칭은 지금 형편에 맞지 않으므로 추후 개명될 전망이다. +은바탕, 은돋움, 은그래픽, 은타자 글꼴이 포함되어 있다. +\item [\texttt{unfonts-extra}] 은글꼴 type 1과 트루타입으로 base에 포함되지 않은 것들이다. +\item [\texttt{nanumbaruntype1}] 나눔바른고딕의 type 1 글꼴이다. \item [\texttt{kotex-midkor}] 옛한글 식자에 필요한 패키지와 폰트 묶음이다. -\item [\texttt{kotex-base}] 은글꼴 type 1과 트루타입이다. kotex-base라는 이름은 종래 은글꼴이 \kotex 의 기본 글꼴이었던 데서 연유한다. 이 명칭은 지금 형편에 맞지 않으므로 추후 개명될 전망이다. 은바탕, 은돋움, 은그래픽, 은타자 글꼴이 포함되어 있다. -\item [\texttt{kotex-extra}] 은글꼴 type 1과 트루타입으로 base에 포함되지 않은 것들이다. \item [\texttt{jiwonlipsum}] lipsum의 한글화 버전이다. -\item [\texttt{kotex-euc}] 이전 버전 \kotex 의 euc-kr 한글 식자 관련 파트이다. 이 패키지를 사용하려면 \pkg{kotex-base}가 필요하다. +\item [\texttt{kswrapfig}] Karnes가 작성한 패키지로서 그림 주변으로 텍스트가 흐르게 할 때 그림과 텍스트 간의 위치와 간격을 조절하는 명령을 제공한다. +\item [\texttt{ob-chapstyles}] oblivoir 클래스에서 사용하는 장 표제의 예제를 포함하고 있다. +\item [\texttt{hanjacnt}] 한자와 한글 카운터를 제공한다. +\item [\texttt{arara-rules-ko}] komkindex, kotexindy, dvipdfmx를 위한 arara rules 파일. +\item [\texttt{ktugbin}] \kotex\,Live에서 제공하던 유틸리티 몇 개를 설치한다. (Windows) +\item [\texttt{texworks-config}] \kotex\,Live에서 제공하던 \TeX works 설정 파일. (Windows) \end{description} -%다음 설치 패키지들도 함께 제공한다. -%\begin{description} \tightlist -%\item [\texttt{kotex-euc}] \pkg{kotex-euc}와 \pkg{kotexguide} 등 이전 버전에 -%포함되어 있던 파트를 서비스한다. -%\item [\texttt{kotex-base}] \pkg{untype1}이다. 이름이 kotex-base로 되어 있는 것은 -%예전 버전에서 은글꼴 type 1이 기본 글꼴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이 명칭은 지금 형편에 맞지 않으므로 -%추후 개명될 전망이다. -%은바탕, 은돋움, 은그래픽, 은타자 글꼴이 포함된다. -%\item [\texttt{kotex-extra}] \pkg{untype1}의 extra 부분이다. -%\end{description} - -이들 각각을 자신의 \TeX\,Live 시스템에 설치하려면 +\kotex\ 사설 저장소는\index{ko.TeX repository} \TeX\,Live의 \util{tlmgr} 유틸리티를 통하여 +간단히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먼저 다음 명령을 내리면 저장소가 등록된다. \begin{verbatim} -$ tlmgr install kotex-midkor +$ tlmgr repository add http://ftp.ktug.org/KTUG/texlive/tlnet/ ktug \end{verbatim} -와 같은 방식의 명령을 내리면 된다. +이제 이 저장소를 이용하기 위하여 \TeX\,Live의 texmf 트리 아래의 \file{tlpkg} 디렉터리(이를테면 \texttt{/usr/local/texlive/texmf-local/tlpkg})에 +\begin{boxedverbatim} +ktug:* +\end{boxedverbatim} +이라는 내용을 갖는 \file{pinning.txt} 파일을 만들고 +\begin{verbatim} +$ tlmgr install unfonts-base +$ tlmgr remove unfonts-base +\end{verbatim} +명령을 통하여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 +이 문서를 오류없이 컴파일하기 위해서는 KTUG 사설 저장소로부터 \pkg{kotex-midkor} 패키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 +%% +%%\bigskip +%% +%% +%%%다음 설치 패키지들도 함께 제공한다. +%%%\begin{description} \tightlist +%%%\item [\texttt{kotex-euc}] \pkg{kotex-euc}와 \pkg{kotexguide} 등 이전 버전에 +%%%포함되어 있던 파트를 서비스한다. +%%%\item [\texttt{kotex-base}] \pkg{untype1}이다. 이름이 kotex-base로 되어 있는 것은 +%%%예전 버전에서 은글꼴 type 1이 기본 글꼴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이 명칭은 지금 형편에 맞지 않으므로 +%%%추후 개명될 전망이다. +%%%은바탕, 은돋움, 은그래픽, 은타자 글꼴이 포함된다. +%%%\item [\texttt{kotex-extra}] \pkg{untype1}의 extra 부분이다. +%%%\end{description} +%% +%%이들 각각을 자신의 \TeX\,Live 시스템에 설치하려면 +%%\begin{verbatim} +%%$ tlmgr install kotex-midkor +%%\end{verbatim} +%%와 같은 방식의 명령을 내리면 된다. \section{\kotex\,Live}\index{ko.TeX Live} @@ -641,7 +673,7 @@ $ tlmgr install kotex-midkor MiK\TeX 의 패키지매니저를 이용하여 설치 운용할 수 있다.\index{MiKTeX} \util{tlmgr}이 없는 텍 배포판이라도 \TeX\,Live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면 마찬가지로 \kotex 을 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적어도 \file{collection-langcjk}라는 콜렉션 패키지를 설치하면 된다. +가능할 것이다. 적어도 \file{collection-langkorean}라는 콜렉션 패키지를 설치하면 된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kotex\ 패키지 저장소를 직접 방문하여 자신의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 이 글에서는 더 다루지 않겠다. @@ -668,7 +700,7 @@ MiK\TeX 의 패키지매니저를 이용하여 설치 운용할 수 있다.\inde \usepackage{ifpdf} \ifpdf - \usepackage[unicode,pdftex,colorlinks]{hyperref} + \usepackage[pdfencoding=auto,pdftex,colorlinks]{hyperref} \input glyphtounicode \pdfgentounicode=1 \else \usepackage[unicode,dvipdfmx,colorlinks]{hyperref} @@ -834,7 +866,9 @@ $ dvipdfmx firsttest 기호 문자의 직접 입력과 처리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적어도 legacy \TeX 으로 작업한다면 이 기호 문자를 문서에서 바로 입력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기호 문자를 써야 할 경우에는 알맞은 \LaTeX 의 기호 문자 명령으로 -얻도록 하는 편이 낫다. +얻도록 하는 편이 낫다.\footnote{% + 단, 유니코드 텍 엔진(\XeTeX, \LuaTeX)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 유니코드 문자 자체를 입력하는 쪽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subsection{우리말 이름} \label{sec:names}\index{우리말 이름} @@ -847,15 +881,16 @@ $ dvipdfmx firsttest 행간을 한글에 알맞게 설정한다. 또한, \wi{장절 명령}과 관련해서 %\kotex/euc와 동일한 \cmd{\kscntformat} 명령이 작동한다. -\wi{한글 이름}과 관련해서 \cmd{\ksnamedef} 명령도 작동한다. +% <!-- 2014/03/01, ksnamedef --> +%\wi{한글 이름}과 관련해서 \cmd{\ksnamedef} 명령도 작동한다. %이 명령의 의미와 사용법에 대해서는 \pageref{sec:names} 페이지의 %\ref{sec:names}절을 보라. %\pageref{tab:names} 페이지 표 \ref{tab:names}\를 참고하라. -한글 문서에서 사용되는 각종 이름들을 일률적으로 -\cmd{\ksnamedef} 매크로에 의해 변경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글 문서에서 사용되는 각종 이름들을 일률적으로 +%\cmd{\ksnamedef} 매크로에 의해 변경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한글 이름''을 사용하려면 \option{hangul} 옵션을 지정하여야 한다. @@ -863,7 +898,7 @@ $ dvipdfmx firsttest 사용되는 `\refname{}'의 이름 `Reference'는 \cmd{\refname}에 지정되어 있다. 이를 우리말화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begin{verbatim} - \ksnamedef{refname}{참고~문헌} + \renewcommand{\refname}{참고~문헌} \end{verbatim} %\texttt{[hangul]} 옵션을 준 경우 이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 -871,7 +906,8 @@ $ dvipdfmx firsttest 표~\ref{tab:names}에는 한글 라텍에서 한글화한 ``라텍 이름의 한글 및 한자화''가 나열되어 있다. 이 한글화는 \wi{전처리부}(preamble)에서 위에 예를 든 것처럼 -\cmd{\ksnamedef}로 재정의하면 원하는대로 변경된다. +%\cmd{\ksnamedef}로 +재정의하면 원하는대로 변경된다. \begin{table}[htbp] \leavevmode @@ -905,11 +941,20 @@ $ dvipdfmx firsttest \label{tab:names} \end{table} +%\marginpar{New 2014/03/01} +종래 H\LaTeX 과 \kotex-utf에서 제공하던 \cmd{\ksnamedef} 명령은 이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만약 이전에 작성한 문서에서 호환성 충돌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이 정의하여 이를 피해갈 수 있다. +\begin{verbatim} + \newcommand\ksnamedef[2]{\expandafter\def\csname #1\endcsname{#2}} +\end{verbatim} \subsection{장절명령} article 문서에서 한글 서식을 사용하면서 장절 표제의 ``제 1 절''과 같은 양식을 쓰지 않으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매크로는 \thispkg 에 -\texttt{[hangul]} 옵션을 지정한 경우에만 쓸 수 있다. +\texttt{[hangul]} 옵션을 지정한 경우에만 쓸 수 있다.\footnote{% + \cmd{\kscntformat} 명령은 \pkg{kotex-utf}에만 있는 명령이다. + \XeTeX-\ko, \LuaTeX-\ko에서는 이 명령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 \pkg{oblivoir}에서는 (section 이하 수준의 장절명령에 대하여) 이 명령을 쓸 수 있다. \pkg{titlesec}이나 \pkg{sectsty} 패키지를 이용하여 간단히 바꾸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begin{verbatim} \kscntformat{section}{}{} \end{verbatim} @@ -923,7 +968,7 @@ article 문서에서 한글 서식을 사용하면서 장절 표제의 ``제 1 같이 지정한다. \begin{verbatim} \renewcommand{\thechapter}{\Hnum{chapter}} - \ksnamedef{chaptername}{마당} + \renewcommand{\chaptername}{마당} \kscntformat{chapter}{}{~\chaptername} \end{verbatim} @@ -953,8 +998,9 @@ article 문서에서 한글 서식을 사용하면서 장절 표제의 ``제 1 설령 구현된다 하더라도 강조의 의미는 별로 드러나지 않는 장식적인 문자꼴이 되어버리고 만다. \kotex-utf는 H\LaTeX\ 이래의 전통을 감안하여 \emph{기울인 글자체} 강조 -방식을 기본값으로 채택하고 있다. - +방식을 기본값으로 채택하고 있다.\footnote{% + \pkg{xetex-ko}나 \pkg{luatex-ko}에서는 기울인 글자체를 이탤릭에 대응하여 쓰기 위해서 \texttt{ItalicFont, ItalicFeatures} 폰트 속성을 부여하여야 한다. 자세한 것은 \pkg{xetex-ko}의 문서를 참고하라.} + \regremph \subsubsection{\protect\emph{글꼴 변경} 강조}\index{강조!글꼴 변경} @@ -1042,6 +1088,11 @@ article 문서에서 한글 서식을 사용하면서 장절 표제의 ``제 1 \subsection{자간, 행간} +자간, 행간, 어간과 같은 기본적인 타이포그래피 속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pkg{kotex-utf}는 \pkg{dhucs-interword}와 같은 부수적인 패키지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pkg{xetex-ko}, \pkg{luatex-ko} 상황에서 이들은 모두 ``폰트 속성''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하여 Legacy \TeX 과 새로운 텍 엔진 사이에 +호환성이 없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이 글에서는 \pkg{kotex-utf}에 관한 사항만을 다루고 있다. + \paragraph{자간} 한글 \wi{타이포그래피}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wi{자간}은 @@ -1203,10 +1254,8 @@ doublespacing, 즉 2배간을 얻으려 한다면 \cmd{\setstretch} 값을 (한 이 역시 폰트 관련 문제에 해당하며, 원한다면 이른바 ``좁은 장평''이나 ``넓은 장평''을 \dotemph{사용자가 만들어내어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그러나 전통적인 \TeX\ Font 사용법을 그대로 -써야하는 Legacy \TeX 에서는 쉬운 일이 아닐 뿐더러 권장하지도 않는다. - -장평과 같은 폰트 속성을 자유롭게 제어하고자 한다면 \XeTeX 과 같은 -엔진을 이용하는 편이 훨씬 빠르고 편리하다. +써야하는 Legacy \TeX 에서는 쉬운 일이 아닐 뿐더러 권장하지도 않는다.\footnote{% +장평을 폰트 속성으로 제어하는 \XeTeX\ 엔진을 이용하는 편이 훨씬 빠르고 편리하다.} %다만 미세 타이포그래피를 %위하여 아주 미세한 장평의 조절을 \pdfTeX 이 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texttt{c-series}를 선택하는 것과는 다른 문제이다. @@ -1477,7 +1526,11 @@ hangpar, varhangpar \thispkg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한글 문서 전반에 걸쳐 미세 조정을 적용하여, \wi{미세 타이포그래피}를 부분적으로 구현하려 하였다는 것이다. 이 기능은 \verb|[finemath]| 옵션에 의하여 모두 -활성화된다. +활성화된다.\footnote{% + \option{finemath}는 \pkg{kotex-utf}의 기능이다. + 반면 \pkg{xetex-ko}에서는 이를 ``미세 간격'' 명령으로 구현하고 + 있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어 있다. +} \subsection{수식과의 간격}\index{미세 타이포그래피!수식 간격}\label{sec:finemath} @@ -1806,12 +1859,12 @@ hyperref 설정은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pdf 문서 제작에 있어서 한글 책갈피(bookmark)가 필요하면, 다음과 같이 한다. \begin{verbatim} -\usepackage[unicode,<driver>,...]{hyperref} +\usepackage[pdfencoding=auto,<driver>,...]{hyperref} \end{verbatim} \pkg{hyperref}의 개선이 이루어짐에 따라, 한글 책갈피를 만들기 위해 -별도의 복잡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다만, \verb|<driver>|를 +별도의 복잡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다만, 컴파일 루트에 따라서 \verb|<driver>|를 명시해주어야 한다는 데 주의하면 된다. \verb|pdftex|, \verb|dvipdfm|, -\verb|dvips| 등을 지정한다. +\verb|dvips| 등을 지정한다.\footnote{\XeTeX, \LuaTeX에서는 \texttt{<driver>}를 별도로 명시할 필요가 없다.} \section{찾아보기와 참고문헌} @@ -1935,7 +1988,9 @@ pdf 문서 제작에 있어서 한글 책갈피(bookmark)가 필요하면, 굴림체에 비해 그다지 예쁘지 않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본격적인 옛한글 문서를 작성하려 한다면 -\pdfLaTeX\ 기반의 \kotex-utf보다는 \XeTeX-\ko가 더욱 적절할 것이다. +\kotex-utf보다는 \XeTeX-\ko가 더욱 적절하다. +이 새로운 엔진을 기반으로 한 \kotex\ 패키지들은 옛한글에 대한 거의 +모든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해두고 있다. \section{일본어와 중국어 문단}\index{일본어 문단} @@ -1943,7 +1998,10 @@ pdf 문서 제작에 있어서 한글 책갈피(bookmark)가 필요하면, 이것은 한글 문서에서 약간의 \wi{일본어} 또는 \wi{중국어} 인용문을 처리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본격적인 \wi{다국어 문서}를 처리하는 데는 아직 미흡하지만 크지 않은 규모의 일본어 중국어 문단은 나쁘지 않은 정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footnote{% + \pkg{xetex-ko}, \pkg{luatex-ko}에서는 별도의 패키지를 + 로드하지 않아도 \texttt{\textbackslash japanese} 명령을 + 쓸 수 있다. 특히 \pkg{luatex-ko}는 자체에 ruby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본어 한자의 독음을 작은 가나 문자로 붙이는 것(루비)은 \pkg{CJK}의 일부인 \pkg{ruby}\를 불러서 할 수 있다. 일본어 또는 중국어 문단을 식자하려면 \pkg{dhucs-trivcj}를 @@ -2021,12 +2079,20 @@ wadalab-unicode 글꼴과 arphic 글꼴(type 1)을 이용한다. \kotex-utf는 한글 \wi{세로쓰기}를 직접 지원하지 않는다. 몇 가지 편법을 써서 세로쓰기 문단이나 문서를 만드는 실험이 행해진 적이 있지만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폰트를 직접 조작하는 \XeTeX-\ko를 살펴볼 것을 권장한다. -참고로 \pkg{xetexko-vertical} 패키지는 한글 세로쓰기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kotex-utf에서 실행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화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한편, \XeTeX-\ko는 한글의 세로쓰기가 구현되어 있다. \pkg{xetexko-vertical} 패키지를 이용하여 세로쓰기를 가능하게 한다. \chapter{글꼴 문제}\index{글꼴 문제} +\XeTeX 이나 \LuaTeX 의 등장으로 가장 급격한 변화를 맞은 것이 +한글 글꼴(폰트)의 사용 방식에 대한 것이다. 트루타입과 오픈타입을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이러한 텍 엔진의 등장은 매우 중요하고 극적인 변화를 +한글 텍 환경에 도입하게 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텍 엔진에서 폰트를 사용하는 문제는 해당 문서를 참고하라. + +이 글은 레거시 텍에서 구현되는 \pkg{kotex-utf}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장 전체의 내용은 오직 \util{latex}이나 \util{pdflatex}으로 컴파일하는 경우에만 해당하며, \XeTeX, \LuaTeX에서 한글을 사용하는 경우와 호환성이 없다. + \section{개관} 현재 버전의 \kotex 은 디자인상 `\wi{기본 글꼴}'이 없다. 이전 버전까지 은글꼴 type 1 (\pkg{untype1})\index{은글꼴 type 1}을 기본 글꼴로 삼고 있었으므로 크게 달라진 점이다. @@ -2260,6 +2326,9 @@ tlmgr install kotex-base \chapter{한글 문서 서식을 위한 부가 패키지들} +이 장에서 설명하는 부가 패키지들은 \pkg{kotex-utf}에서만 활용할 수 있으며 +\XeTeX, \LuaTeX을 사용하는 경우와는 호환성이 없다. + \section{강조 방식}\label{sec:gremph} \ref{sec:emphasis} 소절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강조 명령(\cmd{\emph})이 @@ -2749,7 +2818,7 @@ $ komkindex(.pl) -s kotex foo \cmd{\index}\texttt{\{색인!인덱스\}}라고 마크하면 이것은 ``색인''이라는 항목의 하위 항목으로 ``인덱스''라는 -항목이 취급되도록 하라는 의미이다. 한편, \cmd{\index}\texttt{\{금서목록@인덱스\}}라고 마크하면, 항목의 엔트리는 ``금서목록''으로 하되, 정렬 기준을 ``인덱스''에 +항목이 취급되도록 하라는 의미이다. 한편, \cmd{\index}\texttt{\{금서목록@인덱스\}}라고 마크하면, 항목의 엔트리는 ``인덱스''로 하되, 정렬 기준을 ``금서목록''에 맞추라는 의미이다. 이밖에도 색인을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많은 방법이 있다. @@ -2771,7 +2840,7 @@ $ komkindex(.pl) -s kotex foo \bigskip -``찾아보기''라는 이름을 ``색인''으로 바꾸는 것은 \pageref{sec:names}페이지 \ref{sec:names}절에서 설명한 대로 \cmd{\ksnamedef}\texttt{\{indexname\}\{색인\}} 형식을 이용하면 된다. +``찾아보기''라는 이름을 ``색인''으로 바꾸는 것은 \pageref{sec:names}페이지 \ref{sec:names}절에서 설명한 대로 \cmd{\renewcommand}\texttt{\{\textbackslash indexname\}\{색인\}} 형식을 이용하면 된다. \bigskip @@ -2899,7 +2968,9 @@ $ htlatex foo.tex "dhucs,html4" " -cunihtf" \chapter{한글 트루타입 폰트의 사용}\label{cha:truetype} -이미 언급한 대로 트루타입을 \kotex-utf에서 사용할 일은 거의 없을 것이나, +\XeTeX, \LuaTeX 에서는 트루타입 폰트를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 +\kotex-utf에서 사용할 일은 거의 없을 것이나, 여기 예전에 제시한 방법의 메모를 남겨두기로 한다. \bigskip @@ -3093,4 +3164,11 @@ LPPL version 3 또는 그 이후 버전의 라이선스로 배포된다. %\printbibliography +\section*{바뀐 점} + +2014/05/12: \XeTeX, \LuaTeX\ 사용을 위한 힌트를 각주 형식으로 조금 추가하였다. + +\noindent 2014/02/28: \cmd{\ksnamedef} 명령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음을 밝혔다. + + \end{docu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