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rw-r--r--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58
1 files changed, 49 insertions, 9 deletions
diff --git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index 290e417045..8af27c11c4 100644
--- a/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b/language/korean/pmhanguljamo/doc/pmhanguljamo-kdoc.tex
@@ -113,7 +113,8 @@
%\date{2021/11/28\quad v0.4}
%\date{2022/09/02\quad v0.5}
%\date{2022/09/07\quad v0.5.2}
-\date{2023/02/19\quad v1.0}
+%\date{2023/02/19\quad v1.0}
+\date{2023/02/22\quad v1.0.1}
\maketitle
@@ -1432,10 +1433,14 @@ nog-eumbangcho ugeojyeo geumjandi jwaleuleug sgal-in jye
\begin{enumerate}[\quad(1)]
\item 초성 위치에 오는 `\texttt{ㅇ}' 즉 zero 자음을 right quote(\texttt{'})로
-표현하는 것이 디폴트이다. 이럴 경우에 right quote 자리에 \cs{rq} 명령을 쓸 수 있다.
-만약 right quote를 써야 할 일이 많아서 zero 자음을 \texttt{x}로 대용하고 싶다면
-\cs{zeroisx}를 선언한다. \cs{zeroisrq} 명령으로 이를 되돌릴 수 있다. 이상은 \pkg{hangul\TeX}에서와 동일하다.
-\verb|\hg{u'eq}| \hg{u'eq}, \verb|\zeroisx\hg{xuxeq}| \hg{xuxeq}.
+표현하는 것이 디폴트이다.
+zero 자음을 \texttt{x}로 대용하고 싶다면
+\cs{zeroisx}를 선언한다. \cs{zeroisrq} 명령으로 이를 되돌릴 수 있다. 이상은 \pkg{hangul\TeX}에서와 동일하다. \cs{zeroisrq}(default) 상태에서
+닫는 따옴표를 쓰려면 \cs{rq}를 \verb|'| 대신 써야 한다. \verb|''|는 \cs{rq}\cs{rq}로 쓴다.
+\verb|\hg{u'eq}| \hg{u'eq}, \verb|\zeroisx\hg{xuxeq}| {\zeroisx\hg{xuxeq}}.
+\verb|\hg{`'a'ug\rq}| \hg{`'a'ug\rq}, \verb|\zeroisx\hg{`xaxug'}| {\zeroisx\hg{`xaxug'}}.
+\cs{zeroisx}와 \cs{zeroisrq}는 한글 입력 영역, 즉 \cs{jamoword}(=\cs{hg})의 인자
+영역 밖에서 선언하라.
\activatefrcccmds
\item 받침(종성) `\texttt{ㅇ}'은 \texttt{q}로 쓴다. 옛이응(\texttt{\frccQ})은 \texttt{Q}. 초성 자리에 올 때에도 같다.
@@ -1457,6 +1462,35 @@ zero 자음 \texttt{ㅇ}을 넣는 규칙 때문이다.
\end{enumerate}
+\section{\cs{AddRule}}
+
+\marginpar{\fbox{\footnotesize 1.0.1}}%
+\texttt{[method=pm]}의 경우와 달리 \texttt{frkim}에서는 유니코드 한글 자모 전부를 부호화해두지 않았다. 패키지가 너무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이었는데 그 결과 일부 옛한글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생길 것이다.
+
+사용자는 자신에게 꼭 필요하지만 \texttt{frkim} 규칙에 정의되지 않은 유니코드 한글 자모의 정의를 추가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한다.
+
+\begin{verbatim}
+\AddRule{<cho|jung|jong>}{<key=value>,<key=value>,...}
+\end{verbatim}
+
+\verb|key|는 사용할 알파벳이고 \verb|value|는 16진수 한글 자모 코드이다.
+(유니코드에 정의되지 않은 한글 자모는 쓸 수 없다.) 다음 예를 보라.
+
+\begin{exampleside}
+\AddRule{cho}{nn=1114}
+\hg{da-nn@nira}
+\end{exampleside}
+
+만약 \verb|key|가 이미 사용되고 있는 부호라면 기존 값을 덮어쓰므로 주의한다.
+
+\texttt{frkjamofull.data.tex}이라는 이름의 부수파일에는 유니코드의 모든 한글 자모에 대하여 frkim 방식의 코드를 부여해두었다. 이 파일을
+\cs{input}하면 모든 옛한글 자모를 활용할 수 있다.
+
+\begin{exampleside}
+\input{frkjamofull.data.tex}
+\jamoword{bstoiairmh}
+\end{exampleside}
+
\section{용례}
\paragraph{현대 한글} 현대 한글의 입출력 예를 보인다.
@@ -1499,11 +1533,15 @@ sa'uen 'ugihoan'yi jujaqgoa majbaro toqhaiSda.
\paragraph{\cs{rq}의 사용}
-닫는 따옴표는 \cs{rq} 매크로를 써야 한다. \cs{zeroisx}는 기억을 위한 코드일 뿐이고
-내부적으로 사실상 \verb|x|와 \verb|'|를 거의 동일하게 취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되도록 따옴표와 같은 문장부호는 \cs{jamoword}(=\cs{hg}) 명령 밖에 두는 것이 좋다.
+닫는 따옴표는 \cs{zeroisrq}일 때 \cs{rq} 매크로를 써야 한다.
\begin{examplebelow}
+\zeroisx \hangul ``xonyr harxirxyr naixirro miruji mara''nyn
+marxi iSda. \endhangul
+\end{examplebelow}
+
+\begin{examplebelow}
+\zeroisrq
\hg{``'erin'inyn nara'yi bobai'ibnida\rq\rq{} sopa
`baqjeqhoan\rq{} sensaiqnim'i hasin marSym'ida.}
\end{examplebelow}
@@ -1779,10 +1817,12 @@ Expl3는 내가 원하는 일을 너무나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
\textbullet\ v0.6 (2022/11/30): \texttt{frkim.sty}의 작성
-\textbullet\ v0.7.1 (2022/12/25): \texttt{frkim}과 통합 및 q/f/x의 대응 문자를 바꿈.
+\textbullet\ v0.7.1 (2022/12/25): \texttt{frkim}과 통합 및 q/f/x의 대응 문자를 바꿈. 훈민정음체 코멘트 삭제
\textbullet\ v1.0 (2023/02/18): version 1.0으로 릴리스.
+\textbullet\ v1.0.1 (2023/02/22): frkim rule에 \cs{AddRule} 추가. \cs{zeroisx} 버그 수정.
+
%%% APPENDICES
\ExplSyntax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