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9d91b3ba4871c0bae18f2fcc916da52c06694c01 Mon Sep 17 00:00:00 2001 From: Karl Berry Date: Sun, 11 Apr 2021 21:40:05 +0000 Subject: xetexko git-svn-id: svn://tug.org/texlive/trunk@58840 c570f23f-e606-0410-a88d-b1316a301751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10 ++ 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2 +- .../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 Bin 244622 -> 251319 bytes .../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121 ++++++++++++--------- 4 files changed, 80 insertions(+), 53 deletions(-) (limited to 'Master/texmf-dist/doc')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index f8e4013e58b..cdad25a5664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ChangeLog @@ -1,3 +1,13 @@ +2021-04-08 Dohyun Kim + + Version 3.2 + + * fix ulem package support + * \hangingpunctuation does not work with quotes by default. + * new commands \sethangingratio, \unsethangingratio added. + * \disablehangulspacing will remove \penalty between Hangul + characters. + 2021-03-22 Dohyun Kim Version 3.1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index 50575ee4a2c..c311723be57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README @@ -1,4 +1,4 @@ -XeTeX-ko Package version 3.1 (2021/03/22) +XeTeX-ko Package version 3.2 (2021/04/08) ========================================= XeTeX-ko is a macro package for Xe(La)TeX which supports typesetting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index 7d5f60a656a..c03bfa8a4db 100644 Binary files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and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pdf differ diff --git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index 481a2a0a570..616c9fcc5bc 100644 --- a/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b/Master/texmf-dist/doc/xetex/xetexko/xetexko-doc.tex @@ -41,7 +41,6 @@ {\setbox0=\vbox\bgroup\hsize=\dimexpr\textwidth-12pt\relax \hrule width0pt\kern5pt\par\small \parindent0pt } -% \noindent} {\par \vskip-\lastskip\kern5pt\hrule width0pt\egroup \par\medskip\par \dimen0=\dimexpr\pagegoal-\pagetotal\relax \ifdim\dimen0<2\baselineskip\relax \dimen0\maxdimen \fi @@ -56,8 +55,8 @@ \newenvironment{example} {\hbox\bgroup\grayvrule \vbox\bgroup\hsize\dimexpr\textwidth-4pt\relax - \grayhrule\kern1em\leftskip1em\rightskip1em - }{\par\kern1em\grayhrule\egroup\grayvrule\egroup} + \grayhrule\kern5pt\leftskip10pt\rightskip10pt + }{\par\kern5pt\grayhrule\egroup\grayvrule\egroup} \def\cs#1{\texttt{\textbackslash #1}} \def\hemph#1{\textsf{\bfseries #1}} \def\hparen#1{{\small\hangulparens(#1)}} @@ -71,7 +70,7 @@ \title{\xetexko\ 간단 매뉴얼} \author{Dohyun Kim \normalsize <\texttt{nomos at ktug org}> \and \normalsize <\url{http://github.com/dohyunkim/xetexko}>} -\date{Version 3.1\quad 2021/03/22} +\date{Version 3.2\quad 2021/04/08} \maketitle \begin{quote}\small @@ -217,7 +216,7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현재 폰트가 직전 문자의 폰트가 아닐 수 있음에 주의할 것. 옵션 키의 종류와 의미는 다음과 같으며 각 키 값은 인자의 경우와 같다. -\begin{description}\itemsep0pt\hangulparens +\begin{description}\itemsep0pt \item[alphs] 라틴 알파벳, 숫자, 아래에 해당않는 모든 non-CJK 문자 \item[parens] 라틴 괄호, 중괄호, 대괄호, 꺽쇠, 인용부호 및 그 리거쳐 \item[colons] 라틴 콜론, 세미콜론 @@ -229,15 +228,17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종전에\vernote{3.0} 라틴숫자에 적용되던 \verb|nums| 옵션과 라틴 인용부호에 적용되던 \verb|quotes| 옵션이 -3.0버전부터는 +3.0 버전부터는 각각 \verb|alphs| 옵션과 \verb|parens| 옵션에 통합되었음에 유의하라. 또한\vernote{3.0} en dash, em dash가 종래 \verb|colons|에 속하던 것이 이제 -\verb|hyphens|에 속하게 되었음도 주의하라. +\verb|hyphens|에 속하게 되었다. 기본값은 다음 명령을 준 것과 동일하다. +v3.0부터\vernote{3.0} 괄호류의 기본글꼴이 한글이 되었음도 유의하라. \begin{verbatim} \xetexkofontregime {latin}% - [ puncts=prevfont, colons=prevfont, cjksymbols=hangul ] + [ puncts=prevfont, colons=prevfont, + parens=hangul, cjksymbols=hangul ] \end{verbatim} \begin{plaintex} 플레인텍에서는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LaTeX에서도 쓸 수 있다. @@ -255,7 +256,7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end{verbatim} \end{plaintex} -\section{간격 조정 옵션}\label{sec:fontopts} +\section{글꼴 옵션}\label{sec:fontopts} \dotemph{고정폭 글꼴을 제외한} 한글·한자 글꼴 명령에 미세 간격 옵션을 쓸 수 있다. 예컨대 \begin{verbatim} @@ -282,25 +283,19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item[CharRaise, charraise]\quad 글자의 {\addhangulfontfeature{charraise=.5ex}수직 위치}를 조절한다. 기본값은 \verb|0pt|. + 고정폭 글꼴에서도 이 옵션은 작동한다. \end{description} -3.0버전부터는\vernote{3.0} 다음 옵션들이 아무 효과도 가져오지 않게 +3.0 버전부터는\vernote{3.0} 다음 옵션들이 아무 효과도 가져오지 않게 변경되었음을 주의하라. \begin{verbatim} - lowerperiod, PunctRaise - lowerquestion - lowerexclamation - lowercomma - preperiodkern - postperiodkern - prequestionkern - postquestionkern - preexclamationkern - postexclamationkern - precommakern - postcommakern - quoteraise - quotewidth - postmathskip + lowerperiod lowerquestion + lowerexclamation lowercomma + preperiodkern postperiodkern + prequestionkern postquestionkern + preexclamationkern postexclamationkern + precommakern postcommakern + quoteraise quotewidth + postmathskip PunctRaise \end{verbatim} \begin{plaintex} @@ -356,10 +351,12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줄바꿈까지도 먹지 않게 한다. 일부 고급 오픈타입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이 명령이 필요할 때가 있다. 이를테면, 폰트가 지원하는 한글 리거쳐가 동작하지 않을 때 이 명령을 - 선언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 - \cs{enablehangulspacingandlinebreak}는 이 명령의 효력을 원래대로 - 되돌리는 기능을 한다. + 선언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 \footnote{% + 이 명령은 그룹 안에서 실행해야 할 것이다. 그렇더라도 + \cs{enablehangulspacingandlinebreak} 명령을 그룹을 닫고나서 선언해야 + 원래 기능이 완전히 복구된다. + } \end{description} 3.0 버전부터는\vernote{3.0} 종전의 @@ -376,8 +373,6 @@ fontspec과 마찬가지로 각 명령의 끝에 `s'를 붙여도 된다. Source Han Serif (본명조), Noto Sans CJK, Noto Serif CJK, 나눔명조옛한글, 나눔바른고딕옛한글, KoPubWorld 바탕, KoPubWorld 돋움 등이 있다. 또한 -%%% BUG: \char를 이용하여 옛한글을 찍으면 자모가 분리된다. -%%% 코드 수정 요망. \textsf{^^^^1112^^^^119e^^^^11ab글}에 번들된 함초롬 글꼴에도 최근 옛한글 지원이 추가되었다.} @@ -427,12 +422,13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begin{figure} \begin{example} \hfil\begin{vertical}{18em} - \spaceskip=.5em plus .08em minus .04em - \sffamily\addhangulfontfeatures{Vertical=Alternates,CharRaise=.5ex, - RawFeature=vertical} - \hanjabyhangulfont \parindent-1em\leftskip1em + \linespread{1.5}\sffamily + \addhangulfontfeatures{Vertical=Alternates,CharRaise=.5ex,RawFeature=vertical} + \hanjabyhangulfont \typesetclassic \latinparens - \noindent 님의 침묵 (The Silent Beloved) + \parindent0pt \everypar{\hangindent1em \hangafter1 } + \spaceskip=.5em plus .25em minus .125em + \quad 님의 침묵 (The Silent Beloved) \smallbreak \hfil\hfil 한 용 운\hfil \bigbreak @@ -449,7 +445,7 @@ vertical 환경의 인자는 세로쓰기 박스의 세로 길이이다. 세로쓰기 보기.\quad \sffamily\small Noto Sans CJK KR 글꼴을 이용했다. 이 글꼴의 세로쓰기 어간이 1em으로 - 매우 커서 \cs{spaceskip=0.5em plus.08em minus.04em}을 강제했다. + 매우 커서 \cs{spaceskip=0.5em plus.25em minus.125em}을 강제했다. \texttt{CharRaise=.5ex}도 글꼴 옵션에 추가했다. 또한 \cs{latinparens}를 선언했는데 제목 다음의 괄호가 CJK 괄호가 아니라 아스키 괄호이기 때문이다. @@ -540,11 +536,10 @@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주어야 한 \begin{figure} \begin{example}\linespread{1.3} - \hfil\begin{vertical}{18em} - \sffamily\typesetclassic - \addhangulfontfeatures{Vertical=Alternates,CharRaise=.5ex, - RawFeature=vertical} - \hanjabyhangulfont \parindent-1em\leftskip1em + \hfil\begin{vertical}{19em} + \linespread{1.5}\sffamily\typesetclassic + \addhangulfontfeatures{Vertical=Alternates,CharRaise=.5ex,RawFeature=vertical} + \hanjabyhangulfont \parindent0pt \everypar{\hangindent1em \hangafter1 } \analect \end{vertical}\hfil \end{example} @@ -557,15 +552,36 @@ horizontal 환경에는 가로쓰기 박스의 너비를 인자로 주어야 한 \end{figure} \section{매달린 구두점} -마침표, 쉼표, 인용부호를 판면 바깥에 식자하여 행 끝에 매달리게 만든다. +\hemph{하이픈을 제외한} 문장부호들를 판면 바깥에 식자하여 행 끝에 매달리게 만들 수 있다. 3.0 버전부터는\vernote{3.0} \keyword{hangingpunctuations}% \cs{hangingpunctuations} 명령으로 활성화한다. \cs{hangingpunctuation}은 이 명령과 동의어이다. -당분간 xetexko-hanging.sty 을 로드하는 것으로도 활성화되도록 해 두었다. +당분간 xetexko-hanging.sty을 로드하는 것으로도 활성화되도록 해 두었다. +이렇게 활성화되면 기본값으로 온점, 반점, 고리점, 모점에 대해서 전부 내밀기가 작동한다. + +3.2 버전부터는\vernote{3.2}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부호를 원하는 만큼 판면 밖으로 내밀 수 있다. +\begin{verbatim} + \sethangingratio"28=0.5 % + \sethangingratio"3002=1 % +\end{verbatim} +등호 앞의 숫자는 유니코드 코드포인트이고 뒤의 숫자는 글자폭에 대한 비율을 뜻한다. +따라서 위 예는 여는괄호(U+0028)를 절반만 내밀고 고리점(U+3002)은 완전히 밀어내라는 지시다. +어느 방향으로 내밀지는 \xetexko 가 알아서 판단한다. +이러한 지시를 취소하려면, +\begin{verbatim} + \unsethangingratio"28 + \unsethangingratio"3002 +\end{verbatim} -글자 내밀기 기본값에 차이가 좀 있긴 하지만, -microtype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으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microtype 패키지의 protrusion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footnote{% + 원시명령 \cs{lpcode} \cs{rpcode} 등 엔진이 제공하는 기능을 말한다. + 이들 원시명령에는 글리프 인덱스를 지시해야 하는데 어떤 글자의 글리프 인덱스를 + 알아내는 일은 간단치가 않다. + \XeTeX\ reference guide를 참고하라. + } +어쩔 수 없이 제공하게 되었으므로 예외적으로만 사용할 것을 권한다. %\begin{figure} %\Large @@ -574,15 +590,11 @@ microtype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으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vbox{\hfil\hbox{\vrule\vbox{\hsize\wd0 % 줄 끝에 매달린 구두점. % 줄 끝에 매달린 구두점, -% ``줄 끝에 매달린 구두점'' -% `줄 끝에 매달린 구두점' -% “줄 끝에 매달린 구두점” -% ‘줄 끝에 매달린 구두점’ % 줄 끝에 매달린 구두점、 % 줄 끝에 매달린 구두점。 % 줄 끝에 매달린 구두점 % }\vrule}\hfil} -%\caption{매달린 구두점 보기}\label{fig:hanging} +%\caption{기본값이 적용된 매달린 구두점}\label{fig:hanging} %\end{figure} \section{수식 한글} @@ -661,7 +673,7 @@ microtype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으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따위를 사용한다. \section{밑줄긋기} -\LaTeX에서는 \uwave{ulem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만으로 자동 지원된다. +\uwave{ulem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만으로 자동 지원된다. 3.0 버전부터는\vernote{3.0} \cs{xetexkoulemsupport} 선언이 불필요하게 되었다. 이 명령은 호환성을 위해 남겨두었으나 아무 일도 @@ -675,6 +687,11 @@ microtype 패키지를 로드하는 것으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begin{small}\linespread{1.2}\selectfont \begin{description}\itemsep=0pt + \item[v3.2] 2021-04-08 + \begin{itemize} + \item 매달린 구두점이 기본값으로 따옴표에는 작동하지 않고 마침표^^b7쉼표에만 작동한다. + \item \cs{sethangingratio}, \cs{unsethangingratio} 명령 추가 + \end{itemize} \item[v3.1] 2021-03-22 \begin{itemize} \item 플레인텍 명령 \cs{sethangulfont}, \cs{sethanjafont} 추가 -- cgit v1.2.3